KR100470424B1 - 댐퍼 기구 - Google Patents

댐퍼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424B1
KR100470424B1 KR10-2002-0002233A KR20020002233A KR100470424B1 KR 100470424 B1 KR100470424 B1 KR 100470424B1 KR 20020002233 A KR20020002233 A KR 20020002233A KR 100470424 B1 KR100470424 B1 KR 10047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elastic member
damper mechanism
assemblies
hub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160A (ko
Inventor
우에하라히로시
후지타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ublication of KR2002006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고 종래 댐퍼 기구의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는 댐퍼 기구가 제공된다.
댐퍼 기구는 입력 회전체(2), 출력 회전체(3), 및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를 구비한다.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입력 회전체(2)와 출력 회전체(3)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비틀림 토크를 흡수한다.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중심축이 대략 직선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41)을 가지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비틀림 토크의 35∼50%를 흡수한다.

Description

댐퍼 기구 {DAMPER MECHANISM}
본 발명은 댐퍼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이용하는 댐퍼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이용되는 종래의 댐퍼 기구는 입력 회전부재, 출력 회전부재, 및 탄성 연결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입력 회전부재는 입력 플라이휠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회전부재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입력 회전부재와 출력 회전부재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입력 회전부재는 클러치 디스크와 그 내측에 고정된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출력 회전부재는 샤프트에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허브를 가지고 있다. 허브는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보스와, 보스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탄성 연결기구는 복수의 대형의,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각 코일 스프링은 플랜지에 형성된 창(window) 내에 수용되며 또한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에 형성된 창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와 허브가 서로 상대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은 양 부재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댐퍼 기능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입력된 회전방향의 비틀림 진동을 흡수·감쇠한다.
또한 분리-플랜지형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상기 분리-플랜지형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서, 플랜지는 허브로부터 독립되고 상기 플랜지와 허브는 저강성의 소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클리치 디스크 조립체형에서, 비틀림 각도가 작은 영역일 때 소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저강성의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비틀림 각도가 큰 영역일 때 대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고강성의 특성이 얻어진다.
코일 스프링이 회전방향으로 압축될 때에,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코일 스프링 측의 휨이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보다 더 크다. 이것은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코일 스프링을 누르는) 창 부분이 중심축에 더 가까운 부분 보다 회전방향으로 더 큰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부분의 휨을 흡수하는 내측 와이어 비틀림 량이 외측 와이어 비틀림 량보다 더 크다. 또한 내측 와이어의 응력이 더 크다. 따라서, 하나의 코일 스프링에 발생된 응력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아, 전체 코일 스프링의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종래의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는 3∼12개의 스프링이 중심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3∼6개소의 스프링 지지부에 배치되는 되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댐퍼 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코일 스프링 조립체가 소 코일 스프링보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개수를 줄이고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 코일 스프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토크 용량을 크게 하고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수를 줄이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댐퍼 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요구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이러한 요구를 제기하며, 이것은 이 공개로부터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댐퍼 기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입력 회전체, 출력 회전체, 및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비틀림 토크를 흡수한다.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중심축이 대략 직선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 조립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비틀림 토크의 35∼50%를 흡수한다.
이 댐퍼 기구에서,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댐퍼 기구의 비틀림 토크의 35% 이상을 흡수한다. 따라서,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댐퍼 기구의 구조가 간단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1 실시예의 댐퍼 기구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댐퍼 기구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쪽의 유효 감김수가 댐퍼 기구의 중심축에서 더 먼 쪽의 유효 감김수보다 많아지도록 장착된다.
이 댐퍼 기구는 스프링이 압축될 때에 스프링의 먼 쪽과 가까운 쪽 사이의 1턴당 휨의 차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즉,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각 코일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과 중심축에 더 가까운 각 코일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차이가 적어진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의 강도가 향상되고, 그 토크 용량이 증가될 수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댐퍼 기구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비틀림 토크의 70∼100%를 흡수한다.
이 댐퍼 기구에서,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가 댐퍼 기구의 비틀림 토크의 70% 이상을 흡수한다. 따라서,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댐퍼 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입력 회전체, 출력 회전체, 및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비틀림 토크를 흡수한다.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중심축이 대략 직선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댐퍼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통과하는 두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60∼140도의 범위에 있다.
이 댐퍼 기구에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은 그 각도가 60도 이상이기 때문에 종래의 코일 스프링보다 대형화된다.
따라서,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일 스프링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댐퍼 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4 실시예의 댐퍼 기구이고, 상기 각도는 60∼120도의 범위에 있다.
이 댐퍼 기구에서, 상기 댐퍼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통과하는 두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120도 이하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원주방향 사이에 더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5 실시예의 댐퍼 기구이고, 상기 각도는 70∼100도의 범위에 있다.
이 댐퍼 기구에서, 상기 댐퍼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통과하는 두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100도 이하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원주방향 사이에 더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입력 플레이트, 허브 플랜지, 제1 탄성부재 조립체, 스플라인 허브, 및 제2 탄성부재 조립체를 구비한다. 허브 플랜지는 입력 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체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 조립체는 입력 플레이트와 허브 플랜지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스플라인 허브는 허브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탄성부재 조립체는 스플라인 허브와 허브 플랜지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댐퍼 중심축과 댐퍼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제2 탄성부재 조립체의 부분 사이의 거리와, 상기 댐퍼의 중심축과 상기 댐퍼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탄성부재 조립체의 부분 사이의 거리의 비가 1:0.5∼1:1.5의 범위에 있다.
이 댐퍼 기구에서, 상기 댐퍼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먼 제2 탄성부재 조립체의 부분이 종래의 댐퍼 기구보다 중심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 조립체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7 실시예의 댐퍼 기구이고, 상기 비는 1:0.7∼1:1.2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공개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예시 목적을 위하여 일부가 제거된 도 1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종단면이다.
도 8은 도 7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는 차량의 클러치 장치에 이용되는 동력전달장치이고, 클러치 기능과 댐퍼 기구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기능은 플라이휠(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및 연결해제 함으로써 토크를 전달 및 차단하는 기능이다. 댐퍼 기능은 플라이휠로부터 입력되는 토크변동을 흡수·감쇠하기 위하여 스프링 등을 사용한다.
도 1에서, 선(O-O)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회전축이다. 엔진 및 플라이휠(도시하지 않음)이 도 1의 좌측에 배치되고,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이 도 1의 우측에 배치된다. 도 2에서, 화살표(R1)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구동 방향(정 회전방향측)을 나타내며, 화살표(R2)는 그 반대 방향(부 회전방향측)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회전(원주)방향」, 「축방향」 및「반경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댐퍼 기구로서 취급되는)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는 주로, 입력 회전체(2), 출력 회전체(3), 및 상기 입력 회전체(2)와 출력 회전체(3) 사이에 배치된 탄성연결부(4)를 구비한다.
토크가 플라이휠(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회전체(2)에 입력된다. 입력 회전체(2)는 주로 클러치 디스크(11),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를 구비한다. 클러치 디스크(11)는 플라이휠(도시하지 않음)에 가압되고 연결된다. 클러치 디스크(11)는 쿠션 플레이트(15), 상기 쿠션 플레이트(15)의 축방향 양측에 리벳(18)으로 고정된 한 쌍의 마찰 페이싱(16, 17)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모두 바람직하게 판금제의 원판형 또한 환형의 부재이며, 서로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12)는 엔진측에 배치되고,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트랜스미션 측에 배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복수의 스토퍼 핀(20)에 의하여 그 외주부에서 서로 고정된다. 스토퍼 핀(20)은 바람직하게 합계 4개이며, 플레이트(12, 13)를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스토퍼의 기능(후술함)도 가지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각각 중심구멍이 형성된다. 스플라인 허브(7)(후술함)는 이 중심구멍 내에 배치된다.
원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창(25)이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형성된다. 편의를 위하여, 창(25)의 형상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를 나타내지만 동일한 창 구조를 이용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플레이트에, 2개의 창(25)이 바람직하게 서로 반경방향(중심축 O-O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창(25)은 플레이트(12, 13)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각 창(25)은 축방향으로 플레이트를 관통한 구멍과 그 구멍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27)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지지부(27)는 외측 지지부(27a), 내측 지지부(27b), 및 회전방향 지지부(27c, 27d)를 가지고 있다. 외측 지지부(27a)는 플레이트와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을 대략 따른 형상으로 만곡된다. 내측 지지부(27b)는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또, 회전방향 지지부(27c, 27d)는 플레이트의 반경방향에 대략 위치한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외측 지지부(27a) 전체 및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회전방향 지지부(27c, 27d)는 스프링 시트(42, 43)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출력 회전체(3)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 회전체(3)는 스플라인 허브(7), 허브 플랜지(6), 및 코일 스프링(8)을 가지고 있다. 스플라인 허브(7)는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중심구멍 내에 배치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스플라인 허브(7)는 상기 허브의 중심구멍에 삽입된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된다. 스플라인 허브(7)는 보스(7a), 그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7b)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이(teeth)(7c)와 한 쌍의 스프링 수용 노치(7d)가 플랜지(7b)에 형성된다. 한 쌍의 스프링 수용 노치(7d)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허브 플랜지(6)는 스플라인 허브(7)의 외주에 배치된다. 즉, 허브 플랜지(6)는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축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허브 플랜지(6)는 평탄한 플레이트 부재이지만, 바람직하게 원판형상이 아니라, 한 반경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된다. 또, 허브 플랜지(6)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고 단지 그 구멍형성 부분은 바람직하게 원형의 중심구멍과 2개의 창구멍(31)이다. 복수의 이(6a)와 스프링 수용 노치(6b)가 허브 플랜지(6)의 중심구멍에 형성된다.
스프링 수용 노치(6b)는 스프링 수용 노치(7d)에 대응하고 그 외측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8)이 스프링 수용 노치(6b, 7d) 내에 배치된다. 즉,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근접한 코일 스프링(8)의 원주방향 단면의 부분은 노치(7d)의 원주방향 단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더 먼 코일 스프링(8)의 원주방향 단면의 부분은 노치(6b)의 원주방향 단면에 지지된다. 또, 스프링 시트가 코일 스프링(8)의 원주방향 단면에 결합되어 있어도 되고,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이(6a)는 복수의 이(7c)와 회전방향으로 간극(θ1)을 두도록 배치된다. 이 회전방향 간극이 코일 스프링(8)의 작동 각도이며, 이(6a, 7c)가 1단의 스토퍼 기구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10)가 스플라인 허브(7)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각 플레이트(10)는 환형의 부재이며, 소정의 마찰재로서 기능하는부시이다. 플레이트(1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구조에 의해서 허브 플랜지(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측 플레이트(10)는 클러치 플레이트(12)의 내측부와 스플라인 허브(7)의 플랜지(7b) 사이에 끼여 있다. 트랜스미션측 플레이트(10)는 스플라인 허브(7)의 플랜지(7b)에 접촉하고 있다.
마찰 플레이트(29)와 원추형 스프링(30)이 트랜스미션측 플레이트(10)와 중심축에 가까운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찰 플레이트(29)는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하지만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원추형 스프링(30)은 마찰 플레이트(29)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축방향 사이에서 압축되고, 마찰 플레이트(29)에 대하여 축방향 엔진측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한다.
오목부(10a)가 스프링 수용 노치(6b, 7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플레이트(10)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각 코일 스프링의 양측이 오목부(10a) 내에 배치된다. 또, 상기한 2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각 코일 스프링(8)의 원주방향 단면의 양측은 오목부(10a)의 원주방향 단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0)는 코일 스프링(8)의 원주방향 양단 뿐만 아니라 그 축방향 양측을 지지한다.
창구멍(31)이 플레이트(12, 13)의 창(25)에 대응하도록 허브 플랜지(6)에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창구멍(31)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허브 플랜지(6)에 형성된다. 창구멍(31)은 바람직하게 허브 플랜지(6)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구멍(31)은 외측 지지부(35), 내측지지부(32), 및 회전방향 지지부(33, 34)를 가진다. 회전방향 지지부(33)는 R1측에 배치되고, 회전방향 지지부(34)는 R2측에 배치된다. 외측 지지부(35)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과 대략 동일 중심을 갖는 원상에 위치하도록 만곡된다. 회전방향 지지부(33)와 회전방향 지지부(34)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으로부터 창구멍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반경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탄성연결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복수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를 가지고 있다.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창구멍(31) 및 창(25) 내에 배치된다.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코일 스프링(41)과 그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 시트(42, 43)를 가지고 있다. 코일 스프링(4l)의 와이어 단면이 바람직하게 원형이며, 그 양 단부가 밀폐단 단부 코일(end coil)을 형성한다. 또, 단부 코일의 면부는 바람직하게 약간 연삭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42, 43)는 도 5 및 도 6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경질수지 또는 탄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탄성수지 재료는 예를 들면,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polyester)·엘라스토머(elastomer)이다. 스프링 시트(42, 43)의 각 시트부(46)는 코일 스프링(41)의 단부 코일 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면(47)을 가지고 있다. 시트부(46)의 반대측은 창구멍(31)이나 창(25)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면(48)을 가지고 있다.
도 5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시트면(47)은 원형이다. 시트면(47)은 제1 반원(47a)과 제1 반원(47a)의 일단으로부터 그 타단을 향하여(도 5의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면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제2 반원(47b)을 가지고 있다. 제2 반원(47b)의 일단은 제1 반원(47a)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2 반원(47b)의 타단은 제1 반원(47a)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면(47)의 원주방향(도 5에서 시계 방향)을 향하는 접촉면(47c)이 상기 단차 부분에 형성된다. 또, 상기 시트면(47)의 형상은 코일 스프링(41)의 단부 코일 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데, 상기 단부 코일이 무연삭에 가까운 경우에는, 시트면(47)은 코일의 단면에 대응한 만곡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일 스프링(41)의 선단 단면 부분은 스프링 시트(42)의 접촉면(47c)에 접촉한다.
스프링 시트(43)는 스프링 시트(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2개의 스프링 시트(42, 43)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 2개의 접촉면(47c)은 시트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시트부(46)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원주방향에서 창구멍(31) 내로 연장되고 코일 스프링(41)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49)를 형성한다. 돌출부(49)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돌출부(49)의 선단면(50)은 바람직하게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축방향에 일직선이지만 축방향에서 수직으로 볼 때 경사져 있다. 특히, 회전축을 평면으로 및 수직으로 볼 때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선단면(50)의 부분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에 더 가까운 그 부분보다 회전방향으로 창구멍(31)의 에지쪽으로 더 향하여 위치된다. 또한, 구멍(51)이 바람직하게 시트부(46) 및 돌출부(49)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버(rubber)(58)가 스프링 시트(42)의 돌출부(49)의 선단에는 장착된다. 러버(58)는 선단면(50)에 접촉하는 쿠션부(58a)와 이 쿠션부(58a)로부터 구멍(51) 내로 연장되는 다리부(58b)를 가지고 있다. 러버(58)는 코일 스프링(41)의 압축이 클 때에 스프링 시트(42, 43)의 돌출부(49) 사이에 끼임으로써 큰 토크(스토퍼 토크)를 발생한다.
외측 지지부(52)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으로부터 먼 시트부(46)의 측면에 돌출부(49)와 동일한 시트부(46)의 면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지지부(52)의 내측은 시트면(47)의 형상을 따라 만곡된 지지면(56)을 가지고 있다. 지지면(56)은 코일 스프링(41)의 단부 코일 뿐만 아니라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코일 스프링(41)의 양측의 일부를 지지한다. 또, 내측 지지부(53)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가까운 시트부(46)의 측면에 축방향으로 시트부(46)의 양측에 형성된다. 내측 지지부(53)는 시트면(47)의 형상에 따라 만곡된 지지면(57)을 가지고 있다. 내측 지지부(53)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측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41)의 축방향 양측을 지지한다.
스프링 시트(42, 43)는 창(25)의 원주방향 단부로부터 회전방향으로(원주방향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분리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스프링 시트(42, 43)는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41)의 중심축(P-P)을 중심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부(27a)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먼 스프링 시트(42, 43)측의 단차부(59)에 접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프링 시트(42, 43)는 창구멍(31)의 회전방향 지지부(33)와 회전방향 지지부(34)에 각각 지지된다. 특히, 배면(48)이 회전방향 지지부(33) 및 회전방향 지지부(34)에 접촉한다. 또한, 외측 지지부(52)가 외측 지지부(35)에 접촉한다. 또, 내측 지지부(53)와 내측 지지부(32) 사이에는 반경방향으로 약간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시트(42, 43)는 창구멍(31)의 원주방향 단부로부터 회전방향으로(원주방향 반대측 단부를 향하여) 분리될 수 있지만,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스프링 시트(42, 43)는 외측 지지부(52)와 창구멍(31)의 외측 지지부(35)의 접촉 때문에 코일 스프링(41)의 중심축(P-P)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허브 플랜지(6)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1)의 원주방향 단면의 전체 표면은 시트부(46)의 시트면(47)에 접촉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41)의 선단 단면은 접촉면(47c)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41)은 한 쌍의 스프링 시트(42, 43)에 대하여 자기의 중심축(P-P) 주위로 회전할 수 없다. 즉, 한 쌍의 스프링 시트(42, 43)의 접촉면(47c)이 코일 스프링(41)의 감김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41)은 중심축(P-P) 주위로 어느 쪽으로도 회전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코일 스프링(41) 측의 유효 감김수는 7회이며,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측의 유효 감김수는 6회이다. 즉,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의 유효 감김수가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측의 유효 감김수보다 많다. 또한, 코일 스프링(41)은 스프링 시트(42, 43)에 대하여 스프링 중심축(P-P)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고, 스프링 시트(42, 43)는 플레이트(12, 13)에 대하여 스프링 중심축(P-P)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41)은 위치를 벗어나서 이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의 유효 감김수가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더 먼 측의 유효 감김수보다 항상 많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구멍(31)이 형성되는 허브 플랜지(6)의 부분에, 양 단면(6c)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각 스토퍼 핀(20)과 회전방향으로 간극(θ2)을 두고 배치된다. 이 회전방향 간극이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작동 각도이다. 허브 플랜지(6)의 단면(6c)과 핀(20)은 제2단 스토퍼 기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댐퍼 기구는 코일 스프링(8)에 의하여 형성된 저비틀림 강성 댐퍼와 코일 스프링 조립체(9)에 의하여 형성된 고비틀림 강성 댐퍼가 연속하여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스프링(8)은 스플라인 허브(7)와 허브 플랜지(6)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허브 플랜지(6)와 플레이트(12, 13)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코일 스프링(8)은 비틀림 특성 때문에 이른바 제1단 감쇠(아이들링시의 미소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저강성 영역)를 실현하고, 코일 스프링(41)은 이른바 제2단 감쇠(가감속시의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고강성 영역)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개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 위치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개수가 종래의 댐퍼 기구에 비하여 감소될 수 있는 이유는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코일 스프링(41)이 자기의 축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 기구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의 유효 감김수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축에서 더 먼 측보다 항상 많기 때문이다. 코일 스프링(41)의 강도·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각 코일 스프링의 토크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 중의 적어도 하나가 댐퍼 기구의 비틀림 토크의 35% 이상(구체적으로 35∼50%)을 흡수할 수 있고, 2개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가 비틀림 토크의 70% 이상(구체적으로 70∼100%)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일 스프링(41)은 예를 들면, 종래의 댐퍼 기구에서 4개의 코일 스프링과 동일한 비틀림 토크·강성을 제공한다.
또, 코일 스프링 조립체가 2개만으로 이루어기 때문에 레이아웃이 단순하게 되고 허브 플랜지(6) 등의 형상이 단순하게 된다. 이것은 각 부재의 제조상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 전체의 설계자유도가 커진다. 이상 정리하면, 이 구조에 의하여,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댐퍼 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큰 공간이 2개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원주방향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원주방향 중간에 위치하는 제1단 코일 스프링(8)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특히, 2개의 코일 스프링(8)은 2개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원주방향 사이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위치가 코일 스프링 조립체(9)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소 코일 스프링을(8)은 코일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종래의 댐퍼 기구의 경우보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댐퍼 중심축과 상기 댐퍼의 중심축에서 가장 멀리있는 코일 스프링(8)의 부분 사이 거리(A)와, 댐퍼 중심축과 상기 댐퍼의 중심축에서 가장 가까운 코일 스프링(41)의 부분 사이 거리(B)의 비가 1:0.5∼1: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는 1:0.7∼1:1.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댐퍼기구의 비틀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플레이트(12, 13)가 자유 상태에서 허브 플랜지(6)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비틀린다고 가정한다. 비틀림 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가장 낮은 강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8)이 스플라인 허브(7)와 허브 플랜지(6) 사이에서 압축되어, 저강성의 특성이 얻어진다. 이 때, 허브 플랜지(6)는 스플라인 허브(7)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며, 따라서 플레이트(10)가 스플라인 허브(7)의 플랜지(7b)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원하는 히스테리시스 토크가 발생된다. 비틀림이 계속되고 이(7c)가 이(6a)와 접촉하면, 코일 스프링(41)이 허브 플랜지(6)와 플레이트(12, 13)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때, 허브 플랜지(6)는 플레이트(12, 13)에 대하여 상대회전한다. 따라서,플레이트(10)는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마찰 플레이트(29)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원하는 히스테리시스 토크가 발생된다.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코일 스프링(41)은 창구멍(31)의 회전방향 지지부(33)와 창(25)의 회전방향 지지부(27c, 27d)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각 코일 스프링(41)의 휨 양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보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더 먼 측에서 더 많다. 그러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의 감김수가 중심축에서 더 먼 측의 감김수보다 많기 때문에, 양 측 사이의 감김당 휨 양의 차이가 종래의 댐퍼 기구보다 적다. 즉, 중심축에서 더 먼 측의 감김당 휨 양의 차이가 중심축에 더 가까운 측의 감김당 휨 양보다 크지만, 그 차이는 종래의 댐퍼 기구보다 작다. 그 결과,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코일 스프링(41)의 부분과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더 먼 부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차이가 발생되기 어렵다. 바꿔 말하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서 더 먼 각 감김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과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각 감김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차이가 적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41)의 수명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41)의 중심축(P-P)이 대략 직선형이다.
또, 각 코일 스프링(41)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각도(즉, 중심축(O-O)에서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코일 스프링(41) 측의 코일 스프링(41)의 양단부를 통과하는 두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대략 80도이다.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의 원주방향 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는, 코일 스프링은 종래의 댐퍼 기구보다 크다. 따라서, 종래의 댐퍼 기구와 동등한 비틀림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일 스프링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댐퍼 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원주방향 각도는 코일 스프링(41)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극을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좋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된 원주방향 각도는 60∼140도의 범위에서 있으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원주방향 각도는 60∼120도의 범위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고, 70∼100도의 범위에 있으면 최적이다.
제2 실시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유사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와 대응하는 구성요소 또는 부품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 또는 부품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 또는 부품 및 동작과 유사한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 또는 부품과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이 다른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동작만이 여기에 설명된다.
제2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압축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기구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부(13a)가 코일 스프링(8)보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중심축에서 더 먼 부분에서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형성된다. 연결부(13a)는 드로잉 가공으로 형성되고 클러치 플레이트(12) 쪽으로 돌출한다. 연결부(13a)는 복수의 리벳(24)에 의해서 클러치 플레이트(12)에 고정된다. 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13b)가 연결부(13a)와 다른 부분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다. 소정 각도의 간극(θ2)이 벽부(13b)와 허브 플랜지(6)의 창구멍(31)의 원주방향 단면(6c)의 사이에 확보된다. 즉, 허브 플랜지(6)의 단면(6c)과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벽부(13b)는 코일 스프링 조립체(9)의 스토퍼기구를 구성한다. 이 구성으로, 스토퍼 핀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경량화가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허브 플랜지의 한 쪽에 배치된 2개의 플레이트를 서로 고정하는 작업과 스토퍼기구를 구성하는 작업이 플레이트들 중의 하나의 일부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또, 클러치 플레이트의 일부가 스토퍼기구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코일 스프링을 플레이트나 허브 플랜지에 대하여 스프링 축 주위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 스프링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부재에 대하여 스프링 축 주위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스프링 시트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코일 스프링을 플레이트나 허브 플랜지에 대하여 스프링 축 주위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일 스프링의 단부 코일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약간 연삭되어 있어도 좋지만, 무연삭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밀폐단이지만, 개방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코일 스프링의 감김수, 감김방향, 및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구조적인 특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코일 스프링 조립체 및 댐퍼기구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뿐만 아니라 다른 동력전달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2개의 플라이휠을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플라이휠 조립체 또는 토크 컨버터의 록업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약" 및 "대략"과 같은 정도의 용어는 목적 결과가 상당히 변화되지 않도록 변경된 용어의 상당한 양의 편차를 의미한다. 이 편차가 변경된 용어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용어들은 변경된 용어의 적어도 ±5%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택된 실시예만이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선택되었지만,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부가된 청구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 공개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한 설명이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부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equivalents)에 의하여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기구는 코일 스프링 조립체의 수가 적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Claims (20)

  1. 입력 회전체,
    출력 회전체, 및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비틀림 토크를 흡수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중심축이 대략 직선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두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비틀림 토크의 35∼50%를 흡수하고,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대향 단부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댐퍼 기구의 중심축에 더 가까운 쪽의 유효 감김수가 댐퍼 기구의 중심축에서 더 먼 쪽의 유효 감김수보다 많아지도록 장착되어 있는 댐퍼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비틀림 토크의 70∼100%를 흡수하는 댐퍼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비틀림 토크의 70∼100%를 흡수하는 댐퍼 기구.
  5. 입력 회전체,
    출력 회전체, 및
    상기 입력 회전체와 상기 출력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비틀림 토크를 흡수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중심축이 대략 직선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댐퍼 기구의 중심축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의 단부를 통과하는 두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60∼140도의 범위에 있고,
    상기 각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대향 단부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60∼120도의 범위에 있는 댐퍼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70∼100도의 범위에 있는 댐퍼 기구.
  8.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입력 플레이트,
    상기 입력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허브 플랜지와,
    상기 입력 플레이트와 상기 허브 플랜지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 탄성부재 조립체와,
    상기 허브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된 스플라인 허브, 및
    상기 스플라인 허브와 상기 허브 플랜지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 탄성부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축과 댐퍼의 상기 축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제2 탄성부재 조립체의 부분 사이의 거리와, 댐퍼의 상기 축과 상기 댐퍼의 상기 축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탄성부재 조립체의 부분 사이의 거리의 비가 1:0.5∼1:1.5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각 제1 탄성부재 조립체는 제1 탄성부재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탄성부재 조립체는 대향 단부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 코일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제1 탄성부재 코일 스프링의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 코일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는 1:0.7∼1:1.2의 범위에 있는 댐퍼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 조립체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조립체는 대체로 연속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조립체는 상기 제2 탄성부재 조립체보다 더 고 강성을 갖는 댐퍼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탄성부재 조립체, 및
    2개의 제2 탄성부재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댐퍼 기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내주측과 외주측을 가지고 있고, 상기 내주측은 상기 외주측보다 상기 댐퍼의 축에 더 근접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내주측보다 상기 외주측에 더 많은 유효 감김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댐퍼 기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플레이트와 상기 허브 플랜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제1단 스토퍼 기구, 및
    상기 스플라인 허브와 상기 허브 플랜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제2단 스토퍼 기구
    를 추가로 포함하는 댐퍼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스토퍼 기구는 상기 허브 플랜지와 상기 입력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플랜지와 접촉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댐퍼 기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스토퍼 기구는 상기 허브 플랜지와 상기 입력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플랜지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댐퍼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스토퍼 기구는 상기 허브 플랜지와 상기 입력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플랜지의 반경방향 대향 측면에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댐퍼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 스토퍼 기구는 상기 입력 플레이트의 일부로 형성되는 댐퍼 기구.
KR10-2002-0002233A 2001-01-18 2002-01-15 댐퍼 기구 KR100470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0636A JP2002213535A (ja) 2001-01-18 2001-01-18 ダンパー機構
JPJP-P-2001-00010636 200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160A KR20020062160A (ko) 2002-07-25
KR100470424B1 true KR100470424B1 (ko) 2005-02-05

Family

ID=1887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233A KR100470424B1 (ko) 2001-01-18 2002-01-15 댐퍼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12705B2 (ko)
JP (1) JP2002213535A (ko)
KR (1) KR100470424B1 (ko)
DE (1) DE10200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512A (ja) * 2001-11-07 2003-05-21 Exedy Corp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FR2885193B1 (fr) * 2005-04-28 2007-09-28 Valeo Embrayages Double volant amortiss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885195B1 (fr) * 2005-04-28 2011-04-08 Valeo Embrayages Double volant amortisseur,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4625791B2 (ja) * 2006-08-08 2011-02-0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組立体
JP4925894B2 (ja) 2007-03-30 2012-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4925893B2 (ja) * 2007-03-30 2012-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DE102011075114A1 (de) * 2011-05-03 2012-11-08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DE102013211407A1 (de) * 2012-07-10 2014-01-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Bogenfeder und Endkappe
JP7429130B2 (ja) * 2020-02-26 2024-02-07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ダン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338A (en) * 1982-10-13 1985-08-06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Damper disc
US5687828A (en) * 1993-12-01 1997-11-18 Fichtel & Sachs Ag Friction clutch for a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and a torsional damper for a friction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925A (en) * 1903-04-11 1912-01-09 Us Light And Heating Company Driving mechanism for axle-driven dynamos.
US2636363A (en) * 1948-12-30 1953-04-28 Borg Warner Vibration dampener
US4185728A (en) * 1977-10-14 1980-01-29 Borg-Warner Corporation Clutch disc with variable deflection rate vibration damper
DE2942135A1 (de) * 1979-10-18 1981-04-30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Unterlage aus elastischem material fuer schraubenfedern einer kraftfahrzeug-federung
US4679678A (en) * 1983-12-22 1987-07-14 Borg-Warner Corporation Minimum complexity vibration damper
JPH0758107B2 (ja) * 1985-11-15 1995-06-21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ダンパーディスクのスプリング支持構造
DE3768062D1 (de) * 1986-09-05 1991-03-28 Toyota Motor Co Ltd Schwungrad mit einem drehmomentschwingungsdaempfer.
FR2642805B1 (fr) * 1989-02-07 1993-01-22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s automobiles
EP1394440B1 (en) * 1995-07-24 2005-05-25 Exedy Corporation Damper disc assembly having a friction mechanism with improved friction elements
JP2816958B2 (ja) * 1995-10-27 1998-10-27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トルクダンパ
JP3848508B2 (ja) * 1999-07-19 2006-11-2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ー機構
KR100358515B1 (ko) * 2000-03-16 2002-10-31 동아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이중질량 진동감쇠 플라이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3338A (en) * 1982-10-13 1985-08-06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Damper disc
US5687828A (en) * 1993-12-01 1997-11-18 Fichtel & Sachs Ag Friction clutch for a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and a torsional damper for a friction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94874A1 (en) 2002-07-18
JP2002213535A (ja) 2002-07-31
KR20020062160A (ko) 2002-07-25
US6712705B2 (en) 2004-03-30
DE10200290A1 (de)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040B1 (ko)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 및 댐퍼장치
US6612933B2 (en) Damper mechanism
US6209701B1 (en) Damper disk assembly
US6029793A (en) Damper disk assembly
US6682431B2 (en) Damper mechanism
KR100470424B1 (ko) 댐퍼 기구
KR100455526B1 (ko) 댐퍼 기구
US6332843B1 (en) Damper disk assembly
US20020193165A1 (en) Damper mechanism
US6708810B2 (en) Damper disk assembly
US4789374A (en) Torsional vibration absorber
US20040185941A1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US6336867B1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JP2003278792A (ja) 捩じれ緩衝ディスク
JP2021134835A (ja)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ダンパ装置
US6244963B1 (en) Dampening disk assembly
JP7418702B2 (ja) ダンパ装置
US5950791A (en) Damper disk assembly
US6482093B1 (en) Damper disk assembly
JPH11173380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7376334B2 (ja) ダンパ装置
JP2002257195A (ja) 捩れ振動緩衝装置
JP3422603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H11173381A (ja) ダンパー
JP2021131152A (ja) 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