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619B1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619B1
KR100469619B1 KR10-2002-0050431A KR20020050431A KR100469619B1 KR 100469619 B1 KR100469619 B1 KR 100469619B1 KR 20020050431 A KR20020050431 A KR 20020050431A KR 100469619 B1 KR100469619 B1 KR 10046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coil
hinge
circuit breaker
guide groove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155A (ko
Inventor
최정필
심규탁
강경호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6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커버와, 상하부 몸체 사이로 트립코일과 감도전류 전환스위치 및 테스팅 스위치와 고정단자 그리고 고리부가 구비된 트립코일부를 갖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리드선 안내홈에 연결된 관통공 및 힌지홀을 갖는 힌지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양측에 힌지축을 돌출되도록 구비하되, 양단을 디귿자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트립코일부는 트립코일 몸체의 일측으로 인출된 리드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과, 누전 테스트를 위해 트립코일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작동로드에 일측이 맞닿아 연동이 되도록 구비된 작동구와, 위치표시부로 구성되어져 누전 차단기의 공정수를 줄여 효율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고, 그로 인한 동작의 신속성 내지는 신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Power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전 차단기를 구성하는 트립코일에 단자버튼을 일체로 형성하며 그 일측에 늘어진 리드선을 테이프로 고정시켜 주고, 아울러 별도의 힌지축 없이 누전 차단기 몸체에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누전 차단기의 구성부품수를 줄여 효율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고, 그로 인한 동작의 신속성 내지는 신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기(100)는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한 전원측 단자 를 통해 인가된 전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및 부하측 단자를 통해 정상적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부하측에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영상변류기의 신호에 따라 트립코일로 전류가 인가되며, 그 내부에 구비된 작동로드가 연동하여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서 분리시켜 전원측 단자로 부터 부하측 단자로 흐르고 있던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부 몸체(200)에 힌지(310)로 고정된 커버(300)를 젖힌 상태에서 트립코일부(40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410)을 누르면 버튼(410)의 이동에 따라 가동단자편(420)이 하부로 휘어지면서 고정단자(430)에 접속되고, 따라서, 리드선(440)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누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누전은 결국 트립코일부(400)의 구비된 작동로드(450)에 의해 연동되는 고리부(46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분리되면서 전류를 차단시켜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누전 차단기는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축을 별도로 구비하고, 구비된 힌지축을 끼워 조립하는 과정에서 그 공정수가 증가됨에 따라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립코일부에는 트립코일(470), 감도전류 절환스위치(480), 고정단자, 가동단자편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리드선이 접속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트립코일 몸체의 주변이 어지럽게 되고, 트립코일부를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걸리적 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수의 리드선이 외부로 노출된 트립코일부를 누전 차단기에 조립하는 작업에서 리드선이 누전 차단기의 하부몸체나 상부몸체에 자주 걸리게 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트립코일부의 상부 일측에 가동단자편을 고정하기 위해 요홈과 돌기를 형성하는 공정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과 아울러 동작의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판을 프레스로 절단과 절곡시켜 가동단자편을 제조함에 있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가동단자편을 조립하는 과정에서그 조립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치표시기부가 작동로드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고리부와 반대측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트립코일부의 크기가 커지는 원인과 함께 그 부품수가 증가하여 생산성 및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누전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를 구성하는 트립코일과 커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고, 또한 그로 인한 동작의 오작동성을 배재하여 신속성 내지는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커버와, 상하부 몸체 사이로 트립코일과 감도전류 전환스위치 및 테스팅 스위치와 고정단자 그리고 고리부가 구비된 트립코일부를 갖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리드선 안내홈에 연결된 관통공 및 힌지홀을 갖는 힌지부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힌지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양측에 힌지축을 돌출되도록 구비하도, 양단을 디귿자 형태로 구비하고, 상기 트립코일부는 트립코일 몸체의 일측으로 인출된 리드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과, 누전 테스트를 위해 트립코일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작동로드에 일측이 맞닿아 연동이 되도록 구비된 작동구와, 위치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상부몸체와 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내부에 설치된 트립코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요부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내부에 설치된 트립코일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내장된 트립코일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요부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600 : 상부몸체 610 : 안내홈 620 : 관통공
630 : 힌지부재 631 : 힌지홀 800 : 커버
810 : 힌지축 900 : 트립코일부 910 : 트립코일 몸체
911 : 가이드홈 920 : 스위치부 930 : 작동로드
940 : 작동구 950 : 위치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5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600,700)와, 상부몸체(600)의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버(800) 및 상하부 몸체(600,700) 사이에 구비되는 트립코일부(90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몸체(600)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리드선 안내홈 (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드선 안내홈(610)의 일측에는 관통공(620)이 형성되어 트립코일부(900)에서 인출되는 리드선(440)을 용이하게 정렬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600)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홀(631)이 형성된 복수개의 힌지부재(6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800)는 상부몸체(600)의 표면이 오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귿자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측단은 상기 힌지부재(630)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힌지축(8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820)은 공간의 양측면으로 부터 중앙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힌지축(8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의 경사면(811)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811)의 하단은 공간을 제공하는 측벽면으로 부터 약 0.15 ∼0.25mm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단은 힌지축(810)의 상부로 부터 하부로 약 0.45∼0.55mm의 간격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하부측은 0.2mm, 상부측은 0.5mm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트립코일부(900)는 트립코일 몸체(910)의 일측으로 인출되는 리드선 (440)을 가지런하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911)과, 누전 차단기의 테스트를 위해 트립코일 몸체(910)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부(920)와, 작동로드(930)에 일측이 맞닿아 연동 되도록 구비된 작동구(940)와 위치표시부 (9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홈(911)은 트립코일 몸체(910)로 부터 인출되는 다수개의 리드선(440)을 삽입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양측벽에 의해 일측면이 오픈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911)에 리드선(440)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둘레를 테이프(960)로 수회감아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리드선(440)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920)는 트립코일 몸체(910)의 상부 일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만곡부(921)와, 상기 만곡부(921)의 끝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연계되도록 형성된 핑거부(922)와, 상기 핑거부(922)의 자유단에 구비된 누름접속수단(923)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누름접속수단(923)이 눌려지면서 핑거부(922)가 굽혀저 저항 (924a)이 연결된 단자(924)에 접속되어 가상의 전류가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누름접속수단(923)은 핑거부(922)의 자유단에 상부로 돌출된 누름부 (923a)와, 누름부(923a)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접속부(923b)가 핑거부(922)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923b)의 하단에는 미도시한 리드선이 접속된 접속단자 (923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구(9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축(941)의 상부에 구비된 로드 플레이트(942,943)와, 지지 가이드(944)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위치표시부(950)는 힌지 플레이트(951)의 하부에 형성된 푸시부재(952)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951)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953)로 연결된 만곡패널(954)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누전 차단기의 커버를 상부몸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우선,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800)를 손으로 잡고,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 공간이 상부몸체(60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부재(630)의 양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면 힌지축(810)의 경사면(811)에 의해 공간이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힌지축(810)이 힌지부재(630)의 힌지홀(631)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부몸체에 안전커버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경사면(811)에 의해 벌어진 공간은 그 차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몸체(600)로 노출된 누름접속수단(923)의 누름부(923a)를 하부 몸체(700)의 방향으로 누르게 됨과 동시에 핑거부(933)가 하부로 휘어지면서 발생되는 단성력 내지는 반발력은 이와 연계된 만곡부(921)에 저장된다.
이러한 가운데 핑거부(922)의 자유단에 형성된 접속단자(923c)가 저항(924a)이 접속된 단자(924)에 접속됨과 동시에 가상의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트립코일 에서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력에 의해 작동로드(930)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출된다.
작동로드(930)가 인출되면서 위치표시부(950)의 힌지 플레이트(951) 뒷부분을 밀게 됨에 따라 하부에 형성된 푸시부재(952)가 시계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작동구(940)의 로드 플레이트(943)의 하단 뒷쪽을 가압하게 된다.
즉, 작동구(940)의 로드 플레이트(943)가 푸시부재(952)에 의해 가압력을 받게 됨에 따라 작동구(940)는 지지축(9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연동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연속되는 과정을 통해 전류를 차단시켜 누전이 계속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름부(923a)에서 손가락을 뗌과 동시에 만곡부(921)에 저장된 반발력과 핑거부(922)의 자체 찬성력에 의해 휘어졌던 핑거부(922)가 펴지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누름부(923a)가 상부몸체(6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재동작을 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트립코일에서 자력이 소실됨에 따라 인출되었던 작동로드 (930)가 인입됨에 따라 정상적인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립코일 몸체에 버튼 단자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일측으로 늘어진 리드선을 테이프로 고정시켜 주고, 아울러 힌지축 없이 몸체에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트립코일 몸체의 주변이 항상 정리가 되어 있도록 하여 이어지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트립코일 어셈블리를 이동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걸리적 거림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전 차단기의 공정수를 줄여 동작의 신속성 내지는 신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금속판을 프레싱으로 절단 및 절곡시켜 가동단자편을 제조하는 등의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어지게 됨에 따라 가동단자편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시킨 효과가 있고, 아울러 그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오동작의 원인을 줄여 신속한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상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커버와, 상하부 몸체 사이로 트립코일과 감도전류 전환스위치 및 테스팅 스위치와 고정단자 그리고 고리부가 구비된 트립코일부를 갖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600)는 리드선 안내홈(610)에 연결된 관통공(620) 및 힌지홀 (631)을 갖는 힌지부재(63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800)는 힌지부재(630)가 삽입되는 공간의 양측에 힌지축(810)을 돌출되도록 구비하도, 디귿자 형태를 갖도록 구비하고,
    상기 트립코일부(900)는 일측으로 인출된 리드선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홈 (911)과, 테스트를 위해 트립코일 몸체(910)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부(920)와, 작동로드(930)에 일측이 맞닿아 연동이 되도록 구비된 작동구(940)와 위치표시부(9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810)은 공간의 양측면으로 부터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소정의 경사면(811)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911)은 복수개의 양측벽에 의해 일측면이 오픈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911)은 삽입된 다수개의 리드선(4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홈(911)의 둘레에 테이프(960)를 수회감아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920)는 상부에 형성된 만곡부(921)와, 상기 만곡부(921)의 끝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연계된 핑거부(922)와, 상기 핑거부(922)의 자유단에 구비된 누름접속수단(923)과, 상기 누름접속수단(923)이 눌려지면서 핑거부 (922)가 굽혀져 저항(924a)이 연결된 단자(924)에 접속되어 가상전류가 발생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접속수단(923)은 핑거부(922)의 자유단에 상부로 돌출된 누름부 (923a)와, 상기 누름부(923a)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접속부(923b)를 핑거부 (922)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923b)의 하단에 리드선이 접속된 접속단자 (923c)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940)는 지지축(941)과, 지지축(941)의 상하부에 구비된 로드 플레이트(942,943)와, 지지 가이드(9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9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 플레이트(951)와, 힌지 플레이트(951)의 하부에 형성된 푸시부재(952)와, 상기 힌지 플레이트(951)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953)로 연결된 만곡패널(954)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2002-0050431A 2002-08-26 2002-08-26 누전 차단기 KR10046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31A KR100469619B1 (ko) 2002-08-26 2002-08-26 누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31A KR100469619B1 (ko) 2002-08-26 2002-08-26 누전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55A KR20040019155A (ko) 2004-03-05
KR100469619B1 true KR100469619B1 (ko) 2005-02-02

Family

ID=3732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31A KR100469619B1 (ko) 2002-08-26 2002-08-26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73782U (zh) * 2010-06-30 2011-03-23 北京翠祥电器元件有限公司 用于塑壳断路器扣盖的连接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43A (ja) * 1992-10-08 1994-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H06333489A (ja) * 1993-05-25 1994-12-02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内装付属品表示装置
KR19980042892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
KR19990021000U (ko) * 1997-11-28 1999-06-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KR20000001063U (ko) * 1998-06-19 2000-01-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리드선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643A (ja) * 1992-10-08 1994-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JPH06333489A (ja) * 1993-05-25 1994-12-02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内装付属品表示装置
KR19980042892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
KR19990021000U (ko) * 1997-11-28 1999-06-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KR20000001063U (ko) * 1998-06-19 2000-01-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리드선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55A (ko) 200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4779B2 (en)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protection
US6335500B1 (en) Push button type of switch
EP1351269A2 (en) Slide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4117285A (en) Snap action circuit breaker
EP0541621A1 (en) A PERMANENT MAGNETIC TRIP MAGNET FOR AN AUTOMATIC CIRCUIT BREAKER.
JPS5929940B2 (ja)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KR100469619B1 (ko) 누전 차단기
KR100773318B1 (ko) 회로 차단기의 부속 스위치 장치
US4931602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EP1643527B1 (en) Actuator for auxiliary switch and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the same
US4780579A (en) Circuit breaker
EP0184815B1 (en) Snap acting mechanism
EP1263008B1 (en) Switch device
US6768404B2 (en) Circuit breaker and plunger assembly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 positioning member
CA2302910C (en) Projections on face of electrical receptacle for preventing inadvertent tripping of test switch by oversized electrical plug
KR10026640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부속장치
JP3154046B2 (ja) 回路遮断装置
JPS5922685Y2 (ja) スイツチ
US3613038A (en) Miniature pushbutton dry reed switch
USRE31690E (en) Snap action circuit breaker
JP3154045B2 (ja) 回路遮断器
CA1135754A (en) Snap action circuit breaker
JP3495214B2 (ja) スイッチ装置
JPS6297226A (ja) 回路遮断器
JPH08161996A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外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