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129B1 - 연기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연기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129B1
KR100467129B1 KR10-1998-0701679A KR19980701679A KR100467129B1 KR 100467129 B1 KR100467129 B1 KR 100467129B1 KR 19980701679 A KR19980701679 A KR 19980701679A KR 100467129 B1 KR100467129 B1 KR 10046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odule
screen
smoke
ligh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239A (ko
Inventor
우어스 리디
베른하르트 두러
쿠르트 헤스
Original Assignee
체르베루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르베루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체르베루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6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기 경보 장치는, 소켓으로 삽입될 수 있고 광 모듈을 포함하는 경보 유니트(1)를 포함한다. 상기 광 모듈은 광원(6), 광 탐지기(7), 측정 챔버, 중심 스크린(10), 베이스(11) 및 측정 챔버의 둘레에 배치된 스크린(9)을 가지는 래비린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역광에 대해 중요한 광 모듈의 특정 부분은 광택 표면을 포함하고 비흡수광은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특정 부분은 주변 스크린(9), 중심 스크린(10) 및 베이스(11)와 대향한 측정 챔버의 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광 모듈의 전체 내면을 광택 처리할 수 있다. 광 모듈은 사출 성형 공구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광택 표면을 위해 구비된 광 모듈의 일부분에서 광택 처리하기에 적합한 표면 질을 가진다.

Description

연기 경보 장치
본 발명은, 측정 챔버의 둘레에 배치된 스크린을 가지는 래비린드 시스템과 베이스, 중심 스크린, 측정 챔버, 광 리시버, 광원을 가지는 광 모듈로 구성되고,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경보 유니트로 구성되는 연기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로서 공지되어 있고 광 모듈 이외에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한 유형의 연기 경보 장치에서, 외부 소오스에서 발생한 간섭광은 측정 챔버를통과할 수 없지만 연기는 아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광 모듈이 설계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광원에서 직접 리시버로 광선이 도달하지 않도록 광원과 광 리시버는 배치된다. 빔 경로에 연기 입자가 존재할 때, 광원의 광은 산란되고 이 산란된 광의 일부는 광 리시버에 전달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잘못된 경보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의 신뢰도는, 연기 입자에서 실제로 산란된 광원의 빛이 광 리시버로 도달하고, 이것이 외부에서 발생한 빛 또는 연기 입자 이외의 입자 또는 광 모듈의 한 부분에서 산란된 광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역광이 억제된다는 사실에 크게 의존한다. 공지된 광학 연기 경보 장치에서, 예를 들면 DE-A-44 12 212에서 설명된 연기 경보 장치에서, 역광은 무광택 면에서 역광을 흡수함으로써 억제된다. 이를 위해 광 모듈의 대응하는 부분은 무광택 면을 포함한 검정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스 펄스로서 알려진, 역광에 의해 유도된 신호 레벨은 비교적 높고, 베이스 펄스의 감소가 필요하다.
도 1 은 광학 모듈의 베이스를 향하여 본, 광학 모듈의 광학축 높이에서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의 횡단면도,
도 2 는 도 1을 축소한 도 1의 Ⅱ-Ⅱ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 부호 설명
1 ... 경보 유니트 2 ... 탐지 커버
3 ... 연기 유입 슬릿 4 ... 측벽
5 ... 광 모듈 6 ... 광원
7 ... 광 탐지기 8 ... 측정 챔버
9 ... 주변 스크린 10 ... 중심 스크린
11 ... 베이스 12 ... 리브
13 ... 그리드 구조물 14, 15 ... 박판
16 ... 하우징 18 ... 윈도우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공지된 연기 경보 장치와 비교해 베이스 펄스가 상당히 감소된 서두에서 기술한 유형의 연기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역광의 발생에 중요한 광 모듈의 일부분이 광택 표면을 가지고 비흡수광은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펄스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쉽게 정해진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도록 방향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비흡수광이 여러 번 반사되어서 완전히 소실되도록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입사광의 약 5%만 흡수되지 않고 광택이 있는 검정 표면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반사 과정이 거의 수반되지 않아도 초기 역광의 비간섭부분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기 경보 장치의 특징은, 상기 광 모듈 일부는 주변 스크린, 중심 스크린 및 베이스와 대향한 측정 챔버의 커버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선호되는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광 모듈의 일부 또는 전체 내부 표면을 광택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기 경보 장치의 특징은, 투명한 표면을 생산하기 위한 부분에서, 투명 표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표면 질을 가지는 사출 성형으로 생산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기 경보 장치의 특징은, 사출 성형부가 상기 부분에 광택 처리된 표면을 가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와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는 모니터하기 위해서 방의 천장에 장착된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는 경보 유니트(1), 경보 유니트(1)를 덮는 탐지 커버(2)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는 경보 장치가 작동 상태일 때 모니터하기 위해서 방을 향하고 있는 코운 영역에 연기 유입 슬릿(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보 유니트(1)는 박스형 베이스 몸체를 포함하는데 탐지 코운을 향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 몸체의 측부는 측벽(4)으로 둘러싸인 광 모듈(5)에 배치되고 탐지 베이스를 향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 몸체의 측부는 분석 전자 장치를 가지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배치된다. 상기 탐지 유니트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예로 유럽 특허 제 95117405.1과 Algorex(Cerberus AG의 등록 상표명)의 경보 장치를 참고할 수 있다.
광 모듈(5)은 광원(6)과 광 리시버(7), 측정 챔버(8), 측벽(4)의 내부에 배치된 주변 스크린(9), 중심 스크린(10) 및 베이스(11)로 이루어진 래비린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ED)로 형성된 광원(6) 및 광 리시버(7)의 광축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구불구불한 경로를 가지며, 중심 스크린(10)은 교차점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측벽(4)과 베이스(11)는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광으로부터 측정 챔버(8)를 차단하고, 주변 스크린(9)과 중심 스크린(10)은 광원(6)에서 직접 광 리시버(7)로 광선이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주변 스크린(9)은 바람직하지 못한 산란 또는 반사에 의해 야기되는 역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역광을 더 많이 억제할수록, 베이스 펄스는 낮아진다. 즉 연기가 없을 때 탐지되는 신호가 측정 챔버(8)에 존재한다. 광원(6)으로부터 방출된 광선과 광 리시버(7) 가시 영역의 교차 영역은 산란 구역으로 명명된 실제 측정 구간을 형성한다.
광원(6)은 짧고, 강한 광 펄스를 산란 구역으로 방출하므로, 광 리시버(7)는 광원(6)이 아니라 산란 영역을 관찰한다. 광원(6)에서 발산된 빛은 산란 영역을 통과하는 연기에 의해 산란되고 이 산란된 빛의 일부는 광 리시버(7)에 전달된다. 따라서 발생된 리시버 신호는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연기 탐지 기는 광 모듈(5)에 포함된 광 센서 시스템 이외에 온도 센서 및/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기가 모니터되는 방에서 발생되어 연기 경보 장치로 상승한다면, 연기는 연기 유입 슬릿(3)으로 통과하여 깔때기형 베이스(11)로 수평 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베이스(11)는 그리드형 구조물을 포함하고 별 모양으로 배치된 리브(12)를 바깥쪽 면에 구비하는데, 상기 리브를 통하여 연기는 베이스로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연기는 측정 챔버(8)와 산란 구역으로 수직 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 깔때기형 구조 때문에, 베이스가 평평할 때보다 베이스(11)는 측정 챔버로부터 더 많이 이격되어 있다. 광원(5)에서 발산된 빛을 산란하는 측정 챔버(8)를 통과하여 연기 입자처럼 작용하는 먼지 입자는, 광원(6)으로부터 방출하는 입사구역 바깥쪽에 놓인 베이스(11)의 코운에 모여서, 먼지 입자의 간섭 효과는 현격하게 감소된다.
첨부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깔때기형 베이스(11) 영역은 피라미드 또는 각뿔대 형태를 취하는데, 피라미드의 모든 측면은 전술한 그리드 구조물을 포함한다. 피라미드 표면 중 단 한 면의 그리드 구조물(13)만 도 1에 나타나 있다. 베이스(11)의 바깥쪽에 위치한 리브(12)는 피라미드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베이스(11)에 쌓인 먼지 입자의 간섭 효과 가능성은 특별한 형태의 베이스에 의해 감소된다. 왜냐하면, 베이스(11)가 수직으로 위를 향해 돌출한 다수의 박판(14, 15)을 내면에 구비하므로, 베이스에 도달하기 전에 측정 챔버로부터 베이스에 발생한 빛은 상기 박판 중 하나에 도달하도록 배열, 수, 높이 및 상호 거리가 선택되고, 광 리시버(7)는 베이스(11)의 박판(14, 15)만 관찰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먼지는 박판의 수직벽에 부착되는 것보다 베이스 상에서 더 많이 유지되기 때문에, 먼지 입자 상에서 빛이 산란되는 위험은 다소 적다. 측정 챔버(8)에서 발생한 빛으로부터 베이스(11)를 차단하고, 박판(14)은 외부에서 발생한 외부광으로부터 광 리시버(7)를 차단한다.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모든 피라미드형 표면이 박판을 구비하지는 않는다. 광원(6)과 대향한 피라미드형 표면과 광 리시버(7)와 대향한 표면 및 상기 두 표면 사이에 둘러싸인 피라미드 표면만 박판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6)과 광 리시버(7)와 대향한 피라미드형 표면은 피라미드의 베이스 변부와 평행하게 배향된 종방향의 박판(14)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사이에 둘러싸인 피라미드 표면은 하나 이상의 종방향 박판(14) 및 박판(14)과 직각을 이루며 배치된 여러 개의 횡방향 박판(15)을 포함한다. 종방향 박판(14)은 대향한 광 리시버 및 대향한 광원의 광축과 직각을 이룬다. 횡방향 박판(15)의 주요 기능은 광원(6)과 광 리시버(7)를 광 분리하는 것이다.
광원(6)과 광 리시버(7)를 제외하고, 전체 경보 장치(1)처럼,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사출 성형부로 만들어진 베이스(11)는 변부에 여러 개의 스냅 기관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냅 기관은 광 모듈(5)의 측벽(4)과 베이스(11)를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한다(도 2).
역광을 더많이 흡수하기 위해서, 광 모듈(5)의 특정 부분, 특히 주변 스크린(9), 중심 스크린(10) 및 베이스(11)에 대향한 측정 챔버(8)의 커버는 종래의 무광택 표면 대신에 광택 있는 반사 표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광 모듈(5)의 일부 또는 전체 내부 표면을 광택 처리할 수 있다.
역광은 무광택 표면상의 흡수에 의해 가장 많이 소실될 수 있지만, 광이 무광택 표면상에서 확산, 산란되어 측정 챔버에서 제어할 수 없게 도달한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광택 표면이 사용된다면, 이것은 검은 유리처럼 작용하고 비흡수광을 또다른 표면, 예를 들면 인접한 주변 스크린으로 반사한다. 반사면이 검은 색이어서 입사광의 약 5%만 반사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기 표면 사이에서 반복된 반사로 거의 완전히 소실될 수 있다. 광택면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데, 사출 성형은 광택이 있어야 하는 표면상에서 알맞은 광택을 부여한다.
도면에 나타낸 연기 경보 장치의 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특징은, 주변 스크린(9)이 회전 대칭형으로 배치되지 않고 광 리시버(7)에 의해 수용되고 광원(6)에 의해 방출된 광 빔의 입사각이 상기 스크린 상에서 항상 일정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이다. 회전 대칭형으로 배치된 주변 스크린(9)은 중심 둘레로 스크린을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도 1에서, 광원(6)에 인접한 4개의 주변 스크린(9)과 광 리시버(7)에 인접한 4개의 스크린은 회전 대칭형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입사광과 비흡수광은 주변 스크린(9) 사이에서 많이 반사되도록 입사각이 선택된다.
주변 스크린(9) 각각은 2개의 각을 이루고 있는 표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주변 스크린(9)으로 발산된 빛은 측벽(4)의 내면에 직접 도달할 수 없지만 각 경우에 주변 스크린(9)에 도달하고 인접한 주변 스크린으로 상기 스크린에 의해 반사되도록 상호 경사도와 거리, 주변 스크린(9)의 길이가 정해진다. 또, 대부분의 주변 스크린(9)의 비회전식 대칭 배열에 의해 역광을 더많이 흡수하므로 광 리시버(7)와 광원(6)의 위치 및 성분 정확성이 덜 요구되고 연기 경보 유니트는 더욱 정확하게 작동한다.
도 1에서, 주변 스크린(9)은 중심 스크린(10)으로 향하고 있는 안쪽 변부에서 가능한 한 뾰족한 변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단지 소량의 빛만 뾰족한 변부에 도달하여서 여러 방향으로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침식에 의한 사출 성형 공정에서, 사용된 와이어의 두께에 따라 변부 첨예도를 제한하는데, 상기 제한은 주변 스크린(9)의 안쪽 변부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않는다. 연기 경보 유니트(1)에서, 안쪽 변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둘레에 치형 또는 지그재그형 윤곽을 가지는 사출 성형부로 코어가 삽입되기 때문에 안쪽 변부의 첨예도를 요구되는 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치형 또는 지그재그형 각 부분은 주변 스크린(9)을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부에 형성된 그루우브 내에 끼워 맞추어지고 중심을 향하여 닫혀진다. 결과적으로, 뾰족한 변부는 사출 성형부의 그루우브와 코어의 치형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제 테스트는, 뾰족한 안쪽 변부를 가지는 주변 스크린(9)과 광택면을 가지는 광 모듈(주변 스크린9, 중심 스크린10, 측정 챔버8의 커버)을 사용하면 베이스 펄스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연기 경보 장치에 먼지와 응축물이 낄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첨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광원(6)과 광 리시버(7) 각각은 하우징(16, 17)에 배치된다. 측정 챔버(8)의 커버에 고정된, 2개의 하우징(16, 17)은 바닥을 향하여 열려지고 베이스(11)에 의해 열린 측부에서 닫혀진다. 중심 스크린(10)을 향하고 있는 정면부에서, 하우징(16, 17)은 광 배출구와 광 유입구를 가지는 윈도우에 의해 각각 닫혀진다.
상기 윈도우는, 단일 부품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의 하우징 윈도우와 다르다. 공지된 산란광 연기 경보 장치에서, 윈도우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그 중 한 부분은 측정 챔버의 커버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베이스에 고정된다. 베이스가 제자리에 배치될 때, 끼워 맞추는 문제가 반복하여 발생하고, 공기 틈이 윈도우의 상반부와 하반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복사광과 수용된 빛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방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일체형 하우징 윈도우는, 전술한 종류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고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윈도우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하우징(16)의 윈도우(18)인 경우에, 일체형 윈도우의 상반부와 하반부는 2개의 가윗날처럼 갈라진다. 결과적으로, 사출 성형부는 몰드 슬라이드 없이 형성되므로, 독립 마운팅 요소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광 유입구와 광 배출구에 구비되어서, 정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구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감시되는 실내공간의 천장위에 장착되는 경보유니트(1)를 가지고, 경보유니트(1)의 박스형몸체측부에 광모듈(5)이 배열되며, 상기 광모듈(5)이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베이스(11)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광모듈내에 배열된 광원(6)과 광리시버(7)사이에 측정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측정챔버(8)의 주변부에 배열된 스크린 (9)들을 가진 래비린드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광원의 광축과 광리시버의 광축이 교차하는 교차점과 근접한 위치에 중심스크린(10)이 배열되는 연기경보장치에 있어서,
    역광을 발생시키는 광모듈(5)의 구성부분들이 광택표면을 가지고, 상기 구성부분들이 비흡수광선들을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측정챔버(8)의 주변부에 배열된 스크린(9), 상기 중심스크린(10) 및 상기 베이스(11)와 마주보게 배열된 측정챔버(8)의 커버에 의해 광모듈(5)의 상기 구성부분들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광모듈(5)의 전체 내부표면이 광택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분들에서, 광택표면을 형성하는 표면상태를 가진 사출성형부에 의해 상기 광모듈(5)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부가 구성부분들위에서 광택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9)은 중심스크린(10)을 향하는 스크린(9)의 정면부에서 날카로운 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경보장치.
KR10-1998-0701679A 1996-07-22 1997-07-15 연기경보장치 KR100467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111752.0 1996-07-22
EP96111752A EP0821331B1 (de) 1996-07-22 1996-07-22 Rauchmelder
PCT/CH1997/000270 WO1998003947A1 (de) 1996-07-22 1997-07-15 Rauchme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239A KR20000064239A (ko) 2000-11-06
KR100467129B1 true KR100467129B1 (ko) 2005-05-03

Family

ID=822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679A KR100467129B1 (ko) 1996-07-22 1997-07-15 연기경보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821331B1 (ko)
KR (1) KR100467129B1 (ko)
CN (1) CN1198238A (ko)
AT (1) ATE227041T1 (ko)
AU (1) AU725326B2 (ko)
DE (1) DE59609838D1 (ko)
ES (1) ES2185728T3 (ko)
PL (1) PL184227B1 (ko)
RU (1) RU2189639C2 (ko)
UA (1) UA52618C2 (ko)
WO (1) WO1998003947A1 (ko)
ZA (1) ZA975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89B1 (ko) 2006-08-29 2011-06-09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EP2801959A1 (en) * 2009-10-05 2014-11-12 Cavius APS Smoke alarm
DE202010006632U1 (de) 2010-05-10 2010-08-05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Rauchmelder und Baueinheit und einem derartigen Rauchmelder
RU2510532C1 (ru) * 2012-07-27 2014-03-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б "Света-Лед" Датчик дыма
CN111199628A (zh) 2018-11-20 2020-05-26 海湾安全技术有限公司 烟雾探测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5688C2 (de) * 1983-12-16 1986-06-19 Hartwig Dipl.-Ing. 2409 Scharbeutz Beyersdorf Streulicht - Rauchmelder
JP2648560B2 (ja) * 1993-04-09 1997-09-03 ホーチキ株式会社 散乱光式煙感知器
US5400014A (en) * 1993-07-12 1995-03-21 Detection Systems, Inc. Smoke detector with dark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84227B1 (pl) 2002-09-30
DE59609838D1 (de) 2002-12-05
RU2189639C2 (ru) 2002-09-20
ATE227041T1 (de) 2002-11-15
PL325922A1 (en) 1998-08-17
AU725326B2 (en) 2000-10-12
ZA975812B (en) 1998-01-30
ES2185728T3 (es) 2003-05-01
WO1998003947A1 (de) 1998-01-29
EP0821331B1 (de) 2002-10-30
EP0821331A1 (de) 1998-01-28
UA52618C2 (uk) 2003-01-15
KR20000064239A (ko) 2000-11-06
AU3332897A (en) 1998-02-10
CN1198238A (zh) 199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130B1 (ko) 연기경보장치
EP2172916B1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US4906978A (en) Optical smoke detector
KR100998373B1 (ko) 산란된 광 스모크 탐지기
HU226178B1 (en) Fire detector
US5642099A (en) Light scattering type smoke detector
JP2787001B2 (ja) 光電式煙感知器
US20230152204A1 (en) Optical chamber for smoke detection with reflective surfaces
KR100467129B1 (ko) 연기경보장치
JPH05157690A (ja) 光電式煙感知器
JP3747830B2 (ja) 浮遊微粒子検知装置
EP2498232A1 (en) Detector
KR20000064237A (ko) 연기 경보 장치
US20210156799A1 (en) Optical smoke detector with scattered radiation
US3497303A (en) Smoke detector including porous housing means
JP2019211800A (ja) 煙感知器
JP7440390B2 (ja) 粒子検出センサおよび粒子検出装置
JP4434063B2 (ja) 光学式検出装置
JP2581838B2 (ja) 光散乱式粒子検知センサ
JP3541959B2 (ja) 散乱光式煙感知器
EA045190B1 (ru) Корпус блока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рассеянного света устройства обнаружения дыма
JP2721788B2 (ja) 散乱光式煙感知器
JP3015633B2 (ja) 散乱光式煙感知器
CN117008231A (zh) 滤光器、烟雾探测器测试组件和测试方法
JPH03163699A (ja) 煙検出用フォトインタラ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