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485B1 - 건설공사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설공사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485B1
KR100460485B1 KR10-2002-0035859A KR20020035859A KR100460485B1 KR 100460485 B1 KR100460485 B1 KR 100460485B1 KR 20020035859 A KR20020035859 A KR 20020035859A KR 100460485 B1 KR100460485 B1 KR 10046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anel
construction
bending unit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864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2-003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4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판부 사이에 접합되는 간격부재들의 형태와 조립구조를 개선시켜서, 외적인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극대화하여 주는 우수한 품질의 건설공사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설공사용 패널은 각각 형태유지능력을 가지는 판상체로 만들어져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판부(10)(20)와,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 사이의 내면에 소요 높이로 세워져서 일체가 되도록 부설되는 간격부재 (3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그 둘레면을 따라 산부 (31)와 골부(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되, 그 각각의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연결시켜서 휨하중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단일체로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공사용 패널{A Panel for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각종의 구조물공사에 사용되는 건설공사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대시켜서 변형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건설공사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콘크리트 구조물공사를 진행할 때에 설치 사용되는 거푸집 또는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획하여 주는 간막이벽을 설치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건설공사용 패널이 개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건설공사용 패널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특허 출원하여서 등록을 허여받은 사실이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1998년 특허출원 제10106호로 출원하여서 특허 제278618호(2000. 10. 20일 등록)로 건축공사용 2중거푸집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이 선출원 등록되어 있다. 이 건축공사용 2중거푸집 패널은 적절한 폭과 너비를 가지는 일측판부와, 상기 일측판부의 상면 군데군데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부착되며 그 높이들이 서로 일정하며 나선형으로 둘둘 감겨진 다수개의 간격부들과, 상기 간격부들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일측판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타측판부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건축공사용 2중거푸집 패널은 평띠를 나선형으로 둘둘 감아서 형성되는 간격부들을 일측 및 타측판부 사이에 일체로 부착시키는 단순작업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자동화 성형장치를 설비할 필요없이 간단한 기계설비와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전체적인 생산량은 증대시키고제작원가를 절감하여 줄뿐만 아니라, 평띠로서 만들어지는 간격부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서 2중거푸집 패널을 소망하는 두께로 융통성있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건축공사용 2중거푸집 패널은 일측 및 타측판부 사이에 일체로 부착되는 간격부들이 평띠로서 만들어져서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취약하여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간격부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로 인하여 일측 및 타측판부가 쉽게 굽힘변형 또는 눌림변형되어서,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콘크리트 구조물공사를 수행할 때에 거푸집으로서 제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판부 사이에 접합되는 간격부재들의 형태와 조립구조를 개선시켜서, 외적인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극대화하여 주는 우수한 품질의 건설공사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건설공사용 패널을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건설공사용 패널을 나나낸 일부절결 평면도
도3a, 도3b, 도3c는 본 발명의 간격부재를 이루는 폐쇄형 굴곡단위체를 나타낸 것임
도4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패널을 나타낸 일부절결 평 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일측 및 타측판부 30: 간격부재
30a: 폐쇄형 굴곡단위체 31: 산부
32: 골부 40: 보조 간격부재
40a: 폐쇄형 굴곡단위체 41: 산부
42: 골부
본 발명도 각각 형태유지능력을 가지는 판상체로 만들어져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판부(10)(20)와,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 사이의 내면에 소요 높이로 세워져서 일체가 되도록 부설되는 간격부재(30)들로서 구성된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건설공사용 패널에 있어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그 둘레면을 따라 산부(31)와 골부(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되, 그 각각의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연결시켜서 휨하중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단일체로서 조립되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설공사용 패널은 개개의 간격부재(30)들을 산부(31)와 골부(32)가 반복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서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을 억제하고, 그 간격부재(30)들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시켜서 단일체로 조립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집중적인 하중이나 국부적인 하중을 작용받더라도 일측 및 타측판부(10)(20)가 굽힘변형 또는 눌림변형됨을 방지하여 건설공사용 패널 자체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설공사용 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여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표면을 평탄하게 성형하여 줄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획하여 주는 간막이벽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평활한 외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주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필요로 하는 거푸집 또는 간막이벽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는 각각 스스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단면두께와 평면적을 가지는 판상체로 만들어지며, 상기 간격부재(30)들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일체로 부설되어서 건설공사용 패널의 외피를 이루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는 화학적인 안정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수지으로서 평활하게 성형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일측 및 타측판부(10)(20)는 필요에 따라 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서 평활하게 성형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간격부재(30)들은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 사이의 내측에 일체가 되도록 접합되어서, 건설공사용 패널을 외피를 이루는 일측 및 타측판부 (10)(20)을 지탱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그 둘레면을 따라 산부(31)와 골부(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고, 그 각각의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연결시켜서 단일체로서 조립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개개의 간격부재(30)들을 산부(31)와 골부(32)가 반복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서 외적인 하중에 의하여 찌그러지는 현상을 억제하고, 개개의 간격부재(30)들 사이에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는 단일체로 조립하여서, 외부로부터 집중적인 하중이나 국부적인 하중을 직접 작용받는 일측 및 타측판부(10)(20)를 보다 견실하게 지탱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각각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와 상응하는 폴리에틸렌수지, 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서 소요 단면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서 만들어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각기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고, 그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켜서 단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그 양측단을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의 내면에 맞대고 접착제로서 접합하거나 고주파 융착시켜서,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 사이에 일체로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는 도3a에서와 같이 그 산부(31)와 골부(32)를 사각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는 도3b에서와 같이 그 산부(31)와 골부(32)가 삼각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3c에서와 같이 그 산부(31)와 골부(32)가 호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4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각기 원통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되, 그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부재(30)들 사이의 공간부에 역시 폐쇄형 굴곡단위체(40a)로서 형성되는 보조 간격부재(40)들을 끼워맞추고 이웃하는 간격부재(30)들과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켜서 단일체가 되도록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간격부재(40)를 이루는 폐쇄형 굴곡단위체(40a)의 둘레면에는 상기 간격부재(30)를 이루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의 산부(31)와 골부(32)와 상응하는 산부(41)와 골부(4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폐쇄형 굴곡단위체 (30a)로 만들어지며 상호간에 체결볼트(A)로서 체결하여서 연결되는 간격부재(30)들 사이의 공간부에, 역시 폐쇄형 굴곡단위체(40a)로 만들어지며 그 공간부에 끼워맞추고 이웃하는 간격부재(30)들과 체결볼트(A)로서 체결하여서 연결되는 보조 간격부재(40)들을 가져서, 외부로부터 집중적인 하중이나 국부적인 하중을 직접 작용받는 일측 및 타측판부(10)(20)를 보다 견실하게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판부 사이에 접합되는 간격부재들을 폐쇄형 단위체로 하여 단일체로서 조립되도록 구성하여서, 외부로부터 집중적인 하중이나 국부적인 하중을 직접 작용받는 일측 및 타측판부가 굽힘변형 또는 눌림변형됨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획하여 주는 간막이벽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각각 형태유지능력을 가지는 판상체로 만들어져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일측 및 타측판부(10)(20)와, 상기 일측 및 타측판부(10)(20) 사이의 내면에 소요 높이로 세워져서 일체가 되도록 부설되는 간격부재(3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그 둘레면을 따라 산부(31)와 골부(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되, 그 각각의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연결시켜서 휨하중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단일체로서 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각기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고, 그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켜서 단일체로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30)들은 각기 원통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폐쇄형 굴곡단위체(30a)로 만들어지도록 하되, 그 간격부재(30)들을 서로 맞대고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부재(30)들 사이의 공간부에 역시 폐쇄형 굴곡단위체(40a)로서 형성되는 보조 간격부재(40)들을 끼워맞추고 이웃하는 간격부재(30)들과 체결볼트(A)로서 체결 고정시켜서 단일체가 되도록 조립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용 패널.
KR10-2002-0035859A 2002-06-26 2002-06-26 건설공사용 패널 KR10046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59A KR100460485B1 (ko) 2002-06-26 2002-06-26 건설공사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859A KR100460485B1 (ko) 2002-06-26 2002-06-26 건설공사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864A KR20040000864A (ko) 2004-01-07
KR100460485B1 true KR100460485B1 (ko) 2004-12-08

Family

ID=3731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859A KR100460485B1 (ko) 2002-06-26 2002-06-26 건설공사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4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761A (ja) * 1991-05-09 1992-11-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用堰板
JPH05239914A (ja) * 1991-11-29 1993-09-17 Kana Flex Hanbai Kk 型 枠
JPH07119294A (ja) * 1993-10-25 1995-05-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一体型高強度パネル
JPH07233630A (ja) * 1994-02-22 1995-09-05 Shoei Kagaku Kogyo Kk コンクリート型枠用板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3761A (ja) * 1991-05-09 1992-11-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用堰板
JPH05239914A (ja) * 1991-11-29 1993-09-17 Kana Flex Hanbai Kk 型 枠
JPH07119294A (ja) * 1993-10-25 1995-05-0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一体型高強度パネル
JPH07233630A (ja) * 1994-02-22 1995-09-05 Shoei Kagaku Kogyo Kk コンクリート型枠用板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864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0523A (en) Reinforcing frame wor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O2001003898A1 (en) Lost mould element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crete flat slabs
KR101608944B1 (ko) 건축용 스틸 거푸집 폼 및 이를 사용한 건축 구조물 형성 공법
RU2004139235A (ru) Сборный дом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5866255B2 (ja) 複数の円筒材よりなる型枠、基礎コンクリート、複数の円筒材よりなる型枠の施工方法及び杭基礎の施工方法
CN111065784A (zh) 组装式铝模具面板
KR101620513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5527411A (ja) 改良された構造用サンドイッチプレート部材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0460485B1 (ko) 건설공사용 패널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100468282B1 (ko)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형틀을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그 제조 방법 및 형틀 재료
KR200283634Y1 (ko) 춤이 깊은 건축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KR101505719B1 (ko)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20090124644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20190081117A (ko) 양중·설치가 용이한 합성 프리캐스트 벽체 시스템
WO2007091860A1 (en) Form panel for construction
KR100440433B1 (ko)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CA2671647A1 (en) Composite panel and stud and dual slab panel and method
JP4285826B2 (ja) ハーフpc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床スラブと壁体の施工方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20150119829A (ko) 일체형 돔 구조물 및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