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607B1 -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607B1
KR100463607B1 KR10-2002-0056184A KR20020056184A KR100463607B1 KR 100463607 B1 KR100463607 B1 KR 100463607B1 KR 20020056184 A KR20020056184 A KR 20020056184A KR 100463607 B1 KR100463607 B1 KR 10046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wire
strand wire
screw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750A (ko
Inventor
차재곤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6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2Conductive members located in slot or hole in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러그로 삽입되는 스트랜드 전선을 고정키 위한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러그에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의 일단이 러그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력이 대폭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로의 단자(2) 또는 부스바에 취부되는 러그(1)와, 상기 러그에 형성된 전선 취부공(101)을 통해 삽입되는 스트랜드 전선(5)과, 상기 스트랜드 전선이 러그(1)의 전선 취부공(101)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러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 결합공(100)으로 나사조임됨에 따라 러그(1)에 끼워진 스트랜드 전선(5)을 압박 고정하는 러그스크류(6)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러그스크류의 가공부(6b) 저면에 소정의 지름(L)과 깊이(D)를 갖도록 환형의 요홈(10)을 더 형성하여 러그(1)의 전선 취부공(101)을 통해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5)이 스크류 결합공(100)을 통해 나사조임된 러그스크류(6)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압박됨에 따라 상기 요홈(10)의 내부로 스트랜드 전선(5)의 일부가 진입되어져 복수로 굴곡된 형상(B)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stranded electric wire in lug for electric wiring}
본 발명은 전기배선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전기배선용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strand electric wire)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선용 러그(lug)는 전기 선로의 단자 또는 전선 등을 서로 통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기 부속품의 일종으로 지칭되며, 통상 이러한 러그는 일측으로 전선을 끼워 넣은 후, 스크류를 이용해 상기 전선을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음은 익히 알려진 바이다.
그럼, 여기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이 취부되는 상태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전기배선에 이용되는 러그(1)는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상기 러그(1)의 상면에는 스크류 결합공(100)이 형성됨과 함께 둘레면 중 일측에는 전선 취부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러그(1)의 일측에는 선로의 단자(2)(또는 부스바)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연결편(102)이 일체로 형성되고, 러그(1)와 단자 연결편(102)의 연결부 저면에는 단자(2)의 끝단에 안착된 러그(1)가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0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을 취부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선로의 단자(2)(또는 부스바)의 끝단에 러그(1)의 단자 연결편(102)을 안착시킨 상태로 단자(2)의 연결공(2a)과 상기 단자연결편(102)에 형성된 단자 연결공(102a)을 통해 상, 하방에서 볼트(3)와 너트(4)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러그(1)를 단자(2)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러그(1)의 전선 취부공(101)을 통해 스트랜드 전선(5)을 삽입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상기 러그(1)의 스크류 결합공(100)을 통해 러그스크류(6)를 나사조임함으로써 스트랜드 전선(5)이 상기 러그(1)와 러그스크류(6)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1)와 스트랜드 전선(5)은 러그(1)를 통해 통전가능하게 연결되어진 상태가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할 때 종래 러그스크류(6)의 형상은 환봉의 일단에 6각 너트(6a)가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요설되고, 그 반대측 끝단에는 환봉의 중심을 향해 일정각도만큼 내향 경사지도록 가공부(6b)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러그스크류(6)의 가공부(6b)에 압박된 스트랜드 전선(5)은 첨부된 도 4와 같이 러그스크류(6)의 가공부 형상에 따라 오목하게 압착된 형상을 갖는 바, 이에 따라 러그(1)로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5)이 러그스크류(6)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는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러그 내로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이 러그스크류의 가공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압박 고정되나, 상기 러그스크류의 가공부 형상이 평면형상이므로 스트랜드 전선에 대한 고정력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러그가 스트랜드 전선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알지 모르는 사이에 선로의 배선 및 유지보수시 흔들림이나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러그로부터 스트랜드 전선이 쉽게 빠져버리는 경우가 발생되어 이 때에는 선로의 전원공급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함은 물론,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러그로 삽입되는 스트랜드 전선을 고정키 위한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러그에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의 일단이 러그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력이 대폭 향상된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이 취부되는 상태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이 삽입된 상태도
도 3은 종래 러그스크류의 형상을 보인 정면 및 평면도
도 4는 종래 러그스크류에 의해 스트랜드 전선이 고정된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러그스크류의 형상을 보인 정면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러그스크류에 의해 스트랜드 전선이 고정된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러그 2 : 단자
3 : 볼트 4 : 너트
5 : 스트랜드 전선 6 : 러그스크류
10: 요홈(10) B : 굴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의 단자 또는 부스바에 취부되는 러그와, 상기 러그에 형성된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되는 스트랜드 전선과, 상기 스트랜드 전선이 러그의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러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 결합공으로 나사조임됨에 따라 러그에 끼워진 스트랜드 전선을 압박 고정하는 러그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러그스크류의 가공부 저면에 소정의 지름과 깊이를 갖도록 환형의 요홈을 더 형성하여 러그의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이 스크류 결합공을 통해 나사조임된 러그스크류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압박됨에 따라 상기 요홈의 내부로 스트랜드 전선의 일부가 진입되어져 복수로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러그스크류의 형상을 보인 정면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러그스크류에 의해 스트랜드 전선이 고정된 구조를 보인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러그스크류(6)의 가공부(6b) 하단면에 소정의 지름과 깊이를 갖도록 환형의 요홈(10)을 더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따라 러그(1)의 전선 취부공(101)으로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5)이 스크류 결합공(100)을 통해 나사조임된 러그스크류(6)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압박됨에 따라 상기 요홈(10)의 내부로 스트랜드 전선(5)의 일부가 진입되어져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굴곡된 형상(B)을 갖게 된다.
이 때, 상기 요홈(10)은 러그(1)의 스트랜드 전선(5)에 대한 고정력을 인장시험을 통해 대비하여 본 바, 스트랜드 전선(5)을 구성하는 와이어(5a)의 두께(t)와 대비하여 요홈(10)의 지름(L)이 대략 와이어(5a)의 3~4가닥 두께에 상당하고,깊이(D)가 대략 와이어 한가닥 두께(t)의 1/2배 이내가 되도록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겠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러그스크류(6)의 요홈(10)에 스트랜드 전선(5)의 굴곡부(B)가 꽉 낀 형태로 고정되므로 러그(1)의 스트랜드 전선(5)에 대한 고정력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기계적인 인장강도가 증대되므로 러그(1)에 의해 접속되는 선로 및 부하기기가 외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이나 충격, 온도변화에 더욱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본 발명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는 러그 내로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이 러그스크류에 의해 복수로 굴곡되면서 견고하게 압박 고정되므로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에 대한 고정력이 대폭 향샹된다.
이에 따라 러그에 스트랜드 전선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한 경우, 작업자가 선로의 배선 및 유지보수시 발생된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러그에서 스트랜드 전선이 쉽게 빠져버리는 폐단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선로의 전원공급이 원활히 수행됨은 물론, 기기의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2)

  1. 선로의 단자 또는 부스바에 취부되는 러그와, 상기 러그에 형성된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되는 스트랜드 전선과, 상기 스트랜드 전선이 러그의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된 상태로 러그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 결합공으로 나사조임됨에 따라 러그에 끼워진 스트랜드 전선을 압박 고정하는 러그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러그스크류의 가공부 저면에 소정의 지름과 깊이를 갖도록 환형의 요홈을 더 형성하여 러그의 전선 취부공을 통해 삽입된 스트랜드 전선이 스크류 결합공을 통해 나사조임된 러그스크류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압박됨에 따라 상기 요홈의 내부로 스트랜드 전선의 일부가 진입되어져 복수로 굴곡된 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스트랜드 전선을 구성하는 와이어와 대비할 때, 지름이 대략 와이어의 3~4가닥 두께에 상당하고, 깊이가 대략 와이어 한가닥 두께의 1/2배 이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KR10-2002-0056184A 2002-09-16 2002-09-16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KR10046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184A KR100463607B1 (ko) 2002-09-16 2002-09-16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184A KR100463607B1 (ko) 2002-09-16 2002-09-16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750A KR20040024750A (ko) 2004-03-22
KR100463607B1 true KR100463607B1 (ko) 2004-12-29

Family

ID=3732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184A KR100463607B1 (ko) 2002-09-16 2002-09-16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6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170A (en) * 1974-11-13 1976-10-05 S.E.P.M. (Societe Anonyme) Electrical equipment terminals or connecting members
JPH07302626A (ja) * 1994-04-28 1995-11-14 Kawaguchi:Kk 圧縮形電線コネクタ
JP2002075484A (ja) * 2000-08-25 2002-03-15 Honda Motor Co Ltd 電線接続用端子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170A (en) * 1974-11-13 1976-10-05 S.E.P.M. (Societe Anonyme) Electrical equipment terminals or connecting members
JPH07302626A (ja) * 1994-04-28 1995-11-14 Kawaguchi:Kk 圧縮形電線コネクタ
JP2002075484A (ja) * 2000-08-25 2002-03-15 Honda Motor Co Ltd 電線接続用端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750A (ko)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479B1 (en) Bussed electrical center with combinatio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JPS62193071A (ja) アングルプラグ
US6364720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JP5809793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H0645010A (ja) 導線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4932896A (en) Cable with a jumper terminal
US6238236B1 (en) Stress relief apparatus for an electrical conductor
KR100463607B1 (ko) 전기배선용 러그의 스트랜드 전선 고정구조
US4830624A (en) Twist-on battery connector
US4466691A (en) Connecting terminal for circuit interrupter
CN210926423U (zh) 一种电连接器的外壳
US6375519B1 (en) Electric coupler for battery of vehicle or the like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US5131861A (en) Threaded terminal connector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CN210603354U (zh) 防断线的传感器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JPH0676882A (ja) 通電接触子の振動防止構造
JP200829366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取付構造
KR100506500B1 (ko) 차량 전지용 케이블 부착 조립품
KR200156698Y1 (ko) 가공지선 지지대
KR200267190Y1 (ko) 배터리 단자 커넥터
KR200253488Y1 (ko) 어스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어스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