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534B1 - 전기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534B1
KR100466534B1 KR10-2002-0032080A KR20020032080A KR100466534B1 KR 100466534 B1 KR100466534 B1 KR 100466534B1 KR 20020032080 A KR20020032080 A KR 20020032080A KR 100466534 B1 KR100466534 B1 KR 10046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fixed
work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792A (ko
Inventor
송상석
Original Assignee
송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863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665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송상석 filed Critical 송상석
Priority to KR10-2002-003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5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수단(열선)을 구비하는 전기요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대(110)상에 마련되는 작업부(300)에 열선 공급부(400)를 설치하며, 상기 작업부(300)에 설치되는 안내레일(R)상에 열선 고정부(500)와 접합 및 배열부(60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접합 및 배열부(600)가 작업부(300)상을 왕복하며 열선(C)의 배열 및 상,하부 시트(S1,S2)의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대(110)의 일측에 상,하부 시트(S1,S2)를 공급해주기 위한 시트 공급부(200)를 설치함과 아울러 기대(110)의 타측에 열선의 접합 및 배열이 완료된 상,하부 시트(S1,S2)를 인출시켜줌과 아울러 상,하부 시트(S1,S2)의 가로,세로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해주기 위한 인출 및 커팅부(70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요의 제조에 따른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전기요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력 의존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요 제조장치{heating mat manufacture machine}
본 발명은 전기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발열수단(열선)을 구비시켜 독자적인 난방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전기 장판 또는 옥매트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요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전기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기요는 하부 시트상에 발열수단인 열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한 다음 상부 시트를 접합시켜서 제조되는 있는데, 종래에는 전기요를 제조함에 있어서 열선의 배열이나 상,하부 시트의 접합 등과 같은 중요한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생산효율이 낮았으며 그로 인해 전기요의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제조되는 대다수의 전기요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열선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하부 시트를 본드 등의 화학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그 사용(발열)시에는 화학접착제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는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다.
위와 같은 전기요는 근자에 들어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건강 매트(옥매트 등)나 전기 장판 등의 외피 내부에 개재시켜 발열수단 등으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만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사용시에 유해물질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요의 제조시에 발생되었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열선의 공급 및 배열, 상,하부 시트의 접합, 인출 및 커팅공정 등과 같은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요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화학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상,하부 시트를 접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요의 사용시에 유독가스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전기요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요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요 제조장치의 일부 파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공급부의 설치상태를 발췌한 참고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 고정부의 설치상태를 발췌한 참고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및 배열부의 설치상태를 발췌한 참고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화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및 커팅부를 발췌한 참고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열선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기요 제조장치 110: 기대
200: 작업부 300: 시트 공급부
400: 열선 공급부 500: 열선 고정부
600: 접합 및 배열부 700: 인출 및 커팅부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기요 제조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 시트(S1,S2)를 분할되게 공급해주기 위한 시트 공급부(200)와, 기대(11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플레이트(301)의 전,후측에 안내레일(R)을 설치하고 작업플레이트(301)의 일측에 리미트스위치(302)를 설치한 작업부(300)와, 작업플레이트(301)를 횡단하며 2열의 열선(C)을 공급해주기 위한 열선 공급부(400)와, 작업부(300)의 안내레일(R)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선 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된 2열의 열선(C)중에서1열을 한시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열선 고정부(500)와, 작업부(300)의 안내레일(R)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부(300)상을 왕복하면서 열선(C)을 배열함과 아울러 상,하부 시트(S1,S2)를 접합시켜 주기 위한 접합 및 배열부(600)와, 열선(C)의 접합 및 배열이 완료된 상,하부 시트(S1,S2)를 장비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합된 상,하부 시트(S1,S2)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커팅해주기 위한 인출 및 커팅부(700) 등과 같은 구성요소로 대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부(200)는 프레임(210)상에 상부 시트(S1)와 하부 시트(S2)를 구분되게 적층할 수 있는 공급대(220,23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공급대(220,230)의 상부에 수개의 안내롤러(240)를 장착하여 각 공급대(220,230)에 적재된 상,하부 시트(S1,S2)를 작업부(300)와 접합 및 배열부(600)로 구분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32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부(300)의 작업플레이트(301)의 양측 저면에는 작업플레이트(301)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지지대(310)를 설치하여 지지대(310)가 승강실린더(330)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310)상에 상단부가 예각지는 다수개의 고정핀(320)을 장착하여 지지대(310)의 승하강에 따라 고정핀(320)이 작업플레이트(301)에 형성된 통공(340)을 통해 작업부(300)상으로 일시에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핀(320)은 지지대(310)에 내설되는 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탄력설치되도록 하여 어느 정도의 하중을 받으면 하방으로 눌려졌다가 하중이 제거됨면 원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공급부(4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플레이트(301) 저부에 작업플레이트(301)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공급풀리(420)를 설치하여 구동모터(M2)에 의해 정,역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풀리(420) 간에 설치되는 공급벨트(421)에 작업플레이트(301)에 형성된 장공(350)을 통해 작업플레이트(30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공급대(430)를 부착하여 구동모터(M2)의 정,역구동에 의해 공급대(430)가 공급벨트(421)에 의해 작업플레이트(301)를 폭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급대(430)의 양측에 작업플레이트(301)에 장착되는 열선 인입공(440)과 고정클램프(450)를 각각 설치하여 열선 인입공(440)을 통해 인입된 열선(C)을 공급대(430)에 감설시킨 다음 그 단부를 고정클램프(4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급대(430)에는 열선(C)의 감설시에 열선(C)이 걸릴 수 있는 걸림홈(431)을 형성하여 열선(C)의 공급작용이 완료될 때까지 공급대(430)에 감설된 열선(C)의 위치를 일정하게 보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열선 고정부(500)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 고정부(500)는 작업플레이트(301)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R)에 고정하우징(51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치하고, 작업플레이트(301)에 장착된 이송실린더(530)의 롯드에 고정하우징(510)을 고정시켜 이송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고정하우징(510)이 일정한 폭만큼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회전축(P2)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아암(520)을 장착한 다음 암(520)의 단부에 지지홀더(521)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회동실린더(540)를 장착한 다음 그 롯드에 회전축(P2)을 결합시켜 회동실린더(540)의 작동에 의해 지지홀더(521)가 회전축(P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의 일측에 장착하여 장비의 기동(on, off)스위치(810)가 마련되는 컨트롤 박스(800)을 장착하고, 컨트롤 박스(800)내에 장비의 순차적인 작동데이터가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MPU; 미도시됨.)을 장착하여 장비를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1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하우징(510)에 컨트롤 박스(700)를 장착하는 구성에 대해서 실시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구성위치는 일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컨트롤 박스(700)는 기대(110)나 작업플레이트(301) 등의 소정위치(장비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컨트롤 박스(700)의 설치위치가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상에는 별반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및 배열부(6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및 배열부(600)는 작업플레이트(301)에설치된 안내레일(R)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하우징(610)의 양측에 브라켓(611)을 장착하고, 기대(110)에 장착된 구동모터(M1)와 동력전달수단(B1)으로 연계되여 구동하는 왕복벨트(660)에 브라켓(611)을 고정시켜 구동모터(M1)의 정,역회전에 의해 이동하우징(610)이 작업부(300)상을 왕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하우징(610)에 일측에 발화연료 주입구(622)가 마련되는 발화관(620)을 회전가능하게끔 축설치하고, 상기 이동하우징(510)에 장착되는 회동실린더(640)에 발화관(620)을 결합시켜 회동실린더(640)의 작동에 의해 발화관(6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발화관(620)의 후방에 상부 시트(S2)를 공급해주기 위한 접합롤러(650)를 회전가능하게 축설치하고, 접합롤러(650)의 후방에는 상부 시트(S1)를 하방으로 당겨 상부 시트(S1)가 접합롤러(650)의 표면에 밀착되게끔 해주기 위한 텐션롤러(651)를 설치하며, 이동하우징(610)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보조프레임(670)을 장착하여 보조프레임(670)의 단부에 가이드롤러(671)를 부착한다.
상기 발화관(620)에 전방으로 신장되는 다수개의 아암(630)을 장착한 다음 각각의 단부에 배열홀더(631)를 부착하며, 상기 발화관(620)의 수직 상부에 발화연료가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공(621)과 점화수단(623)을 설치하여 점화수단(623)에 의해 분사공(621)을 통해 분출되는 발화연료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열홀더(631)는 열선 고정부(500)의 지지홀더(521)와 엇갈리며 지그재그로 배열되도록 하여 배열홀더(631)와 지지홀더(521)가 상호간의 이동 및 승하강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인출 및 커팅부(7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 단면독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및 커팅부(700)는 지지프레임(710)상에 장공(720)을 형성하여 조정롤러(730)를 회전가능하게 축설치한 다음 장공(720)을 통해 돌출된 조정롤러(730)의 축단에 고정나사(721)를 결합시켜 조정롤러(730)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정롤러(730)의 전,후방에 수개의 안내롤러(740)를 각각 축설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710)의 전,후방에 횡방향 절단커터(750)와 상,하 1조로 이루어진 피딩롤러(760)를 설치하여 구동모터(M3)와 구동전달수단(B3,B4)으로 연계시키고, 상기 피딩롤러(760)의 전방에 구동모터(M4)와 구동전달수단으로 연계되어 구동하는 이송스크류(770) 및 이송가이드(771)를 설치한 다음 이송스크류(770) 및 이송가이드(771)상에 이동블록을 설치하여 이동블록이 폭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구동모터(M5)를 설치한 다음 그 구동축에 커팅홈을 통해 돌출되는 종방향 절단커터(79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트 공급부(200), 열선 고정부(500), 열선 공급부(400), 접합 및 배열부(600), 인출 및 커팅부(700) 등의 구성부가 연이어 설치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각 구성부에 의해 "상,하부 시트(S1,S2)의 접합", "상,하부 시트(S1,S2)의 1차 인출", "열선(C)의 공급", "열선(C)의 한시적인 고정", "상,하부 시트(S1,S2)의 2차 인출 및 열선(C)의 배열", "열선(C)의 고정" 등과 같은 일련 공정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공정은 컨트롤 박스(800)내에 장착된 마이크로프로세서(MPU)에 프로그래밍된 작동데이터에 의해 진행되는 것인 바,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하부(S1,S2) 시트의 접합>
열선 공급부(400)의 인입공(440)을 통해 인입된 열선(C)을 공급대(430)에 감설하여 열선(C)의 단부를 고정클램프(450)에 클램핑시킨 다음 컨트롤 박스(800)에 구비된 기동스위치(810)를 조작하게 되면, 접합 및 배열부(600)의 구동모터(M1)가 구동하여 이동하우징(610)을 전측(열선 고정부(50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시트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상부 시트(S1)는 접합롤러(650)에 권취된 상태로 하부 시트(S2)의 상면에 접합되고, 상기 이동하우징(610)이 지속적으로 이송하여 브라켓(611)이 작업플레이트(301)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302)에 접하게 되면 구동모터(M1)의 구동이 중지됨과 동시에 작업플레이트(301)에 장착된 승강실린더(330)가 작동하여 고정핀(320)을 작업플레이트(301)의 하방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발화관(620)의 분사공(621)이 접합롤러(650) 측으로 향해진 상태(배열홀더(631)는 들려진 상태)이고 분사공(621)을 통해 분사되는 발화연료(가스)에는 점화수단(623)에 의한 점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접합롤러(650)를 통해 공급되는 상부 시트(S1)의 일면(하부 시트(S2)와 접하는 면)이 점화된 가스불에 의해 녹아내린 상태에서 상부 시트(S1)가 하부 시트(S2)에 접하게 되어 상,하부 시트(S1,S2)가 견고하게 접합되는 것이며,(도 8 참조) 열선(C)의 배열상태를 고정해주고 있는 고정핀(320)은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으므로 접합롤러(650)의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하부 시트(S1,S2)의 1차 인출>
접합 및 배열부(600)의 구동모터(M1)는 구동의 정지후 즉시 역회전 구동이 이루어져 이동하우징(610)이 왕복벨트(660)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인출 및 커팅부(700)의 구동모터(M4)가 구동하여 상,하부 시트(S1,S2)가 피딩로라(76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고, 이 과정에서 구동모터(M4)에 의해 구동하는 횡방향 절단커터(750)에 의해 접합된 상,하부 시트(S1,S2)의 전,후측 폭이 절단되며, 후측으로 이동하는 접합 및 배열부(600)가 소정 거리(접합 및 배열부(600)의 배열홀더(631)를 1열로 배열되는 열선(C)중 전방 열선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는 거리)에 도달하면 각 구동모터(M1,M4)의 구동이 정지된다.
<열선의 공급>
접합 및 배열부(600)와 인출 및 커팅부(700)의 각 구동모터(M1,M4)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열선 고정부(500)의 이송실린더(530)가 고정하우징(510)을 전측(접합 및 배열부(600)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열선 공급부(400)의 구동모터(M2)에 의해 공급풀리(420)가 구동하여 공급대(430)가 작업플레이트(301)의 상부를 횡단하면서 열선(C)을 2열로 배치해주고 공급대(430)가 작업플레이트(301)에 형성된 장공(350)의 끝단에 이르게 되면 구동모터(M2)의 구동이 중지된다.
<열선(C)의 한시적인 고정>
열선 공급부(400)의 작동이 중지됨과 동시에 열선 고정부(500)에 마련되는회동실린더(540)가 회전축(P2)을 회전시켜 아암(520)에 부착된 지지홀더(521)가 회전 하강하여 2열의 열선(C)중 전측의 열선(C)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접합 및 배열부(600)에 마련되는 회동실린더(640)가 작동하여 발화관(620)을 회전시켜 아암(630)에 장착된 배열홀더(631)가 회전 하강하여 배열홀더(631)가 2열의 열선(C)중 전측의 열선(C)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열선(C)이 한시적으로 고정된다. 즉, 열선(C)이 지지홀더(521)와 배열홀더(631)에 의해 교호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하부 시트(S1,S2)의 2차 인출 및 열선(C)의 배열>
열선 고정부(500)의 지지홀더(521) 및 접합 및 배열부(600)의 배열홀더(631)에 의한 열선(C)의 한시적인 고정상태가 완료된 다음 접합 및 배열부(600)의 구동모터(M1)의 역회전 구동과 인출 및 커팅부(700)의 구동모터(M4)가 구동이 다시 이루어져 이동하우징(610)의 후진과 상,하부 시트(S1,S2)의 2차 인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에서 인출 및 커팅부(700)의 구동모터(M4)에 의해 구동하는 횡방향 절단커터(750)에 의해 접합된 상,하부 시트(S1,S2)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며, 배열홀더(600)가 열선(C)을 잡고 후진하면서 열선(C)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해주게 된다.(도 10 참조)
<열선(C)의 고정>
접합 및 배열부(600)가 끝지점에 도달하면 구동모터(M1)의 구동이 중지됨과 동시에 인출 및 커팅부(700)의 구동모터(M4) 또한 구동이 중지되고, 열선 고정부(500)의 지지홀더(521) 및 접합 및 배열부(600)의 배열홀더(631)에 의한 열선(C)의 한시적인 고정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작업플레이트(301)에 장착된 승강실린더(330)가 작동하여 고정핀(320)을 작업플레이트(301)의 상방으로 승강시켜 고정핀(320)에 의해 열선(C)의 배열형태가 고정되며, 이때, 열선(C)을 공급한 공급대(430)가 구동모터(M2)의 역구동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의 작동이 완료되면 열선 고정부(500)가 이송실린더(530)의 작동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원복됨과 동시에 인출 및 커팅부(700)의 구동모터(M4)에 의해 구동하는 종방향 절단커터(790)가 구동모터(M5)에 의해 폭방향으로 진행하며 열선(C)의 배열 및 접합작업이 완료된 상,하부 시트(S1,S2)를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전기요(S)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최초의 동작은 시트 공급부(200)에 안치된 상,하부 시트(S1,S2)가 작업플레이트(301)와 접합 및 배열부(600)를 경유하도록 한 다음 인출 및 커팅부(700)의 조정롤러(730)와 안내롤러(740)를 거쳐 피딩로라(760)에 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플레이트(301)의 통공(340)을 통해 하부 시트(S2)를 뚫고 돌출된 고정핀(320)간에 열선(C)을 배열한 다음 열선(C)의 양단부를 커팅해 놓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의 동작은 열선 공급부(400)의 고정클램프(450)에 열선(C)을 클램핑시킨 다음 컨트롤 박스(800)에 구비된 기동스위치(810)를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며 전기요(S)가 제조된다.
본 발명은 열선 공급부(400)에 의해 열선(C)이 공급되면 열선 고정부(500)와 접합 및 배열부(600)가 작업부(112)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열선(C)의 배열과 상,하부 시트(S1,S2)의 접합을 진행하도록 하고 접합이 완료된 상,하부 시트(S1,S2)가 인출 및 커팅부(700)를 경유하면서 전기요(S)가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요(S)의 제조에 필요한 대다수의 공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한 것으로서, 전기요(S)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요(S)의 제조과정에서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전기요(S)의 제조에 인력의존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전기요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시트(S1)에 발화열을 가해 어느 정도 용융시킨 상태에서 상,하부 시트(S1,S2)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접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전기요는 상,하부 시트(S1,S2)의 접합이 매우 견고하고 접합상태가 장구히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전기요(S)의 사용(발열)시에는 화학접착제 등에 의한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하부 시트(S1,S2)를 분할되게 공급해주기 위한 시트 공급부(200);
    기대(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작업플레이트(301)의 양측 저부에 승강실린더(330)의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301)에 형성된 통공(340)을 통해 일시에 출몰하면서 열선(C)을 고정해주는 다수개의 고정핀(320)을 설치하고, 플레이트(301)의 전후측에 안내레일(R)을 설치하며, 일측에 리미트스위치(302)를 설치하여서 된 작업부(300);
    상기 작업부(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작업플레이트(301)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공급대(430)와 작업플레이트(301)상에 형성된 장공(350)으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대(430)가 상기 장공(350)을 따라 작업플레이트(301)의 상부를 횡단함으로써 2열의 열선(C)을 작업부(300)의 폭방향으로 공급해주기 위한 열선 공급부(400);
    작업플레이트(30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암(520)과 상기 암(520)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홀더(521)로 구성되어 있어, 안내레일(R)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열선 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된 2열의 열선(C)중에서 1열을 한시적으로 잡아주는 열선 고정부(500);
    이동하우징(6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다수개의 분사공(621)이 형성된 발화관(620)과 상기 발화관(620)에 장착되어 전방으로 신장되는 다수개의 암(630)과 상기 암(630)의 단부에 부착된 배열홀더(63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하우징(610)이 작업부(300)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배열홀더(631)에 의해 열선(C)을 배열한 후에 분사공(621)에서 배출된 가스를 이용하여 상부시트(S1)를 하부시트(S2)에 용융접합시키는 접합 및 배열부(600);
    열선(C)의 접합 및 배열이 완료된 상,하부 시트(S1,S2)를 장비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합된 상, 하부 시트(S1,S2)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커팅해주기 위한 인출 및 커팅부(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열선 공급부(400)는 작업플레이트(301) 저부에 작업플레이트(301)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공급풀리(420)를 설치하여 구동모터(M2)에 의해 정,역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공급풀리(420)간에 설치되는 공급벨트(421)에 공급대(430)를 부착하며, 상기 공급대(430)의 양측에 작업플레이트(301)에 고정되는 열선 인입공(440)과 고정클램프(450)를 각각 설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열선 고정부(500)는 작업플레이트(301)에 고정되는 이송실린더(530)에 고정하우징(510)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회전축(P2)을 설치하여 회전축(P2)상에 다수개의 아암(520)을 장착하며,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결합된 회동실린더(540)에 회전축(P2)을 결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접합 및 배열부(600)는 구동모터(M1)와 동력전달수단(B1)으로 연계되는 왕복벨트(660)에 이동하우징(610)에 장착된 브라켓(611)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하우징(510)에 장착되는 회동실린더(640)에 발화관(620)을 결합하고, 상기 발화관(620)에 다수개의 분사공(621)과 점화수단(623)을 설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출 및 커팅부(700)는 지지프레임(710)의 장공(720)에 조정롤러(730)를 회전가능하게 축설치한 다음 장공(720)을 통해 돌출된 조정롤러(730)의 축단에 고정나사(721)를 결합하고, 조정롤러(730)의 전,후방에 수개의 안내롤러(740)를 각각 축설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710)의 전,후방에 횡방향 절단커터(750)와 상,하 1조로 이루어진 피딩롤러(760)를 설치하여 구동모터(M3)와 구동전달수단(B2,B3)으로 연계시켜 구동되게 하고, 상기 피딩롤러(760)의 전방에 구동모터(M4)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스크류(770)를 설치한 다음 이송스크류(770)상에 이동블록을 설치하며, 상기 이동블록에 구동모터(M5)를 설치하여 그 구동축에 종방향 절단커터(790)를 설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요 제조장치.
KR10-2002-0032080A 2002-06-07 2002-06-07 전기요 제조장치 KR10046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080A KR100466534B1 (ko) 2002-06-07 2002-06-07 전기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080A KR100466534B1 (ko) 2002-06-07 2002-06-07 전기요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63U Division KR200324806Y1 (ko) 2003-06-02 2003-06-02 전기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792A KR20030094792A (ko) 2003-12-18
KR100466534B1 true KR100466534B1 (ko) 2005-01-24

Family

ID=3238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080A KR100466534B1 (ko) 2002-06-07 2002-06-07 전기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977A (ko) 2014-03-07 2015-09-16 권상희 전열시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39B1 (ko) * 2011-09-19 2014-03-04 정은혜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정렬 공급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6291A (ko) * 1984-01-30 1985-10-02 조대현 면형 발열체의 제조장치
KR860000785A (ko) * 1984-06-13 1986-01-30 조대현 전열판의 제조방법
JPS6476693A (en) * 1987-09-16 1989-03-22 Shigeyuki Yasuda Manufacturing device for temperature self-adjusting face-shaped heating element
JPH05121149A (ja) * 1991-10-24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面ヒーターの製造方法
KR950024696U (ko) * 1994-02-03 1995-09-13 박재화 면상발열체 제조기
KR20010002390A (ko) * 1999-06-15 2001-01-15 성기순 침구용 매트 제조장치
KR100290306B1 (ko) * 1998-04-30 2001-09-17 이인영 전기요의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6291A (ko) * 1984-01-30 1985-10-02 조대현 면형 발열체의 제조장치
KR860000785A (ko) * 1984-06-13 1986-01-30 조대현 전열판의 제조방법
JPS6476693A (en) * 1987-09-16 1989-03-22 Shigeyuki Yasuda Manufacturing device for temperature self-adjusting face-shaped heating element
JPH05121149A (ja) * 1991-10-24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面ヒーターの製造方法
KR950024696U (ko) * 1994-02-03 1995-09-13 박재화 면상발열체 제조기
KR100290306B1 (ko) * 1998-04-30 2001-09-17 이인영 전기요의제조장치
KR20010002390A (ko) * 1999-06-15 2001-01-15 성기순 침구용 매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977A (ko) 2014-03-07 2015-09-16 권상희 전열시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792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5055B2 (ja) テキスタイルラップ装置
CN110587264B (zh) 一种履带自动组装设备
JPS598330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EP0759345A1 (e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hot pressing boards
KR100466534B1 (ko) 전기요 제조장치
KR101109058B1 (ko) 전기 매트 제조장치
KR200324806Y1 (ko) 전기요 제조장치
CN111890790A (zh) 一种布料加工用滚动印花装置
CN114101838B (zh) 马达之接地端子组装焊接设备及其操作方法
CN212404470U (zh) 一种绣花机用切割装置
KR101369439B1 (ko)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정렬 공급장치
CN106993903B (zh) 制造灸疗沙发的组装系统
KR20220041651A (ko) 니들펀칭기를 이용한 평판형 프리폼 제조장치
CN112309778A (zh) 平板式保险丝自动装配机及平板式保险丝自动装配方法
CN205817197U (zh) 一种自动整理胶管装置
US4310116A (en) Method for producing solar collector panels
US42315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olar collector panels
CN212737107U (zh) 一种可移动ptfe膜布熔接焊机
KR100773401B1 (ko) 자동 무연납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9949409U (zh) 一种高效的全自动棒条送料装置
CN218402836U (zh) 珍珠棉切割机带式物料拖动装置
CN210415578U (zh) 一种电加热式热塑性复合材料纤维铺放成型装置
CN110085796B (zh) 一种电池极耳生产线
CN102211489A (zh) 全自动装饰亮片排图机
KR102274690B1 (ko) 멜라민 보드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