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824Y1 - 통합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통합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24Y1
KR200269824Y1 KR2020010040390U KR20010040390U KR200269824Y1 KR 200269824 Y1 KR200269824 Y1 KR 200269824Y1 KR 2020010040390 U KR2020010040390 U KR 2020010040390U KR 20010040390 U KR20010040390 U KR 20010040390U KR 200269824 Y1 KR200269824 Y1 KR 200269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integrated controller
memory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근
Original Assignee
이솔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솔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이솔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2020010040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24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조정신호를 내부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수신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수신부와; 원격조정신호의 등록을 지시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을 적어도 구비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된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 조정신호 출력부들과;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된 제어데이터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제어명령 수신시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콘트롤러{UNIFICATION CONTROLLER}
본 고안은 통합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조정신호를 내부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합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사이버 컴퓨터 보드(Cyber Computer Board)라 함은 대형 터치스크린 보드에 그림과 글씨를 쓰고, 보드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의 동작을 보드상에서 제어함으로서 실시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강의/브리핑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사이버 칠판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이버 컴퓨터 보드는 강의 혹은 브리핑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제공매체를 동원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주변환경을 강의 혹은 브리핑 용도에 맞게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 여러 기기들을 제어하는 통합 콘트롤러와 접속되어 운영되고 있다. 통합 콘트롤러와 사이버 컴퓨터 보드를 중심으로 통합 운영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소개하면 도 1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의 주변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통합 콘트롤러(200) 주변에는 크게 데이터 입력장치(100)와 A/V 재생장치(300) 및 외부 기기인 A/V 출력장치(400) 등이 위치한다.
데이터 입력장치(100)의 일예로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110), 수동버튼 키보드(120),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및 마우스(130)를 들 수 있다. 이때 사이버 컴퓨터 보드(11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키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표시장치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장치(100)로부터 VTR재생, 캠코더 녹화, DVDP 재생과 같은 명령이 내려지면, 통합 콘트롤러(200)는 A/V 재생장치(300)를 구성하는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발생하여 줌으로서, 재생되는 신호는 A/V 출력장치(400)인 사이버 컴퓨터 보드(110) 혹은 강의자 전용의 모니터(420) 혹은 전동 스크린(410)상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합 콘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전동 스크린(410)을 구동시키는 전동기기들이 제어되며, 조명 역시 제어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VTR, DVDP와 같은 A/V 재생장치, 조명기기, 전동기기 등의 제품이 바뀔 때마다 통합 콘트롤러(200)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제어신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피제어기기의 교환 혹은 사양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주변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아울러 조명기기 혹은 전동기기들은 통합 콘트롤러와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조명기기 혹은 전동기기들을 원격 조정함에 있어 장애물 혹은 신호의 미약등으로 정상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격조정기를 부속품으로 가지는 피제어기기들의 교체시에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변경 혹은 추가 없이 변환된 기기들을 원격제어할 수 있는 통합 콘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버 컴퓨터 보드로부터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기기들을 제어함에 있어 장애물 혹은 신호 미약 등으로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원격제어가 가능한 통합 콘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이버 컴퓨터 보드에 일체화되어 있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의 주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500)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500)의 후면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동버튼 키보드(580)에 구비된 버튼들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가 사이버 컴퓨터 보드에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이버 컴퓨터 보드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에서 수행되는 원격조정신호 등록과정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는,
수신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수신부와;
원격조정신호의 등록을 지시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을 적어도 구비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된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 조정신호 출력부들과;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된 제어데이터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제어명령 수신시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제어신호체계가 상이한 A사의 VTR 혹은 DVDP를 B사의 제품들로 대체한 경우에도 원격조정신호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에 구애됨이 없이 정상적으로 A/V 재생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크린/엘레베이션/커튼 구동기기와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더 포함함으로서,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주변 기기들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동작원리, 사이버 컴퓨터 보드와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의 구동원리와 같은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50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500)의 후면 예시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동버튼 키보드(580)에 구비된 버튼들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조정신호 수신부(510)는 원격조정기(Remote Controller)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디코딩하여 이를 제어 데이터로 출력한다. 이러한 원격조정신호 수신부(510)의 일예로서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은 적외선 신호 수신부를 들 수 있다. 조작 판넬부(530)는 원격조정신호의 등록을 지시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과 원격조정신호의 수신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적어도 구비된다. 플래쉬 메모리(540)는 상기 원격조정신호 수신부(510)에 의해 디코딩된 제어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52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540)에는 제어데이터만이 저장될 수도 있으며,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는 상기 플래쉬 메모리(540)에서 독출된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서 출력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③)와 그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 인코딩하여 송출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송출부(도시하지 않았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경우 상기 원격조정신호 송출부는 착탈 가능한 접착수단에 의해 VTR, DVDP와 같은 A/V 재생장치의 프론트 판넬에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적외선 수신부에 접착됨으로서 원격조정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A/V 재생장치와 통합 콘트롤러가 사이버 컴퓨터 보드와 일체화되어 있는 제품이라면 상기한 출력포트의 구비없이 단순히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만으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예에서와 같이 상기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는 제어하고자 하는 A/V 재생장치들의 수를 고려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 시스템의 확장성을 위해서도 바람직 할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60)는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S-232C 포트(②)이다. 이 역시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기기 접속단자(570)는 스크린/엘레베이션/커튼 구동기기와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기기 접속단자(570) 역시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①)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적으로 도 3에서는 메모리 버튼(⑤)과 원격조정신호 수신부(④)가 통합 콘트롤러(5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메모리 버튼(⑤)과 원격조정신호 수신부(④)가 통합 콘트롤러(5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작판넬부(530)상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해 볼 때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통합 콘트롤러(5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주변장치인 A/V재생장치들과 조명기기, 전동기기들을 일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수동버튼 키보드(580) 혹은 조작 판넬부(530)로부터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된 제어데이터와 맵핑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540)에 등록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A/V 재생과 같은 제어명령 수신시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기선택정보"라 함은 원격조정기에 의해 원격제어 가능한 다수의 기기들, 즉 A/V재생장치들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선택정보"라 함은 선택된 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면 재생(play), 일시 정지(pause), 되감기(reverse), 전원 켬(Power ON)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조정기와 후술할 수동버튼 키보드(580) 혹은 조작판넬부(530)를 이용하여 통합 콘트롤러(500)에 제어신호들을 메모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동버튼 키보드(580) 역시 사이버 컴퓨터 보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버튼 조작에 따른 데이터를 발생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로 출력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동버튼 키보드(580)의 평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버튼 키보드(580)에는 A/V장비로서 VTR, DVDP, 캠코더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정지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동버튼 키보드(580)는 조작판넬부(530)와 일체화시킴으로서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주변장치 구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만약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하우징내에 통합콘트롤러(500)가 내장될 경우에는 수동버튼 키보드(580)에 구비된 버튼들의 일부를 조작판넬부(530)에 구비시켜 원격조정기의 신호가 프로그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하우징내에 통합 콘트롤러(500)가 내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가 사이버 컴퓨터 보드에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이버 컴퓨터 보드 외관 사시도로서, 주변 기기 접속 및 조작의 편의를 위해 상기 조작판넬부(530)와 원격조정신호 수신부(510) 및 출력부(550), 통신 인터페이스부(560)와 외부기기 접속단자(570)는 하우징 일측면에 노출되어야 할 것이다. 미관을 위해 조작판넬부(530)와 원격조정신호 수신부(510)는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나머지는 후면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통합 콘트롤러(500)에서 원격조정신호를 메모리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콘트롤러(500)에서 수행되는 원격조정신호 등록과정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A사의 VTR을 사용하여 사비어 컴퓨터 보드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B사의 VTR을 새로 구입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면, 이때 A사와 B사의 VTR이 서로 다른 제어신호체계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통합 콘트롤러(500)는 미리 입력된 A사의 원격조정기 제어신호체계로는 새로 구입된 B사의 VTR을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B사의 VTR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를 등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게 되는데, 이때 통합 콘트롤러(500)에서 수행되는 절차를 살펴보면,
우선 통합 콘트롤러(5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조작 판넬부(530)를 메모리 버튼 입력(700단계)이 있으면 710단계로 진행하여 수동버튼 키보드(580) 혹은 수동버튼 키보드(580)의 기능을 갖는 조작판넬부(530)로부터 A/V 기기의 선택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VTR의 선택입력이 있는 것으로 720단계에서 판명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74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 버튼과 기능버튼이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메모리 버튼과 기능버튼은 동시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순차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동시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740단계에서 메모리 버튼과 기능버튼의 하나인 전원 켬 버튼이 동시 입력되었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750단계로 진행하여 디코딩된 원격조정신호 즉 제어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정상적으로 통합 콘트롤러(500)가 원격조정신호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원격조정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등을 구비하여 정상처리상태를 알려 줄 수 있다. 이러한 표시등 역시 조작판넬부(530)에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20)에 의해 제어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750단계에서 수신된 원격조정신호가 디코딩되어 제어데이터로 입력되면 760단계로 진행하여 이를 선택된 기기, 즉 VTR의 전원 켬 데이터로 맵핑하여 플래쉬 메모리(540)에 저장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520)는 770단계로 진행하여 완료버튼의 입력이 없으면 상술한 740단계 내지 760단계를반복 수행하여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기능버튼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플래쉬 메모리(540)에 저장함으로서, 이후 VTR의 재생명령이 수신될 때 그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550)로 전송함으로서 해당 VTR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기기선택정보로서 VTR을, 기능선택정보로서 "전원 켬" 만을 예시하였으나, 캠코더의 선택, DVDP의 선택, 재생정지, 일시 정지, 되감기, 전원 끔 등 원격조정기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기능들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함으로서, 통합 콘트롤러(500)는 제조사 혹은 제품 사양에 상관없이 서로 다른 제어신호체계를 사용하는 모든 A/V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격조정기로 제어 가능한 기기의 교체시 원격 제어를 위해 별도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격조정기를 부속품으로 가지는 피제어기기들의 교체시에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변경 혹은 추가 없이 변환된 기기들을 원격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통해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물 혹은 신호 미약 등으로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해당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이버 컴퓨터 보드에 통합 콘트롤러를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 컴퓨터 보드 주변에 설치되는 기기들의 수를 최소화하여 케이블로 인한미관상의 저해 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설치 운영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의 통합 콘트롤러를 예시하였지만, 사이버 컴퓨터 보드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원격 조정기를 부속품으로 가지는 기기들을 통합 콘트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원격 조정기를 부속품으로 가지는 기기들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콘트롤러에 있어서,
    수신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수신부와;
    원격조정신호의 등록을 지시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을 적어도 구비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된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 조정신호 출력부들과;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된 제어데이터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제어명령 수신시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콘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린/엘레베이션/커튼 구동기기와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단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콘트롤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콘트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넬부에는 상기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선택 입력하기 위한 버튼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콘트롤러.
  5. 원격 조정기를 부속품으로 가지는 기기들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에 있어서,
    수신되는 원격조정신호를 디코딩하여 제어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수신부와;
    원격조정신호의 등록을 지시하기 위한 메모리 버튼을 적어도 구비하는 조작 판넬부와;
    상기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된 제어데이터를 원격조정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들과;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기기선택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된 제어데이터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등록하고, 제어명령 수신시 그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약정된 원격조정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러는 상기 사이버 컴퓨터 보드의 하우징내에 탑재되되, 상기 조작판넬부와 원격조정신호 수신부 및 출력부,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외부기기 접속단자는 하우징 일측면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컴퓨터 보드용 통합 콘트롤러.
KR2020010040390U 2001-12-27 2001-12-27 통합 콘트롤러 KR200269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90U KR200269824Y1 (ko) 2001-12-27 2001-12-27 통합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90U KR200269824Y1 (ko) 2001-12-27 2001-12-27 통합 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824Y1 true KR200269824Y1 (ko) 2002-03-23

Family

ID=7311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390U KR200269824Y1 (ko) 2001-12-27 2001-12-27 통합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18B1 (ko) 2007-10-18 2008-11-21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Led조명시스템
KR100938670B1 (ko) * 2009-06-04 2010-01-25 주식회사 라인테크 인풋 디바이스 코드 유니버설 맵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18B1 (ko) 2007-10-18 2008-11-21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Led조명시스템
KR100938670B1 (ko) * 2009-06-04 2010-01-25 주식회사 라인테크 인풋 디바이스 코드 유니버설 맵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176B2 (ja) 双方向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5488357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eature star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dio/visual system
KR100287038B1 (ko)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전자 장치의 무선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3870983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S61202597A (ja) 遠隔操作装置
US6137794A (en) Audio-visual projector control apparatus allowing selection among multiple input devices
KR200269824Y1 (ko) 통합 콘트롤러
JP3309389B2 (ja) マルチ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装置、映像装置及び同装置のフォーマットプリセット支援方法
JP2008102339A (ja) プロジェクタ
JPH0583765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797030B1 (ko) 제어버튼에 매크로기능을 링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리모컨
KR100469970B1 (ko) 강의 기자재 컨트롤 시스템
JP4427756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H0233436Y2 (ko)
JPH102904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および、媒体
JPH0876978A (ja) Lcd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KR200330530Y1 (ko) 비디오 영상 학습 지원장치
JP309761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器
KR200351320Y1 (ko) 다기능 전자강의 장치
JP3571740B2 (ja) 遠隔制御表示装置
KR200329870Y1 (ko) 멀티 제어장치
JP2001119765A (ja) 複数機器制御システム
JP3180428B2 (ja) ワイヤレスホームバスシステム
JPS6331123Y2 (ko)
KR200342912Y1 (ko) 컨트롤 기능이 부가된 전동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