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383B1 - 화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0383B1 KR100470383B1 KR10-2002-0017179A KR20020017179A KR100470383B1 KR 100470383 B1 KR100470383 B1 KR 100470383B1 KR 20020017179 A KR20020017179 A KR 20020017179A KR 100470383 B1 KR100470383 B1 KR 100470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t
- delete delete
- pollen
- pot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 및 기타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밀봉된 제 1 화분본체와,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화분본체를 각각 수용하는 화분수용함과,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수용함 내에 용수가 고이지 않도록 하는 제 1 용수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적인용수 공급과 식재의 간편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화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내측으로 토사를 채우고 꽃이나 란 등을 심어 재배하는 식물 재배용기로서, 화분의 바닥면에는 배수 및 공기순환의 목적으로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에 의해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되는 동시에 배수된 물이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화분 하단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절개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분 내부의 토사로 공급되어진 용수가 화분 내부에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화분의 내외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하여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조건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화분을 실내에 보관할 경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과, 배수공으로 유실되는 토사에 의해 바닥면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화분받침대를 화분 저면에 배치하였다. 상기 화분받침대는 배수되는 물을 담아내는 단순용도 이외에 장식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화분은 공급된 용수 중 필요한 양만 토사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었다.
이에 따라 날씨가 건조할 경우 2∼3일 간격으로 급수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급수시기를 놓치게 되면 식물이 고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은 용수 공급시에 배수공으로 다량의 용수가 배수되면, 그 저부에 위치하는 화분받침대는 조속히 용수로 충만되고, 상기 배수공이 배수된 용수에 의해 잠기면서 토사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어 식물 뿌리가 썩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관리자는 용수를 흘려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 화분을 이동시켜 급수를 실시한 다음, 화분의 배수공을 통한 배수작용이 종료된 후에 화분을 화분받침대로 가져다 놓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식물의 성장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물에 녹인 배양액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인 수경재배법은 비닐하우스 또는 농장에서 대량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상업용으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치들이 필요하고, 특히 실내용 화분에 상기 배양액을 공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량의 배양액 또한 배수공으로 유출되어 비용상승 및 기타 문제점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실내용 화분은 그 저면에 화분받침대를 구비해야 하므로, 다수의 실내용 화분으로 정원을 꾸밀 때, 그 개수만큼의 화분받침대가 필요하므로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수 및 기타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화분본체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제조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제조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제 1 화분본체 20 : 화분 수용함
21, 32 : 배수공 23 : 제 2 용수심지
25 : 고정수단 30 : 수용함
31 : 토사 33 : 제 1 용수심지
40 : 제 1 용수흡수부재 45 : 제 2용수흡수부재
50: 무기 토양물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화분 및 그 제조방법은. 하단이 밀봉된 제 1 화분본체와,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화분본체를 각각 수용하는 화분수용함과,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수용함 내에 용수가 고이지 않도록 하는 제 1 용수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단이 밀봉된 제 1 화분본체와,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화분본체를 각각 수용하며,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화분수용함과,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수용함 내에 용수가 고이지 않도록 하는 제 1 용수흡수부재와, 상기 화분수용함 외부 및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적재되는 무기토양물과, 상기 무기토양물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화분수용함 내부에 삽입되는 용수심지와, 상기 화분수용함의 저면과 상기 무기토양물 사이에 상기 화분수용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하단이 밀폐된 제 1 화분본체와, 상기 제 1 화분본체에 포함되는 제 2 화분본체를 수용할 수 있는 화분수용함과, 토사에 일정량의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용수심지와, 제 1 용수흡수부재와, 그물망 형상의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화분수용함과 상기 고정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용수심지를 상기 화분수용함 및 상기 고정수단 사이에 끼워넣는 단계; 상기 화분수용함을 상기 제 1 화분본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상기 제 1 용수흡수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화분수용함 및 상기 제 1 화분본체사이를 복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제 2 화분본체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제조흐름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제조흐름도이다.
도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밀봉된 제 1 화분본체(10)를 제공한다. 제 1 화분본체(10)는 종래의 화분과 달리 배수공이 없는 화분으로서, 흙을 초벌구이한 토기화분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라코타(Terra-Cotta)분으로서, 통기성이 좋은 점토(粘土)를 이용하여 구운 화분이다. 이러한 통기성이 좋은 테라코타분은 용수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용수공급시, 실내의 가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제 1 화분본체(1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제 1 화분본체(10) 내에 구비되는 화분수용함(20)을 제공한다. 상기 화분수용함(20)은 저면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화분본체(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화분본체를 각각 수용한다. 도면상에는 하나의 제 2 화분본체를 수용하는 하나의 화분수용함(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2 화분본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31)를 담으며, 과다공급된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32)을 갖는 수용함(30)과, 토사(3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32)을 통해 수용함(30)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용수심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도 l을 참조하면, 화분수용함(20)의 저면과 결합되는 고정수단(25)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수단(25)은 플라스틱 재질의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망 사이로 용수가 원활이 흐를 수 있도록 하면서 화분수용함(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무기토양물에 의해 화분수용함(20)을 고정한다.
다음, 화분수용함(20)의 배수공(21)을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끼워지는 제 2 용수심지(23)가 제공된다. 제 2 용수심지(23)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용수심지(33)와 접촉되어 수용함(30)내의 토사(31)에 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용수심지(23)를 도 2의 제 1 용수심지(33)와 같은 형상으로 화분수용함(20)에 끼워넣어 제 1 용수심지(33)와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다음, 제 1 화분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 2 용수심지(23)와 접촉되는 제 1 용수흡수부재(40)가 제공된다. 제 1 용수흡수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소정두께를 갖는 스폰지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화분수용함(20) 내에 용수가 공급되면 상기 용수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화분수용함(20) 외부의 상부쪽으로 용수가 채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화분수용함(20) 내에 일정량의 용수를 공급하면, 배수공(21)을 통해 용수가 제 1 화분본체(10) 내부로 배수되고, 이는 제 1 용수흡수부재(40)를 통해 화분수용함(20) 외부의 상부쪽으로 용수가 충만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화분수용함(20) 내부에는 용수가 고이지 않지만, 제 1 용수흡수부재(40)와 연결된 제 2 용수심지(23)가 항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와 연결된 제 1 용수심지(33)를 통해 토사(31)에 적정량의 수분이 유지된다. 상기 제 1 용수흡수부재(40)는 사각 형상의 제 1 화분본체(10) 내에 삽입되도록 4조각의 용수흡수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용수심지(23)에 수분 함유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 2 용수심지(23)와 제 1 용수흡수부재(40) 사이에 얇은 섬유막과 같은 제 2 용수흡수부재(45)를 더 끼워넣을 수 있다. 즉, 제 2 용수흡수부재(45)를 화분수용함(20) 저면과 고정수단(2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화분수용함(20) 외부 및 상기 제 1 화분본체(10) 내부에 적재되어 상기 고정수단(25)으로 하여금 화분수용함(20)을 제 1 화분본체(10)에 고정시키는 무기토양물(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상기 무기토양물은 바람직하게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라이트는 신생대 제 3기에 형성된 화산암의 일종으로 마그마가 지표의 호수나 바다로 흘러들어 급속히 냉각되면서 내부에 휘발성분이 농집되어 생성된 비정질의 광물로서, 외곽 및 휘발 성분의 함유량에 의해 진주암(Perlite), 송지암(Pitch-Stone), 흑요석(Obsidian)으로 구분되며, 인공토양의 소재로는 진주암이 많이 쓰이고 있다. 진주암을 이용하여 펄라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펄라이트를 적절한 입도로 분쇄하게 된다. 다음, 분쇄한 펄라이트를1,000℃ 이상에서 급속히 열을 가열하게 되는 데 펄라이트를 가열하게 되면 함유한 휘발성분이 GAS화하여 연화된 입자의 내부에서 팽창하면서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게 되어, 본래 부피의 약 10∼30배 정도로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펄라이트의 입자강도는 통기성과 배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손으로 비벼서 부서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해야 하며 흙 및 유기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고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펄라이트의 주요 특성은 다공질의 경량토양으로 토양 자체의 성질은 불연성, 단열성, 홉음성, 결로방지성, 내약품성, 무독성등이다.
이러한 펄라이트의 통기성 및 배수성을 갖는 특성에 의해 화분수용함(20)에 용수가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용수흡수부재(40)를 통해 화분수용함(20) 외부의 상부쪽으로 용수가 따라올라가게 되며, 펄라이트의 수많은 기공들 사이로 용수가 채워져 제 1 화분본체(10) 내에 일정량의 용수가 충만되게 된다.
만약, 흙과 같은 유기 토양물을 무기 토양물을 대신하여 사용할 시, 다량의 용수가 일정시간 동안 유기 토양물내에 유지되면, 유기 토양물이 썩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고려하여 무기 토양물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화분수용함(20)과 고정수단(25)을 인두 등을 사용하여 결합한다(1S). 다음, 제 2 용수심지(23)를 화분수용함(20)의 배수공(21)을 통해 지그재그로 끼워 넣는다(2S). 이때, 상기 제 2 용수심지(23)는도 2의 제 1 용수심지(33) 및 도 1의 제 1 용수흡수부재(40)와 각각 연결된다. 다음, 제 2 용수흡수부재(45)를 화분수용함(20) 및 고정수단(45) 사이에 끼워넣는다(3S). 다음, 화분수용함을 상기 제 1 화분본체에 삽입하고(4S), 제 1 용수흡수부재(40)를 제 1 화분본체(10) 및 화분수용함(20) 사이에 끼워 넣는다(5S).
이어, 화분수용함(20) 외부 및 제 1 화분본체(10) 내부에 상기 고정수단(25)으로 하여금 화분수용함(20)을 제 1 화분본체(10)에 고정시키는 무기토양물을 1차 복토한다(6S). 그리고나서, 상기 무기토양물 상부에 장식재를 2차 복토하여(7S) 화분수용함(2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화분수용함(20)을 제 1 화분본체(10)에 삽입하는 단계(4S) 전, 상기 제 1 화분본체 저면에 소정 두께로 무기토양물을 더 적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의 제 1 화분본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원통형상의 제 1 화분본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의 구성과의 동일물은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제 1 화분본체(10)에는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화분수용함(20), 제 2 용수심지(23), 제 1, 제 2 용수흡수부재(40,45), 고정수단(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용수흡수부재(40)는 원통형상의 화분수용함(20)의 외부면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화분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화분수용함(20)과 제 1 용수흡수부재(40)를 결합한다. 즉, 화분수용함(20) 외부면을 둘러싸도록 제 1 용수흡수부재(40)를 접착한다(10S). 다음, 화분수용함(20)과 고정수단(25)을 인두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고,(11S). 제 2 용수심지(23)를 화분수용함(20)의 배수공(21)을 통해 지그재그로 끼워 넣어 제l용수흡수부재(40)에 접촉되도록 한다.(l2S). 다음, 제 2 용수흡수부재(45)를 화분수용함(20) 및 고정수단(45)사이에 끼워넣는다(l3S). 이어, 무기 토양물(50)을 제 1 화분본체에 1차 복토하고(l4S), 상기단계(l3S)까지의 화분수용함(20)을 제 1 화분본체(10)에 삽입한다(l5S).
다음, 화분수용함(20) 외부 및 제 1 화분본체(10) 내부에 상기 고정수단(25)으로 하여금 화분수용함(20)을 제 1 화분본체(10)에 고정시키는 무기토양물(50)을 2차 복토한다(l6S). 그리고나서, 상기 무기토양물(50) 상부에 장식재를 3차 복토하여 (도시되지 않음) 화분수용함(20)을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분 수용함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제 2 화분본체를 수용하는 다수 개의 화분 수용함을 포함하는 화분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식물이 식재된 제 2 화분본체를 화분수용함(20)에 삽입하기 전, 미리 일정량의 용수를 화분수용함(20) 내에 공급하고, 이어 제 2 화분본체를 화분수용함(20)에 결합하면, 서로 각각 연결된 제 1 용수심지(33)와 제 2 용수심지(23) 및 제 1 용수흡수부재를 통해 제 2 화분본체내의 토사(31)에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량의 용수를 공급했을 때,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수분이 유지될 수있는 지를 데이터화함으로써, 화분수용함(20)에 용수가 공급되는 시기를 알 수 있고, 또한 외부적으로 용수의 공급시기를 알리는 외부수단을 구비하여 용수공급시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화분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수공이 없는 제 1 화분본체로 화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실내용 화분을 꾸밀 때, 종래의 화분 받침대가 필요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화분을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둘째, 제 2 화분본체에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시킴으로써, 날씨의 상태에 관계없이 급수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여 종래의 식물이 고사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제 1 화분본체를 테라코타분을 사용함으로써, 그 둘레면의 면적에 따른 가습 효과가 있다.
넷째, 제 2 화분본체에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식물 뿌리가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수경재배를 실내용 화분에 적용했을 때, 배수공이 없는 화분을 사용함으로써 배양액의 낭비 없이 식물을 잘 키울 수 있다.
Claims (30)
- 하단이 밀봉된 제 1 화분본체;상기 제 1 화분본체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화분본체를 각각 수용하는 화분수용함;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수용함 내에 용수가 고이지 않도록 하는 용수흡수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용수흡수부재와 연결되면서, 상기 화분수용함 내부에 삽입되는 용수심지를 구비하고, 상기 용수심지는 일측이 상기 화분 수용함 외부로 노출되는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화분본체는 테라코타(Terra-Cotta)분인 것을 특징으로 화분.
- 삭제
- 제 l항에 있어서,상기 화분수용함은 저면에 다수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화분수용함 외부 및 상기 제 1 화분본체 내부에 적재되는 무기토양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화분수용함의 저면과 상기 무기토양물 사이에 상기 화분수용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수단은 플라스틱 재질의 그물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무기토양물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7179A KR100470383B1 (ko) | 2002-03-28 | 2002-03-28 | 화분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7179A KR100470383B1 (ko) | 2002-03-28 | 2002-03-28 | 화분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8265A KR20030078265A (ko) | 2003-10-08 |
KR100470383B1 true KR100470383B1 (ko) | 2005-02-05 |
Family
ID=3237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7179A KR100470383B1 (ko) | 2002-03-28 | 2002-03-28 | 화분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038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03152U (ko) * | 1976-02-04 | 1977-08-05 | ||
KR870004097U (ko) * | 1985-08-28 | 1987-03-31 | 박성철 | 가스절약 토오치 |
JPH0611454U (ja) * | 1987-10-21 | 1994-02-15 | 瓔 權 金 | 毛細管現象を応用した自動給水鉢 |
JPH0670537U (ja) * | 1993-03-19 | 1994-10-04 | 恵庸 豊村 | プランター |
JPH08196157A (ja) * | 1992-02-14 | 1996-08-06 | Moichi Watanabe | 鉢物の底面灌水方法及び装置 |
JP2000125667A (ja) * | 1998-10-20 | 2000-05-09 | A & E:Kk | 植木鉢及び植木鉢の使用方法 |
-
2002
- 2002-03-28 KR KR10-2002-0017179A patent/KR1004703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03152U (ko) * | 1976-02-04 | 1977-08-05 | ||
KR870004097U (ko) * | 1985-08-28 | 1987-03-31 | 박성철 | 가스절약 토오치 |
JPH0611454U (ja) * | 1987-10-21 | 1994-02-15 | 瓔 權 金 | 毛細管現象を応用した自動給水鉢 |
JPH08196157A (ja) * | 1992-02-14 | 1996-08-06 | Moichi Watanabe | 鉢物の底面灌水方法及び装置 |
JPH0670537U (ja) * | 1993-03-19 | 1994-10-04 | 恵庸 豊村 | プランター |
JP2000125667A (ja) * | 1998-10-20 | 2000-05-09 | A & E:Kk | 植木鉢及び植木鉢の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8265A (ko) | 200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41325B1 (en) | Environment-friendly automatic percolation irrigation planting device with hermetic liquid | |
US6389751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 |
US8893431B2 (en) | Farm in a box | |
KR101037162B1 (ko) | 화분장치 | |
KR20120032335A (ko) | 삽목용 화분 | |
KR100470383B1 (ko) | 화분 및 그 제조방법 | |
JP2799663B2 (ja) | 水耕栽培用装置 | |
US6701666B1 (en) | System for domestic cultivation of exotic plants including in-ground irrigation and aeration system | |
JP2006174829A (ja) | 簡易式養液栽培容器 | |
US20040065012A1 (en) | Water and air retaining flower and landscape planter pot method and apparatus | |
JP6535663B2 (ja) |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 |
KR101360092B1 (ko) |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 |
JPH10178908A (ja) | 栽培装置 | |
CN217986105U (zh) | 一种带底孔的水气内循环花盆组件 | |
JP5707153B2 (ja) | 植栽用プランター | |
KR200273611Y1 (ko) |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 |
KR100343003B1 (ko) | 가정용 양액재배장치 | |
JPH06178625A (ja) | 陸生植物の水上園芸施設 | |
KR100379852B1 (ko) |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 |
KR200303993Y1 (ko) | 수경화분 | |
KR20220075934A (ko) | 수경식물 가습기 | |
KR200288942Y1 (ko) | 난 재배 화분 겸 가습용 조경물 | |
JP3043872U (ja) | 植物栽培装置 | |
JP3070890U (ja) | 植木鉢 | |
KR200290526Y1 (ko) | 팬스형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 관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