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751B1 -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 Google Patents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751B1
KR100461751B1 KR10-2002-0068588A KR20020068588A KR100461751B1 KR 100461751 B1 KR100461751 B1 KR 100461751B1 KR 20020068588 A KR20020068588 A KR 20020068588A KR 100461751 B1 KR100461751 B1 KR 10046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control
pressure
control pressure
valve spool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236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3Details of electro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는 밸브 스풀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밸브의 작동을 안정시키고 라인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어된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공급되고 탄성부재(43)가 내장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과 탄성부재(43)의 합력이 그 일측에 작용하고 다른 일측에 라인 피드압(LP)이 작용하여 균형을 이룸으로서 오일펌프(35)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라인압(LP)으로 제어하는 밸브스풀(37), 이 밸브스풀(37)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체적 변화를 줄여주는 어큐뮬레이터(39)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LINE PRESSURE CONTROLLING REGULATOR VALVE}
본 발명은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스풀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라인압을 안정화시키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의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밸브바디에는 오일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 범위의 압력 편차를 가지는 라인압으로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3)에 의하여 제어된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을 밸브스풀(5)의 일측에 작용시킴으로서 오일펌프(7)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소정의 라인압(LP)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공급되는 밸브스풀(5)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9)에는 탄성부재(11)가 개재되어 밸브스풀(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탄성부재(11)의 반대측 밸브스풀(5)에는 라인 피드압(LP)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1)는 탄성부재(11)와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의 합력과 이에 대항하는 라인 피드압(LP)의 균형으로 밸브스풀(5)의 이동을 제어하여 라인압을 제어하게 된다. 이 밸브스풀(5)이 이동하면서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9)의 체적이 변화하게 된다.
즉, 밸브스풀(5)이 비레귤레이팅 위치인 우측(도 1에서)에서 좌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9)의 체적이 감소하여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3)에 연결되는 관로(13)에 설치된 오리피스(15)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빠져나가야 하는 데 순간적으로 줄어든 체적만큼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9)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 압력 상승으로 밸브스풀(5)의 좌측(도 1에서) 이동이 불량하게 되어, 오일펌프(7)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배출(EX)이 제한되어, 라인압(LP)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 라인압(LP)의 급격한 상승은 레귤레이터 밸브(1)의 오버 슈팅 현상을 일으켜 라인압을 불안정하게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스피드(ES)에 의하여 결정되는 오일펌프(7)의 스피드를 800에서 3000rpm으로 급격히 상승시키고,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을 6bar로 유지시킨 시험에서 알 수 있다. 엔진 스피드(ES)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급격히 상승되고 아울러 라인압(LP)이 급격히 상승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밸브 스풀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밸브의 작동을 안정시키고 라인압을 안정화시키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는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제어된 솔레노이드 제어압이 공급되고 탄성부재가 내장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에 공급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과 탄성부재의 합력이 그 일측에 작용하고 다른 일측에 라인 피드압이 작용하여 균형을 이룸으로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라인압으로 제어하는 밸브스풀,
이 밸브스풀의 일측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에 구비되어 밸브스풀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줄여주는 어큐뮬레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스풀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일측에 밸브스풀의 작동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스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안정된 구조로 안장시키도록 다른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피스턴을 내장하고 있는 실린더를 계단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엔진 스피드 변화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과 라인압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진 스피드 변화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과 라인압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 33 :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
35 : 오일펌프 37 : 밸브스풀
39 : 어큐뮬레이터 41, 47 : 관로
43, 51 : 탄성부재 45, 49 : 오리피스
53 : 피스턴 55 : 실린더
SP : 솔레노이드 제어압 LP : 라인압
EX : 배출 ES : 엔진 스피드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의 구성도로서,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31)에 의하여 제어된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작용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 엔진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오일펌프(35)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라인압(LP)으로 제어하도록 유압의 배출(EX)을 직접 제어하는 밸브스풀(37), 그리고 어큐뮬레이터(3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을 공급하는 관로(41)가 연결되고 밸브스풀(37)을 지지하는 탄성부재(43)가 내장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과 탄성부재(43)는 밸브스풀(37)의 일측에 작용하여 밸브스풀(37)을 좌측(도 3에서)에서 우측(도 3에서)으로 이동시킨다.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의 작용을 위하여 관로(41)에는 오리피스(4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SP)과 탄성부재(43)의 작용에 대항하도록 밸브스풀(37)의 다른 일측에는 라인 피드압(LFP)이 작용한다. 이 라인 피드압(LF)의 작용을 위하여 관로(47)에 오리피스(49)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스풀(37)은 그 양측에서 작용하는 힘의 균형에 의하여 오일펌프(35)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라인압(LP)으로 제어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때 밸브스풀(37)은 좌측 및 우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면서 유압의 배출(EX)을 제어함으로서 라인압(LP)을 제어하게 된다.
즉, 밸브스풀(37)이 우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면 유압의 배출(EX)이 증대되어 최종적으로 제어된 라인압(LP)의 압력이 낮아지고,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면 유압의 배출(EX)이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제어된 라인압(LP)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밸브스풀(37)을 좌우(도 3에서)로 이동시켜 라인압(LP)을 제어함에 있어서, 밸브스풀(37)이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할 때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최종적으로 제어되는 라인압(LP)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39)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일측에 구비되어 밸브스풀(37)이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할 때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시켜 준다.
즉, 밸브스풀(37)이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할 때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 내에서 상승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SP)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체적을 증가시켜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 어큐뮬레이터(39)는 밸브스풀(37)의 작동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밸브스풀(37)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어큐뮬레이터(39)는 탄성부재(51)에 지지되는 피스턴(53)을 내장하는 실린더(55)로 이루어지며, 이 실린더(53)는 밸브스풀(37)을 지지하는 탄성부재(43)를 안정된 구조로 안장시키도록 계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를 적용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오일펌프(35)의 스피드를 800에서 3000rpm으로 급격히 상승시키고,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을 6bar로 유지시켜 시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엔진 스피드(ES)를 급격히 상승시킴에 따라 오일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급격히 상승되고, 라인 피드압(LP)이 급격히 상승되어 탄성부재(43)의 탄성력과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의 합력을 극복하면서 밸브스풀(37)을 우측에서 좌측(도 3에서)으로 급격히 이동시킨다.
이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 내의 솔레노이드 제어압(SP)이 순간적으로 상승되면서 어큐뮬레이터(39)에 작용한다. 이 어큐뮬레이터(39)의 피스턴(53)은 탄성부재(5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좌측(도 3에서)으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스풀(37)이 우측에서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여 순간적으로 줄어들었던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33)의 체적은 밸브스풀(37)이 우측(도 3에서)에 있었던 상태의 크기로 원상 회복된다.
결국, 밸브스풀(37)은 라인 피드압(LP)의 압력에 상응하는 만큼 좌측(도 3에서)으로 이동하게 되고 오일펌프(35)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배출(EX)을 정확하게 하여 라인압(LP)을 안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에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여, 엔진 스피드(오일 펌프의 스피드)의 급격한 상승에 따른 밸브스풀의 급격한 이동 시, 어큐뮬레이터의 피스턴을 후퇴시켜 밸브스풀의 이동에 따라 감소된 체적을 보상함으로서,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밸브의 작동을 안정시키고 라인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듀티 컨트롤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제어된 솔레노이드 제어압이 공급되고 탄성부재가 내장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
    상기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에 공급되는 솔레노이드 제어압과 탄성부재의 합력이 그 일측에 작용하고 다른 일측에 라인 피드압이 작용하여 균형을 이룸으로서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라인압으로 제어하는 밸브스풀,
    상기 밸브스풀의 일측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에 구비되어 밸브스풀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체적 변화를 줄여주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스풀의 이동에 따른 솔레노이드 제어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솔레노이드 제어압 챔버의 일측에 밸브스풀의 작동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밸브스풀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안정된 구조로 안장시키도록 다른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피스턴을 내장하고 있는 실린더를 계단 구조로 형성하는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KR10-2002-0068588A 2002-11-06 2002-11-06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KR10046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88A KR100461751B1 (ko) 2002-11-06 2002-11-06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588A KR100461751B1 (ko) 2002-11-06 2002-11-06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236A KR20040040236A (ko) 2004-05-12
KR100461751B1 true KR100461751B1 (ko) 2004-12-14

Family

ID=3733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588A KR100461751B1 (ko) 2002-11-06 2002-11-06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579B1 (ko) * 2007-05-23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라인압용 어큐뮬레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815U (ko) * 1997-06-13 1999-01-15 박병재 자동 변속기의 레귤레이터 밸브용 압력조절 스크류
KR20000019270U (ko) * 1999-04-08 2000-11-06 정몽규 라인압 조절 시스템
KR20020055020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815U (ko) * 1997-06-13 1999-01-15 박병재 자동 변속기의 레귤레이터 밸브용 압력조절 스크류
KR20000019270U (ko) * 1999-04-08 2000-11-06 정몽규 라인압 조절 시스템
KR20020055020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236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02A (en) Displacement controlled hydraulic proportional valve
KR100376713B1 (ko) 자동변속기용 라인압 제어 시스템
JP6609603B2 (ja) チェーンドライブテンショナばね力制御機構
KR10156672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7180641A (ja) 減圧弁ユニット
KR100461751B1 (ko)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밸브
KR940008818B1 (ko) 유압회로
KR850006380A (ko) 액압윈치의 제어장치
JPH0777275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040019008A (ko) 엔진의 전기 유압식 밸브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엔진작동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제어 및 조절 장치
KR100532922B1 (ko) 압력 제어방식 무단변속기의 압력제어밸브
KR920016299A (ko) 동력조향장치의 조향력제어장치
JP2538764Y2 (ja) 圧力制御弁
US20190301445A1 (en) Pump device
KR830008077A (ko) 유압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369191B1 (ko) 자동변속기용 라인압 제어 시스템
KR200256532Y1 (ko) 라인압 조절 시스템
JP2019086110A (ja) 弁体駆動制御装置
KR102340886B1 (ko) 이동형 작업기계의 마력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
JP3204535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506365B1 (ko) 무단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208733B1 (ko) 유압조절장치
JP2004308899A (ja) 油圧制御装置
JPS63176710A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4354378B2 (ja)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