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091B1 -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091B1
KR100466091B1 KR1019960038912A KR19960038912A KR100466091B1 KR 100466091 B1 KR100466091 B1 KR 100466091B1 KR 1019960038912 A KR1019960038912 A KR 1019960038912A KR 19960038912 A KR19960038912 A KR 19960038912A KR 100466091 B1 KR100466091 B1 KR 10046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usion
film
light
diffusion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430A (ko
Inventor
임대우
김정락
지성대
변정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0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제조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LCD)에 사용되는 필름으로 디스플레이의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광원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적정범위내로 통과시키면서 균일한 광확산을 유도하여 선명한 광화상을 얻도록하는 휘도가 800∼1850cd/m2 사이의 값을 갖는 LCD용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성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의 수지중에서 단독 또는 그 성분 이상을 혼합한 수지와 안료 및 첨가제(실란커플링제)를 배합한 도포액으로 도포하여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CD용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각종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으로 디스플레이의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광원램프로 부터 조사되는 빛을 적정범위내로 통과시키면서 균일한 광확산을 유도하여 선명한 광화상을 얻도록 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원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광확산 필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특성은 조사되는 광선의 양과 입사각 분포에 따라 적정 범위의 값을 가질수 있는 휘도(luminance)를 갖는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대부분 도광판이나 광확산 역할까지 겸용하므로 가격면에서는 유리하나, 보다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개 평4-270,320 와 미국 특허 제 5,289,351에서는 투명기판에 광확산제를 함유한 잉크를 도포하여 도광판을 제조함으로써 생산성과 손모율면에서 유리하다고 밝히고 있으나, 좀더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하여서는 도광판위에 별도의 광확산판 또는 필름을 투명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접합시켜 노트북, 퍼스털컴퓨터, 터치판넬 및 각종 전자, 전기제품의 표시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범위의 광학특성을 만족시키는 광학산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수지, 안료 및 첨가제등을 배합한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광확특성이 우수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확산 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도포용 수지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터공중합체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등의 수지중에서 단독 또는 2성분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착력이 우수한 수지인 폴리에스테르계와 우레탄계가 특히 좋다.
안료는 투명 또는 백색안료가 적합하며, 투명안료로는 천연 또는 합성실리카, 그래스비드, 다이아몬드등의 무기안료, 아크릴수지, 스틸렌수지, 실리콘수지등의 유기안료 및 전분등이 사용되며 백색안료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등이 있으며, 이들 안료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광학특성을 갖는 액정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포수지와 안료의 비율조절이 중요하다. 특히 휘도가 800∼1850cd/m2 사이의 값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포수지와 안료의 비율이 중량비로서 2∼10사이가 좋다. 중량비가 2이하가 되면 휘도는 증가하게 되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도포액과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광확산 필름의 제조가 어렵게 되며 중량비가 10이상이되면 800∼1850cd/m2 사이의 원하는 휘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포층의 두께를 조절해야하며 800∼1850cd/m2 사이의 원하는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도포층의 두께는 3∼20μ가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10μ 사이가 좋다. 도포층의 두께가 3μ 이하가 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며 20μ 이상이되면 휘도가 800cd/m2 이하가되며 도포층에 균열이 생겨 원하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할 수 없게 된다.
광확산 필름제조에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과 안료의 접착력을 높여 주기 위하여 커플링제가 사용되는데 커플링제는 도포수지의 중량에 대해 2∼10% 첨가하며, 특히 4∼8%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하이거나 10% 이상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효과가 없다. 또한 사용되는 커플링제는 실란커플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휘도(Luminance)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도∼제2도와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도광판(1)은 가로×세로×두께가 각각 225mm×127mm×2mm인 아크릴수지로 제조되고, 냉음극 형광등(Cold-cathode fluorescent tube)은 지름이 4.2mm인 일본제 하리손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을 사용하였다. 형광등(2)은 알루미늄 반사판(3)으로 싸여져 있으며 반사판의 슬릿 크기는 2mm 넓이로 도광판과 접촉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광확산 필름을 장착하고 교류 30KZ를 직류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붙어있는 톱콘 BM-7(Topcon BM-7)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거리 40cm에서 휘도를 측정하고 측정위치를 바꿔가면서 9군데를 측정하여 최대휘도와 최소휘도를 대비하였다.
실 시 예 1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일합섬 주식회사 제품:폴리에스테르XG-200, 두께 100μ)의 한면에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도포액을 코팅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100℃에서 30초간 건조하여 도포층의 두께가 6μ인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광확산 필름 휘도를 상기한 측정방식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도포액의 조성)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제 TOYOBO의 VYLON 200) : 25.0g
ㆍ합성실리카 안료 (일본제 Fuji-silysia 250) : 8.0g
ㆍ실란커플링제 (일본제 OSI Specialties A-189) : 1.0g
ㆍ메틸에틸케톤 : 66.0g
실 시 예 2
도포액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한것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휘도를 각각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도포액의 조성)
ㆍ우레판-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제 TOYOBO UR-1400) : 22.0g
ㆍ합성실리카 안료 (일본제 Fuji-silysia 250) : 4.0g
ㆍ실란커플링제 (일본제 OSI Specialties A-189) : 1.1g
ㆍ메틸에틸케톤 : 72.9g
실 시 예 3
도포액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한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휘도를 각각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도포액의 조성)
ㆍ우레판-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제 TOYOBO UR-1400) : 24.0g
ㆍ합성실리카 안료 (일본제 Fuji-silysia 250) : 4.0g
ㆍ합성산화티타늄 (한국티탄 주식회사 제품 KA-100) : 2.0g
ㆍ실란커플링제 (일본제 OSI Specialties A-189) : 1.0g
ㆍ메틸에틸케톤 : 69.0g
비 교 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일합섬주식회사제품:폴리에스테르XG-200, 두께 100μ) 양면에 도포하는 도포액의 조성을 아래와 같이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휘도를 각각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도포액의 조성)
ㆍ우레판-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제 TOYOBO UR-1400) : 4.0g
ㆍ합성실리카 안료 (일본제 Fuji-silysia 250) : 25.0g
ㆍ실란커플링제 (일본제 OSI Specialties A-189) : 73g
비 교 예 2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일합섬주식회사제품:폴리에스테르XG-200, 두께 100 μ) 양면에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가진 도포액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여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여 휘도를 각각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도포액의 조성)
ㆍ우레판-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제 TOYOBO UR-1400) : 2.0g
ㆍ합성실리카 안료 (일본제 Fuji-silysia 250) : 22.0g
ㆍ실란커플링제 (일본제 OSI Specialties A-189) : 85g
표 1
제 1 도는 본 발명에서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서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광판 2 : 형광등램프 3 : 반사판
4 : 광확산판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광확산제의 도포층을 형성하는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안료 2∼10중량부와 실란커플링제 2∼10중량부를 첨가하여 만든 광확산 잉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광확산 시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합성실리카, 합성산화티타늄, 산화 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중 1성분 또는 2성분을 혼합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광확산 시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용 잉크의 도포층 두께가 3∼20㎛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LCD용 광확산 시트의 제조방법.
KR1019960038912A 1996-09-09 1996-09-09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KR10046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912A KR100466091B1 (ko) 1996-09-09 1996-09-09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912A KR100466091B1 (ko) 1996-09-09 1996-09-09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430A KR19980020430A (ko) 1998-06-25
KR100466091B1 true KR100466091B1 (ko) 2005-10-13

Family

ID=3730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912A KR100466091B1 (ko) 1996-09-09 1996-09-09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149B1 (ko) 2005-08-29 2013-07-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62106A1 (ko) * 2012-04-27 2013-10-31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91A (en) * 1980-06-30 1982-01-25 Ricoh Co Ltd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recording
JPS5788401A (en) * 1980-11-21 1982-06-02 Nitto Electric Ind Co Ltd Diffusion plate
KR960029382A (ko) * 1995-01-27 1996-08-17 사토 아키오 광반사체 및 광반사장치
KR970010102A (ko) * 1995-08-31 1997-03-27 박홍기 광확산 필름
KR19980018023A (ko) * 1996-08-23 1998-06-05 한형수 광투과 및 반사형 필름
KR0166144B1 (ko) * 1994-05-11 1999-03-20 쯔지 하루오 조명장치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91A (en) * 1980-06-30 1982-01-25 Ricoh Co Ltd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recording
JPS5788401A (en) * 1980-11-21 1982-06-02 Nitto Electric Ind Co Ltd Diffusion plate
KR0166144B1 (ko) * 1994-05-11 1999-03-20 쯔지 하루오 조명장치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KR960029382A (ko) * 1995-01-27 1996-08-17 사토 아키오 광반사체 및 광반사장치
KR970010102A (ko) * 1995-08-31 1997-03-27 박홍기 광확산 필름
KR19980018023A (ko) * 1996-08-23 1998-06-05 한형수 광투과 및 반사형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149B1 (ko) 2005-08-29 2013-07-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3162106A1 (ko) * 2012-04-27 2013-10-31 케이에스씨비 주식회사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430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26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용 공극형성 광확산 시트
EP0355805B1 (en) Surface light source panel
KR100716143B1 (ko) 광확산 필름
US7218450B2 (en) Light diffusing film
WO1997028403A1 (fr) Source lumineuse superficielle et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equipements de signalisation et de regulation du trafic l'utilisant
JP2002196117A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KR100716144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용 확산시트
JPH0659108A (ja) 高光拡散性フイルム
KR100808328B1 (ko) 광 확산판
KR100573372B1 (ko)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필름
EP1070219B1 (en) An edge-lit illumination system
KR20100015839A (ko) 백라이트 장치
JPH0627325A (ja) 面光源装置
KR100466091B1 (ko) Lcd용광확산필름의제조방법
KR19980068299A (ko) Tft-lcd용 광학산필름의 제조방법
JPH07110408A (ja) エッジ光源式平面ランプ用導光板
JP3448621B2 (ja) エッジライトパネルの生産方法
JP4560890B2 (ja) 積層光拡散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703412B2 (ja) 面状光源用導光板
KR200000278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5100118A (ja) 面状光源用導光板
JP3978240B2 (ja) 曲面表示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用の面状光源用導光板
KR100476068B1 (ko) 광확산 필름
JP2002116436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反射板
KR100466033B1 (ko) 광반사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