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190Y1 - 배터리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190Y1
KR200267190Y1 KR2020010037033U KR20010037033U KR200267190Y1 KR 200267190 Y1 KR200267190 Y1 KR 200267190Y1 KR 2020010037033 U KR2020010037033 U KR 2020010037033U KR 20010037033 U KR20010037033 U KR 20010037033U KR 200267190 Y1 KR200267190 Y1 KR 20026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rm
hole
battery
fix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앙쉬충
Original Assignee
리앙 쉬 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앙 쉬 충 filed Critical 리앙 쉬 충
Priority to KR2020010037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19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배터리 단자 커넥터는 설치 부재 및 상기 설치 부재와 일체형인 와이어 분배 부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 부재는 나사 볼트에 의해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두 개의 고정용 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분배 부재는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및 상기 고정용 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의해 분리되는 각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와이어 분배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단자 커넥터{BATTERY TERMINAL CONNECTOR}
본 고안은 배터리의 단자에 전선을 연결하기에 적당한 배터리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배터리의 단자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단순 구조의 배터리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 및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배터리 단자 커넥터는 전선(4)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와이어 분배 부재(wire distribution part)(3)와, 배터리 단자(21)에 고정시키기 적당한 두 개의 고정용 암(31)을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 분배 부재(3)는 나사(41)가 설치될 상부에 다수의 나사 구멍을 갖고 있어서 각각의 전선(4)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각각의 고정용 암(31)은 와이어 분배 요소(3)로부터 각각 연장된 아치형 후방부(arched rear portion)와, 연장부(32)로 끝나는 자유단을 가지고 있다. 고정용 암(31)의 아치형 후방부는 배터리 단자(21)를 수용하기에 적당한 분할 설치 구멍(split mounting hole)(311)을 한정한다. 분할 설치 구멍(311)이 배터리 단자(21)에 부착된 후, 나사 볼트(33)가 고정용 암(31)의 연장부(32)에 고정되어 고정용 암(31)을 배터리 단자(2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배터리 단자 커넥터는 단점들을 갖는다. 고정용 암(31)의 아치형 후방부가 서로 연결되고 고체의 와이어 분배 부재(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용 암(31)은 탄력이 보다 적고, 배터리 단자 커넥터가 설치된 후 고정용 암(31)과 배터리 단자(21) 사이에는 틈이 남을 수 있다. 고정용 암(31)의 탄력이 보다 적기 때문에, 고정용 암(31)을 배터리 단자(21)에 고정시킬 때에는 보다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한다. 설치 중에는, 나사 볼트(33)를 고정시키기가 곤란하다. 만약 나사 볼트(33)가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다면, 배터리 단자 커넥터는 이탈할 수도 있다. 더욱이, 나사 볼트(33)가 억지로 고정될 때에는, 나사 볼트(33)의 나사산이 손상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한 가지 목적은 보다 적은 노력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한 가지 목적은 배터리 단자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전기 전도 효과를 달성하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치 부재 및 상기 설치 부재와 일체형인 와이어 분배 부재를 구비한 배터리 단자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설치 부재는 나사 볼트에 의해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두 개의 고정용 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 분배 부재는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상기 고정용 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의해 분리되는 각각의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와이어 분배부를 갖는다. 상기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는 고정용 암의 탄력을 크게 증가시켜서, 쉽게 설치하는 동안 손상 없이 상기 고정용 암을 넓은 범위내에서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터리 단자 커넥터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터리 단자 커넥터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터리 단자 커넥터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는 설치된 종래의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금속 설치 부재(11)와, 상기 설치 부재(11)와 일체형인 금속 와이어 분배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 부재(11)는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고정용 암(1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용 암(111)은 원형의 설치 구멍(12) 및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12)과 통하는 좁은 틈(121)을 한정하고, 각각의 고정용 암은 정면 연장부(112)를 갖는다. 한쪽 고정용 암(111)의 정면 연장부(11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121)이 만들어져 있고, 다른쪽 고정용 암(111)의 정면 연장부(112)를 관통하는 나사 구멍(1122)이 만들어져 있다. 사용시에는,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12)이 배터리(2)의 단자(21)에 결합된 후, 나사 볼트(13)가 상기 관통 구멍(1121)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나사 구멍(1122)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고정용 암(111)을 배터리(2)의 단자(21)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상술된 와이어 분배 장치는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는 와이어 분배 장치를 두 개의 와이어 분배부(14)로 나눈다. 각각의 와이어 분배부(14)는 정면 와이어 구멍(1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멍은 각각의 전선(16)을 수용한다. 조임 나사(142)는 각각의 와이어 분배부(14)상의 각 나사 구멍안으로 들어가서 각각의 전선(16)을 각 와이어 구멍(141)에 고정시키고, 각 전선(16)의 도체를 각 와이어 분배부(14)의 내부 벽에 계속 밀착시켜 준다. 설명된 바와 같이, 두개의 와이어 분배부(14)는 설치 부재(11)의 고정용 암(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개구부(15)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손상 없이 고정용 암(111)을 서로에 대해 안팎으로 움질일 수 있게 해준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종방향 홈(122)이 원형의 설치 구멍(12) 주위의 고정용 암(111)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용 암(111)을 배터리(2)의 단자(21)(역시 도 1 참조)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른 형태에 따르면, 설치 부재(11)에는 와이어 분배 부재의 개구부(15)쪽을 향해 있고 좁은 틈(121)의 반대편에서 원형의 설치 구멍(12)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치(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123)는 고정용 암(111)이 손상 없이 더 넓게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단자 커넥터(1)는 원형의 설치 구멍(12)에 나선형 홈(124)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홈은 배터리 단자 커넥터(1)의 원형 설치 구멍(12)의 주변 벽과 배터리(2)의 단자(21) 사이를 확실히 접촉하도록 해준다.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단자 커넥터(1)는 원형의 설치 구멍(12)에 나선형 홈(124)과, 원형의 설치 구멍(12)에 상기 나선형 홈(124)과 교차하는 종방향 홈(122)을 갖는다. 상기 나선형 홈(124)과 종방향 홈(122)은 배터리 단자 커넥터(1)의 원형 설치 구멍(12)의 주변 벽과 배터리(2)의 단자(21) 사이를 확실히 접촉하도록 해준다.
도 9 및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단자 커넥터(1)는 오른쪽 나선형 홈(125)과 왼쪽 나선형 홈(126)을가지며, 이들 홈은 원형의 설치 구멍(12)에서 서로 엇갈리게 연장된다. 상기 오른쪽 나선형 홈(125)과 왼쪽 나선형 홈(126)은 배터리 단자 커넥터(1)의 원형 설치 구멍(12)의 주변 벽과 배터리(2)의 단자(21) 사이를 확실히 접촉하도록 해준다.
도면들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디자인된 것이며, 개시된 본 고안을 제한하고 그 범위를 한정하는데 사용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보다 적은 노력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배터리 단자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전기 전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를 제공한다.

Claims (7)

  1.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금속 설치 부재, 및 상기 설치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금속 와이어 분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설치 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고정용 암과 제2 고정용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은 각각 정면 연장부와,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제2 고정용 암 사이에 한정되고 배터리의 단자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원형의 설치 구멍과,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을 양측에서 배터리의 단자에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을 분리하는 좁은 틈과, 상기 제1 고정용 암의 정면 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의 정면 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 구멍과,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을 배터리의 단자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고정용 암의 정면 연장부상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용 암의 정면 연장부상의 나사 구멍으로 들어가기에 적당한 나사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분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 및 상기 설치 부재의 제1 고정용 암 및 제2 고정용 암과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의해 분리되며 각각의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다수의 와이어 분배부를 구비한 배터리 단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는 상기 제1 고정용 암과 상기 제2 고정용 암상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노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는 상기 와이어 분배 부재를 향해 있고 상기 좁은 틈의 반대편에서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분배 부재의 와이어 분배부는 각각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정면 와이어 구멍과, 각각의 정면 와이어 구멍에 전선을 고정시키기에 적당한 조임 나사를 구비하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은 상기 구멍 주변에 나선형 홈을 갖고, 상기 나선형 홈은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의 주변 벽과 배터리 단자 커넥터가 고정될 배터리의 단자 사이를 확실히 접촉시켜 주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은 상기 원형 설치 구멍의 주변 벽과 배터리 단자 커넥터가 고정될 배터리의 단자 사이를 확실히 접촉시켜 주기 위해 상기 구멍 주변에 나선형 홈과 다수의 종방향 홈을 가지며, 상기 종방향 홈은 각각 상기 나선형 홈과 엇갈리게 연장되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은 상기 원형의 설치 구멍의 주변 벽과 배터리 단자 커넥터가 고정될 배터리의 단자 사이를 확실히 접촉시켜 주기 위해 상기 구멍 주변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오른쪽 나선형 홈과 왼쪽 나선형 홈을 갖는 배터리 단자 커넥터.
KR2020010037033U 2001-11-30 2001-11-30 배터리 단자 커넥터 KR200267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33U KR200267190Y1 (ko) 2001-11-30 2001-11-30 배터리 단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33U KR200267190Y1 (ko) 2001-11-30 2001-11-30 배터리 단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190Y1 true KR200267190Y1 (ko) 2002-03-09

Family

ID=7307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33U KR200267190Y1 (ko) 2001-11-30 2001-11-30 배터리 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25B1 (ko) 2011-08-24 2012-03-12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2차 전지의 충방전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25B1 (ko) 2011-08-24 2012-03-12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2차 전지의 충방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397B2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779886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8409B2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US6350162B1 (en)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for large conductors
GB2428911A (en) Female contact element having elastic socket insert
US6364720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6210239B1 (en) Contact element with a screw-type terminal
US6126478A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PT1597801E (pt) Um elemento de ligação eléctrica
US20090163087A1 (en) Stud connector and related methods
JP4879268B2 (ja) バスバー及びコネクタ
US6494752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2011008655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m actuated locking mechanism
EP1729372B1 (en) Female electric terminal
KR200267190Y1 (ko) 배터리 단자 커넥터
US6106325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200350729A1 (en)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US6334797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5304075A (en) Cable clamp with stress distributing grip
US6053779A (en) Terminal clamp and electrical wire mounting arrangement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JP3783148B2 (ja) 導体の接続構造
KR100445149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CN220672981U (zh) 电缆线连接器和塑壳断路器
JP201202808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