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847B1 -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 - Google Patents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847B1
KR100464847B1 KR10-1999-7007083A KR19997007083A KR100464847B1 KR 100464847 B1 KR100464847 B1 KR 100464847B1 KR 19997007083 A KR19997007083 A KR 19997007083A KR 100464847 B1 KR100464847 B1 KR 10046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tridium butyricum
liver
clostridium
cultur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820A (ko
Inventor
다구치노부히로
Original Assignee
닛포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포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포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45Clostri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해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해당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비호제, 해당 간비호제를 간장해를 가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간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혼입한 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유효하게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Clostridium butyricum having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n hepatopathy, and liver supporting agents, foods and feeds each containing the cultur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간장해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C1ostridium butyricum), 해당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비호제 및 상기 배양액등으로 이루어진 식품 및 사료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해당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한 간비호제, 및 상기 배양액 등으로 이루어진 식품 및 사료에 관한 것이다.
낙산균이라고 불리우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장내 세균의 하나로서, 다른 장내 세균과 마찬가지로 체내로부터 대변 중에 산 채로 나오는 균이다. 또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낙산 발효에 의해 당질로부터 다량의 낙산을 생성하기 위해 공업적 낙산의 제조에도 이용된 유용한 균으로서, 그 배양액 중에 항부패균 유효인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종래 정장효과를 갖는 생균제로서 복부 증상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의약품 또는 사료 성분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이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균주에는 항종양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으며 항종양 면역부활제(賦活劑)로서의 이용도 제창되고 있다(특개평06-292597호).
한편 간장은 복강 상부 오른쪽 부근에서 횡격막 바로 아래에 있는 암갈색 장기로서, 소화관에 부속된 인체 내에서 가장 큰 선(腺)으로 체중의 약 1/45중량을 차지한다. 또한 간장은 지질 등의 대사, 해독, 담즙의 배설, 각종 영양소의 저장, 조혈이나 혈액 응고 및 순환 혈액량의 조절 등 많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간장에 장해가 발생하면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기능이 저하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생명 유지가 곤란해질 정도로 중요한 장기이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간장해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독물 또는 약제에 의한 중독, 음주나 포식, 영양장해 및 순환장해부터 스트레스 같은 비교적 신변의 원인까지 여러가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원인에 덧붙여 최근에는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물질이나 보영양도 간장해를 야기한다. 이러한 장해를 입은 간장은 간종대(肝腫大), 가장자리 둔화, 지방의 침착(지방화), 울혈 및 담즙울체(鬱滯), 나아가 간세포의 풍선모양 변화, 간세포의 파괴나 괴사 등의 증상이 관찰되며 권태·피로감 또는 성장기의 발육불량, 또한 저항력의 저하에 따른 환절기 감염의 원인이 되는 데다가 상기와 같은 증상이 진행되면 지방간, 간염 그리고 간경변, 나아가 간암 등의 심각한 간질환으로 이행하여 최종적으로는 사망할 가능성도 많다. 그러나 이러한 중대한 장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장은 큰 예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간장에 다소 장해가 발생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증상은 잘 드러나지 않아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이미 병상이 꽤 진행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조기 발견을 놓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간장해의 치료방법은 간장해를 야기한 원인에 따라 다른데, 예컨대 알콜성 간질환의 경우에는 알콜섭취의 중지 등 원인의 해소, 과영양에 근거한 지방간의 경우에는 지방섭취량의 저감이나 비만의 해소, 바이러스성 간염의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 투여 등을 들 수 있지만 최적의 치료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원질환에 대한 치료약의 투여에 의한 간장해나 진행된 간장해의 경우에는 특별히 치료를 할 필요가 있지만, 공지의 간장해에 대한 치료약은 급격한 작용이 발생한다거나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시에는 부작용이 있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안전성 상의 이유로 공지의 치료약을 간장의 비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예방약이나 일상적인 건강유지를 위한 건강식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하여 높은 간장해 치료 및 예방효과 그리고 안전성을 갖는 간비호제의 개발, 또한 이러한 간비호제에 의한 간장해의 치료나 예방방법의 개발, 나아가 간장해에 대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식품 또는 사료에의 이용이 달성되면 그로써 얻어지는 이익은 헤아릴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심각한 부작용을일으키지 않고 간장해를 효율적으로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안정성이 높은 간비호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각한 부작용 없이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를 효율적으로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안정성이 높은 간비호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각한 부작용 없이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를 효율적으로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에 대해 유효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며 또한 불쾌감 없이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여러가지 목적은 간장해에 대해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수탁번호 FERM BP-5795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또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인,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인,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다.
상기 여러가지 목적은 또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비호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간비호제」라는 표현은,「간장해에 대하여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제제」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해당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수탁번호 FERM BP-5795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또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인, 상기 간비호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해당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인, 상기 간비호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또는 중독성 간장해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간비호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중독성 간장해」라는 표현은「의약품, 독물 및 화학성 물질 등에 의해 야기되는 간장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여러가지 목적은 또한 상기 어느 한 간비호제를 간장해를 갖는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간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여러가지 목적은 또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10-6∼1중량% 혼입한 식품 또는 사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이하 단순하게「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또는「배양물」이라 칭한다)은 강력한 간장해 개선작용 및 간보호작용을 가지며 또한 포유동물에 대해 높은 안전성을 가지기 때문에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에 대해 강력한 치료 및 예방작용을 하며 또한 포유동물에 대해 높은 안전성을 갖는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및 사료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고 높은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또한 식품 또는 사료 중에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면서 유효한 간장해 개선작용 및 간보호작용을 하며 또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 및 사료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널리 미생물의 성질 및 생산을 예의 검토한 결과, 간질환에 나타나는 간종대, 지방의 침착, 염증 또는 담즙울체 등의 간장해를 동물에게 일으키는 조건을 발견하고, 또한 그들 동물모델에게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섭취시킴으로써 간장해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으로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19주, NIP1020주, NIP1021주 및 NIP1022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19398 및 ATCC860주 등 모든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이하, 단순히「NIP1020주」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이하, 단순히 「NIP1021주」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19398주(이하, 단순히「ATCC주」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는 특공소37-8300호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미야이리주와 동등하며 수탁번호 FERM BP-5795호로서, 1996년(평성9년) 1월23일부로 일본국 이바라키현 쯔쿠바시 히가시1쵸메 1번지 3호 소재의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 기술연구소에 기탁되어 있는 균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의 균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a) 형태
1) 세포의 형태 및 크기: 직선 모양 또는 곡선 모양으로 양단이 둔원(鈍圓)인 간균(桿菌)이다. 크기는 0.6∼1.2μm×5∼10μm이다. 아포(芽胞)는 끝단이 둥근 타원형인 아단재성(亞端在性)(subterminal)이다.
2) 운동성의 유무: 있음
3) 포자의 유무: 있음
(b) 배양적 성질
1) 1% 스타치 첨가 육즙 한천 평판 배양: 콜로니는 원형에서 불규칙한 형태로 하얀 크림색이며 또한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다. 콜로니의 크기는 37℃에서 2일간 배양하였을 때, 지름 약 2∼4mm이다.
2) 1% 스타치 첨가 육즙 액체 배양: 산 및 가스를 산성
3) 1% 스타치 첨가 육즙 젤라틴 한천 평판 배양: 젤라틴의 액화 없음
4) 리트머스·우유: 산성, 가스, 응고
(c) 생리학적 성질
1) 그램염색성: +
2) 초산염의 환원: -
3) 인돌의 생성: -
4) 전분의 가수분해: +
5) 카탈라아제: -
6) 산소에 대한 태도: 혐기성
7) 생육의 범위: pH; 5.0∼8.0
온도; 20∼42℃
8) 하기 당류로부터의 산 생성유무
셀로비오스; +
D-프락토오스; +
D-갈락토오스; +
락토오스; +
말토오스; +
D-만노오스; +
메리비오스; +
라피노오스; +
람노오스; -
살리신; +
D-소르비톨; -
슈크로오스; +
트레할로스; +
D-크실로오스; +
(d) 그 밖의 생리학적 성질
1) 용혈성: -
2) 레시티나아제: -
3) 발효산물: 낙산, 초산
본 균을 문헌(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1ogy 제9판)을 참고로 분류했을 때,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에 귀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간장해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조사했을 때 공지의 균주(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간장해의 예방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균주를 신규 미생물이라고 생각하고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로 명명하고, 1996 1월23일부로 일본국 이바라키현 쯔쿠바시 히가시1쵸메 1번지 3호 소재의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 기술연구소에 기탁하였는데 그 수탁번호는 FERM BP-5794호이다.
나아가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생균제, 사료첨가물, 또한 식품으로서 널리 시판되고 있으며 사람이나 가축 등의 포유동물에게 장기간 투여해도 전혀 부작용을 인식할 수 없어 높은 안전성이 보증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즉「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및 해당 잔사의 건조물」은 기지의 미생물의 배양방법, 예컨대 특원평08-252088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그 일실시형태를 다음과 같이 예시한다: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1.0(w/v)% 펩톤, 1.0(w/v)% 효모엑기스, 1.0(w/v)% 콘스타치 및 0.2(w/v)% 침강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배지에 1O5∼1O6개/ml가 되도록 접종시키고, 37℃에서 48시간 정치배양함으로써「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액」을 얻는다. 다음에, 얻어진 배양액을 원심분리(2,000∼6,000g ×10∼30분)하여「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를 분리하고, 이 잔사를 0∼80℃, 바람직하게는 10∼20℃에서 1∼24시간, 바람직하게는5∼18시간 바람에 의한 건조처리 또는 0∼80℃, 바람직하게는 10∼20℃, 0.05∼500Torr, 바람직하게는 1∼100Torr로 1∼24시간, 바람직하게는 2∼15시간 감압건조처리함으로써「잔사의 건조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에 사용하는 배지는, 사용하는 균주의 종류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자화(資化)할 수 있는 탄소원, 적량의 질소원, 무기염 및 비타민류 등 그 밖의 영양소를 함유하는 배지라면 합성배지 또는 천연배지 중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배지 내에서 사용되는 탄소원의 예로서, 사용하는 균주가 자화할 수 있는 탄소원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탄소원으로서는 반드시 당으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균체의 증식을 고려하면 사용하는 세균이 이용할 수 있는 당 또는 당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할 수 있는 탄소원의 구체예로는, 자화성을 고려하여 셀로비오스,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 갈락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만노오스, 메리비오스, 라피노오스, 살리신, 스타치, 슈크로오스, 트레할로스, 크실로오스, 덱스트린 및 당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탄소원 중 스타치,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 슈크로오스 및 당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원을,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고려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 때 탄소원의 첨가농도는,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나 탄소원의 종류 및 사용하는 배지의 탄소원 이외의 배지 조성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0.5∼5(w/v)%, 바람직하게는 2∼4(w/v)%이다.
또한 질소원 및 비타민류로는, 예컨대 고기엑기스, 펩톤, 효모엑기스, 미액(味液)등 대두 및 밀의 가수분해물, 분말, 우유카제인, 카자미노산, 각종 아미노산, 옥수수 침지액, 그 밖의 동물, 식물, 미생물의 가수분해물 등의 유기질소 화합물 및 황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원 중 펩톤, 효모엑기스, 고기엑기스, 옥수수 침지액 및 미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질소원 및 비타민류를,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 때 상기 질소원의 첨가농도는, 사용하는 균주나 질소원의 종류 및 사용하는 배지의 질소원 이외의 배지 조성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질소원을 많이 포함하는 펩톤을 사용할 때에는 통상 0.5∼4(w/v)%, 바람직하게는 1∼3(w/v)%이고, 질소원 및 비타민류를 많이 포함하는 미액이나 옥수수 침지액을 사용할 때에는 통상 0.5∼5(w/v)%, 바람직하게는 1∼4(w/v)%이고, 또한 비타민류를 많이 포함하는 효모엑기스 또는 고기엑기스를 사용할 때에는 통상 0.5∼4(w/v)%, 바람직하게는 1∼3(w/v)%이다.
또한 무기염으로는 마그네슘, 망간, 칼슘, 나트륨, 칼륨, 몰리브덴, 스트론튬, 붕소, 동, 철, 주석 및 아연 등의 인산염, 염산염, 황산염, 낙산염, 프로피온산염 및 초산염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지 중에, 필요에 따라 소포제(消泡劑), 식물유, 계면활성제, 혈액 및 혈액성분, 비타민류, 항생물질 등의 약제, 식물 또는 동물호르몬 등의 생리활성물질 등을 적절히 첨가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행되는 배양의 조건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생육범위(pH나 온도 등)등의 생리학적 성질에 따라 다르지만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편성 혐기성이기 때문에 통기하지 않거나, 또는 질소 또는 탄산가스를 통기하면서, 또는 배지 중에 환원제를 가하여 산화환원전위를 낮춤으로써 혐기적 조건하에서 배양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의 배양조건은, 사용되는 균주의 생육범위, 배지의 조성이나 배양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며 본 균주가 증식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배양온도는 20∼42℃, 바람직하게는 35∼4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은, 배양 중에 생산되는 산을 알칼리로 중화시킴으로써 증식이 촉진되기 때문에 미리 배지에 탄산칼슘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탄산칼슘의 첨가량은 0.1∼4(w/v)%, 바람직하게는 0.2∼2.5(w/v)%이다. 또는 상기 중화공정을,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수용액에 의해 배지의 pH를 설정 pH의 범위내로 제어하면서 실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알칼리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설정 pH」란 배양기간 중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지의 pH를 의미하며,「설정 pH의 범위」란 배양기간 중에 허용되는 pH의 범위이며 일반적으로는 설정 pH±허용차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 pH는 통상 5.0∼7.5, 바람직하게는 5.5∼6.5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설정 pH의 범위는 설정 pH±0.5, 바람직하게는 설정 pH±0.2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을 실행하는 동안의 배지의 pH는, 균 접종시에는 중성 부근, 보다 바람직하게는 6.5∼7.5로 한다. 또한 알칼리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소가 혼입되지 않도록 천천히 교반하면서 설정 pH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균 접종시 및 균 증식시의 pH를 제어함으로써 균밀도를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양에 있어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초기배양농도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생육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보통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으로 실행되는 것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1O4∼1O7개/ml, 바람직하게는 1O5∼1O6개/ml이다.
이렇게 얻어진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특히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의 배양물은 알콜섭취, 유기용제, 약제, 바이러스, 스트레스, 영양부족 또는 영양과다 등에 의한 간종대, 가장자리 둔화, 지방의 침착(지방화),울혈 및 담즙울체, 나아가 간세포의 풍선모양 변화, 간세포의 파괴나 괴사 등의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에 대해 뛰어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그대로의 형태로 또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에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배합하여 경구투여용 또는 비경구투여용 조성물로서 환자(가축, 가금이나 인간 등의 포유동물 및 물고기를 포함한다)에게 투여할 수 있다. 본제를 경구투여용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적당한 첨가제, 예컨대 유당, 자당, 만니톨, 옥수수전분, 합성 또는 천연검 및 결정셀룰로오스 등의 부형제,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고무,젤라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전분, 콘스타치, 탄산수소나트륨 및 알긴산나트륨 등의 붕괴제,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스테아린산나트륨의 활택제 및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인산칼슘 및 인산나트륨 등의 충전제 또는 희석제 등과 적절히 혼합하여 정제, 가루약(분말), 환제 및 과립제 등의 고형형태로 할 수 있다. 또는 경구투여용 간비호제는 캡슐제의 형태여도 무방하며, 이 때 캡슐로는 경질 또는 연질의 젤라틴캡슐이 사용된다. 이들 고형제제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신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등의 피복용 기제를 사용하여 장용성 피복을 해도 좋다. 나아가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정제수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또는 트리카프린, 트리아세틴 등의 글리세린에스테르류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콜류에 현탁하고, 필요에 따라 이 용액에 침윤제, 유화제, 분산조제 내지는 계면활성제, 감미료, 플레이버 또는 방향물질 등을 적절히 첨가함으로써 시럽제나 엘릭시르제 등의 액상제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를 비경구투여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정제수, 인산완충액 등의 적당한 완충액, 생리식염수, 링거용액이나 로크용액 등의 생리염류용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관용되는 방부제, 안정제 및 계면활성제 등과 적절히 조합시킨 멸균된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현탁액, 리포좀 또는 유탁액으로 액상제제화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제제는 생리학적인 pH, 바람직하게는 6∼8의 범위 내의 pH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를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고, 로션 또는 크림 등의 경피용제제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붕산 등으로 이루어진 중성 근처 또는 pH3∼7의 완충액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방부제, 안정제, 침투압조절제 등을 더해 점안제 형태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펠릿에 의한 매립, 또는 젤라틴소프트캡슐 등의 생약용 기제를 사용한 좌약으로서 투여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중에서 바람직한 투여형태나 투여경로 등은 담당의사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의 간비호제 중에 포함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농도는 투여시 형태, 병의 종류나 중독도, 목적으로 하는 투여량 등에 따라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원료의 전 중량에 대해 균체의 중량이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의 범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가 경구투여되는 경우에는 원료의 전 중량에 대해 균체의 중량이 0.1∼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의 범위이고, 비경구투여되는 경우에는 원료의 전 용량에 대하여 균체의 중량이 0.1∼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농도가 상기 상한치를 넘으면 균질의 투여량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대해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져야 할 병의 용태 개선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어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간비호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 목적으로 하는 투여형태나 방법, 치료효과 및 처치기간 등에 따라 다르며 정확한 양은 의사가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간비호제를 경구투여할 경우에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액을 배양물로 사용할 때에는 통상 O.O1∼1Om1/kg체중/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ml/kg체중/회의 투여량 범위에서, 또한 이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균체, 추출물, 정제물질 또는 그 건조물을 배양물로서 사용할 때에는 통상 O.O1mg∼1g/kg체중/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mg∼O.1g/kg체중/회의 투여량의 범위에서 각각 하루 1∼6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3회에 나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루 투여량이 많은 경우에는 1회에 여러개의 정제 등의 제제로 나누어 투여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를 비경구투여하는 경우에는 균체중량을 환산하여 통상 0.O1mg∼1g/kg체중/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mg∼O.1g/kg체중/회의 투여량 범위에서 1일 1∼6회, 바람직하게는 1∼3회에 나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중 하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10-6∼1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1중량% 혼입한 식품 또는 사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입은 미리 소정량의 배양물을 혼입한 식품, 음수 또는 사료의 형태이건, 또는 섭취시 소정량의 배양물을 혼입한 식품, 음수 또는 사료의 형태이건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물의 혼입량을 10-6∼1중량%로 한 것은, 10-6중량% 미만에서는 배양물에 의한 충분한 간장해 개선 또는 보호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1중량%를 넘으면 식품으로서의 미각, 질감 및 식감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으로는 요구르트, 치즈 등의 유제품, 어묵, 꼬치어묵 등의 수산가공식품, 어류가공품, 소시지, 프랑크푸르트, 리버 페이스트 등의 식육가공품, 두부, 구운 두부, 설튀김, 유부, 비지, 얼린 두부, 두부껍질 등의 콩제품, 퓨레 등의 야채가공품, 매시포테이토, 칡, 녹두국수, 곤약 등 감자 가공품, 떡, 찹쌀경단, 밥, 밀기울, 마카로니, 스파게티, 소면, 메밀국수, 우동, 중화면, 식빵, 건빵, 팥빵 등의 곡물가공품, 잼 등의 감미류, 버터, 마가린, 마요네즈, 드레싱 등의 유지류, 사탕, 강정, 떡과자, 카스텔라, 양갱, 팥과자, 만쥬, 찹쌀떡, 경단, 시루떡, 초콜렛, 비스킷, 쿠키, 도넛, 케이크, 파이, 아이스크림, 푸딩, 검 등의 과자류, 두부, 젤리, 곤약, 한천 또는 우무 등의 겔형 식품, 다시마, 미역, 김, 우뭇가사리 등의 해초류 등, 통상 먹을 수 있는 모든 식품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사료로는, 돼지, 소, 양이나 염소 등의 가축, 개, 고양이, 토끼나 햄스터 등의 애완동물, 가금 및 물고기 등 통상 사육되는 동물용 먹이는 전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19398주에 관한 독성시험을 실시하여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를, 1.0(w/v)% 펩톤, 1.0(w/v)% 효모엑기스, 1.0(w/v)% 콘스타치 및 0.2(w/v)% 침강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배지에 약 106개/ml가 되도록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정치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액을 원심분리(4,000g×20분)하여 균체를 분리한 뒤, 균체를 건조처리(15℃, 20Torr에서 12시간 감압처리)함으로써 균체건조분말을 얻는다. 이 균체건조분말을 마우스사료(오리엔탈효모공업주식회사제, 제품명:MF)(이하,「마우스사료」라 칭한다)에 중량비로 1:105로 혼합하여 조제사료를 조제하였다. 생후 4주째의 ddy계 마우스(수컷, 17∼20g) 5마리를 1군으로 하여 미리 동일 우리내에서 상기 마우스사료를 3일간 주어 사육한 뒤 상기 조제한 조제사료를 6개월간 더 주어 사육하였다. 이 때 조제사료 대신에 마우스사료만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사육한「무투여군」을 비교대조하였다. 또한 모든 시험군에 있어서 마우스의 사료 섭취량은 3∼8g/일/마리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도시한다.
표 1
(n=5) NIP1020주투여군 NIP1021주투여군 ATCC주투여군 무투여군
개시 18.74±0.70 18.84±0.46 19.02±0.48 18.38±0.36
투여 1개월 39.74±3.99 39.46±3.77 39.92±1.61 38.48±3.57
투여 2개월 45.50±2.15 44.30±6.62 44.50±1.93 44.26±4.89
투여 3개월 47.36±5.10 46.50±3.81 46.48±3.22 46.84±5.47
투여 4개월 49.69±5.45 48.90±4.50 49.62±3.01 48.68±5.30
투여 5개월 51.96±5.76 51.12±4.46 52.66±4.76 51.70±4.88
투여 6개월 54.92±4.08 53.24±4.79 53.86±5.62 53.92±4.63
투여완료 6개월 56.80±4.97 57.24±5.23 56.28±4.23 56.32±4.6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3균주 모두 마우스의 체중 및 상태에 있어서 무투여군과 차이가 없어 이로써 상기 3균주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19398주를, 1.0(w/v)% 펩톤, 1.0(w/v)% 효모엑기스, 1.0(w/v)% 콘스타치 및 O.2(w/v)% 침강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배지에 약 1O6개/ml가 되도록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정치 또는 진탕)배양하였다. 얻어진 배양액을 원심분리(4,000g×20분)하여 균체를 분리한 뒤 균체를 건조처리(15℃, 20Torr에서 12시간 감압처리)함으로써 각각 균체의 건조분말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2>
하기 실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균주(NIP1020주, NIP1021주 및 ATCC주)의 에탄올에 의한 간장해 예방효과를 조사하였다.
물 0.6ml를 존데를 이용하여 하루 2회 강제로 경구투여함과 동시에 물을 자유섭취시킨 무처리군(B군) 이외에는 모든 군(A,C,D,E 및 F군)에 관해 시리언햄스터(100∼160g:3마리/군)에 하기 처리를 3개월간 하여 에탄올에 의한 간장해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25(w/v)% 에탄올수용액 0.6ml를 존데를 이용하여 하루 2회 강제로 경구투여함과 동시에 5(w/v)% 에탄올수용액을 음수로서 자유섭취시켰다. 또한 본 실험기간 중 각 햄스터군에 다음과 같은 먹이를 각각 주어 사육하였다.
A군: 오리엔탈효모공업주식회사제, 제품명: MF의 햄스터사료(이하, 「햄스터사료」라고 칭한다)(네거티브 컨트롤);
B군: 햄스터사료(무처리군);
C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0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NIP1020주 투여군). 또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D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1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NIP1021주 투여군). 또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E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ATCC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ATCC주 투여군). 또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F군: 간기능 개선제로 알려진 우르소디옥시콜산 에탄올용액(0.1mg/cc99.5% 에탄올)을 햄스터사료에 1kg당 1Omg의 우르소디옥시콜산이 포함되도록 흡수시킨 뒤 바람에 건조시킨 조제사료(우르소디옥시콜산 투여군). 또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3개월간의 처리종료 후 각각 처리 된 마우스군에 관해, 촉진에 의한 상복부의 부기를 조사했을 때, A군에서는 부기를 확인하고 B군 및 C군에서는 상복부의 부기는 인식되지 않았지만 D군, E군 및 F군에 있어서 상복부에 약간의 부기가 인식되었다. 또한 각각의 마우스군에 대해 간 소견으로써 체중 1OOg 당 간장의 용적(ml/1OOg체중), 가장자리 둔화 및 지방의 침착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도시한다.
표 2
처리군 간종대(간용적ml/1OOg체중) 가장자리 둔화(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지방침착(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A 5.74±0.09 2/3 2/3
B 5.05±0.05 0/3 0/3
C 5.09±0.16 0/3 0/3
D 5.25±0.07 2/3 1/3
E 5.30±0.22 1/3 1/3
F 5.54±0.09 2/3 2/3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NIP1020주 투여군(C군), NIP1021주 투여군(D군) 및 ATCC주 투여군(E군)은 전부 네거티브 컨트롤인 A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간종대 및 지방의 침착을 억제하며, 이 억제효과는 간기능 개선제로 알려진 우르소디옥시콜산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이므로 본 발명의 NIP1020주, NIP1021주 및 ATCC주의 배양물은 에탄올에 의한 간장해(알콜성 간질환)를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균주 중, 특히 NIP1020주 투여군(C군)은 무처리군(B군)과 거의 동등한 결과가 될 때까지 간종대, 가장자리 둔화 및 지방의 침착을 억제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NIP1020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배합물은 알콜성 간질환에 유효한 예방약으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3>
하기 실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균주(NIP1020주, NIP1021주 및 ATCC주)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 예방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리언햄스터(100∼160g:4마리/군)에 파라핀유 0.2ml만을 매주 2회의 비율로 총 6개월에 걸쳐 피하주사한 비교군(H군) 외에는 모든 군(G,I,J,K 및 L군)에 대해 시리언햄스터(100∼160g:4마리/군)에 하기 처리를 총 6개월간 수행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최초의 4개월간은 2.5mg/0.2ml, 다음 1개월간은 3.2mg/0.2ml 및 마지막 1개월간은 4.0mg/0.2ml농도의 사염화탄소 파라핀유 혼합액 0.2ml를 매주 2회의 비율로 총 6개월에 걸쳐 피하주사하였다. 또한 본 실험기간 중, 각 햄스터군에 다음에 표시되는 먹이를 각각 주어 사육하였다.
G군: 햄스터사료(네가티브컨트롤);
H군: 햄스터사료(비교군);
I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0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NIP1020주 투여군). 또한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J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1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NIP1021주 투여군). 또한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
K군: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ATCC주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ATCC주 투여군). 또한 시험기간 중에는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L군: 간기능 개선제로 알려진 우르소디옥시콜산의 에탄올용액(0.1mg/cc99.5% 에탄올)을 햄스터사료에 1kg당 1Omg의 우르소디옥시콜산이 포함되도록 흡수시킨 뒤 바람에 건조시킨 조제사료(우르소디옥시콜산 투여군). 또 시험기간 중에 햄스터의 사료 섭취량은 1일당 5∼30g정도였다.
6개월간의 처리종료 후, 각각 처리된 마우스군에 대해 간 소견(상복부에 부기, 가장자리 둔화, 간장의 백색화, 지방의 침착, 담즙울체 및 염증)을 조사했을 때 G군에서는 6개월 후에는 만져보아서 상복부에 부기를 확인하고 나아가 가장자리 둔화, 간장의 백색화, 지방의 침착, 담즙울혈 및 염증을 인식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하였다. 또한 I군 및 L군에서는 상복부의 부기, 가장자리 둔화, 간장의 백색화, 지방의 침착, 담즙울혈 및 염증은 거의 인식되지 않았지만, J군 및 K군에서는 상복부에 약간의 부기가 인식되고 가장자리 둔화가 상당부분 인식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처리군 간종대(간용적ml/10Og체중) 가장자리둔화(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지방침착(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담즙울혈(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염증(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G 5.70±0.16 4/4 2/4 1/4 3/4
H 5.09±0.05 0/4 0/4 0/4 0/4
I 5.13±0.13 1/4 0/4 0/4 0/4
J 5.29±0.13 2/4 0/4 0/4 0/4
K 5.26±0.24 1/4 0/4 0/4 1/4
L 5.13±0.10 1/4 1/4 0/4 0/4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NIP1020주 투여군(I군), NIP1021주 투여군(J군) 및 ATCC주 투여군(K군)은 전부 네거티브 컨트롤인 G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간종대, 가장자리 둔화, 지방의 침착, 담즙울혈 및 염증을 억제하며, 이 억제효과는 간종대가 NIP1021주(J군) 및 ATCC주(K군)에서 약간 떨어지지만 전반적으로는 간기능 개선제로서 알려진 우르소디옥시콜산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이므로 본 발명의 NIP1020주, NIP1021주 및 ATCC주의 배양물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알콜성 간질환)를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균주 중, 특히 NIP1020주 투여군(I군)은 비교군(H군)이나 우르소디옥시콜산 투여군(L군)과 거의 동등한 결과가 될 때까지 간종대, 가장자리 둔화, 지방의 침착, 담즙울혈 및 염증을 억제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NIP1020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배합물은 지방간이나 중독성 간장해에 유효한 예방약으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예방효과가 인식된 NIP1020주에 대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 치료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리언햄스터(100∼160g)에 실시예 2와 같은 처리를 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6개월간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후 복부에 부기를 인식한 햄스터를 2군(4마리/군)으로 나누어 한쪽 군은 햄스터사료만으로 1개월간 사육하고(M군: 사염화탄소 투여후의 통상 사육군), 다른쪽 군은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0주의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로 1개월간 사육했다(N군: 사염화탄소 투여 후의 NIP주 투여군).
또한 상기 실험에 있어서 사염화탄소 투여기간 중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0주의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로 사육하는 것 외에는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사염화탄소 처리를 6개월간 실시한 햄스터를 2군(4마리/군)으로 나누어, 한쪽 군은 햄스터사료만으로 사육한 군을 O군(NIP처리 사염화탄소 투여 후의 통상 사육군)으로 하고, 다른쪽 군은 햄스터사료 1kg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조제한 NIP1020주의 건조분말 10mg을 혼합한 조제사료로 사육한 군을 P군(NIP처리 사염화탄소 투여 후의 NIP주 투여군)으로 하여 각각 1개월간 사육하였다.
소정기간 사육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간장의 모양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처리군 간종대(간용적ml/10Og체중) 가장자리둔화(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지방침착(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담즙울혈(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염증(검출마리수/처리마리수)
H 5.09±0.05 0/4 0/4 0/4 0/4
M 5.79±0.42 4/4 4/4 3/4 4/4
N 5.38±0.32 2/4 4/4 2/4 4/4
O 5.01±0.14 1/4 2/4 1/4 2/4
P 5.13±0.28 1/4 2/4 0/4 1/4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M군에서는, 실시예 3에서의 G군의 결과와 비교한 것에 의하면, 간장해의 원인인 사염화탄소의 투여를 중지한 후에도 간장해에 의한 증상은 진행되지만, N군의 결과로부터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가 발생한 후에도 본 발명의 NIP1020주의 배양물을 투여하면 간종대, 가장자리 둔화 및 담즙울혈증상의 경감이 인식되며 고도의 간장해에 대해서도 NIP1020주의 배양물 투여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4, O군 및 P군의 결과로부터, 사염화탄소의 투여와 동시에 NIP1020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주면 사염화탄소의 투여중지와 동시에NIP1020주의 배양물 섭취를 중지시키더라도 M군은 원래 N군보다 간장해를 거의 받지 않으며, 특히 본 실험기간을 통해 매일 NIP1020주의 배양물을 투여받은 군(P군)은 가장 간장해를 적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NIP1020주의 배양물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해(지방간이나 중독성 간장해)를 효율적으로 치료함으로써, 본 발명의 NIP1020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배합물은 지방간이나 중독성 간장해에 유효한 치료약으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것을 시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높은 간장해 개선작용 및 간보호작용을 하는 신규 미생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특히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및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의 배양물은 간장해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제제에 있어서, 나아가 건강식품 또는 사료에 있어서 대단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비호제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간장해 예방작용 및 간장해 치료작용을 가지며, 나아가 포유동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갖기 때문에 간장해, 특히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및 중독성 간장해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데 대단히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및 사료는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므로, 높은 안전성이나 간장해 개선작용 및 간보호작용은 확보된 채로 공지의 식품에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불쾌감 없이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간장해에 대해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티리듐·부티리컴은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수탁번호 FERM BP-5795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또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은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4.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비호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 수탁번호 FERM BP-5795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1주 또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ATCC 19398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비호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이 수탁번호 FERM BP-5794의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NIP1020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비호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또는 중독성 간장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간비호제.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간비호제를 간장해를 갖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9.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10-6∼1중량% 혼입한, 간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10.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해당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지는 균을 포함하는 잔사 또는 해당 잔사의 건조물을 10-6∼1중량% 혼입한, 간장해의 치료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사료.
KR10-1999-7007083A 1997-02-14 1997-02-14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 KR100464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7/000401 WO1998036050A1 (fr) 1997-02-14 1997-02-14 Clostridium butyricum ayant des effets preventifs et therapeutiques sur les hepatopathies, et agents de soutien du foie et aliments destines a l'alimentation humaine et animale contenant tous le milieu de culture de ladite bact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820A KR20000070820A (ko) 2000-11-25
KR100464847B1 true KR100464847B1 (ko) 2005-01-05

Family

ID=1418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083A KR100464847B1 (ko) 1997-02-14 1997-02-14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20929B2 (ko)
KR (1) KR100464847B1 (ko)
WO (1) WO1998036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64B1 (ko) * 2001-09-27 2004-07-23 이형주 간암 억제 효능을 갖는 메밀 및/또는 메밀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식품 조성물
CN101851596B (zh) * 2010-04-21 2011-08-31 华中农业大学 高效解磷的丁酸梭菌a5-4及应用
JP6076509B2 (ja) * 2014-02-07 2017-02-08 ミヤリサン製薬株式会社 クロストリジウム属の菌の毒素産生抑制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625A (ja) * 1991-07-10 1994-06-14 Miyarisan Seibutsu Igaku Kenkyusho:Kk 酪酸菌の液剤
JPH10327767A (ja) * 1991-12-11 1998-12-15 Nippon Kayaku Co Ltd 動物の成長促進方法及びクロストリジウム属菌死菌体粉末製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20A (ja) * 1981-07-10 1983-01-21 Miyarisan Kk 胆石症の治療薬
JPH04330016A (ja) * 1991-05-01 1992-11-18 Rikagaku Kenkyusho 過酸化脂質低下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625A (ja) * 1991-07-10 1994-06-14 Miyarisan Seibutsu Igaku Kenkyusho:Kk 酪酸菌の液剤
JPH10327767A (ja) * 1991-12-11 1998-12-15 Nippon Kayaku Co Ltd 動物の成長促進方法及びクロストリジウム属菌死菌体粉末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6050A1 (fr) 1998-08-20
JP3920929B2 (ja) 2007-05-30
KR20000070820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894B1 (ko)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1228993B1 (ko) 발효 및 배양 방법, 식물발효 엑기스, 식물발효 엑기스분말 및 이 식물발효 엑기스 배합물
CN113498433B (zh) 包含嗜柠檬酸明串珠菌WiKim0104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CN104611273A (zh) 丁酸梭菌ucn-12菌株及其组合物和应用
JPH10330274A (ja) 鳥類用生菌剤の投与方法
EP1867238B1 (en) Feeding stuff composition comprising proliferation promoting agent for bifidus bacteria and use of the same
WO2007058027A1 (ja) バチルス・チューリンゲンシスを含む有害菌の防除剤
JPWO2008023580A1 (ja) 動物用飼料添加剤
WO1993013666A1 (en) Probiotic for control of salmonella
WO2021251575A1 (ko) 신규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246144A (zh) 具有预防及治疗肝脏损害功能的丁酸梭菌,以及由其培养物制成的肝保护剂、食品和饲料
KR100464847B1 (ko) 간장해 예방·치료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듐·부티리컴, 및 그배양물을 포함하는 간비호제, 식품 및 사료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US6645515B1 (en) Bacteriostatic composition for salmonellae
CN108464509B (zh) 新型发酵乳酸杆菌在食品领域中的应用
KR20020024197A (ko) 미생물의 순차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고기능성 전분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544782A (zh) 一种复合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7067827B1 (ja) インターフェロン産生促進剤
WO1995004539A1 (fr) Adjuvant d&#39;immunite et procede permettant de renforcer l&#39;immunite d&#39;un animal avec cet adjuvant
JP7401156B1 (ja) 子宮、卵管および卵巣における炎症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WO2021251574A1 (ko)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RU281675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лучшения теч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или жировой болезни печени, содержащая leuconostoc citreum wikim0104
SE510505C2 (sv) Probiotisk komposition innehållande sporer från jästarten Endomyces fibuliger och användning därav
TWI458438B (zh) Fermentation and culture methods, plant fermentation extracts, plant fermentation extract powders, and plant fermentation extract comple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