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970B1 -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970B1
KR100469970B1 KR1020040002418A KR20040002418A KR100469970B1 KR 100469970 B1 KR100469970 B1 KR 100469970B1 KR 1020040002418 A KR1020040002418 A KR 1020040002418A KR 20040002418 A KR20040002418 A KR 20040002418A KR 100469970 B1 KR100469970 B1 KR 10046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beam projector
dvd
control system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식
Original Assignee
신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식 filed Critical 신중식
Priority to KR102004000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빔 프로젝터, 컴퓨터, 판서용 터치 모니터, 실물 화상기, VTR, DVD 등과 같은 영상 장치 및 빔 프로젝터 전동 엘레베이션, 전동 커버보드, 전동 암막 커튼, 전동 스크린 등과 같은 전동 장치와 조명 장치를 효율적으로 원터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강의 진행의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제어가 가능하여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원터치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강의 시간전에 영상 및 음향기기를 원격지에서 미리 조작할 수 있고, 강의 기자재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최소의 배선으로 강의장내 응용 설비의 시공이 간편하여 사용자 및 강의자에게 장비 조작의 편리성 및 원격지에서 미리 장비 조작을 함으로써 강의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신부 프로세서부, 키 조작부, LED 지시부, 프로젝션 선택부 및 DVD/VIDEO선택부, RS232C 통신부, CT센서부, 적외선 신호 송신부로 이루어진 송신부와;
수신부 프로세서부, 적외선 신호 수신부, 릴레이 구동부로 이루어진 수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a Control System of a Equipment Lecture}
본 발명은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빔 프로젝터, 컴퓨터, 판서용 터치 모니터, 실물 화상기, VTR, DVD 등과 같은 영상 장치 및 빔 프로젝터 전동 엘레베이션, 전동 커버보드, 전동 암막 커튼, 전동 스크린 등과 같은 전동 장치와 조명 장치를 효율적으로 원터치 제어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제어가 가능하여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으며 강의 기자재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영상,음향,전동 설비와 같은 강의 기자재 조작을 일일이 리모콘으로 조작하였으며 리모콘을 분실 하였을 경우 대처 하기가 힘이 들었다.
또한, 수많은 강의 기자재 사용법 숙지의 어려움과 수업 시간전 다수의 강의 기자재를 준비해야 하는 시간 및 강의 기자재간 케이블 및 연결 단자를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종래의 방법에 의한 문제점의 일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수업 시작 및 진행시에 하는 작업들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① 메인전원을 온한다.② LCD Projector / PC / VTR / DVD 등 각 기기들마다 전원을 온한다.③ 스크린/엘리베이션을 내린다.④ 창문의 커텐을 닫는다.⑤ 카바보드를 열거나 닫는다.⑥ 영상의 선명도를 위해 조명을 끈다.⑦ VTR/DVD 등 재생/정지/감기/되감기 조작하기 위해 VTR/DVD의 리모콘을 이용한다.⑧ 실물화상기의 영상신호를 조작하기 위해 실물화상기의 리모콘을 이용한다.⑨ 프로젝터의 영상신호를 조작하기 위해 프로젝터의 리모콘를 이용한다.둘째, 수업을 종료할 시에는 다음과 같은 조작을 한다.⑩ 조명을 켠다.⑪ 각 장비들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원을 개별적으로 오프한다.⑫ LCD 프로젝터의 열이 식고 팬이 멈출때까지 메인 전원 오프하지 않고 기다린다.⑬ 메인전원 오프.⑭ 조명 끄고 퇴실.강의자는 상기와 같은 번거로운 일을 일일히 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정리하면, 통합된 컨트롤시스템이 없는 강의실에서의 수업진행에 불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① 각 장비들의 전원조작 및 영상신호 조작이 번거롭고 많은 리모콘을 이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② LCD 프로젝터의 열이 식고 팬이 멈출때까지 메인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기다려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빔 프로젝터, 컴퓨터, 판서용 터치 모니터, 실물 화상기, VTR, DVD 등과 같은 영상 장치 및 빔 프로젝터 전동 엘레베이션, 전동 커버보드, 전동 암막 커튼, 전동 스크린 등과 같은 전동 장치와 조명 장치를 효율적으로 원터치 제어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제어가 가능하여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으며 강의 기자재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시스템이 있는 강의실에서의 수업진행에 편리한 사항을 보면 다음과 같다.① 각 장비들의 전원 온/오프 및 조작이 하나의 컨트롤시스템에서 조작할 수있다. 즉, 리모콘이 각 장비별로 번거롭게 조작할 필요가 없다② 무선으로 작동하므로 한곳에서 모든 조작이 가능하다(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로 작동이 가능).③ 각 장비의 전원이 오프되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 오프되므로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강의 기자재를 무선으로 제어함에 따른 최소의 배선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제어가 가능하므로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어 강의 시작전에 필요한 강의 기자재 조작을 미리 해둘 수 있으며 수많은 강의 기자재의 리모콘을 컨트롤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법 숙지의 간편함과 누구든지 한번의 터치로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을 둔다.
도1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송신부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수신부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송신부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수신부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수신부 개별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7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장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송신부 프로세서부
110: 키 조작부
120: LED 지시부
130: 프로젝션 선택부 및 DVD/VIDEO선택부
140: CT 센서부
150: 적외선 신호 송신부
160: RS232C 통신부
200 : 수신부 프로세서부
210 : 적외선 신호 수신부
220 : 릴레이 구동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은 도1과 도2처럼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며 송신부는 송신부 프로세서부, 키 조작부, LED 지시부, 프로젝션 선택부 및 DVD/VIDEO선택부, RS232C 통신부, CT센서부, 적외선 신호 송신부로 구성되며
수신부는 수신부 프로세서부, 적외선 신호 수신부, 릴레이 구동부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송신부 블록도이다.
여기서, 송신부는 키 조작부(110)로부터 입력 받은 키 버튼 값을 분석하고, 빔 프로젝터 선택부와 DVD/VIDEO 선택부(130)를 참조하여 각각의 키 버튼 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를 통해서 광신호로 내보내고, 그 결과를 LED 지시부(120)로 표시하는 송신부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송신부 프로세서부(100)와;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키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키 조작부(110)와;
상기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키 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명령을 광신호로써 내보내주는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와;
빔 프로젝터의 파워 라인에 부착되어 온/오프 유무를 확인하는 CT센서부(140)와;
빔 프로젝터 또는 DVD/VIDEO를 선택할 수 있는 프로젝션 선택부 및 DVD/VIDEO선택부(130)와;
상기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를 통해서 광신호로 내보내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LED지시부(120)와;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RS232C통신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키 조작부(110)에서 조작하고픈 장치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장치의 키 버튼값을 송신부 프로세서부(100)에 보내며 보내진 키 버튼값을 분석하여 빔 프로젝터 선택부와 DVD/VIDEO 선택부(130)를 참조하여 각각의 키 버튼 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를 통해서 광신호로 수신부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210)으로 내보내고, 그 결과를 LED 지시부(120)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분석된 키 버튼값이 빔 프로젝터와 관련된 키 버튼값이면 키 버튼값을 엔코딩하여 출력된 코드를 빔 프로젝터로 보내며 빔 프로젝터의 파워 라인에 연결된 CT센서부(140)에서 빔 프로젝터의 온/오프 유무를 확인하여 빔 프로젝터가 켜져있는 상태면 매크로 기능이 동작되어 생성된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200)로 보내 수신부 프로세서부(200)에서 코드값을 분석하여 매크로 기능을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분석된 매크로 신호가 온일 경우는 전동 커버 보드 오픈, 전동 스크린 다운, 전동 커튼 클로즈,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다운, 조명1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2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3 오프 순으로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CT센서부(140)에서 빔 프로젝터가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매크로 기능이동작되어 생성된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200)로 보내 수신부 프로세서부(200)에서 코드값을 분석하여 매크로 기능을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분석된 매크로 신호가 오프일 경우는 조명1 온, 조명2 온, 조명3 온, 전동 스크린 업, 전동 커버 보드 클로즈,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업, 전동 커튼 오픈 순으로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RS232C통신부(16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어 강의 시작전에 필요한 강의 기자재 조작을 미리 해둘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매크로 기능이란 강의실내 구비되어진 각각의 강의 기자재를 임의의 시나리오로 작동 설정을 하여 설정된 환경에 따라 강의실내 강의 기자재를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하며 매크로 기능에 설정될 장치는 임의로 프로그램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수신부 블록도이다.
여기서, 수신부는 수신부 프로세서부, 적외선 신호 수신부, 릴레이 구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부의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에서 보내어진 코드값을 적외선 신호 수신부(210)에서 감지하여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200)로 보내고 수신부 프로세서부(200)에서 상기 코드값을 분석하여 릴레이 구동부(220)로 코드값을 보낸다. 상기 코드값에 따라 조명1,조명2,조명3, 전동 커튼, 전동 스크린, 전동 커버 보드,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등의 릴레이중 해당 릴레이를 동작시키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송신부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 프로세서부에서 키 버튼값이 입력되어 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RS232C 버퍼 단계(S300)와;
키 버튼값이 확인되면 키 버튼값을 엔코딩하는 단계(S310)와;
엔코딩된 키 버튼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장비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 키 포지션(Key Position)단계(S320)와;
해당 장비의 키 버튼값을 해당 장비의 코드값으로 엔코딩하는 단계(S330)와;
해당 장비의 엔코딩된 코드값을 적외선 신호로 수신부에 보내주는 단계(S340)를 거치게 된다.
도3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RS232C 버퍼 단계(S300)에서 키 버튼값이 입력되었다면 키 버튼값을 엔코딩하는 단계(S310)를 거치게 되며 키 버튼값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키 버튼값을 엔코딩하는 단계(S310)를 거치게 된다.
상기 키 버튼값을 엔코딩하는 단계(S310)를 거친 후 엔코딩된 키 버튼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장비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 키 포지션(Key Position)단계(S320)를 거치게 되는데 여기서,분석된 키 버튼값이 DVD 관련 키 버튼 값 또는 VIDEO 관련 키 버튼 값일 경우 해당 DVD 또는 VIDEO를 코드값으로 엔코딩하는 단계(S330)를 거쳐 해당 DVD 또는 VIDEO의 엔코딩된 코드값을 적외선 신호로 수신부 프로세서부에 보내주는 단계(S340)를 거치게 되며 여기서, 분석된 키 버튼값이 수신부의 기타 장치에 대한 키 버튼값일 경우 해당 장치의 코드값으로 엔코딩하는 단계(S331)를 거쳐 해당 장치의 엔코딩된 코드값을 적외선 신호로 수신부 프로세서부에 보내주는 단계(S341)를 거치게 된다.
상기 해당 장치는 조명1, 조명2, 조명3, 전동 스크린, 전동 커버보드, 전동 커튼,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을 말하며 상기 기자재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강의 기자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 프로세서부에서 입력받은 코드값을 처리하는 단계는 다음 도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엔코딩된 키 버튼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장비의 위치를 찾도록 하는 키 포지션(Key Position)단계(S320)에서 분석된 키 버튼값이 프로젝션 관련 키 버튼값이라면 선택된 프로젝션의 일괄 처리된 매크로 관련 키 값이며 이러한 경우 빔 프로젝터를 선택하는 단계(S350)를 거치게 되며 상기 선택된 빔 프로젝터의 전원에 코드값을 보내주는 단계(S360)를 거쳐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CT센서 동작 단계(S370)를 거치게 된다.
상기 CT센서 동작 단계(S370)에서 전원이 켜져 있으면 매크로 온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에 보내주는 단계(S380)를 거치며 CT센서 동작 단계(S370)에서 전원이 꺼져 있으면 매크로 오프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에 보내주는 단계(S39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수신부 프로세서부에서 입력받은 매크로 코드값을 처리하는 단계는 다음 도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수신부 흐름도이다.
상기 송신부의 적외선 신호 송신부(150)에서 보내어진 코드값을 적외선 신호 수신부(210)에서 감지하여 코드값을 수신부 프로세서부(200)로 보내고 수신부 프로세서부(200)에서 상기 코드값을 분석하여 릴레이 구동부(220)로 코드값을 보내게 되는데 이에 대한 처리 단계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부에 코드값을 보내주면 수신부 프로세서부(200)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S400)을 거쳐 수신된 코드값을 분석하는 단계(S410)를 거치게 되며 상기 분석된 신호가 매크로 신호 온일 경우는 전동 커버 보드 오픈, 전동 스크린 다운, 전동 커튼 클로즈,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다운, 조명1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2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3 오프 순으로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분석된 신호가 매크로 신호 오프일 경우는 조명1 온, 조명2 온, 조명3 온, 전동 스크린 업, 전동 커버 보드 클로즈,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업, 전동 커튼 오픈 순으로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석된 신호가 개별 장치 제어 신호이면 해당 장치인 조명1, 조명2, 조명3, 전동 스크린, 전동 커버보드, 전동 커튼,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을 동작시키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제어 방법의 수신부 개별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분석된 신호가 조명1이면 조명1 ON/OFF 반전이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조명2이면 조명2 ON/OFF 반전이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조명3이면 조명3 ON/OFF 반전이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전동 스크린이면 전동 스크린 업, 전동 스크린 스탑, 전동 스크린 다운이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전동 커버보드이면 전동 커버 보드 오픈 , 전동 커버 보드 스탑, 전동 커버 보드 클로즈가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전동 커튼이면 전동 커튼 오픈 , 전동 커튼 스탑, 전동 커큰 클로즈가 동작되고, 분석된 신호가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이면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업,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스탑,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다운이 동작된다.
도6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즉,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은 송신용 컨트롤 시스템(600)과 수신용 컨트롤 시스템(610)과 DVD/VIDEO 키 버튼(620)과 빔 프로젝터 키 버튼(630)과 조명1~3 키 버튼(640)과 전동 스크린 키 버튼(650)과 전동 커버 보드 키 버튼(660)과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키 버튼(670)과 전동 커튼 키 버튼(680)과 컴퓨터(690)로 구성된다.
다음은 구체적인 키 버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690) 키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 전원 온시 LED가 점등되며 컴퓨터 전원 오프시 LED가 소등되며 상기 DVD/VIDEO 키 버튼(620)을 누르면 LED 온과 동시에 DVD/VIDEO 전원이 온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LED 오프와 동시에 DVD/VIDEO 전원이 오프된다. 그리고, 입력 선택은 컴퓨터, 노트북/실물화상기, DVD/VIDEO 의 3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DVD/VIDEO 키 버튼은 DVD, VIDEO,재생, 정지, 되감기, 감기의 6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키 버튼은 업, 스탑, 다운의 3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전동 스크린 키 버튼은 업, 스탑, 다운의 3개 키버튼으로 구성되며 전동 커버 보드 키 버튼은 오픈, 스탑, 클로즈의 3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전동 커튼 키 버튼은 오픈, 스탑, 클로즈의 3개 키 버튼으로 구성되며
조명 키 버튼은 조명1, 조명2, 조명3의 3개 키 버튼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키 버튼중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서술한 동작 원리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7에서와 같이, 강의용 교탁 몸체의 상판에 형성되는 경사부 중앙에는 판서용 터치 모니터(30) 및 그 일측에는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40)이 내설되고 또한, 상기 강의용 교탁 몸체의 상판에 설치된 판서용 터치 모니터(30)의 타측에는 마이크가 설치되는 마이크 단자 및 마이크/볼륨 조절 레버와 실물화상기 연결 케이블 단자와 노트북 전원 공급단자와 노트북 랜 포트와 유에스비(USB) 연결 단자와 노트북 사운드 조절 레버와 전원 공급 단자로 구성된 통합 패널(10)이 설치되어 수많은 장비를 손쉽게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강의실내 강의 테이블 또는 강의용 교탁의 원하는 위치에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장착을 하게 되며 강의 기자재용 장치들을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케이블 작업을 하여 수많은 리모콘을 일일이 조작할 필요없이 원하는 장치의 키버튼을 누름으로써 무선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인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송신부의 키 조작부의 조작 뿐만아니라, 원격지의 컴퓨터로부터도 RS232C통신을 이용하여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매크로 기능이 있어 키조작부의 프로젝션 키 버튼을 한번만 누름으로써 빔 프로젝터 켬, 전동 커튼 클로즈, 전동 스크린 다운, 전동 커버보드 업, 조명1 오프, 조명2 오프, 조명3 오프등을 한번에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빔 프로젝터의 전원 감지용 CT센서부가 장착되어 있어 빔 프로젝터가 꺼질때는 상기의 매크로 기능의 역순으로 작동하며 프로젝션 키 버튼 이외의 버튼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명령들을 수행한다.
순번 SW1 SW2 SW3 오프면 0 온이면 SW값 제조사값 SW4
1 2 4 8
0 OFF OFF OFF 0+0+0=0 신도리코 OFF면 삼성 ON이면 엘지
1 ON OFF OFF 1+0+0=1 산요1
2 OFF ON OFF 0+2+0=2 산요2
3 ON ON OFF 1+2+0=3 샤프
4 OFF OFF ON 0+0+4=4 엡손
5 ON OFF ON 1+0+4=5 엡손
6 OFF ON ON 0+2+4=6 히다찌
7 ON ON ON 1+2+4=7 사용자지정
⑥ RS-232 통신부 : 컴퓨터본체 뒤의 9핀 시리얼포트를 이용하여 컨트롤시스템과 연결하고, 제어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여 컴퓨터에서도 송신부에서 하는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⑦ CT센서부 : CT센서는 센서명칭으로서 전선주위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부품의 일종이다.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컨트롤시스템으로 신호를 보내어주고 전류의 흐름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프로젝터의 열을 식히기 위해 팬이 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⑧ 적외선 신호 송신부 : 위의 과정을 거쳐 나온 신호가 IR(적외선)신호로 송출되어지는 마지막 처리과정이다. 여기서 나온 신호는 수신부의 적외선 신호 수신부로 무선전송 된다.2) 수신부① 프로세서부 : 이 부분에서는 송신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값을 받아들여 전동커텐/조명/스크린/전동카바보드/엘리베이션 등의 장비를 작동시키는 처리를 하는 부분이다.② 적외선 신호 수신부 : 송신부의 적외선 신호 송신부에서 나온 무선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다.③ 릴레이 구동부 : 릴레이는 전자부품의 명칭으로서 하나의 장비에 두 개의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어 작동하는 오류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신호를 보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동커텐/조명/스크린/전동카바보드/ 엘리베이션 등의 장비로 보내주는 신호에 적용된다.예1) 오류방지 사용자가 스크린의 스위치를 업/다운 동시에 누르면 모터에 오류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스위치만 작동하도록 한다.예2) 선택적인 신호 스크린이 내려오면 프로젝터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므로 전동커텐이 닫혀서 외부의 빛을 차단시켜 주어야한다. 이때 스크린에 연결된 릴레이가 작동하고, 다음으로 전동커텐에 연결된 릴레이가 연속작동하여 전동커텐을 닫아주는 역할을 한다.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시스템이 있는 강의실 수업진행은 다음과 같은 실례로 진행된다.수업시작 및 진행시에는① 컨트롤시스템에서 메인전원을 온하면 자동으로 장비에 전원이 공급된다.② 컨트럴시스템에서 LCD 프로젝터 / PC / VTR / DVD의 전원을 모두 온.③ 스크린/엘리베이션은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내려온다.④ 창문의 커텐은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닫힌다.⑤ 카바보드는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열거나 닫힌다.⑥ 영상의 선명도를 위해 조명은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꺼진다. (※②~⑥번 조작이 LCD 프로젝터의 전원을 온하면 모두 자동으로 작동한다.)⑦ VTR/DVD 등 재생/정지/감기/되감기 조작을 컨트롤시스템에서 모두 조작한다.⑧ 실물화상기/노트북의 영상신호를 조작을 컨트롤시스템에서 조작한다.⑨ 프로젝터의 영상신호를 조작을 크트롤시스템에서 조작한다.수업 종료시에는 다음과 같이 매크로가 동작된다.⑩ 프로젝터만 끄면 조명/스크린/전동커텐/엘리베이션/카바보드가 모두 자동으로 원상복귀한다.⑪ 메인전원 스위치를 OFF하면 모든전원이 순차적으로 자동 오프된다.⑫ LCD Projector의 열이 식고 팬이 멈춘 후에 자동으로 마지막 전원이 차단된다.⑬ 사용자는 그냥 퇴실.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시스템이 있는 강의실에서의 수업진행에 편리한 사항을 보면 다음과 같다.① 각 장비들의 전원 온/오프 및 조작이 하나의 컨트롤시스템에서 조작할 수있다. 즉, 리모콘이 각 장비별로 번거롭게 조작할 필요가 없다② 무선으로 작동하므로 한곳에서 모든 조작이 가능하다(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로 작동이 가능).③ 각 장비의 전원이 오프되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 오프되므로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 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강의 기자재를 무선으로 제어함에 따른 최소의 배선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제어가 가능하므로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어 강의 시작전에 필요한 강의 기자재 조작을 미리 해둘 수 있으며 수많은 강의 기자재의 리모콘을 컨트롤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법 숙지의 간편함과 누구든지 한번의 터치로 손쉽게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영상 장비 및 전동 장비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는 키 조작부로부터 입력 받은 키 버튼 값을 분석하고, 빔 프로젝터 선택부와 DVD/VIDEO 선택부를 참조하여 각각의 키 버튼 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서 광신호로 내보내고, 그 결과를 LED 지시부로 표시하는 송신부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코드가 다른 여러 종류의 빔 프로젝터 및 DVD/VCR의 리모콘 코드를 기억하여 프로젝션 선택부와 DVD/VCR 선택부의 딥(DIP)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어하는송신부 프로세서부와;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키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키 조작부와;
    상기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의 키 버튼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명령을 광신호로써 내보내주는 적외선 신호 송신부와;
    빔 프로젝터의 파워 라인에 부착되어 온/오프 유무를 확인하는 CT센서부와;
    빔 프로젝터 또는 DVD/VIDEO를 선택할 수 있는 프로젝션 선택부 및 DVD/VIDEO선택부와;
    상기 적외선 신호 송신부를 통해서 광신호로 내보내고그 결과를 각 장비의 온/오프 상태를 식별 가능하도록 LED로 표시하는LED지시부와;
    컴퓨터로도 네트워크상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한 RS232C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신부는 송신부에서 내보낸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적외선 신호 수신부와;
    각각의 장비를 신호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1~3, 전동 커튼, 전동 스크린, 전동 커버 보드,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을 제어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적외선 신호 수신부가 감지하는 적외선 신호를 분석하고, 릴레이 구동부에 신호를 제어할 수 있으며,빔 프로젝터 오프시 웨이팅 타임(Waiting Time) 자동 인지 및 매크로 신호에 의한 영상 장비 및 전동 장비의 원터치 제어와 영상 장비 및 전동 장비의 개별 제어하는수신부 프로세서부;를 구비하며
    상기에서 매크로 신호가 온일 경우는 전동 커버 보드 오픈, 전동스크린다운, 전동 커튼 클로즈, 빔 프로젝터 엘레베이션 다운, 조명1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2 오프, 일정시간 지연, 조명3 오프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02418A 2004-01-13 2004-01-13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KR10046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418A KR100469970B1 (ko) 2004-01-13 2004-01-13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418A KR100469970B1 (ko) 2004-01-13 2004-01-13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970B1 true KR100469970B1 (ko) 2005-02-03

Family

ID=3722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418A KR100469970B1 (ko) 2004-01-13 2004-01-13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9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52B1 (ko) 2005-04-04 2007-09-11 (주)모든넷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강의 지원 시스템
KR100975095B1 (ko) * 2008-05-02 2010-08-11 (주)보성전자 월타입의 콘트롤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
KR101042134B1 (ko) * 2007-11-26 2011-06-1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패널 스위치 장치
KR101303411B1 (ko) * 2011-10-10 2013-09-05 (주)엘지하우시스 배면 투사 스크린
KR102634741B1 (ko) * 2022-11-03 2024-02-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게이트웨이 간의 수행되는 페어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52B1 (ko) 2005-04-04 2007-09-11 (주)모든넷 무선 통신을 이용한 강의 지원 시스템
KR101042134B1 (ko) * 2007-11-26 2011-06-1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패널 스위치 장치
US8416200B2 (en) 2007-11-26 2013-04-09 Panasonic Corporation Panel switch device for load control system
KR100975095B1 (ko) * 2008-05-02 2010-08-11 (주)보성전자 월타입의 콘트롤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
KR101303411B1 (ko) * 2011-10-10 2013-09-05 (주)엘지하우시스 배면 투사 스크린
KR102634741B1 (ko) * 2022-11-03 2024-02-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게이트웨이 간의 수행되는 페어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6989B2 (ja) ビデオインターホンを介してac駆動器具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機器、双方向irドライバ、ならびに遠隔制御装置
US7877588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to electronic devices
US55689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KR100370024B1 (ko)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를 통해주변 기기들을 조작하는 방법
US20120300134A1 (en) Remote control operable stands for tv display
KR100469970B1 (ko)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KR20210000811U (ko) 멀티-기능 리모컨
US6757030B2 (en) Multi remote control transmitter, video apparatus, and format preset support method for same apparatus
KR100833094B1 (ko) 방송사고 대처가 용이한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
KR200329870Y1 (ko) 멀티 제어장치
KR20090083668A (ko) 강의실 환경 통합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067211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현관기 제어방법
JP3479578B2 (ja) 自動ドアの制御情報設定装置
KR200269824Y1 (ko) 통합 콘트롤러
JP5184632B2 (ja) 補助機器の遠隔調節装置及び方法(Apparatusandmethodforremotecontrolling)
JP2516527B2 (ja) 視聴覚設備機器の制御装置
KR100743397B1 (ko) 영상기기 통합 콘트롤장치
JP2005354741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ホ−ムオ−トメ−ション装置
KR200144431Y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다른 기기 제어장치
KR100975095B1 (ko) 월타입의 콘트롤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
US8601294B2 (en) Control apparatus and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200294566Y1 (ko) 오디오 비주얼 기기용 통합 컨트롤 장치
JPH08195823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ホ−ムオ−トメ−ション装置
KR200321328Y1 (ko) 영상기기 통합 콘트롤장치
JP4222367B2 (ja) リモコン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