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193B1 -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193B1
KR100468193B1 KR1020040045521A KR20040045521A KR100468193B1 KR 100468193 B1 KR100468193 B1 KR 100468193B1 KR 1020040045521 A KR1020040045521 A KR 1020040045521A KR 20040045521 A KR20040045521 A KR 20040045521A KR 100468193 B1 KR100468193 B1 KR 10046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om
loading box
arm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식
Original Assignee
장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식 filed Critical 장대식
Priority to KR102004004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8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using pivoted arms shift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in a fore or af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컨테이너와 같이 적재물의 길이가 긴 화물적재함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쉽게 차량에 탑재 및 하역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엔진에 의해 차량 전후진 구동이 가능하고 각종 실린더 작동을 위한 유압발생수단을 구비하며, 후측으로 적재대(11)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차량본체(10)와;
이 적재대(11)에 탑재되는 적재함(20)과;
상기 적재함(20)을 걸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51)를 갖는 아암(50)과;
상기 아암(50)의 위치를 신축 조절하는 붐(60)과;
상기 적재대(11)와 붐(60) 사이에 설치되어 붐(60)을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의 후단측에 적재대(11)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팅수단(70)을 설치하여 후크(51)가 적재함(20)을 걸어 들어 올려 적재함(20)이 수평상태에서 차량본체(10)의 적재대(11)가 적재대(20) 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붐(60)은 적어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되게 구성하여 차량본체(10)에 적재함(20)이 탑재된 상태에서 적재대(11) 최 선단까지 적재함(20)을 이동시켜 탑재토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Horizontal Planting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a Lorry}
본 발명은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컨테이너와 같이 차량의 축간거리와 적재물의 길이가 긴 화물적재함을 기울임 없이 안정적인 수평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인력 동원 없이 탑재 및 하역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터 및 용도에 따라 함체 형상으로 된 화물칸 내부에 예로서 건축용 콘크리트나 쓰레기 냉장, 냉동용 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물을 수송하기 위해 화물차를 이용하게 된다.
함체 형상의 적재함은 비교적 그 부피와 길이가 작은 소형으로부터 예로서 그 길이가 10-12m에 이르는 긴 길이와 용적을 갖는 대형 적재함에 이르기까지 크기와 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적재함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는 주로 화물차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 화물차에 적재함을 싣는 상차 및 내리는 하역작업이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화물차에 적재함을 싣고 내리는 상차 및 하역작업은 별도의 지게차 내지는 크레인기구를 이용하게 된다.
즉, 종래 화물차량에는 자체적인 상, 하역 기능이 없으므로 그 작업을 필요로 하는 장소와 시간에 맞추어 인력이나 크레인, 지게차 같은 별도의 장비와 인력을 준비하여 운송 차량을 대기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 하역 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물차의 이동으로 운송에 필요한 시간 외에 상, 하역 시간에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해, 시간적 지체는 물론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산업 물량 수송에 있어 전체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어 국가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2-39212호 에서는 비교적 화물의 길이나 축간 길이가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적재함을 자체 상, 하역 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이 종래 구성에 의하면, 화물을 걸어 올릴 수 있는 암과, 실린더에 의해 지점 회동하는 후레임을 구비하여 적재함의 고리에 암을 걸어서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으로 차체에 탑재 내지 하역이 이루어 지게 구성되어 있다.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적재함이 지면에 자체 하중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선단부의 고리를 걸어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적재함 자체가 크게 기울어 진다.이 경우, 적재함의 내부 내용물이 예로서 깨지기 쉬운 음료수용 병이나 계란 및 고가의 전자부품 내지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초정밀 기기 등을 운반 할 경우 적재함이 기울어 질 때 깨지거나 파손될 수 밖에 없다.그리고, 상역 작업중인 적재함의 중량이 매우 무거울 경우 암이 고리를 걸어서 후레임의 후방에 얹여 놓는 순간에 차량 전체로 볼 때 후방으로 지나친 하중이 집중 작용되는 결과로 차체 전방이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이러한 현상은, 특히 축간 거리가 매우 긴 차량에 있어서 더욱 심하게 차량 들림 현상이 발생되므로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2-39212호에 알려진 장치로는 축간거리가 매우 긴 중축 이상의 화물차에 있어서는 적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이나 별도의 탑재 장비없이 어떠한 화물도 손쉽게 상, 하역 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용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 하역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의 지체를 방지하고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화물차용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적재함의 길이가 10-12m에 이르는 긴 길이와 용적을 갖는 대형 화물도 안전하고 손쉽게 탑재 및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차용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화물의 탑재상태에서 차량의 축중에 미치는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전운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화물차용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의 내용물이 기울어 지면 파손될 염려가 매우 높은 화물도 안전하게 탑재 및 하역시킬 수 있는 화물차용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프팅수단과 아암의 작동으로 적재대에 탑재되는 과정을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적재함이 적재대에 완전하게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로드와 아암이 로드실린더 및 붐에 의해 굴절회동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드와 아암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도 5는 붐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본체 11 - 적재대
20 - 적재함 21 - 후레임
30 - 로드 40 - 로드실린더
50 - 아암 51 - 호크
60 - 붐 70 - 리프팅수단
80 - 암꺽기실린더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에 의해 차량 전후진 구동이 가능하고 각종 실린더 작동을 위한 유압발생수단을 구비하며, 후측으로 적재대(11)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차량본체(10)와;
이 적재대(11)에 탑재되는 적재함(20)과;
상기 적재함(20)을 걸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51)를 갖는 아암(50)과;상기 아암(50)의 위치를 신축 조절하는 붐(60)과;
상기 적재대(11)와 붐(60) 사이에 설치되어 붐(60)을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의 후단측에 적재대(11)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팅수단(70)을 설치하여 후크(51)가 적재함(20)을 걸어 들어 올려 적재함(20)이 수평상태에서 차량본체(10)의 적재대(11)가 적재대(20) 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붐(60)은 적어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되게 구성하여 차량본체(10)에 적재함(20)이 탑재된 상태에서 적재대(11) 최 선단까지 적재함(20)을 이동시켜 탑재토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따라서, 각종 적재물이 이미 적재함(20)에 탑재된 상태에서 리프팅수단(70)에 의해 그 높이를 적재대(11)와 거의 수평으로 승강한 후 아암(50)으로 적재함(20)의 선단을 걸어 로드실린더(40)를 작동시킬 때 제동력이 해제된 차량본체(10)가 적재함(20)의 저면으로 이동되며 손쉽고 신속하게 탑재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 적재함(20) 및 적재물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아암(50)이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되는 붐(60)에 의해 적재대(11)의 최대 양쪽 끝 까지 이동시켜 적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적재함(20)이 항상 수평상태를 갖게 되므로 내용물이 어느 한쪽으로 쏠려 파손되거나 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화물의 탑재상태에서 차량의 축중에 미치는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전운전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상/하역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의 지체를 방지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리프팅수단에 의해 후단이 상승된 적재함(20)을 아암(50)이 걸어서 차량본체(10)의 적재대(11)에 탑재되는 과정을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적재함(20)이 적재대(11)에 완전하게 탑재된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3d는 로드(30)와 아암(50)이 로드실린더(40) 및 붐(60)에 의해 굴절회동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 조절되는 과정을 요부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로드(30)와 아암(50)의 구조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붐(60)의 길이가 연장되어 직접 적재대(11)에 굴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차량본체(10)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차량의 전진 내지 후진이 가능하여 화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원하는 목적지로 운송이 이루어 지게 한다.
그리고, 엔진 내지 별도의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유압장치는 크레인이나 견인차량 등에 흔히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도면 및 상세한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본체(10)의 후측으로는 바퀴의 상부측으로 수평한 적재대(11)가 펼쳐지는데, 그 길이는 적재물의 용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10m 이상의 적재함을 적재할 수 있도록 그 이상의 길이로 설계되는 중축 내지 장축의 차량에 적용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특정 화물을 상부에 얹혀지게 한 상태에서 적재대(11)에 탑재되는 적재함(20)이 구비된다.
적재함(20)은 그 상부로 각종 화물함을 탑재할 수 있도록 저면과 양측에는 강도가 우수한 후레임(21)으로 형틀을 유지하게 되며, 선단에는 아암(50)의 후크(51)에 안정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고정바(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적재함(20)의 후측에는 리프팅수단(70)이 설치된다.
이 리프팅수단(70)은 차량본체(10)에 구비되는 유압장치로부터 유압라인이 배관되어 유압실린더(71)의 전진동작으로 지면에서 적재함(20)이 상승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적재함(20)의 상승 높이는 적재대(11)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약간 더 높게 상승시켜 아암(50)의 후크(51)가 적재함(20)의 고정바(22)를 걸어서 들어 올린 높이와 일치되게 하므로써 적재함(20)이 수평상태를 갖도록 한다.따라서, 적재함(20)을 리프팅수단(70)으로 승강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적재대(11)에 탑재를 위해 차량본체(10)의 이동시 적재대(11)와 큰 접촉저항이나 마찰 없이 부드럽게 탑재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 경우 붐(60)을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0)도 차량본체(10)의 이동과 함께 작동시키게 된다.적재함(20)을 승강하는 리프팅수단(70)의 유압실린더(71)는 그 단부가 직접 지면에 접하여 승강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적재함(20)의 후레임(21)에 힌지 연결된 레버(72)의 중간에 피스톤 단부가 3절 링크구조로 연결하여 유입실린더(71)의 전후진 조작으로 레버(72)의 각도 변환으로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레버(72)의 단부에는 구름동작이 가능한 롤(73)이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판을 부착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20)을 걸어서 적재대(11)에 탑재시키기 위해 적재대(11)의 중간위치에 로드(30)를 굴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킨다.
이 로드(30)와 적재대(11) 사이에는 3절 링크구조로 로드(3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드실린더(40)가 장착된다.
로드실린더(40) 또한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의 유압 동력으로 피스톤이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도 3a에서와 같이 로드(30)를 좌우로 회동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로드실린더(40)의 단부가 반드시 로드(30)에 결합되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붐(60)을 로드(30)의 위치까지 연장시켜 적재대(11)에 붐(60)의 끝단이 직접 굴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킨 후, 이 붐(60)에 로드실린더(40)를 결합시켜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한편, 적어도 3단 이상(통상 3-5단)으로 신축되는 붐(60)의 전후진 동작으로 아암(50)이 가동되도록 연계되어 설치되는데, 아암(50)의 끝단에는 상기 적재함(20)을 걸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51)를 갖게 된다.
이 후크(51)는 적재함(20)의 선단 상부측 후레임(21)을 직접 걸어지게 하거나 별도의 고정바(22)가 구비되는 경우, 이 고정바(22)에 후크(51)가 걸어지게 한다.
상기 아암(50)은 붐(60)의 신축 작동으로 전후진 된다.
붐(60)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의 유압 동력으로 다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아암(50)을 도 2 및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원거리 위치까지도 최대한 적재함(2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붐(60)의 길이는 비교적 짧으면서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되는 실린더 구조를 갖도록 한다.즉, 리프팅수단(70)의 작동으로 적재함(20)을 승강함과 아울러 아암(50)의 후크(51)가 적재함(20)의 고정바(22)를 걸어서 이동시키는 작동과정에서 그 회전각을 최대한 작게 유지하면서, 적재함(20)이 적재대(11) 위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최대한 적재 길이가 길게 설계된 적재대(11)의 가장 선단위치까지 적재함(20)을 이동시키기 위해 3단 이상으로 신축되는 작동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아암(50)과 붐(60) 사이에는암꺽기실린더(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암꺽기실린더(80)는 적재함(20)을 적재대(11)에 탑재시킬 때 적재함(20)과 적재대(11) 사이의 경사각도 내지 높이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등에 작용되어 아암(50)의 후크(51) 위치를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더 하강시켜 비교적 적재함(20)의 고정바(22) 위치가 낮은 경우 그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크(51)에 고정바(22)가 걸어져 탑재하는 과정에서 보다 최적의 적재함(20) 높이와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암꺽기실린더(80) 또한 도시하지 않은 유압장치의 유압 동력으로 피스톤이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에 의해 붐(60)의 끝단부와 아암(50)의 사이에 3절 링크구조로 설치되어 아암(50)의 위치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적재함(20)의 탑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로드실린더(40)를 전진시켜 아암(50) 및 후크(51)가 적재함(20)이 위치되는 후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달위치가 부족할 경우 로드실린더(40) 및 암꺽기실린더(80)를 유압으로 작동시켜 후크(51)가 적재함(20)의 고정바(22)에 걸어지게 한다.
그리고, 적재함(20)의 후측 하부에 설치된 리프팅수단(70)과 로드실린더(40)를 작동시키면 적재함(20)이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그 높이는 적재대(11)와 거의 유사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차량본체(10)는 제동력을 해제함과 아울러, 변속기어를 N(중립)위치에 오도록 한 후, 로드실린더(40)의 당김 작용으로 로드(30) 및 아암(50)을 탑재하는 방향으로 작용시키게 하면, 차량본체(10)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로 비교적 하중이 무거운 적재함(20)은 정위치에서 차량본체(10)가 적재함(20)의 저면을 향해 이동되며 탑재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로드실린더(40)의 작동으로 로드(30) 및 아암(50)이 최대한 도면에서 좌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적재함(20)의 선단이 적재대(11)의 선단 끝에 안전하게 위치되지 못한 경우, 붐(60)을 작동시킨다.
붐(60)은 다단으로 전진되어 아암(50)을 도 2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20)을 걸어지게 한 상태에서 전진 이동시켜 완전하게 적재대(11)의 끝까지 적재함(20)을 이동하여 탑재를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본체(10)의 운송전에 리프팅수단(70)은 후퇴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운송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다.
적재대(11)의 끝단에는 적재함(20)의 탑재과정에서 접촉되어 슬라이딩될 때 마찰저항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구름롤(90)을 회전 자유롭게 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서 유압장치 및 이 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각 실린더나 붐의 위치까지 전달하는 유압라인, 조절스위치 등의 표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물차량 자체에 상/하역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 하역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불필요한 장비 동원에 소모되는 경비를 절약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또, 특히 적재함의 길이가 10-12m에 이르는 긴 길이와 용적을 갖는 대형 화물도 안전하고 손쉽게 탑재 및 하역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재함(20)이 항상 수평상태를 갖게 되므로 내용물이 어느 한쪽으로 쏠려 파손될 염려가 거의 없어, 깨지기 쉬운 음료수용 병이나 계란 및 고가의 전자부품 내지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초정밀 기기 등을 운반하는데 적합하다.또, 대형 화물의 탑재상태에서도 차량의 축중에 미치는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켜 안전운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엔진에 의해 차량 전후진 구동이 가능하고 각종 실린더 작동을 위한 유압발생수단을 구비하며, 후측으로 적재대(11)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차량본체(10)와;
    이 적재대(11)에 탑재되는 적재함(20)과;
    상기 적재함(20)을 걸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51)를 갖는 아암(50)과;
    상기 아암(50)의 위치를 신축 조절하는 붐(60)과;
    상기 적재대(11)와 붐(60) 사이에 설치되어 붐(60)을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의 후단측에 적재대(11)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리프팅수단(70)을 설치하여 후크(51)가 적재함(20)을 걸어 들어 올려 적재함(20)이 수평상태에서 차량본체(10)의 적재대(11)가 적재대(20) 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붐(60)은 적어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되게 구성하여 차량본체(10)에 적재함(20)이 탑재된 상태에서 적재대(11) 최 선단까지 적재함(20)을 이동시켜 탑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70)은 적재함(20)의 후레임(21)에 레버(72)를 힌지 결합하고 유입실린더(71)를 3절링크구조로 설치하여 레버(72)의 각도를 변환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KR1020040045521A 2004-06-18 2004-06-18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KR10046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521A KR100468193B1 (ko) 2004-06-18 2004-06-18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521A KR100468193B1 (ko) 2004-06-18 2004-06-18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193B1 true KR100468193B1 (ko) 2005-01-31

Family

ID=3722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521A KR100468193B1 (ko) 2004-06-18 2004-06-18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0647A1 (en) * 2022-05-29 2023-12-07 Quantum Bodies IP Pty Ltd Self-loading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self-loading assembly
KR20240054628A (ko) 2022-10-19 2024-04-26 한선규 트럭의 적재물 지지 및 자동 하역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0647A1 (en) * 2022-05-29 2023-12-07 Quantum Bodies IP Pty Ltd Self-loading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self-loading assembly
KR20240054628A (ko) 2022-10-19 2024-04-26 한선규 트럭의 적재물 지지 및 자동 하역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66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a container structure or other loads with respect to a truck body or trailer
US7572091B1 (en) System for loading/unloading containers
US8021097B2 (en) Loading and unloading reel carrier truck
US3235105A (en) Vehicle
KR20070051688A (ko) 개선된 스트래들 캐리어
WO2013053219A1 (zh) 集装箱运输车及其自装卸装置
US20110318148A1 (en) Cable reeving system for lifting and loading
JP4388345B2 (ja) 荷役車両
US20090202328A1 (en) Low profile hook hoist
CN201713270U (zh) 一种用于装卸运输袋装散杂货物的叉车
US3698581A (en) Van carrier vehicle
US2007002007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tractor trailers
KR100468193B1 (ko) 화물차용 수평식 상,하역 장치
US5067869A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apparatus
US3669290A (en) Container handling vehicle
CN109279545A (zh) 多功能叉车
KR20110018719A (ko) 팔렛트 운반장치
KR102125632B1 (ko) 틸팅 가능한 지게차용 기능성 포크암 어셈블리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JP3790670B2 (ja) コンテナに対する積載物の搬入装置及び搬出装置並びに搬入方法及び搬出方法
DK180098B1 (en) CONTAINER LOADING SYSTEM
JP2002274250A (ja) 重量物搬送台車及びそれを備えた重量物搬送装置
CN211391056U (zh) 可伸缩式货厢底板、货厢及分拣车
CN219077088U (zh) 整装整卸吊车
CN112390170B (zh) 一种运输转载车及其折叠展开式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