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275B1 -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275B1
KR100462275B1 KR10-2002-0041914A KR20020041914A KR100462275B1 KR 100462275 B1 KR100462275 B1 KR 100462275B1 KR 20020041914 A KR20020041914 A KR 20020041914A KR 100462275 B1 KR100462275 B1 KR 10046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thyristor
circuit
pai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306A (ko
Inventor
조창호
이성진
김승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2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7/53846Control circuits
    • H02M7/53854Control circuits using thyristor typ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96Means for increasing hold-up time, i.e. the duration of time that a converter's output will remain within regulated limits following a loss of inpu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가 동작 중에 그 정전용량이 변경되거나 또는 전기집진기가 교체되는 경우에도 전원공급장치를 교체할 필요없게 하고, 비정상적 전류가 흐를 때 전원 펄스를 일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이다. 본 발명은 직류 전압을 받아서 고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인버터와;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과; LC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인덕터 및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스위칭시에 동시에 온,오프 동작으로 단속되는 제1쌍 및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인버터와 직렬로 결합된 싸이리스터 및 상기 인버터의 상기 제1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1 제어단과;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2 제어단을 가지고, 상기 회로의 반주기의 공진시간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A Circuit and a Method of Setting Inverter Switching Time Fo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EP: Electrostatic Precipitator)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펄스 형태의 전원 공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펄스 형태의 펄스 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한 스위칭 시간 자동설정 및 인버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회로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란 유해한 먼지나 미립자 등을 모아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집진 전극을 접지하고, 그 전극의 중심에 가는 철사를 방전 전극으로 두고 여기에 (-) 전압을 가해 두고, 아래쪽에서 매연 등 먼지나 미립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통하면 먼지나 미립자는 (-)로 대전하여 집진 전극의 안쪽에 흡착한다. 사용자는 집진 전극을 두드려서 먼지나 미립자를 모을 수 있다.
마이크로 펄스 방식(Micro-Pulse Concept)을 적용한 전기집진방식은 역전리의 발생을 억제하고, 전류 밀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며, 먼지(dust)의 대전율이 증가하는 등 그 성능 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펄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펄스 전압 발생부는 고압 변압기, 정류기, 고압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 공진용 인턱터 및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이크로-펄스 방식을 사용한 전기집진방식의 구성 및 장점은 미국 특허 제4,670,829호, 제4,772,998호, 제4,828,200호, 제5,623,171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펄스 방식의 기술 동향은 'Electrostatic Precipitation Technology with New Energization System'(미쓰비시 중공업, Technical Review, Vol.32, No1, 1995년 2월)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한 기술 내용은 모두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301157호에 개시되어 있는 마이크로-펄스 방식을 적용한 전기집진기용 펄스전압 발생회로는, 그 구현과정에 있어서 인버터부의 싸이리스터 스위치의 턴온 타임(TD)을 미리 결정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램 해 놓아야 한다. 따라서, 도 1의 인버터부(100) 내에서 제1쌍의 싸이리스터 스위치(S1,S2,S5)를 턴온 시킨 후 미리 정해진 시간(TD)만큼 기다린 다음에 제2쌍의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를 턴온시킨다. 이 지연시간(TD)은 전원 공급장치 설계시에 공진 인덕터(L1), 공진 커패시터(C2), 전기집진기(EP)의 회로 시정수로부터 계산하여 결정하는데, 적용되는 전기집진기(EP)의 정전용량, 즉 커패시턴스를 정확히 알아야 계산이 가능하고 정확한 운전이 가능함은 물론, 지연시간(TD)를 한 번 결정하여 프로그램하면 그 값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정전용량이 다른 전기집진기에는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한 번 결정된 지연시간(TD)에 의해 제작된 전기집진기용 펄스전원은 적용하는 전기집진기가 달라질 경우 지연시간을 다시 계산하여 프로그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펄스전원을 동일한 전기집진기에 사용할 경우에도, 집진과정에서 운전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전기집진기의 정전용량값이 변화하여 공진주기가 변화하거나 전기집진기의 스파크 발생 등으로 공진전류 파형이 달라질 경우에도, 고정된 타이밍에 인버터를 스위칭 할 경우 인버터 단락 등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즉, 종래의 공진형 전원공급장치는 인버터의 싸이리스터 스위치 턴 온(on)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쌍의 인버터 스위치 중 첫번째 스위치 쌍을 턴온 시킨 후 미리 계산된 회로 시정수를 근거로 항상 일정한 시간진연 후에 두번째 스위칭 쌍을 턴온시켜, 공진회로의 실제 전류의 흐름을 스위칭 타임을 결정하는 데에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공진시 전기집진기의 스파크 발생 등에 의해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경우 인버터의 단락(Shoot Through)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공진형 전원공급장치가 공진발생을 위해 인버터의 싸이리스터스위치를 턴온함에 있어서 스위칭 타임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전기집진기의 정전용량(커패시턴스)를 알아야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발 스위칭을 수행한 후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여 피드백시켜 자동으로 스위칭 타임을 결정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진시 실제 전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경우 인버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생성 회로도,
도 2는 도 1의 회로에서 단발 스위칭시의 전류 파형도,
도 3은 도 1의 회로에서 공진이 발생한 때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
도 4는 자동 스위칭 타임 설정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보호용 게이트신호의 마스킹 회로,
도 5b는 전기집진기에서 스파크 등의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인버터 보호를 위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인버터 스위칭 타입 설정 및 파손 방지용 회로와 그 방법으로서, 직류 전압을 받아서 고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인버터(100)와; 상기 인버터(1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양단의 고전압을 온(on),오프(off) 동작으로 단속시키는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상기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직렬로 연결되어 LC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인덕터(L1) 및 공진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100)는 스위칭시에 동시에 온,오프 동작으로 단속되는 제1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S1-D1,S2-D2) 및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S3-D3,S4-D4)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인버터와 직렬로 결합된 싸이리스터(S5) 및 상기 인버터의 상기 제1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S1,S2)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1 제어단과;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2 제어단을 가지고, 상기 회로의반주기의 공진시간(T/2)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지연시간(TD)을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이다.
또한, 상기 회로내 인버터의 출력전류의 극성과 기준전위를 비교하는 비교기로부터의 마스크 신호인 제1 입력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사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 인가신호인 제2 입력을 받아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로 출력하는 AND 게이트 회로를 파손방지 회로로서 더 포함하면 인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생성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회로에서 '단발 스위칭(한주기의 스위칭)'시의 전류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로에서 공진이 발생한 때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과 같이 LC 공진형 전원공급 장치가 구성될 때, 도 2의 t0 시점에서 싸이리스터 스위치(S1,S2,S5)를 동시에 턴 온(on) 시키면 DC 전원(Vdc)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된 전기집진기(EP), 공진 커패시터(C2), 공진 인덕터(L1)를 통해 전류가 흐르며, LC 직렬 공진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로의 임피던스 및 시정수에 따른 정현파로 이루어진다. 즉, 일정 시간 후의 시점(t1)에서 전류가 0이 되었다가 전류가 반대방향으로 흘러 한 주기의 공진 싸이클이 구성된다.
전류가 역전되는 순간(t1)부터 전류는 다이오드(D1,D2,D5)를 통하여 흐르므로 싸이리스터 스위치(S5,S2,S1)는 영전류 시점에 자동 오프(off)된다. 역방향으로 흐르던 전류가 다시 0이 되는 시점(t3)에는 싸이리스터 스위치(S5)가 이미 오프(off)되어 있으므로 싸이리스터의 특성상 정방향으로 다시 흐르려는 전류 흐름은 차단되어 한 주기의 공진 싸이클(T)은 종료되며, 싸이리스터 스위치(S5)를 인위적으로 턴 온(on)시키지 않는 한 더 이상의 공진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 싸이클의 공진 주기(T)는 공진 인덕터(L1)의 인덕턴스, 공진 커패시터(C2), 전기집진기(EP)의 커패시턴스 값 등으로부터 결정되며, 공진 펄스의 반복주기(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는 1초당 싸이리스터 스위치(S5)의 턴 온(on) 회수를 조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입력되는 낮은 전압의 DC 전원(Vdc)으로부터 높은 전압의 공진 펄스를 얻기 위해서는 전류가 역전되는 시점(t1)으로부터 다시 전류가 0이 되는 시점(t3)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싸이리스터 스위치(S4,S3)를 턴 온(on) 시켜서 DC 전원(Vdc)을 기존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공급하여 공진 커패시터(C2)에 점차 큰 전압이 충전되도록 한다. 전류가 역전된 후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를 턴 온(on) 시키지 않으면 전류는 다이오드(D1,D2,D5)를 통해 계속 흐르므로 DC 전원(Vdc)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손실이 없을 경우 공진 커패시터(C2)에는 초기값과 동일한 전압까지만 충전이 이루어지고 여러 번의 공진 사이클을 수행하여도 높은 전압으로의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전류가 역전된 후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을 턴 온(on)시키면 DC 전원(Vdc)이 전류의 흐름을 더 키워주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공진 커패시터(C2)에는 초기값보다 더 큰 전압으로 충전된 후 전류는 0이 되어 한 주기의 공진 싸이클이 완료된다.
다음 번의 공진 싸이클에서 싸이리스터 스위치(S1,S2,S5)를 턴 온(on) 시키면 공진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과 DC 전원(Vdc)이 더해져 공진 전류를 흐르게 하고, 다시 전류가 역전되었을 때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를 턴 온(on)시키면 공진 커패시터(C2)에 더 큰 전압으로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러 번의 공진 싸이클을 수행하면 낮은 전압의 DC 전원(Vdc)으로부터 높은 공진 전압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계속되는 공진에 의해 공진 전압과 전류가 커질수록 회로의 손실도 증가하여 DC 전원(Vdc)이 공급하는 에너지와 공진에 의한 손실이 같아지는 시점에서 공진 전압과 전류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위상제어 정류기 등을 이용하여 가변 DC 전원(V1)을 입력으로 사용하면 공진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전기집진기(EP)에 하전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a는 인버터 단락(Shoot Through)에 의한 인버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추가되는 파손방지회로이다. 소자의 열화나 전기집진기에서의 스파크 발생 등의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한 싸이클의 공진시간 T가 달라지면 전류가 정상적인 시간(t1)에 역전되지 않으므로, 싸이리스터 스위치(S1,S2)가 자동 오프(off)되기 전에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를 턴 온(on)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버터 단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도 5b는 전기집진기에서 스파크가 발생한 경우에 인버터 보호를 위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점(t1)에서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가 아직 오프되지 않았는데도 스파크가 발생으나, 도 5a의 회로를 채용하여 전류가 역전되지 않았을 경우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의 게이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마스킹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스위칭(S3,S4)용 게이트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싸이리스터 스위치(S3,S4)의 게이트 입력단자에서는 게이트 신호가 들어지 않도록 하여 인버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전기집진기의 정전용량값을 모르는 상태에서, 고전압의 공진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버터 스위칭 타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한 주기의 공진 싸이클 시작 시점(t0)은 제1쌍의 싸이리스터 스위치와 인버터에 직렬로 연결된 싸이리스터(500)의 스위치(S1,S2,S5)를 턴 온(on) 시키는 순간이다. 최초에는 회로의 시정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제2쌍의 싸이리스터 스위치(S4,S3)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면 역전되는 전류가 다이오드(D1,D2,D5)를 통해 흐르므로 도 2와 같은 한 주기의 공진 싸이클이 완성된다. 이를 '단발 스위칭'이라 정의한다.
인버터(100)내의 제1쌍의 싸이리스터(S1,S2) 및 인버터에 직렬로 연결된 싸이리스터(S5)를 구동시켜 회로 내에서 정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한 때로부터 상기 전류가 역방향으로 전환한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STEP 10 ~ STEP 25). 즉, 싸이리스트 스위치(S1,S2,S5)를 턴 온(on)시키는 순간부터 전류센서로부터 궤환되는 전류값이 음(-)이 되는 시간까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카운트하면 반주기의 공진시간(T/2)를 알 수 있다. 도 1에서는 싸이리스터 모듈(500) 내의 다이오드(D5)에 역방향 전류가 흐를 때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받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역방향 전류값이 음(-)으로 되는 것에 대한 감지수단은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어서, 카운트하여 얻어진 반주기의 공진시간에 따라 지연시간(TD)을 설정한다. 단발 스위칭에 의해 반주기의 공진시간(T/2)를 알면 인버터(100)의 데드타임(Dead Time) 확보를 위하여 반주기의 공진시간(T/2)보다 턴 온(on) 시간을 10% 정도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컨대, 반주기의 공진시간(T/2)의 1.1배 정도를 싸이리스터 스위치(S4,S3)을 턴 온(on) 시키기 위한 지연시간(TD)으로 설정한다(STEP 30).
그리고 나서, 인버터내의 제1쌍의 싸이리스터(S1,S2) 및 상기 인버터에 직렬로 연결된 싸이리스터(S5)를 구동시킨 때로부터 상기 지연시간(TD)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쌍과 대응하는 제2쌍의 싸이리스터(S3,S4)를 구동시킨다(STEP 40 ~ STEP 60). 즉, 두번째의 공진 펄스 발생 시점부터는 싸이리스터 스위치(S1,S2,S5)를 턴 온(on) 시킨 후, 예컨대, 1.1 × T/2 시간을 지연시간(TD)으로 하여 지연시킨 후 인버터 사이리스터 스위치(S3,S4)를 턴 온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목적하는 고전압의 공진 펄스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켤 경우나 사용자가 리셋 버튼을눌렀을 경우(STEP S5, S0)에는 단발 스위칭을 재수행하여 지연시간(TD)를 다시 결정한다.
종래의 전기집진기용 공진형 전원공급장치는 공진발생을 위해 인버터의 싸이리스터 스위치를 턴 온함에 있어서 스위칭 타임을 결정하는데 사전에 전기집진기의 정전용량를 알아야 하고, 사용중 전기집진기의 정전용량이 바뀌거나, 다른 전기집진기로 교체될 경우 등에는 전원 펄스의 주기를 변경시켜야 하는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단발 스위칭을 수행한 후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여 피드백시켜 자동으로 스위칭 타임을 결정할 수 있는 회로 및 방법이 제공되므로 전기집진기의 특성이 바뀌어도 전원공급장치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전기집진기 동작 중에는 스파크 등의 원인으로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고, 이때 스위칭 타임이 부적절하면 인버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시 실제 전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부적절한 스위칭 타임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경우 인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직류 전압을 받아서 고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인버터(100)와; 상기 인버터(1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양단의 고전압을 온(on),오프(off) 동작으로 단속시키는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상기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직렬로 연결되어 LC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인덕터(L1) 및 공진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100)는 스위칭시에 동시에 온,오프 동작으로 단속되는 제1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S1-D1,S2-D2) 및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S3-D3,S4-D4)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인버터와 직렬로 결합된 싸이리스터(S5) 및 상기 인버터의 상기 제1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S1,S2)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1 제어단과;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싸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와 결합된 제2 제어단을 가지고, 상기 회로의 반주기의 공진시간(T/2)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지연시간(TD)을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회로내 인버터의 출력전류의 극성과 기준전위를 비교하는 비교기로부터의 마스크 신호인 제1 입력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내 사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 인가신호인 제2 입력을 받아 상기 제2쌍의 싸이리스터(S3,S4)의 게이트 스위치로 출력하는 AND 게이트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전기집진기(EP)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전기집진기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가변 직류 전압 발생부(V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
  4. 직류 전압을 받아서 2쌍의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을 상보적으로 스위칭하여 고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인버터(100)와; 상기 인버터(1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양단의 고전압을 온(on),오프(off) 동작으로 단속시키는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상기 싸이리스터 다이오드 모듈(500)과 직렬로 연결되어 LC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인덕터(L1) 및 공진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인버터내의 제1쌍의 싸이리스터(S1,S2) 및 상기 인버터에 직렬로 연결된 싸이리스터(S5)를 구동시켜 상기 회로 내에서 정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한 때로부터 상기 전류가 역방향으로 전환한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트단계와;
    b)상기 카운트단계로부터 얻어진 반주기의 공진시간에 비례하는 지연시간(TD)를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단계와;
    c)상기 인버터내의 제1쌍의 싸이리스터(S1,S2) 및 상기 인버터에 직렬로 연결된 싸이리스터(S5)를 구동시킨 때로부터 상기 지연시간(TD)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쌍과 대응하는 제2쌍의 싸이리스터(S3,S4)를 구동시키는 역방향 스위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방법.
KR10-2002-0041914A 2002-07-18 2002-07-18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KR10046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914A KR100462275B1 (ko) 2002-07-18 2002-07-18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914A KR100462275B1 (ko) 2002-07-18 2002-07-18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306A KR20040008306A (ko) 2004-01-31
KR100462275B1 true KR100462275B1 (ko) 2004-12-17

Family

ID=3731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914A KR100462275B1 (ko) 2002-07-18 2002-07-18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126B1 (ko) * 2010-12-09 2013-03-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류 차단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펄스 시스템
KR20200064645A (ko) 2018-11-29 2020-06-08 한국전력공사 가스터빈 기동장치의 점호 방법 및 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29A (en) * 1985-03-29 1987-06-02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high voltage pulses
US4772998A (en) * 1987-02-26 1988-09-20 Nwl Transformers Electrostatic precipitator voltage controller having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US5623171A (en) * 1989-09-14 1997-04-22 Hitachi Metals, Ltd. High-voltage pulse generating circuit and electrostatic recipitator containing it
KR19990071187A (ko) * 1998-02-27 1999-09-15 윤영석 마이크로-펄스 방식을 적용한 전기집진기용 펄스 전압 발생 회로
KR20020025339A (ko) * 2000-09-28 2002-04-04 윤영석 전류 펄스폭을 이용한 전기 집진기용 정전용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29A (en) * 1985-03-29 1987-06-02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high voltage pulses
US4772998A (en) * 1987-02-26 1988-09-20 Nwl Transformers Electrostatic precipitator voltage controller having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US5623171A (en) * 1989-09-14 1997-04-22 Hitachi Metals, Ltd. High-voltage pulse generating circuit and electrostatic recipitator containing it
KR19990071187A (ko) * 1998-02-27 1999-09-15 윤영석 마이크로-펄스 방식을 적용한 전기집진기용 펄스 전압 발생 회로
KR100301157B1 (ko) * 1998-02-27 2001-10-27 윤영석 마이크로-펄스방식을적용한전기집진기용펄스전압발생회로
KR20020025339A (ko) * 2000-09-28 2002-04-04 윤영석 전류 펄스폭을 이용한 전기 집진기용 정전용량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126B1 (ko) * 2010-12-09 2013-03-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류 차단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펄스 시스템
KR20200064645A (ko) 2018-11-29 2020-06-08 한국전력공사 가스터빈 기동장치의 점호 방법 및 이를 위한 스위칭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306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41949A (ja) 静電集塵機への間欠的な電圧供給を制御する方法
KR0137389B1 (ko) 전기 집진장치
EP0092588B1 (en) Induction heating inverter device
TW528634B (en) Power device for wire discharge processing apparatus
CN1179240A (zh) 电源电路
JP2003069406A (ja) 高電圧半導体スイッチ装置および高電圧発生装置
US4454453A (en) Power source device for ion sources
KR100462275B1 (ko) 전기집진기용 인버터의 스위칭 타임 설정 회로와 그 방법
JP2000209865A (ja) 高圧パルス発生装置
KR101240126B1 (ko) 전류 차단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펄스 시스템
JP3631158B2 (ja) 電気集塵用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43062B2 (ja) 電気集塵用電源
CN210780560U (zh) 一种半桥拓扑高压静电电源
KR20020001529A (ko) 저항용접전원장치
KR102515338B1 (ko) 전력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펄스 발생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
JP4245761B2 (ja) 静電応用機器用パルス重畳型高電圧発生装置及び静電応用機器
JP2692466B2 (ja) 電気集塵装置
JP3594277B2 (ja) 電気集塵機用パルス電源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RU22910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ания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варианты)
SU14774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JPH10224187A (ja) パルス電源装置
JP2023155757A (ja) 集塵装置
SU15795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итани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знакопеременным напр жением
SU13824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знакопеременным напр жением
SU14214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электрофильт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