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696B1 -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 Google Patents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696B1
KR100468696B1 KR1019970060812A KR19970060812A KR100468696B1 KR 100468696 B1 KR100468696 B1 KR 100468696B1 KR 1019970060812 A KR1019970060812 A KR 1019970060812A KR 19970060812 A KR19970060812 A KR 19970060812A KR 100468696 B1 KR100468696 B1 KR 10046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font
character
os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40438A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696B1/en
Publication of KR1999004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OSD(On Screen Display) device with a 2D fringe detection function and a line-classified color display function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detect a 2D fringe without using a line buffer by outputting successive line inform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generating units and display an OSD character with inter-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each line using a lookup table. CONSTITUTION: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unit(810) stores font data of two lines in response to an address, and outputs the font data of the two lines in response to a designated address. The second character generating unit(815) stores font data of two lines successively connected with the font data of the two lines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unit, and outputs the font data of the two lines in response to a designated address. The first address multiplexer(800) selectively outputs an address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unit or another higher-priority address, in response to the first address selection signal.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805) selectively outputs an address of the second character generating unit or another lower-priority address, in response to the second address selection signal. A data multiplexer(820) receives the data of the four lines outpu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generating units, and outputs the font data of three lines among the four lines in response to the three address selection signals. A parallel/serial converting unit(830) converts the font data of the three lines outputted from the data multiplexer into serial data. A fringe detecting unit(840) receives the serial data, and generates an OSD font setup signal and an OSD interval setup signal. A signal mixer(880) selectively outputs an OSD character and an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OSD font setup signal and the OSD interval setup signal.

Description

2차원 프린지 검출 및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Screen Displa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SD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때 문자의 경계를 뚜렷하게 표시하는 OSD의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 및 OSD문자의 각 라인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2차원 프린지 검출 및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screen display, and in particular,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of the OSD that clearly displays the boundaries of characters when displaying OSD characters, and each line of the OSD characters in different col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SD device and method having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and line-by-line color display.

일반적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는 텔레비젼, 비디오, 엠펙(Moving Ficture Experts Group:MPEG) 및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 처리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기능 중 하나이다. 즉, OSD기능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위에 사용자가 정의한 문자 또는 기호의 비트맵(Bitmap)이 위치와 사이즈에 관계없이 표시되도록하는 기능이다. 또한, OSD 기능에는 자막 처리, 사용자 선택을 위한 표시 기능 등이 있다. 특히, 디지탈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나 일반 디지탈 카메라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통해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보여주는데, 이 때 화면에 현재의 기기 상태나 현재의 동작 모드 등 사용자가 알아야 할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해 OSD기능이 이용된다. On-Screen Display (OSD) is one of the essential functions in video processing such as television, video, Moving Ficture Experts Group (MPEG) and digital camera. That is, the OSD function allows a bitmap of a character or symbol defined by a user to be displayed on the area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size. In addition, the OSD function includes a caption processing, a display function for user sele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igital still camera or a general digital camera,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s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a view finder, and the user may select the current device status or the current operation mode on the screen. The OSD function is used to display a message that the user should know.

도 1(a)~(d)는 OSD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1(a)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나타내고, 1(b)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OSD문자를 나타내고, 1(c)는 모니터에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OSD문자를 나타내고, 1(d)는 영상 위에 복수 개의 라인으로 표시되는 OSD 문자열을 나타낸다. 1 (a) to (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OSD, 1 (a) represents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1 (b) represents the OSD character to display, 1 (c) Denotes an OSD character displayed with an image on a monitor, and 1 (d) denotes an OSD character string displayed as a plurality of lines on the image.

즉, OSD기능은 도 1(a)에 도시된 바탕 영상에 (b)와 같은 메세지를 표시하고자 할 때 (c)와 같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는 기능으로, 영상을 변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덧씌워 표시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되는 문자가 화면의 바탕색과 같은 색상일 경우에는 OSD문자의 식별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의 경계에 흑색을 표시하여 쉽게 식별되도록 하는데 이것을 OSD에서의 프린지(fringe) 기능이라고 한다.That is, the OSD function is a func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c) when the message shown in (b) is to b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image shown in FIG. 1 (a). It is put on display and can use conveniently. However, when the displayed text is the same color as the background color of the screen, the identification of the OSD text becomes difficul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b), black is displayed at the boundary of a character so that it is easily identified, which is called a fringe function in the OSD.

도 2(a)~(b)는 OSD의 프린지(Fringe)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2(a)는 문자'A'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발생부 즉, 문자 발생롬의 폰트 데이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2(b)는 1차원 프린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2(c)는 2차원 프린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 to 2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ringe function of an OSD, and 2 (a) shows a character generator for displaying a letter 'A', that is, font data of a character generator ROM. 2 (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ne-dimensional fringe function, and 2 (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function.

즉, 'A'라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문자 발생롬의 폰트 데이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도 2(b) 및 도 2(c)의 참조 번호 21은 바탕 화면을 나타내고, 22는 프린지를 나타내고, 24는 OSD폰트를 나타낸다. 도 2(b)에 도시된 1차원 프린지를 검출하여 'A'를 디스플레이하면, OSD폰트의 좌우에만 프린지가 생성되므로 도 2(c)에 도시된 2차원 즉, 상하 좌우의 프린지를 생성하는 경우에 비해 식별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display the letter 'A', the font data of the character generator ROM is shown as shown in Fig. 2A. 2 (b) and 2 (c),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background screen, 22 denotes a fringe, and 24 denotes an OSD font. When detecting the one-dimensional fringe illustrated in FIG. 2 (b) and displaying 'A', since the fringe is generat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SD font, the two-dimensional illustrated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discernment is lower than.

도 3은 일반적인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X-카운터 (312), Y-카운터(314), 어드레스 발생부(320), 프레임 버퍼(330), 문자 발생부(340), 병렬/직렬 변환부(350), 프린지 검출부(360), 신호 믹서(370)로 구성된다.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OSD device, including an X-counter 312, a Y-counter 314, an address generator 320, a frame buffer 330, a character generator 340,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350, the fringe detector 360, and the signal mixer 370 are configured.

도 3에 도시된 X-카운터(312)와 Y-카운터(314)는 화면 상에 OSD문자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영상의 스캔 신호에 동기되어 X좌표와 Y좌표를 카운팅한다. X-카운터(312)와 Y-카운터(314)의 출력은 어드레스 발생부(320)에서 디코딩되어 프레임 버퍼(330)의 어드레스로 생성되고, 프레임 버퍼(330)에서 출력된 문자 정보는 문자 발생부(340)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문자 발생부(340)는 문자 정보와 라인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어드레스의 비트 맵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비트맵은 워드 단위로 출력되고 병렬/직렬 변환부(350)에 의해 직렬 신호로 변환된다. 프린지 검출부(360)는 OSD문자의 경계를 선명하게 하고, 출력된 신호는 신호 믹서(370)에서 영상과 혼합되어 출력 단자 OUTPUT를 통하여 모니터로 출력된다. The X-counter 312 and the Y-counter 314 shown in FIG. 3 count X and Y coordinates in synchronization with a scan signal of an image to designate a position where an OSD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outputs of the X-counter 312 and the Y-counter 314 are decoded by the address generator 320 to generate an address of the frame buffer 330, and the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330 is a character generator. Is applied as an input of 340. The character generator 340 outputs a bit map of the corresponding address based on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line information. Here, the bitmap is output in word units and converted into a serial signal by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350. The fringe detector 360 sharpens the boundary of the OSD character, and the output signal is mixed with the image from the signal mixer 370 and output to the monitor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PUT.

도 4는 종래의 1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문자 발생부(410), 병렬/직렬 변환부(420), 프린지 검출부(430) 및 신호 믹서(440)로 이루어진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one-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nd includes a character generator 410, a parallel / serial converter 420, a fringe detector 430, and a signal mixer 440. Is done.

도 4의 프린지 검출부(430)는 병렬/직렬 변환부(420)에서 출력된 비트맵을 입력하여 각 픽셀 값을 논리 조합하고,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 즉, 1차원 프린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될 픽셀의 양 측면의 픽셀 값이 주어져야 한다. 즉, 앞의 픽셀이 OSD문자의 포그라운드이거나, 뒤의 픽셀이 OSD문자의 포그라운드이면, 현재 표시되는 픽셀은 프린지 픽셀이 된다. The fringe detector 430 of FIG. 4 inputs a bitmap output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420 to logically combine each pixel value, and generates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do.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the one-dimensional fringe function, pixel values of both sides of the pixel to be displayed must be given. That is, if the preceding pixel is the foreground of the OSD character or the latter pixel is the foreground of the OSD character, the currently displayed pixel becomes the fringe pixel.

도 5는 종래의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병렬/직렬 변환부(520), 제1라인 버퍼(530), 제2라인 버퍼(535), 프린지 검출부(540), 신호 믹서(550)로 이루어진다.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nd includes a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520, a first line buffer 530, a second line buffer 535, and a fringe detection unit ( 540, the signal mixer 550.

즉, 도 4에 도시된 1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는 OSD문자의 좌우 픽셀만을 참조하여 프린지를 판별해야 하므로 쉽게 구현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의 경우에는 좌우 뿐 아니라, 전 후 라인의 픽셀을 참조하여 프린지를 판별해야 하므로 장치를 구현하기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1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는 픽셀의 좌우 에만 경계가 형성되므로 식별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는 상하좌우에 모두 경계가 형성되어 식별력이 뛰어나지만 2라인 이상의 라인 버퍼를 내부에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회로의 사이즈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the OSD device having the one-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shown in FIG. 4 can be easily implemented since the fringe needs to be determined only by referring to the left and right pixels of the OSD character, but the OSD device hav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fringe must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pixels of the front and rear lines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device. That is, the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one-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identification power is lowered because the boundary is formed only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pixel. Although it is excell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circuit is increased because a line buffer of two or more lines must be provided inside.

한편,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또는 모니터에 복수 라인의 OSD문자를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선택된 OSD 문자 라인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d), when you want to display a plurality of lines of OSD text on the screen or monitor, it is convenient to distinguish the OSD text lines selected for the user interface to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도 6은 종래의 라인/문자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프레임 버퍼(600), 지연 버퍼(610), 문자 발생부(620), 병렬/직렬 변환부(630), 및 멀티플렉서(650)로 구성된다.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line / character color display function, and includes a frame buffer 600, a delay buffer 610, a character generator 620, and a parallel / serial converter. 630, and a multiplexer 650.

도 7(a) 및 7(b)는 도 6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600)에서 출력되는 AT (Attribute)코드와 CC(Character)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7(a)는 AT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8~11비트는 백그라운드(Bg) 즉, 프린지 색상을 나타내고, 12~15비트는 포그라운드(Fg) 즉, OSD폰트 색상을 나타낸다. 또한, 7(b)는 CC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0~7비트는 문자 코드를 나타내고, 제7비트는 블링크 코드를 나타낸다. 7 (a) and 7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T (Attribute) code and a CC (Character) code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600 shown in FIG. That is, Fig. 7 (a) shows the AT code in which 8 to 11 bits represent a background (Bg), that is, a fringe color, and 12 to 15 bits represent a foreground (Fg), that is, an OSD font color. In addition, 7 (b) is a figure which shows CC code, 0-7 bits represent a character code, and 7th bit represents a blink code.

즉, 도 6에 도시된 라인/문자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의 프레임 버퍼(60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포그라운드(FOREGROUND)와 백그라운드 (BACKGROUND) 색상을 지정하는 AT 코드와, OSD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자 코드로 이루어진다. 지정된 위치의 AT코드와 CC코드는 동시에 프레임 버퍼(600)로부터 독출되고, CC코드는 문자 발생부(620)와 병렬/직렬 변환부(630)를 거쳐 문자의 비트맵으로 디코딩되고, 동시에 AT코드는 지연 버퍼(610)에서 소정 시간 지연되어 문자 코드와 동기를 이룬다. 멀티플렉서(650)는 지연 버퍼(610)에서 출력된 포그라운드 색상 및 백그라운드 색상을 입력하고, 병렬/직렬 변환부(630)에서 출력된 비트맵에 응답하여 출력 단자 OUT1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at is, the data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600 of the OSD device having the line / character color display function shown in FIG. 6 includes an AT code for designating the foreground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BACKGROUND) colors, and the OSD character. It consists of a character code to display. The AT code and CC code of the designated position are simultaneously read from the frame buffer 600, and the CC code is decoded into a bitmap of characters via the character generator 620 and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630, and at the same time, the AT code Is delayed a predetermined time in the delay buffer 610 to synchronize with the character code. The multiplexer 650 inputs the foreground color and the background color output from the delay buffer 610 and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color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1 in response to the bitmap output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630.

그러나, 일반적으로 OSD에서는 라인별 색상을 달리 표시하는 대신 깜박임(BLINKING)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 버퍼의 사이즈가 커져야하고 특히 내장형 OSD의 경우에는 더 소형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OSD장치는 라인별 색상을 변화시킨 다기보다는 문자별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디지탈 스틸 카메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경우에 잘 이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however, the OSD uses BLINKING instead of displaying the line-by-line colors differently. In additio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frame buffer must be large, and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built-in OSD must be smaller.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OSD device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color by character rather than changing the color by line, and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used in most cases including a digital still camera.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두 블럭으로 분리된 문자 발생부에서 각각 순차적인 라인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라인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2차원 프린지를 검출할 수 있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two-dimensional fringes without using a line buffer by outputting sequential line information from a character generator divided into two blocks. It is to provide a 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2기술적 과제는 상기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screen display method performed in the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3기술적 과제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라인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 thir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line-by-line color display function that can display on-screen display characters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line using a lookup ta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4기술적 과제는, 상기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 fourth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screen display method performed in the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the color display function for each line.

상기 제1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는, 소정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문자 발생 수단, 제1문자 발생 수단에 저장된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2문자 발생 수단, 제1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1문자 발생 수단의 소정 어드레스 또는 어드레스보다 상위의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제2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2문자 발생 수단의 소정 어드레스 또는 어드레스보다 하위의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 제1및 제2문자 발생 수단에서 출력된 4 라인의 데이타를 입력으로하고, 제3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4라인 중 3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멀티플렉서, 데이타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3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각각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수단, 및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OSD폰트 설정 신호 및 OSD구간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프린지 검출 수단, 및 OSD 폰트 설정 신호 및 OSD구간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OSD 문자와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 혼합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the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dress, and outputs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address. A 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for storing two lines of font data sequentially connected to two lines of font data stored in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outputting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address; A first address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predetermined address or an address higher than the address in response to the first address selection signal, a predetermined address of the second character generation means in response to the second address selection signal, or A second address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lower than the address; A data multiplexer for inputting four lines of data output from the 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outputting font data of three of four lines in response to the third address selection signal, and three lines of font data output from the data multiplexer Parallel / seri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o serial data, and fringe detection means for inputting serial data to generate an OSD font setting signal and an OSD interval setting signal, and OSD characters in response to the OSD font setting signal and the OSD interval setting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ignal mixing means selectively outputs the video signal.

상기 제2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방법은, (a)분리된 각 문자 발생 수단으로부터 각각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데이타를 구성하는 단계, 출력하고자하는 OSD 폰트 라인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OSD폰트 라인이 선택되었으면, OSD폰트 라인과 라인의 전, 후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 각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조합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OSD 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OSD 문자를 출력하고자하면, OSD 폰트와 프린지 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d)OSD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the OSD method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onfiguring the data to output two lines of font data from each of the separated character generating means. Determining whether an OSD font line is selected, if an OSD font line is selected, outputting font data of an OSD font line and a line before and after a line, and setting on-screen display fonts by combining font data of each line Generating a signal and an on-screen display section setting signal, (b)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n OSD character, (c) selectively outputting an OSD font and a fringe font, if desired to output the OSD character, and (d) In order not to output the OSD charac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video signal is output.

상기 제3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는, 소정의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OSD 문자의 문자 코드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 프레임 버퍼에서 출력된 문자 코드에 상응하는 병렬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문자 발생 수단,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수단,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논리 조합하고, 논리 조합된 결과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 또는 OSD구간 설정 신호로서 생성하는 프린지 검출 수단, 하나 이상 복수 라인의 각 OSD문자들을 라인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선택하는 라인별 색상 선택 수단, 및 OSD 폰트 설정 신호 또는 OSD 구간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색상을 갖는 OSD 문자 또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 신호 혼합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the OSD device having a line-by-line color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uffer for storing a character code of an OSD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dress, and a character code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Characte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parallel data, parallel / seri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parallel data to serial data, and logic combination by inputting serial data, and generating the logical combined result as an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or OSD section setting signal. Fringe detection means, line-by-line color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each OSD character of one or more lines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line, and OSD character or video signal having a selected color in response to an OSD font setting signal or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signal mixing means which selectively output | transformed.

상기 제4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방법은, 한 라인의 OSD문자열을 카운팅하는 단계, 한 라인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한 라인이 경과되었으면, 룩업 테이블로부터 미리 지정된 OSD 문자의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색상을 선택하는 단계, (e)OSD 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OSD 문자를 출력하려면, 포그라운드 색상을 갖는 OSD폰트 또는 백그라운드 색상을 갖는 프린지 폰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e)단계에서 OSD 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task, the OSD method having a color display function for each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unting an OSD string of one line, determining whether one line has elapsed, and if one line has elapsed, a lookup Selecting a foreground and background color of a predetermined OSD character from a table; (e)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OSD character and outputting the OSD character, an OSD font having a foreground color or a fringe font having a background colo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selecting, and (e) do not output the OSD character,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SD device and method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5), 제1문자 발생부(810), 제2문자 발생부(815), 데이타 멀티플렉서 (820), 병렬/직렬 변환부(830), 프린지 검출부(840), 신호 믹서(88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데이타 멀티플렉서(820)는 3개의 멀티플렉서들(822, 824, 826)로 이루어지고, 병렬/직렬 변환부(830)는 3개의 병렬/직렬 변환부들(831, 832, 834)로 이루어진다. 프린지 검출부(840)는 플립플롭들(842,844,846), 플립플롭들 (852, 854, 856), 플립플롭들(862, 864, 866) 및 오아 게이트(870)로 이루어지고, 신호 믹서(880)는 멀티플렉서(882)와 멀티플렉서(884)로 이루어진다.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dress multiplexer 800,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805, and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 810, a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a data multiplexer 820, a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0, a fringe detector 840, and a signal mixer 880. Here, the data multiplexer 820 is composed of three multiplexers 822, 824, and 826, and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0 is composed of three parallel / serial converters 831, 832, and 834. The fringe detector 840 is comprised of flip-flops 842, 844, 846, flip-flops 852, 854, 856, flip-flops 862, 864, 866, and OR gate 870. It consists of a multiplexer 882 and a multiplexer 884.

즉, 도 8에 도시된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는 어드레스 발생부 (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임의의 어드레스(ADD)와 하나 증가된 어드레스(ADD+1)을 각각 입력으로하고, 제1어드레스 선택 신호(AS1)에 응답하여 임의의 어드레스(ADD) 또는 증가된 어드레스(ADD+1)을 선택적으로 제1문자 발생부(810)로 출력한다. 또한,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815)는 임의의 어드레스(ADD)와 하나 감소된 어드레스(ADD-1)를 각각 입력으로하고, 어드레스 선택 신호(AS2)에 응답하여 임의의 어드레스(ADD) 또는 감소된 어드레스(ADD-1)를 선택적으로 제2문자 발생부(815)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임의의 어드레스(ADD)는 각각 제1문자 발생부(810)와 제2문자 발생부(815)의 두 라인 씩의 데이타를 지정하는 어드레스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제1문자 발생부(810)와 제2문자 발생부(8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롬 또는 램으로 구현되며, 종래의 롬과 달리 2개의 블럭으로 분리되어 각각 데이타를 저장한다. 데이타 멀티플렉서(820)의 각 멀티플렉서들 (822, 824, 826)은 제1문자 발생부(810)에서 출력되는 두 라인의 데이타(D0, D1)과 제2문자 발생부(815)에서 출력되는 두 라인의 데이타(D2, D3)를 각각 조합한 4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입력하고, 선택 신호(AS3)에 응답하여 입력된 4라인의 데이타 중 한 라인 씩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이 데이타 멀티플렉서(820)는 4:3멀티플렉서이며, 입력된 4라인의 데이타 중 OSD폰트를 표시할 라인과 그 전, 후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한다. 각 병렬/직렬 변환부(830)는 3개의 병렬/직렬 변환부(831, 832, 834)로 구성되고, 각각의 멀티플렉서(831, 832 834)는 각각 데이타 멀티플렉서(820)에서 출력된 3라인의 병렬 폰트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한다. 프린지 검출부(840)는 병렬/직렬 변환부(830)에서 출력된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OSD폰트 설정 신호 (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 즉, 제1병렬/직렬 변환부(831)와 연결된 플립플롭(842, 844, 846)은 프린지의 크기를 결정하며, 각각의 출력은 OSD구간 설정 신호(870)를 생성하는 오아 게이트(870)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제2병렬/직렬 변환부(832)의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플립플롭(852)과 그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플립플롭들(854, 856)의 출력도 마찬가지로 오아 게이트(870)의 입력으로 인가되어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제3병렬/직렬 변환부(834)의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플립플롭(862)과, 그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플립플롭(864) 및 플립플롭(864)의 출력을 입력으로하는 플립플롭(866)의 출력도 오아 게이트(870)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여기에서 플립플롭(852)의 출력을 OSD폰트 설정 신호(OSDC)로 정의하면, 앞 뒤의 폰트들은 프린지를 표시할 폰트라는 것이 정의되고, 오아 게이트(870)는 각각 OSD폰트의 상하좌우의 폰트들을 논리합 함으로써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 프린지 검출부(880)에서 생성된 OSD폰트 설정 신호(OSDC) 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는 OSD장치의 신호 믹서(880)로 입력되어 프린지 폰트, OSD폰트 또는 영상 신호(IMAGE)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멀티플렉서(882)는 OSD폰트 설정 신호(OSDC)에 응답하여 프린지 폰트 또는 OSD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멀티플렉서(884)는 OSD구간 설정 신호(OSDP)에 응답하여 멀티플렉서 (882)의 출력과 영상 신호를 출력 단자 OUT를 통하여 모니터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at is, the first address multiplexer 800 shown in FIG. 8 receives an arbitrary address ADD generated from an address generator (not shown) and an address increased by one, ADD + 1, respectively, and the first address is inpu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S1, an arbitrary address ADD or an incremented address ADD + 1 is selectively output to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In addition,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815 receives an arbitrary address ADD and one reduced address ADD-1, respectively, and receives an arbitrary address ADD or a reduced value in response to the address selection signal AS2. The address ADD-1 is selectively output to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Here, the arbitrary address ADD is an address for designating two lines of data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shown in FIG. 8 are embodied as a ROM or a RAM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ROM,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are separated into two blocks, respectively. Save it. Each of the multiplexers 822, 824, and 826 of the data multiplexer 820 includes two lines of data D0 and D1 output from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wo outputs from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Four lines of font data, each of which combines the data of lines D2 and D3, are input, and information of one line of the input four lines of data is selectively outpu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S3. In other words, the data multiplexer 820 is a 4: 3 multiplexer, and outputs font lines of lines before and after the OSD font among the input four lines of data. Each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0 is composed of three parallel / serial converters 831, 832, and 834, and each of the multiplexers 831, 832 834, respectively, has three lines of output from the data multiplexer 820. Convert parallel font data to serial data. The fringe detector 840 inputs serial data output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0 to generate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That is, the flip-flops 842, 844, and 846 connected to the first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1 determine the size of the fringe, and each output of the OR gate 870 generates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870. Is applied as input. The output of the flip-flop 852 that takes the output of the second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2 and the flip-flops 854, 856 that take the output thereof is similarly applied to the input of the OR gate 870. Generates an OSD section setup signal (OSDP). Similarly, a flip-flop 862 that takes an output of the third parallel / serial converter 834 and a flip-flop that takes an output of the flip-flop 864 and a flip-flop 864 as an input. The output of 866 is also applied to the input of the OR gate 870. Here, if the output of the flip-flop 852 is defined as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it is defined that the front and rear fonts are fonts to display fringes, and the OR gates 870 are fonts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SD font, respectively. By ORing them,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is generated.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generated by the fringe detector 880 are input to the signal mixer 880 of the OSD device to selectively output a fringe font, an OSD font, or an image signal IMAGE. do. That is, the multiplexer 882 selectively outputs a fringe font or an OSD font in response to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the multiplexer 884 is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of the multiplexer 882 in response to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The video signal is selectively output to the monitor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도 9(a)~(c)는 도 8에 도시된 분리된 문자 발생부(810, 815)의 폰트 데이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9(a)는 종래의 문자'A'를 표시하기 위한 폰트 데이타를 나타내고, 9(b)와 9(c)는 각각 분리된 제1문자 발생부(810)와 제2문자 발생부(815)에 저장되는 문자 'A'에 대한 폰트 데이타를 나타낸다. 9A to 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font data of the separated character generators 810 and 815 shown in FIG. 8, and FIG. 9A shows a conventional character 'A'. Font data is shown, and 9 (b) and 9 (c) indicate font data for the letter 'A' stored in the separated first and second character generators 810 and 815, respectively.

즉, 도 9(a)에 도시된 종래의 문자 발생부의 제1라인과 제2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제1문자 발생부(810)의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저장되도록 하고, 9(a)에 도시된 종래의 문자 발생부의 제3라인과 제4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제2문자 발생부(815)의 제1라인과 제2라인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9(a)의 제5라인과 6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제1문자 발생부(810)의 제3라인과 제4라인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각 문자 발생부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제1문자 발생부(810)또는 제2문자 발생부(815)의 두 라인 씩의 폰트 데이타를 하나의 어드레스로 설정한다.That is, font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of the conventional character generator of FIG. 9A i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lines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9 (a The font data of the third and fourth lines of the conventional character generator shown in FIG. 6 are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lines of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In addition, the font data of the fifth and sixth lines of 9a may be stored in the third and fourth lines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The data is stored in each of the character generators separated in this manner, and the font data of two lines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or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is set to one address.

도 10(a)~(d)는 도 8에 도시된 OSD 장치의 신호 믹서(880)에서 출력되는 각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10(a)는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나타내고, 10(b)는 OSD폰트 설정 신호(OSDC)를 나타내고, 10(c)는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나타내고, 10(d)는 구간 별 출력 신호를 나타낸다. 10 (a) to 10 (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ignals output from the signal mixer 880 of the OSD device shown in FIG. 8, wherein 10 (a) shows an output image signal and 10 (b). ) Indicates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10 (c) indicates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and 10 (d) indicates an output signal for each section.

즉,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에 도시된 영상 신호는 모든 구간에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ODS구간 선택 신호(OSDC)의 값이 1이면, OSD폰트가 출력되는 구간이다. 또한, 10(c)에 도시된 OSD구간 설정 신호(OSDP)의 값이 1이면 OSD폰트와 프린지 폰트가 출력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OSD폰트 설정 신호(OSDC)가 0이고, OSD구간 설정 신호(OSDP)가 1인 구간이 프린지 구간이 된다. 또한,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가 모두 0인 구간이 영상 신호의 출력 구간이다. 도 10(d)에는 각각의 OSDP와 OSDC의 상태에 따라 구간별 영상, 프린지, OSD폰트가 출력되는 것이 잘 나타나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video signal shown in FIG. 10 (a) is output in all sections. 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the ODS section selection signal OSDC shown in FIG. 10 (b) is 1, the OSD font is output. In addition, if the value of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shown in 10 (c) is 1, the OSD font and the fringe font are output. Therefore, the section in which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is 0 and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is 1 becomes a fringe section. In addition, the section in which both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are 0 is an output section of the video signal. In FIG. 10 (d), it is well illustrated that an image, a fringe, and an OSD font are output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each OSDP and OSDC.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OSD의 2차원 프린지 검출 장치에서 수행되는 프린지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분리된 문자 발생부에서 각각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데이타를 구성하는 단계(제81단계), OSD 폰트를 출력할 라인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선택되었으면 OSD폰트를 출력할 라인과 전, 후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제82~84단계), 출력된 3라인의 폰트 데이타들로부터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하는 단계(제84단계), OSD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OSD문자를 출력하려면 OSD폰트와 프린지 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OSD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제85~87단계)로 구성된다. FIG. 11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fringe detection method performed in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apparatus of the OSD shown in FIG. 8, in which data is configured to output two lines of font data in a separate character generator (FIG. Step 81), it is determined whether a line for outputting the OSD font is selected, and if it is selected, outputting font data of two lines before and after the OSD font is output (steps 82 to 84), and outputting 3 Generating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from the font data on the line (step 84),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OSD text, and outputting the OSD font and fringe. Optionally outputting fonts and outputting video signals (steps 85 to 87) in order not to output OSD characters.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의 동작 및 OSD 방법에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OSD method of the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는 문자 발생부 즉, 문자 발생롬을 두 개로 분리하여 도 9(b) 및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를 저장한다. 즉, 분리된 문자 발생부(810 또는 815)에서 각각 2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데이타를 구성한다(제81단계). 데이타가 구성되면 출력할 OSD폰트의 라인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제82단계), 만약 선택 되었으면 출력할 OSD폰트 라인과, 그 OSD폰트 라인의 전후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함께 출력한다(제83단계). As described above, the OSD device hav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data as shown in FIGS. 9 (b) and 9 (c) by separating the character generator, that is, the character generator ROM into two. . That is, the data is configured so that the separated character generator 810 or 815 outputs font data of two lines, respectively (step 81). If the data is configu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ine of the OSD font to be output is selected (step 82), and if selected, the font font of the OSD font line to be output and the font data of two lines before and after the OSD font line are output together (step 83). step).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제1문자 발생부(810)에서 출력되는 두 라인의 데이타를 각각 D0, D1이라 하고, 제2문자 발생부(815)에서 출력된 두 라인의 데이타를 각각 D2, D3라 설정한다. 이 때 데이타 멀티플렉서(820)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AS3)와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 및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5)에 인가되는 선택 신호(AS1, AS2)에 응답하여 OSD 폰트가 출력될 라인과 그 전후 라인의 폰트 데이타 즉, 3라인의 폰트 데이타가 출력된다. 여기에서. 선택 신호(AS3, AS1, AS2)는 문자 발생부(810, 815)에 입력되는 어드레스를 조합한 신호로서, 만약, 8*8폰트라 가정하면, 3비트의 어드레스 A2,A1,A0 중 최상위 비트A2를 제외한 A0와 A1으로 조합된다. 여기에서 선택 신호(AS3)는 두 어드레스 비트(A1, A0)로 표현되는 11, 10, 01, 00가 될 수 있고, 선택 신호(AS1)는 11을 나타내고, 선택 신호(AS2)는 어드레스 비트가 00인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11은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폰트 데이타 라인 중 가장 높은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00는 가장 낮은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In more detail, first, two lines of data output from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re called D0 and D1, respectively, and two lines of data output from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are respectively D2, Set to D3. In this case, the OSD font is outpu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S3 input to the data multiplexer 820 and the selection signals AS1 and AS2 applied to the first address multiplexer 800 and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805. And font data on the front and back lines, that is, font data on three lines. From here. The selection signals AS3, AS1, and AS2 are signals obtained by combining addresses input to the character generators 810 and 815. If the 8 * 8 font is assumed,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three-bit addresses A2, A1, and A0 is used. Combined with A0 and A1 except A2. The selection signal AS3 may be 11, 10, 01, 00 represented by two address bits A1 and A0, the selection signal AS1 indicates 11, and the selection signal AS2 indicates that the address bit 00 indicates the case. Here, 11 represents the highest address among font data lines for displaying one character, and 00 represents the lowest address.

즉, 문자 발생부(810 또는 815)에 저장된 데이타의 어드레스가 01, 10을 갖는 경우 즉, 상기의 도 2(c)를 참조할 때 최상위 또는 최하위의 위치가 아닌 경우를 설명한다.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는 어드레스 선택 신호(AS1)가 11인 경우가 아니므로 원래의 어드레스(ADD)가 선택되어 각각 제1문자 발생부(810)와 제2문자 발생부(820)의 어드레스(ADD)에 상응하는 폰트 데이타 라인을 출력하게 된다. 즉, 제1문자 발생부(810)의 어드레스(ADD)에 상응하는 두 라인(D0, D1)의 정보와 제2문자 발생부(815)의 어드레스(ADD)에 상응하는 두 라인(D2, D3) 정보가 데이타 멀티플렉서(820)로 입력된다. 따라서, 데이타 멀티플렉서(820)의 각 멀티플렉서들(822, 824, 826)에서는 각각 D0, D1, D2라는 데이타가 순차적으로 출력되거나, D1, D2, D3라는 데이타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병렬/직렬 변환부 (830)로 각각 입력된다. 이 때 출력될 OSD 폰트 라인이 D1 또는 D2가 되어 전, 후 라인의 폰트 데이타와 함께 병렬/직렬 변환부(830)로 출력된다. That is, the case where the address of the data stored in the character generator 810 or 815 has 01 or 10, that is, the case where the address is not the highest or lowest position when referring to FIG. In the first address multiplexer 800, since the address selection signal AS1 is not 11, the original address ADD is selected so that the addresses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20 are respectively. Outputs a font data line corresponding to (ADD). That is, the information of two lines D0 and D1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DD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two lines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DD of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ata multiplexer 820. Therefore, in each of the multiplexers 822, 824, and 826 of the data multiplexer 820, data D0, D1, and D2 are sequentially output, or data such as D1, D2, and D3 are sequentially output, and the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83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OSD font line to be output becomes D1 or D2 and is output to the parallel / serial converting unit 830 together with the font data of the previous and subsequent lines.

한편, 선택 신호(AS3)가 00이거나 11인 경우의 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 805) 및 데이타 멀티플렉서(82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택 신호(AS3)가 11인 경우를 예를 들면, 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0)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AS1)가 11이므로 원래의 어드레스보다 하나 상위의 어드레스(ADD+1)가 선택되어 제1문자 발생부(810)의 어드레스(ADD+1)에 상응하는 D0과 D1의 라인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5)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AS1)는 00인 경우가 아니므로 제2문자 발생부(815)는 원래의 어드레스(ADD)에 상응하는 라인 정보(D2, D3)를 출력한다. 따라서, 데이타 멀티플렉서(820)는 선택 신호(AS3)에 응답하여 제1문자 발생부(810)의 어드레스(ADD+1)에 해당하는 라인(D0)의 폰트 데이타와 제2문자 발생부(815)의 어드레스(ADD)에 해당하는 라인(D2, D3)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라인 정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택 신호(AS3)가 00인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속적인 라인 정보 즉, OSD 폰트를 표시할 라인과, 그 라인의 전후 라인의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805)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AS2)가 00이므로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AS2)에 입력된 원래의 어드레스(ADD)보다 한 단계 낮은 어드레스(ADD-1)가 선택되고, 제2문자 발생부(815)에서는 입력된 어드레스(ADD-1) 에 해당하는 라인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그 이후의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한 과정과 같으며, 데이타 멀티플렉서 (820)에서 출력된 각 라인의 폰트 데이타는 병렬/직렬 변환부(830)의 각 블럭(831, 832, 834)으로 인가되어 직렬 데이타로 변환된다.Meanwhile, operations of the address multiplexers 800 and 805 and the data multiplexer 820 when the selection signal AS3 is 00 or 11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signal AS3 is 11, since the selection signal AS1 input to the address multiplexer 800 is 11, an address ADD + 1 higher than the original address is selected to generate the first character. The line information of D0 and D1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DD + 1 of the unit 810 is output. In addition, since the selection signal AS1 input to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805 is not 00,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receives line information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address ADD. Output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AS3, the data multiplexer 820 receives the font data of the line D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DD + 1 of the first character generator 810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The font data of the lines D2 and D3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DD may be output, and as shown in FIG. 9, the font data may be continuous line inform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selection signal AS3 is 00, continuous line information, that is, lines for displaying OSD fonts and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lines are outp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selection signal AS2 input to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805 is 00, the address ADD-1 one level lower than the original address ADD input to the second address multiplexer AS2 is selecte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or 815 outputs li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address ADD-1. Subsequent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font data of each line output from the data multiplexer 820 is applied to each block 831, 832, and 834 of the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830 and serialized. Converted to data.

직렬 변환된 데이타는 프린지 검출부(840)에 입력되어 OSD폰트 설정 신호(OSDC)및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제84단계). 프린지 검출부(840)의 플립플롭(854)의 출력이 OSD의 폰트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OSD폰트 설정 신호(OSDC)로서 신호 믹서(880)에 입력된다. OSD구간 설정 신호(OSDP)는 오아 게이트에서 모든 플립플롭의 출력을 논리합함으로써 생성된다. 신호 믹서(880)는 입력된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입력하여 OSD문자를 출력할 것인지 영상 신호(image)를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모니터에 OSD문자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고(제85단계), OSD문자를 출력하려면 OSD폰트와 프린지 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제86단계). 만약, OSD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모니터에 영상 신호만을 출력한다(제87단계).The serially converted data is input to the fringe detector 840 to generate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step 84). Since the output of the flip-flop 854 of the fringe detector 840 is defined by the font of the OSD, it is input to the signal mixer 880 as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is generated by ORing the outputs of all flip-flops at the OR gate. The signal mixer 880 inputs an input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an OSD character or an image signal.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o output the OSD text on the monitor (step 85), and selectively outputs the OSD font and fringe font to output the OSD text (step 86). If no OSD text is to be output, only the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monitor (step 87).

즉, 제4멀티플렉서(882)는 프린지 폰트(fringe)와 OSD폰트를 입력하고, OSD폰트 설정 신호(OSDC)에 응답하여 프린지 폰트 또는 OSD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4멀티플렉서(884)는 제2멀티플렉서(882)의 출력과 영상 신호(image)를 입력하고, OSD구간 설정 신호(OSDP)에 응답하여 입력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한다. 만약, OSD폰트 설정 신호(OSDC)가 1이면 출력 단자 OUT를 통하여 OSD 폰트가 출력된다. 또한, OSD구간 설정 신호(OSDP)과 OSD폰트 설정 신호(OSDC)가 1이면, OSD폰트가 출력되고, OSD 구간 설정 신호(OSDP)가 1일때 OSD폰트 설정 신호 (OSDC)가 0이면 프린지 폰트가 출력된다. 또한,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가 모두 0이면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That is, the fourth multiplexer 882 inputs a fringe font and an OSD font, and selectively outputs a fringe font or an OSD font in response to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The fourth multiplexer 884 inputs the output of the second multiplexer 882 and an image signal, and selectively outputs the in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If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is 1, the OSD font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Also, when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and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re 1, the OSD font is output. When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is 1,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is 0, the fringe font is displayed. Is output. In addition, if both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are 0, an image signal is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 및 방법은 라인 버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의 사이즈가 상당히 축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SD device and method hav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circuit can be considerably reduced because no line buffer is us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SD device and method having a color display function for each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어드레스 발생부(900), 프레임 버퍼(910), 문자 발생부(920), 병렬/직렬 변환부(930), 라인별 색상 선택부(940), 프린지 검출부 (950) 및 신호 믹서(96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라인별 색상 선택부(940)는 포그라운드(Fg)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2), 백그라운드(Bg)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4), 로우 카운터(948) 및 제1멀티플렉서(946)로 이루어지고, 신호 믹서(960)는 제2멀티플렉서(962)와 제3멀티플렉서(964)로 이루어진다. 1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SD device having a color display function for each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address generator 900, a frame buffer 910, a character generator 920, and parallel / serial conversion are shown. The unit 930 includes a line color selection unit 940, a fringe detector 950, and a signal mixer 960. Here, the line-by-line color selector 940 includes a foreground (Fg) lookup table register 942, a background (Bg) lookup table register 944, a row counter 948, and a first multiplexer 946. The signal mixer 960 includes a second multiplexer 962 and a third multiplexer 964.

도 12에 도시된 어드레스 발생부(900)는 입력 단자 IN1을 통하여 OSD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X좌표의 카운팅 값을 입력하고, 입력 단자 IN2를 통하여 OSD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Y좌표의 카운팅 값을 입력한다. 따라서, 어드레스 발생부(900)는 입력되는 X좌표와 Y좌표의 카운팅 값에 상응하는 프레임 버퍼(910)의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프레임 버퍼(910)는 일반적으로 램으로 구현되며,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어드레스 발생부(900)에서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응 하는 위치에서의 CC코드 및 AT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프레임 버퍼(910)에서 출력된 CC코드는 문자 발생부(920)와 블링크 제어부(미도시)로 출력된다. The address generator 900 shown in FIG. 12 inputs the counting value of the X coordinate for displaying the OSD character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and the counting value of the Y coordinate for displaying the OSD character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2. do. Accordingly, the address generator 900 generates an address of the frame buffer 910 corresponding to the counting value of the input X coordinate and the Y coordinate. The frame buffer 910 is generally implemented as a RAM and is a memory for storing image signals in units of frames. The frame buffer 910 generates a CC code and an AT code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address designated by the address generator 900. In addition, the CC code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910 is output to the character generator 920 and the blink controller (not shown).

여기에서, 문자 발생부(920)는 프레임 버퍼(910)에서 출력된 N비트의 폰트 데이타 즉,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문자를 나타내는 병렬 CC코드를 병렬/직렬 변환부(930)로 출력한다. 병렬/직렬 변환부(930)는 입력된 병렬 데이타를 직렬로 변환하여 비트맵을 생성한다. 직렬로 변환된 비트맵은 프린지 검출부(950)로 입력되어 각각 OSD폰트 설정 신호(OSDC)와 OSD구간 설정 신호(OSDP)를 생성한다. Herein, the character generator 920 outputs N-bit font data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910, that is, a parallel CC code representing a character to be displayed, to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930.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930 converts the input parallel data into serial to generate a bitmap. The serially converted bitmap is input to the fringe detector 950 to generate an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and an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respectively.

또한, 도 12에 도시된 라인별 색상 선택부(940)는 OSD문자의 라인별 색상을 선택하는 블럭으로서, 로우 카운터(948)는 수평 동기 신호(HS)를 이용하여 하나의 OSD문자 라인에 해당하는 문자 열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는 제3멀티플렉서 (946)의 선택 신호로서 입력된다.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2 및 944)는 OSD문자 라인 별로 표시하고자 하는 프린지 폰트의 색상(Bg)과 OSD폰트의 색상(Fg)들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즉,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2 및 944)는 각각의 OSD문자의 백그라운드 색상과 포그라운드 색상을 테이블화하여 설정한 레지스터로서, 그 출력은 제3멀티플렉서(946)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또한, 백그라운드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4)는 각각의 OSD문자의 프린지 폰트의 색상을 테이블화하여 설정한 레지스터로서, 그 출력은 제1멀티플렉서(946)의 다른 입력으로 인가된다. 제1멀티플렉서(946)는 로우 카운터(948)에서 출력된 로우 카운팅 값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라인별 포그라운드 색상 또는 백그라운드 색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신호 믹서(960)의 제2멀티플렉서(962)는 프린지 검출부(950)에서 출력된 OSD폰트 설정 신호(OSDC)에 응답하여 선택된 백그라운드 색상 또는 포그라운드 색상을 제3멀티플렉서(964)로 출력한다. 또한, 제3멀티플렉서(964)는 OSD구간 설정 신호(OSDP)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 또는 제2멀티플렉서(962)의 출력을 출력 단자 OUT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ine color selection unit 940 shown in FIG. 12 is a block for selecting the line color of the OSD text, and the row counter 948 corresponds to one OSD text line us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 The counted strings are counted and the counted result is input a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third multiplexer 946.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lookup table registers 942 and 944 preset and store the color Bg of the fringe font to be displayed for each OSD character line and the color Fg of the OSD font. That is, the lookup table registers 942 and 944 are registers set by tabulating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foreground color of each OSD character, and the output is applied to the input of the third multiplexer 946. Further, the background lookup table register 944 is a register set by tabulating the color of the fringe font of each OSD character, and its output is applied to another input of the first multiplexer 946. The first multiplexer 946 selectively outputs a preset line-by-line foreground color or background color in response to the low counting value output from the row counter 948. The second multiplexer 962 of the signal mixer 960 outputs the selected background color or foreground color to the third multiplexer 964 in response to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output from the fringe detector 950. In addition, the third multiplexer 964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of the video signal or the second multiplexer 962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in response to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장치의 동작 및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method of the OSD device having the line-by-line color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OSD의 라인별 색상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색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한 라인의 OSD문자열을 카운팅하는 단계(제91단계), 한 라인의 OSD문자열이 경과되었으면 룩업 테이블로부터 미리 설정된 포그라운드 색상과 백그라운드 색상을 선택하는 단계(제92~93단계), OSD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OSD문자를 출력하려면 선택된 Fg, Bg색상을 갖는 OSD문자를 출력하고, OSD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제94~96단계)로 구성된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lor display method performed in the line-by-line color display device of the OSD shown in FIG. 12, in which an OSD string of one line is counted (step 91); If it has elapsed, select the preset foreground and background colors from the lookup table (steps 92-93),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OSD text, and display the OSD text with the selected Fg and Bg colors to output the OSD text.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steps 94 to 96) in order not to output the OSD text.

우선, 화면의 X, Y카운팅 값에 의해 어드레스 발생부(900)에서 발생된 소정의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OSD문자 정보가 프레임 버퍼(910)로부터 출력되면, 문자 발생부(920)는 입력된 CC코드에 해당하는 OSD문자를 생성하여 병렬/직렬 변환부(930)에서 직렬로 변환하여 비트맵을 형성한다. 이 때 수평 동기 신호(HS)를 이용하여 로우 카운터(948)는 한 라인의 OSD문자열을 카운팅하고(제91단계), 카운팅된 결과는 제1멀티플렉서(948)의 선택 신호로 인가된다. 제1멀티플렉서 (946)는 인가된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라인별로 미리 설정된 Fg, 및 Bg 색상을 선택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g룩 업 테이블 레지스터(942)와 Bg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4)에는 라인 별로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색상이 저장되어 있다.First, when OSD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dress generated by the address generator 900 is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910 by X and Y counting values of the screen, the character generator 920 inputs the input CC code. An OS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SD characters is generated to be serially converted by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930 to form a bitmap. At this time, the row counter 948 counts an OSD string of one line us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 (step 91), and the counted result is applied as a selection signal of the first multiplexer 948. The first multiplexer 946 selects a preset Fg and Bg color for each line in response to the applied selection signal. As illustrated in FIG. 12, a plurality of preset colors are stored in the Fg lookup table register 942 and the Bg lookup table register 944 for each line.

즉, 백그라운드 룩 업 테이블 레지스터(942)와 포그라운드 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4)에 저장된 각 OSD문자 라인의 백그라운드 색상과 포그라운드 색상을 멀티플렉서(946)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백그라운드 색상은 OSD문자 표현시의 프린지 색상을 나타내고, 포그라운드 색상은 OSD폰트의 색상은 나타낸다. 따라서, 로우 카운터(948)는 카운팅된 값에 따라서 한 라인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제92단계). 여기에서 만약 한 라인이 경과되었으면, 로우 카운터(948)는 카운팅된 값을 제1멀티플렉서(946)의 선택 신호로 인가한다. 따라서, Fg, Bg룩업 테이블 레지스터(942, 944)로부터 출력하고자하는 OSD문자의 한 라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Bg 색상과 Fg색상을 선택하여 신호 믹서(960)로 출력한다(제93단계). 즉, 병렬/직렬 변환부(930)에서 직렬로 변환된 비트맵은 프린지 검출부(950)에서 생성된 OSD폰트 설정 신호(OSDC)로서 1일 때 OSD문자의 비트 맵 즉, OSD폰트가 출력되고, OSD폰트 설정 신호(OSDC)가 0이면, 프린지 또는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That is,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foreground color of each OSD character line stored in the background lookup table register 942 and the foreground lookup table register 944 are output to the multiplexer 946. Here, the background color represents the fringe color when the OSD text is displayed, and the foreground color represents the color of the OSD font. Accordingly, the row counter 948 determines whether one line has elapsed according to the counted value (step 92). Here, if one line has passed, the low counter 948 applies the counted value as the select signal of the first multiplexer 946. Accordingly, the preset Bg color and the Fg color corresponding to one line of the OSD character to be output from the Fg and Bg lookup table registers 942 and 944 are selected and output to the signal mixer 960 (step 93). That is, when the bitmap converted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930 to the serial is 1 as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generated by the fringe detector 950, the bitmap of the OSD character, that is, the OSD font, is output. If the OSD font setting signal OSDC is 0, a fringe or video signal is output.

신호 믹서(960)의 제2멀티플렉서(962)에서 출력된 OSD문자의 비트맵은 최종 출력 블럭인 제3멀티플렉서(964)로 입력된다. 따라서, OSD구간 설정 신호(OSDP)에 응답하여 영상 신호 또는 OSD문자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즉, 모니터에 OSD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고(제94단계), 만약 OSD 문자를 출력하고자 하면, 출력 단자 OUT를 통하여 선택된 Fg색상을 갖는 OSD폰트 또는 Bg색상을 갖는 프린지 폰트를 선택한다(제95단계). 한편, OSD문자를 출력하지 않을 것이면 출력 단자 OUT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제96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OSD구간 설정 신호(OSDP)가 1이면, 프린지 폰트 또는 선택된 OSD문자가 출력되고, OSD구간 설정 신호(OSDP)가 0이면,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The bitmap of the OSD characters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exer 962 of the signal mixer 960 is input to the third multiplexer 964 which is the final output block. Therefore, an image signal or an OSD character is selectively output in response to the OSD section setting signal OSDP.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o display the OSD text on the monitor (step 94), and if the OSD text is to be output, the OSD font having the selected Fg color or the fringe font having the Bg color is select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 Step 95). On the other hand, if the OSD character is not to be output, the vide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step 96).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SD region setting signal OSDP is 1, a fringe font or a selected OSD character is output, and when the OSD region setting signal OSDP is 0, an image signal is output.

즉, 상술한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OSD문자 라인별로 서로 다른 색으로 지정하면, 종래와 같이 프레임 버퍼에 AT코드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레임 버퍼(910)의 사이즈는 반으로 축소될 수 있다. That is, if the OSD character lines are designated with different colors by using the look-up table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frame buffer 910 may be reduced in half since there is no need to store AT codes in the frame buffer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플렉서와 병렬/직렬 변환부를 추가함으로써 회로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식별력이 뛰어난 2차원 프린지 기능을 실행하는 OSD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버퍼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고 라인별 색상 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OSD전체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특히, 내장형 OSD 설계시에 매우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multiplexer and a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SD device that executes a two-dimensional fringe function with excellent discrimination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ircuit.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frame buffer can be reduced by half and the color of each line can be displayed, the size of the entire OSD circuit can be reduced,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embedded OSD design.

도 1(a)~1(d)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Screen Display:OSD)의 다양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A to 1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various functions of an on-screen display (OSD).

도 2(a)~ 2(c)는 OSD의 프린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2 (a) to 2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ringe function of the OSD.

도 3은 일반적인 OSD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OSD device.

도 4는 종래의 1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one-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도 5는 종래의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도 6은 종래의 라인/문자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SD device having a line / character color display func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OSD 장치의 프레임 버퍼에서 출력되는 AT(Attribute)코드와 CC(Character)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T (Attribute) code and a CC (Character) code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of the conventional OSD device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c)는 도 8에 도시된 도 8에 도시된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의 문자 발생부의 폰트 데이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9A to 9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font data of a character generator of an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shown in FIG. 8 shown in FIG.

도 10(a)~(d)는 도 8에 도시된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의 구간 별 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0 (a) to 10 (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utput signal for each section of the OSD device having the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shown in FIG.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OSD장치에서 수행되는 OSD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FIG.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SD method performed in an OSD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shown in FIG. 8.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OSD device having a line-by-line color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OSD 장치에서 수행되는 OSD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FIG. 13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SD method performed in an OSD device having a line-by-line color display function illustrated in FIG. 11.

Claims (9)

소정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문자 발생 수단;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for storing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dress and outputting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address; 상기 제1문자 발생 수단에 저장된 상기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지정된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2문자 발생 수단;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for storing two lines of font data sequentially connected to said two lines of font data stored in said 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outputting two lines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ed address; 제1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문자 발생 수단의 소정 어드레스 또는 상기 어드레스보다 상위의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어드레스 멀티플렉서;A first address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predetermined address of said 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or an address higher than said address in response to a first address selection signal; 제2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문자 발생 수단의 소정 어드레스 또는 상기 어드레스보다 하위의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어드레스 멀티플렉서;A second address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predetermined address of said 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or an address lower than said address in response to a second address selection signal; 상기 제1및 제2문자 발생 수단에서 출력된 4 라인의 데이타를 입력으로하고, 제3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4라인 중 3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멀티플렉서;A data multiplexer for inputting four lines of data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outputting font data of three of the four lines in response to a third address selection signal; 상기 데이타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3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각각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수단; 및 Parallel / seri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font data of three lines output from said data multiplexer into serial data, respectively; And 상기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프린지 검출 수단; 및Fringe detection means for inputting the serial data to generate an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and an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An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와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 혼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ignal mixing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on-screen display character and an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and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멀티플렉서는 3개의 멀티플렉서들로 이루어지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multiplexer consists of three multiplexers, 상기 멀티플렉서들은 상기 제1문자 발생 수단과 상기 제2문자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각 2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조합한 4라인의 데이타를 각각 입력하고, 상기 제3어드레스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 한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The multiplexers respectively input four lines of data combining the two lines of font data outputted from the first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the second character generating means, and each one line in response to the third address selection signal. An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outputting font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지 검출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inge detection means, 상기 병렬/직렬 변환 수단에서 출력된 3라인의 직렬 데이타를 각각 입력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소정의 클럭 신호에 따라서 상기 입력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들; 및Flip-flops for inputting three lines of serial data output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sion means, respectively,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ock signal; And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을 논리합하고, 상기 논리합된 결과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로서 출력하는 논리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And OR for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lip-flop and outputting the OR result as an on-screen display section setting signal. 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혼합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gnal mixing means,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프린지 폰트 또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와,A first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fringe font or an on-screen display font in response to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멀티플렉서 의 출력과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econd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output of the first multiplexer and an image signal in response to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2. 분리된 각 문자 발생 수단으로부터 각각 두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a) 단계; (A) constructing data to output two lines of font data from each of the separated character generating means; 출력하고자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라인이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b) 단계;(B) determining whether an on-screen display font line to be output has been selecte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라인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라인과 상기 라인의 전, 후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출력하는 (c) 단계;If the on-screen display font line is selected, (c) outputting font data of the on-screen display font line and a line before and after the line; 상기 각 라인의 폰트 데이타를 조합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d) 단계;(D) generating an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and an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by combining the font data of each line;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하고자 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와 프린지 폰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and fringe font when outputting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if not to outpu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An on-screen display method having a two-dimensional fringe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the step (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ep (e)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가 제1레벨을 갖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가 제2레벨을 갖는가를 판단하는 (e-1) 단계;(E-1) determining whether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has a first level and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has a second level;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가 제1레벨을 갖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가 제2레벨을 가지면, 상기 프린지 폰트를 출력하는 (e-2) 단계;(E-2) outputting the fringe font when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has a first level and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has a second level;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가 및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가 상기 제1레벨을 가지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출력하는 (e-3) 단계; 및(E-3) outputting an on-screen display font when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and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have the first level; An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 및 상기 온 스크린 폰트 설정 신호가 제2레벨을 가지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e-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프린지 검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And (e-3) outputting an image signal when the on-screen display section setting signal and the on-screen font setting signal have a second level. 2. 소정의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의 문자 코드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A frame buffer for storing a character code of an on screen display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dress; 상기 프레임 버퍼에서 출력된 문자 코드에 상응하는 병렬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문자 발생 수단;Character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parallel data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code output from the frame buffer; 상기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수단;Parallel / serial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parallel data into serial data; 상기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논리 조합하고, 상기 논리 조합된 결과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 또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프린지 검출 수단;Fringe detection means for inputting and serially combining the serial data and generating an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or an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based on the logical combined result; 하나 이상 복수 라인의 각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들을 라인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선택하는 라인별 색상 선택 수단; 및Line-by-line color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one or more lines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s in different colors for each line; An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설정 신호 또는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구간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색상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또는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 신호 혼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ignal mixing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on-screen display character or an image signal having the selected color in response to the on-screen display font setting signal or the on-screen display interval setting signal. On-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별 색상 선택 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lor selection means for each line, 한 라인에 디스플레이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열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제1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로우 카운터;A low counter that counts the on-screen display string to be displayed on one line and outputs the counted result as a first selection signal;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라인의 포그라운드 색상을 저장하는 포그라운드 룩 업 테이블 레지스터; A foreground lookup table register that stores a foreground color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line;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라인의 백그라운드 색상을 저장하는 백그라운드 룩 업 테이블 레지스터; 및A background lookup table register that stores a background color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line; And 상기 로우 카운터의 카운팅된 값에 응답하여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의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색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And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colors of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n response to a counted value of the low counter. 한 라인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열을 카운팅하는 (a) 단계; Counting a line of on-screen display string (a); 상기 한 라인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b) 단계;(B) determining whether the one line has passed; 상기 한 라인이 경과되었으면, 룩업 테이블로부터 미리 지정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의 포그라운드 및 백그라운드 색상을 선택하는 (c) 단계;(C) selecting a foreground and background color of a predetermined on-screen display character from the lookup table if the one line has passe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d) 단계;Determining (d) whether to output the on-screen display text;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하려면, 상기 포그라운드 색상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또는 상기 백그라운드 색상을 갖는 프린지 폰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having the foreground color or the fringe font having the background color to outpu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n the step (d); And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하지 않으려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별 색상 표시 기능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And (e) outputting an image signal in order not to output the on-screen display character in the step (d).
KR1019970060812A 1997-11-18 1997-11-18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KR100468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12A KR100468696B1 (en) 1997-11-18 1997-11-18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12A KR100468696B1 (en) 1997-11-18 1997-11-18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38A KR19990040438A (en) 1999-06-05
KR100468696B1 true KR100468696B1 (en) 2005-03-16

Family

ID=3722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812A KR100468696B1 (en) 1997-11-18 1997-11-18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890A1 (en) * 1995-08-22 1997-03-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arallel mode on-screen display system
JPH09214849A (en) * 1996-02-01 1997-08-15 Motohiro Kurisu Television on-screen display device of picture element arithmetic generation type using display scan memory for horizontal scanning line
KR19990003364A (en) * 1997-06-25 1999-01-15 김영환 Color 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890A1 (en) * 1995-08-22 1997-03-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arallel mode on-screen display system
JPH09214849A (en) * 1996-02-01 1997-08-15 Motohiro Kurisu Television on-screen display device of picture element arithmetic generation type using display scan memory for horizontal scanning line
KR19990003364A (en) * 1997-06-25 1999-01-15 김영환 Color 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38A (en)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3391B1 (en) Display of scrolling background images composed of characters
EP0883292B1 (en) An OSD in a tv receiver
EP036970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4698674A (en) Interlace/non-interlace data converter
JP276934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KR970064189A (en) Pixel operation generation type terrivision on-screen display using horizontal scan display scan memory
US5969727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atic and moving images on a display device
KR100468696B1 (en)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fanction of detecting 2dimensional fringe and color displaying by line
US20050219255A1 (en) User interface display apparatus using texture mapping method
KR100545855B1 (en) Driving circuit for data display and driving method for data display using same
US4796016A (en) Pixel rounding method and circuit for use in a raster scan display device and a raster scan display device comprising such circuit
EP0123082A1 (en) Logic timing diagram display apparatus
KR100224714B1 (en) On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KR920006067B1 (en) A letter interpolation-circuit in osd apparatus
KR920008274B1 (en) 16/256 color switching apparatus
JP3003734B2 (en) Display control device
JPH04301886A (en) Display control circuit
KR19980035451A (en) Generation Circuit and Method of On-Screen Display in Imaging System
KR950007608B1 (en) On screen display handling apparatus use to ram
JP318413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940003625B1 (en) Display circuit of double the size of the picutre for personal computer
KR900002793B1 (en) Video pattern selecting circuit for crt display of picture and character
JPH05336537A (en) Chromakey display device
JPS62253196A (en) Color display unit
JPH09298698A (en) Television display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