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631B1 -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 Google Patents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631B1
KR100469631B1 KR1019960702852A KR19960702852A KR100469631B1 KR 100469631 B1 KR100469631 B1 KR 100469631B1 KR 1019960702852 A KR1019960702852 A KR 1019960702852A KR 19960702852 A KR19960702852 A KR 19960702852A KR 100469631 B1 KR100469631 B1 KR 10046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o
activity
compound
composition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겐 마리-크리스틴느
그인느 장
프랑스와 니콜래이 장
프랑코 앙드레
Original Assignee
엑시몰 소시에떼 아노님메 모네가스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시몰 소시에떼 아노님메 모네가스끄 filed Critical 엑시몰 소시에떼 아노님메 모네가스끄
Priority to KR101996070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631B1/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의 일반식을 갖는 규소화합물 :
(여기서, A, B, C, D는 공유결합에 의해 Si와 결합된 OH와는 다른 기(基)이고, Si를 가진 상기 결합들 중 두개 또는 세개의 공유결합은 Si-O-C, Si-S-C, Si-N-C 형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조직과 접촉할때 생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Si-OH 결합을 형성하고, (단, 일반식 b의 경우는 A결합과 D결합이 항상 가수분해됨)
적어도 가수분해성 결합의 하나는 아실옥시(acyloxy), 아릴옥시(aryloxy), 비닐옥시(vinyloxy) 기(基)에 해당되고,
적어도 상기의 가수분해성 결합의 가수분해후에 수득한 화합물의 하나는 안정화제이며,
비가수분해성 작용기는 Si-C 형이고 이는 Si가 직접적으로 페닐 고리와 결합되지 않는 탄화수소나 탄화불소에 해당됨)

Description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규소화합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규소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아있는 조직과 접촉할때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규소화합물과 이들 규소화합물의 치료분야와 미용분야에서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배경
규소는 매우 평범한 원소이고 일반적으로 무수규소(silica)나 규산염(silicate)과 같은 천연 무기물 형태와 합성중합체, 즉 실리콘(silicones)형태로 알려져 있다. 규소 화합물은 수용성 용매에서 거의 불용성이거나 완전 불용성인데 이는 이들 화합물이 살아있는 생명체에서 비교적 낮은 빈도로 존재하는 것을 설명한다. 특히 실리콘은 생물학적인 용매에 대해 안정성이 매우 커서 결국, 생명체 내에서 매우 큰 적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규소는 비록 미량일지라도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명의 필수적인 원소로 간주됨이 틀림없다. 특히 규소는 무수한 생물종의 정상적인 성장에 필수적이다. 규소는 글리코아미노글리칸(glycoaminoglycan) 및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결합조직 구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규소는 결합 조직의 세포외 매트릭스에서 발견되는 단백질-글리코아미노글리칸(protein-glycoaminoglycan) 복합체의 구성요소중의 하나이다. 또한 규소는 연골 조직의 성장시 글리코아미노글리칸 (glycoaminoglycan)과 상호 작용한다.
규소는 골격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때, 규소는 광화(鑛化)과정을 촉진한다.
이밖에 규소는 콜라겐의 구성요소로 간주될 수 있고 콜라겐 섬유조직의 망상(網狀)조직 형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규소는 세포대사에 관여하고 특히 골아세포(osteoblast)의 대사작용을 촉진한다.
조직내에서 고농도로 존재하는 규소는 규소의 크로스링크 능력(cross-linking)과 일부 세포에서의 대사활성과의 관련성을 넘어 글리코아미노글리칸(glycoaminoglycan)의 함유량과 함께 건강하고 대사적으로 활성을 지닌 조직의 특징으로 간주된다.
오늘날의 연구들은 규소가 무수한 생물학적인 기작에 관여한다는 생각을 강력히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 규소는 생물계에 의한 알루미늄의 제거에서 조차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출원인의 연구에서 규소화합물은 저분자량의 가용성의 올리고머(oligomer)의 형태로 수용성 용액에서 존재하는 경우, 생명체에 의해 동화될 수 있는 규소의 형태 (무기규소나 실리콘과는 상반됨)로 존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수용액에서의 올리고머 활성의 또 다른 필수적인 특성은 무수한 Si-OH 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기체에 의해 동화되는 이들 화합물의 생물학적인 특성들은 그 화합물이 수용액에서 가용성 올리고머를 형성할 때만 관찰되며, 이때 이것은 Si-OH 작용기가 풍부한 실록산(siloxane)의 사슬인 Si-O-Si에서 유래한다.
고극성 (高極性) 작용기인 Si-OH의 존재가 올리고머에 수용성을 부여하는 것과는 별개로 규소의 특성중 일부는 위에서 언급한 생물학적인 기작 대부분에 관련된 화학종이 규소의 한 형태인 규산 (화학식=Si(OH)4)이라는 사실에서 유래한다. 이 화합물은 무수규소(silica)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중합하려는 강한 경향이 있기때문에 수용액에서 매우 낮은 농도로만 존재한다.
결국, 본 발명자들은 Si-OH 작용기를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규산과 유사한 보다 안정된 생성물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작용기들은 생물학적 활성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른 면에서 일련의 천연 화합물들과 이들중 탄닌과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은 규산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용액내에서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착물은 생명체내에서 규산의 운송방식이 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로 세포가 규소를 도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착물의 안정도는 너무 낮아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생성물을 운반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되는 결합을 지닌 규소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조직과 접촉할때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Si-OH 작용기를 지닌 올리고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요건에 맞는 화합물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A, B, C, D는 공유결합에 의해 Si와 결합된 OH와는 다른 기(基)이고, Si를 가진 상기 결합들 중 두개 또는 세개의 공유결합은 Si-O-C, Si-S-C, Si-N-C 형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조직과 접촉할때 생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Si-OH 결합을 형성하고, (단, 일반식 b의 경우는 A결합과 D결합이 항상 가수분해됨)
적어도 가수분해성 결합의 하나는 아실옥시(acyloxy), 아릴옥시(aryloxy), 비닐옥시(vinyloxy) 기(基)에 해당되고,
적어도 상기의 가수분해성 작용기의 가수분해후에 얻은 화합물의 하나는 안정화제이며,
비가수분해성 작용기는 Si-C 형이고 이는 Si가 직접적으로 페닐 고리와 결합되지 않는 탄화수소나 탄화불소에 해당됨)
발명의 상세한 설명
위에서 규정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되는 기는 결국에는 산소원자, 질소원자나 황원자에 의해 Si에 결합된 기(基)이다. 규소원자가 직접적으로 산소원자와 결합할때 이와 같은 기로는 아실옥시기(基)나 페녹시기와 같은 아릴옥시기(基) 또는 비닐옥시기(基)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선호성은 가수분해성 결합의 가수분해후에 적어도 하나의 안정제의 방출을 얻을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최상의 안정제로는 아실옥시기(基) 가수분해로부터 발생하는 카르복실산과, 아릴옥시기(基) 가수분해로부터 발생하는 페놀과, 비닐옥시기(基) 가수분해로부터 발생하는 엔올(enol)이다.
규소가 황원소에 의해 연결될 때 가수분해성 기(基)로는 티오에스테로(thioester)나 아릴기 또는 알킬티오에테르기(基)가 바람직하다.
규소가 질소원자에 의해 연결될 때 가수분해성 기로는 탄화수소 사슬 (치환된 것,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용기에 의해서 치환된 것이 아닌 것)에 의해 하나 또는 두개가 치환된 아민 또는 아릴 또는 알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Si에 결합되고 가수분해되지 않는 기는 Si-C결합을 나타내고 이들은 아릴기의 페닐형을 포함하지 않지만 알킬, 알켄닐, 아릴알킬, 아릴기와 같은 탄화수소 기가 될수 있다. 이와 같은 페닐형의 배제는 가수분해성의 고리의 가수분해후에 얻은 페닐-Si-OH 형의 화합물은 살아있는 유기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간, 췌장, 골수, 심장근육에 해롭다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된다. (1886년 3월 화학 회보 89-91페이지에 실린 R. R. Le Vier의 논문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실란과 실옥산" 참조) 또한 비가수분해성 기는 탄화불소기의 알킬불소나 알케닐불소 형이 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되지 않는 결합의 다른 모든 형은 제외되고, 특히 화학적 안정성과 생물학적인 용매에 관하여 반응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Si-O-Si결합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의 예는 아래와 같다.
살리실산 알콜의 유도체 (또는 2-히드록시벤질알콜):
2-옥소-벤질옥시-에톡시메틸실란
2-옥소-벤질옥소-디메틸실란
α-옥시산의 유도체 :
에톡시메틸실릴-2-옥소-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릴-2-옥소-옥타노에이트
2,2-에톡시메틸-4-옥소-5-메틸-1,3-디옥사-2-시클로실란 또는 에톡시메틸실릴-락테이트
(보정: 아미노산 유도체를 삭제함)
긴사슬을 지닌 산의 유도체 :
디메틸디데카노일옥시실란
메틸실란트리데카노일에스테르
카프로일 디에톡시실란 (caproyldiethoxysilane)
살리실산의 유도체 :
2,2-메틸-tert-부톡시-4-옥소-1,3-디옥사-2-실란
2,2-디메틸-4-옥소벤조-1,3-디옥사-2-실란
2,2-에톡시-n-옥틸-4-옥소벤조-1,3-디옥사-2-실란
2,2-디메틸-4-옥소-(3-옥탄노일벤조)-1,3-디옥사-2-실란
기 타 :
디메틸실릴-2,3-5,6-아스코르베이트
이하에서는 두개 또는 세개의 Si-OH 결합을 포함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화합물을 "실릴"이라고 칭하고, 본 발명의 목적인 상기 화합물은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단지 전구체로 통칭되는 실릴 "전구체" 임을 인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다양하다. 이들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합성 단계의 수를 줄이기 위해, 사염화실란인 SiCl4와 같은 염화실란, 테트라알콕시실란 SiOR4과 같은 알콕시실란, 트리클로로실란 Cl3SiH과 같은 헤테로 작용기 실란 또는 "작용기화된" 알킬실란 처럼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작용기화된 실란"이 초기물질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전구체는 국소, 구강, 전신 투여후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적인 화합물이 자발적으로 또는 실리카아제와 같은 특이효소적인 촉매제의 작용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지닌 화합물로 변화될 수 있다.
만약 두개 또는 세개의 결합이 동일한 방식으로 가수분해된다고 알려진 전구체의 단일 가수분해성 결합을 상정할 때, 다음의 변환은 피부, 점막, 체액과 접촉할때 일어난다.
Si-P + H2O → Si-OH + P-H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액에서 존재하는 -Si-OH 화합물은 -Si-OH 화합물의 두개, 세개 또는 몇개의 분자축합을 통해 수용성의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만약 이 화합물이 이량체(dimer)가 되는 축합처럼 단일의 OH 결합만을 가지고 있다면 상기 Si-OH결합은 없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전구체는 적어도 2개이상의 가수분해성 결합을 가져야만 한다.
위 반응에서 얻은 P-H 산물은 불활성의 비독성의 화합물이거나, 실릴의 작용을 촉진하게 하거나 강화시키거나 완전하게 할 수 있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전구체의 총괄적인 특징은 가수분해후에 얻은 P-H 산물이 안정화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안정화제는 실릴을 물에 녹지 않게 하며 비활성화 시키는 축중합반응에 반작용하여 실릴의 활성을 보호한다.
가수분해후에 안정화제는 용매에 방출되어 수소결합과 같은 약한결합을 발생하면서 실릴화합물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이러한 몇가지 안정화제의 안정화능력은 이들이 전이성 공유결합을 다시 형성할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때, 실릴화합물과 안정화제의 구조는 일부 결합이 수소결합과 공유결합으로 혼합된 특징을 지닌 동적인 구조이다.
위에서 언급한 기준에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전구체인 에스테르가 가수분해후에 생성되는 카르복실산으로서 탄소 5개 이상의 탄소사슬을 지닌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은 미셀을 형성하여 실릴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적합한 안정제로는 전이성 공유결합을 형성하기 쉬운 페놀 (페녹시기가 전구체), 그리고 수산화카르복실산 화합물과 같은 다작용기 화합물, 특히 α-및 β-옥시산, 글루쿠로나이드(glucuronides), 하드록실화 되거나 페놀화된 아미노산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다수개의 알콜기 (또는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 특히 비시날(vis) 알콜기 (또는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이 적합하다.
이 범주에 속하는 화합물로 글리콜 (glycol), 카테콜 (catechol), 카테콜아민 (DOPA와 아드레날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 단당류 (L-트레오스, L-리보오스, 솔비톨); 갈산, 3,4-디히드록시벤조산 또는 카페인산(caffeic acid)과 같은 페놀산과 에스테르화된 그 유도체; 말론산과 같은 이산(二酸); 트로폴론(tropolone) 처럼 수용액에서 실릴 착물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특정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몇몇 화합물 (예를들면, 투야프리신 (thujapricine))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규소 원자에 연결된 기(基)중 최소한 하나는 가수분해후 위에서 정의한 안정화제를 방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체내 가수분해 반응은 자발적으로 촉매없이 일어난다. 실릴의 생성율은 다음의 여러 요소에 의존할 것이다.
- pH : 산성의 환경이나 알카리성의 환경은 반응 속도를 상당히 높인다.
- 효소적 촉매가 있으면 특히 일부 가수분해성 결합의 가수분해 속도를 높인다.
- 전구체의 화학적 구조
- 매개체에 존재하는 물의 양과 온도
- 염이나 활성화된 수소를 가진 생물학적 분자의 존재
전구체의 특징중 하나는 이들이 물에서는 용해되고 오일에서 용해되지 않는 고극성(高極性) "실릴"과는 반대로, 유기용매, 오일, 실리콘등의 무극성 용매에서 용해된다는 것이다. 전구체의 대다수가 물과 접촉할때 신속히 가수분해되어 실릴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이들 화합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제 (製劑), 특히 다양한 형태의 유제 (乳劑)로 합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전구체로는 무수 제제의 것을 사용할 것이며, 실릴은 전구체가 표적 기관과 접촉할 때, 원 위치(in situ)에서만 형성될 것이다. 이는 친유성 화합물이 일부 생물학적 장벽을 잘 통과하기 때문에 몇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극성변형은 활성 실릴이 가수분해후에도 비극성 용매에 대해서 친화성을 보유하는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는 2,2-에톡시, n-옥틸-4-옥소벤조-1,3-디옥사-2-실란의 경우가 해당된다.
수분이 없는 경우, 친유성 전구체는 넓은 범위의 온도와 모든 농도에서 안정적이다. 따라서, 이들은 다른 화합물과 섞지 않고 순수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 대응하는 실릴이 안정화제나 착물을 요구하고 훨씬 좁은 범위의 온도와 고희석의 조건에서만 안정적인 점과 대조적이다.
상기 화합물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화학적 구조를 바꾸면서 가수분해에 대한 전구체의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전구체가 대기 중의 수분과의 접촉만으로도 가수분해된다면, 역으로 pH가 중성에 가까운 수용액에서 안정한 전구체를 얻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후자는 예를 들어, 활성성분이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시기가 위(胃)에서 가수분해될 때인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구체 가수분해가 신속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 효과는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연효과"는 특히 순차적으로 가수분해되는 전구체 (가수분해성 결합들은 각기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짐)에 적용된다.
첨언하면, 전구체 형성은 실릴의 P-보호기로서 사용되는 일부 화합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이는 P-H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때 유용하다.
그러므로, 전구체는 에멀션의 유상(油狀), 즉, 치료적이고 미용적인 도포를 위한 구소투여용 크림과 연고의 형태, 치료를 위한 구강투여용 캡슐의 형태, 또는 근육내 주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릴" 형태의 특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 즉 항-염증성, 재생성, 항-퇴화성, 정상화제, 대사 촉진제, 항-자유라디칼 및 항-글리케이션(glycation) 활성에서 유래하는 치료, 식이요법 또는 미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다시 일반적으로 말한다면, 생명체의 방어적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의 예는 의약이나 미용제로 사용되는 제제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활성의 입증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생 및 항염증활성- 관절증 치료
본 실시예는 디메틸실릴-L-히드록시프로린 (C7H13NO3Si, 분자량=187.27)의 구강투여를 통한 만성관절증과 2차 관절증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수산화규소(SiOH)와 히드록시 프로린 (이것은 Si-OH에 의해 그 활성이 강화된다.)의 투여량은 매우 중요하다.
시험되는 화합물은 규소를 15%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Si-OH의 경우에는 24%에 해당된다. 쇼크치료법은 활성성분을 0. 23g 포함하고 있는 캡슐을 매일 3개씩 3주간 구강 투여하고 그 다음 한달간은 매일 2개씩의 캡슐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료법은 매일 1개씩의 캡슐을 연이어 투여하여 계속 수행한다.
디메틸실릴-L-히드록시프로린의 연골형성 (티미딘 3H 합체, 콜라겐 II 및 PG 생성) 효과 및 연골재흡수 (기본적인 PEG 및 인터루킨6 생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4일, 8일 및 12일 간격으로 배양액내의 인간 연골세포에서 수행되었다. PG와 인터루킨은 면역방사선분석법(RIA)으로 정량하였다. 상기 세포의 증식은 방사분석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골아세포의 생산활성에 대한 실릴의 도스-의존적인 포지티브 효과는 알카라인 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의 증가를 통해 측정되었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처방후 51%의 비율로 티미딘의 합체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가장 주목할 만한 효과는 연골재흡수 단계에서 염증 추적자인 즉, 인터루킨 6의 현저한 감소에 있다. 이러한 도스-의존적인 효과는 실릴의 항-염증 및 재생 활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프로스타그란딘 (prostagladin) 양의 중대한 감소가 상관관계를 가지고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재생 활성-미소혈관의 재구성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모세혈관막에 작용하여 혈관 및 림프관의 미소혈류을 개선시키기는 캡슐 (Si-OH 11.5%에 해당하는 디메틸디데카노일옥시실란 (분자량=400.67)을 함유)을 구강투여를 위해 제조하였다.
또한, 땅콩기름에 활성성분 40%가 용해된 캡슐 n°5 (이는 캡슐당 실릴 0.03g 섭취량에 해당)을 제조하였다. 상기 캡슐은 비대한 다리를 지닌 환자들의 다이어트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투여량은 일일기준으로 1 내지 2 캡슐이었다. 시험은 70세 이상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12명은 발목의 부종 (초저녁성)의 경감과 통증의 사라짐을 증언하였고, 이들 중 3명은 20대의 다리와 같은 상태를 회복하였다고 말하였다.
반대로 상기 분석과정에서의 다른 3명은 아무런 호전된 상태를 보이지 않아 본 치료법은 20%의 실패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항-염증, 항-부종, 진통 및 회복 활성 : 피부-약제학적 조성물
본 실험은 Si-OH 25% 해당하는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 (분자량=180.28)을 사용하여 심각한 홍반환자에게 실시되었다.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은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에서 25%로 희석되는데, 이는 먼저 오일 겔에서 10%를 기본으로 하여 혼합되어 보호적인 히드로리피딕 (hydrolipidic) 필름을 재형성하고 규소에 의해 피부의 재생을 촉진한다. 상기 규소공급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이는 홍반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다소간 "부종"의 증상을 억제하고, 피부조직손상에서 유래하는 통증을 경감시킨다.
시험대상이 되는 겔은 다음과 같은 조성비율을 지닌다.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 (25%로 희석) 10.00
소디움 라노레이트(sodium lanolate) 12.00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1.00
바세린 오일 100.00
상기 분석은 종종 요구되는 겔의 도포없이 태양에 노출된 의해 발생한 심각한 홍반 환자 10명에게 실행되었다. 그 결과 80%는 통증이 사라지고, 6시간 이내에 부종이 경감되었으며 24시간 후에는 50%이상의 환자가 홍반기가 감소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한편, 오일 겔은 코발트 치료 후 점막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막의 표면보호는 통증과 염증을 경감시켰다.
실시예 4
항-염증 활성-스포츠맨의 건염치료
마시지 오일 크림을 처치하여 수행되었으며 상기 마사지는 마사지 운동치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분석 검사는 테니스-엘보우 환자에서 수행되었다.
시험된 화합물은 Si-OH 25%에 해당되는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 (분자량=180.28) 이었다.
순수 화합물 8%을 지방성의 크림인 라노-바세린에 섞어 피부에 침투될 때까지 마사지하였다. 테니스 엘보우 환자 12명에게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자들은 14일 내지 21일간 휴식을 취하면서 매일 3회씩 통증부위를 상기 크림으로 마시지해야 한다.
12명중 4명은 6일 후 통증이 사라지고 일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었으며, 12일 후에는 5명, 14일 후에는 1명 그리고 16일 후에는 2명이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하였다. 상기 크림을 사용하면 견갑골, 척추위쪽 또는 이두근의 건통(腱痛)을 경감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건통들은 단순한 견통(肩痛)이나 또는 급격한 통증을 수반하는 통각과민 증상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은 매일 3회씩 처치된 12명을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건통을 지닌 환자 2명은 5일 후 그 증상이 완화되었고 9일 후에는 3명, 급격한 통증을 수반하는 통각과민 환자 1명은 7일 후, 그리고 다시 12일 후에 1명, 15일 후에는 3명이 그 증상이 완화되었으나 2명은 상태의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5
정상화 활성-무기력증의 치료
본 실시예에서는 규소 24.56% 즉, Si-OH 32%에 해당하는 아스코르보실릴 또는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 (화학식은 C10H16O6Si2)를 사용하였다. 본 화합물은 노화과정 및 피로상태의 억제 및 회복을 위해 연구되었고, 활성 성분 0.5g을 함유하는 캡슐을 구강투여하여 식이요법에 사용하였다. 실릴의 투여량은 매우 중요한데, Si-OH 0.19g 및 아스코르브산 0.31g에 해당하는 캡슐이 관심의 대상이다. 본 발명자들은 소자오일(soja oil)에서 아스코르보실릴을 20%로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한번 섭취할 때 실릴 0.04g, 아스코르브산 0.07g에 해당되는 것이다. 매일 1개 내지 3 개의 캡슐을 투여하였다. 본 화합물은 고전적인 착물화에 의해 수득되는 실릴의 경우에는 불가능한 투여량을 구강으로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캡슐의 섭취는 어떤 경우에는 8일째 이후 신체적인 건강의 회복이라는 매우 빠른 효험을 나타내는 반면,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3달 또는 4달이 걸렸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있어서 지장이 없을 정도의 행동변화와 안락한 느낌을 갖게 되었다.
(보정: 실시예 6을 삭제함)
실시예 7
항-자유라디칼 활성-색채 화장품에서의 사용
시험된 화합물은 Si-OH 19%에 해당하는 에톡시메틸 실릴-2-옥소 옥타노에이트 (분자량=246.7)이었다. 본 화합물은 금달맞이꽃 오일로 45%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은 마스카라와 립스틱에서 7% 비율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Si-OH 1% 공급량에 해당된다. 상기 화장품들은 점막과 민감성 표피의 재생과 보호를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기준치의 산화수준의 방해 백분율을 측정하는 다음의 시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본 시험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크산틴 옥시다아제의 작용과 같은 효소작용에 의해 산소처리된 자유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 에톡시메틸실릴-2-옥소-옥타노에이트로 처리배양된 세포와 처리되지 않고 배양된 세포를 상기 자유 라디칼과 접촉시켜 양자간의 저항성을 비교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세포배양액내에 자유라디칼의 첨가는 세포독성을 유발하고 이러한 독성은 세포 내의 젖산 탈수소화 효소 (LDH)의 증가와 함께 세포의 용해를 유발한다.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의 저항성은 UV 분광측정법에 의한 LDH 활성도스의 측정에 의해 평가된다. LDH 활성은 하기의 수식에 의해 측정된다. (여기서, OD는 흡광도를 나타냄.)
결과 : 실릴의 주목할 만한 보호효과가 관찰되었다. 사용된 과산화시스템은 초과산화물 이온과 과산화수소를 생산하였다. 본 결과에 대한 연구결과 실릴은 자발적인 세포용해에 대한 보호작용을 유발하는데 LDH 활성이 73% 감소하였다. 이러한 보호작용은 유도된 라디칼 스트레스의 존재하에서 유지되고 강화된다. (LDH활성이 77% 감소)
실시예 8
항-글리케이션 및 항-자유라디칼 활성-백내장 치료
규소 24.56%에 그리고 SiOH 32%에 해당하는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 (또는 아스코르보실릴) (화학식=C10H16O6Si2, 분자량=288.4)를 안과분야에서 항-백내장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아스코보실릴은 바세린 및 바세린 오일의 혼합물로 구성된 안과용 연고에 6.5% 혼합시켰다.
눈물 및 각막과 접촉되어 가수분해된 후 상기 아스코보실릴은 항-자유라디칼로서 점차 작용하여 세포막의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한다.
또한, 이 화합물은 각막의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과 뮤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를 재구성하는데도 공헌한다. 아스코르브산은 그것이 안구의 구성체이기 때문에 항-자유라디칼 작용을 가능케 한다.
항-백내장 치료제에 적용되는 항-라디칼 활성은 다음의 시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본 시험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크산틴 옥시다아제의 작용과 같은 효소작용에 의해 산소처리된 자유라디칼을 생성하는 단계,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로 처리배양된 세포와 처리되지 않고 배양된 세포를 상기 자유라디칼과 접촉시켜 양자간의 저항성을 비교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세포배양액내에 자유라디칼의 첨가는 세포독성을 유발하고 이러한 독성은 세포 내의 젖산 탈수소화 효소 (LDH)의 증가와 함께 세포의 용해를 유발한다.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의 저항성은 UV 분광측정법에 의한 LDH 활성도스의 측정에 의해 평가된다.
결과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의 주목할 만한 보호효과가 관찰되었다.
상기 실릴의 활성은 기준치값과 비교되는 LDH 활성의 변이로부터 평가되었다. 사용된 과산화시스템은 초과산화물 이온과 과산화수소를 생산하였다. 본 결과에 대한 연구결과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는 자발적인 세포용해에 대한 보호작용을 유발하는데 LDH 활성이 67%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보호작용은 유도된 라디칼 스트레스에 의해 유지되고 강화된다. (LDH활성이 79%감소)
(보정: 실시예 9를 삭제함)

Claims (15)

  1. 아래와 같은 일반식(general formular)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에서,
    A, D는 그들의 가수분해 산물 A-H 및/또는 D-H는, 다석 개 이상의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을 가진 간단한 카르복시산, 페놀, 알파 및 베타 하이드록시산과 같은 하이드록시 카르복시산, 글루쿠로나이드, 글리콜, 카테콜, 카테골아민,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 L-트레오스, L-리보오스, 솔비톨 같은 단당류 같은 다수개의 알콜기 또는 페놀기 특히 비시날 알콜기(또는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 카페인산(caffeic acid)과 같은 페놀산과 에스테르화된 그 유도체, 말론산과 같은 이산, 그리고 트로폴론(tropolone) 처럼 특정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몇몇 화합물의 군으로 부터 선택되어지는 안정화제이기 위한 기(基)이고,
    B는 그 가수분해 산물이 A-H 와 D-H 또는 알킬로 표현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기 위한 기이고,
    C는 알킬, 알케닐, 알킨, 아릴알킬 또는 아릴 그룹과 같은 탄화수소기이며 페닐은 제외되는 것으로,
    그것은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체 내에서 생물학적 활성 실릴 화합물(a biologically active silyl compound) 및 일 이상의 안정화제를 방출하는(releas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소 화합물(silicon compound).
  2.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체 내에서 생물학적 활성 실릴 화합물(a biologically active silyl compound) 및 일 이상의 안정화제를 방출하는(releas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프로일다이에톡시실란인 규소 화합물(silicon compound).
  3. 2-옥소-벤질옥시-에톡시메틸실란, 에톡시메틸실릴-2-옥소-옥타노에이트, 2,2-에톡시메틸-4-옥소-5-메틸-1,3-다이옥사-시클로실란, 2,2-메틸, 터셔리부톡시-4-옥소-1,3-다이옥사-2-실란, 및 2,2-에톡시, n-옥실-4-옥소벤조-1,3-다이옥사-2-실란의 군에서 선택되어지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체 내에서 생물학적 활성 실릴 화합물(a biologically active silyl compound) 및 일 이상의 안정화제를 방출하는(releas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소 화합물(silicon compound).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항-염증성, 재생성, 항-퇴화성, 정상화제, 대사 촉진제, 항-자유라디칼 및 항-글리케이션 또는 활성, 인간 또는 동물의 방어적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식이요법 또는 미용을 위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디메틸디데카노일옥시실란을 함유하여 재생 활성을 지니는 미소혈관 재구성용 치료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디데카노일옥시실란은 캡슐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혈관 재구성을 위한 치료제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을 함유하여 항-염증, 항-부종, 진통 및 회복 활성을 지니는 홍반 치료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은 오일 겔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반치료제 조성물.
  9. 제 4항에 있어서,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을 함유하여 항-염증 활성을 지니는 스포츠맨의 건염 치료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옥소-벤질옥시-디메틸실란은 마사지를 위한 오일 크림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맨의 건염 치료제 조성물.
  11. 제 4항에 있어서,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를 함유하여 항-자유라디칼, 항-글리케이션 활성을 지니는 백내장 치료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는 안구용 연고에 혼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내장 치료제 조성물.
  13. 제 4항에 있어서,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를 함유하여 노화과정 및 피로상태의 억제 및 회복 등의 정상화 활성을 지니는 식이요법제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실릴-2,3,5,6, 아스코베이트는 캡슐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요법제 조성물.
  15. 제 4항에 있어서,
    에톡시메틸실릴-2-옥소-옥타노에이트를 함유하여 항-자유라디칼 활성을 지니는 마스카라 또는 립스틱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960702852A 1994-09-30 1995-09-29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KR10046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702852A KR100469631B1 (ko) 1994-09-30 1995-09-29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12088 1994-09-30
KR1019960702852A KR100469631B1 (ko) 1994-09-30 1995-09-29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631B1 true KR100469631B1 (ko) 2005-05-03

Family

ID=4366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852A KR100469631B1 (ko) 1994-09-30 1995-09-29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6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952A (en) * 1987-05-26 1990-05-22 Exsymol S.A.M. Silanol condensation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952A (en) * 1987-05-26 1990-05-22 Exsymol S.A.M. Silanol condensation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2457B2 (en) Preparation process of biologically active silicon compounds in a concentrated form
EP2651381B1 (en) Methods of decreasing sebum production in the skin
JP4194115B2 (ja) 生物学的活性を有するケイ素を含む化合物とその利用
ES2203238T3 (es) Agente para la proteccion de la piel que contiene acido hialuronico hidrolizado.
JP7322094B2 (ja) 疼痛、掻痒症および炎症のためのストロンチウムをベースとする組成物および製剤
WO2018185408A1 (fr) Ingredient protecteur de l'equilibre de la flore microbienne cutanee et/ou mucosale
FR2822381A1 (fr) Extrait de cucumis melo enrobe et/ou microencapsule dans un agent liposoluble a base de matiere grasse
KR100469631B1 (ko) 생물학적으로활성을지닌규소화합물
US11801231B2 (en) O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1014926B1 (en) Therapeu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their us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U201733194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1994005255A1 (en) Skin moisturizer compositions containing dimethylsulphydryl group releasing agent
JP2008208132A (ja) 痩身用食品組成物
WO1991000726A1 (fr) UTILISATION D'AMPc OU SES DERIVES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WO2021178639A1 (en) Compositions derived from salvia hispanica seeds
SU1606123A1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дл лечени ихтиоза
TW202329932A (zh) 維他命c組成物、其配製方法和保存維他命c的方法
JP4101186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CN105769680A (zh) 含有茯苓的乳化型美白清洁霜
JP2008120777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