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194B1 - 터치 패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194B1
KR100460194B1 KR1020040057116A KR20040057116A KR100460194B1 KR 100460194 B1 KR100460194 B1 KR 100460194B1 KR 1020040057116 A KR1020040057116 A KR 1020040057116A KR 20040057116 A KR20040057116 A KR 20040057116A KR 100460194 B1 KR100460194 B1 KR 10046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ouch panel
differential amplifier
output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주)디지텍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6566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601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텍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디지텍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04005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194B1/ko
Priority to US11/067,831 priority patent/US7479951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generating transducers and detecting transducers are attached to a single acoustic waves transmission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차동 증폭기로부터 지나치게 많은 전류가 흘러 나갈 때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플러스 전원전압과 마이너스 전원전압이 크램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 패널에 터치되는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관계없이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제어 장치는 터치 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차동 증폭부와,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때 상기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증폭부에 정현파 신호를 제공하며,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차동 증폭부에 최대 전류를 공급하다가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경우에 상기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현파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 패널에 터치되는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관계없이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차동 증폭기로부터 지나치게 많은 전류가 흘러 나갈 때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플러스 전원전압과 마이너스 전원전압이 크램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 패널에 터치되는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관계없이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그에 따른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컴퓨터 보조 장치로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스피커 등이 있으며, 특히, 키보드와 마이크는 외부 데이터를 컴퓨터로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키보드는 키들을 타이핑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고, 마이크는 음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보다 효과적이고 간편한 방법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의 스크린을 터치함에 따라 데이터를 컴퓨터로 입력하여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예컨대,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래픽을 처리할 때,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것에 비해 사용자가 직접 펜을 사용하여종이에 그래픽을 그리는 것이 훨씬 용이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래픽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터치 펜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의 화면에서 직접 그래픽을 처리하게 되면 마치 종이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은 원리이기 때문에 그래픽 작업을 매우 쉽고 정교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보조 장치들이 점차 사라지고 대신에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용 장치들이 점점 더 많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경우에, 터치 패널이 장착되어 데이터를 손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들이 형성된 키판은 사라지고 대신에 터치 펜으로 터치 패널의 화면을 조작하는 방법을 통하여 데이터 입력이나 명령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사람이 터치 패널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항상 일정한 전류를 터치 패널로 인가하다 보니 도전성이 높은 사람이 터치 패널을 터치할 경우에는 전류가 불필요하게 많이 흘러서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가 많고, 도전성이 낮은 사람이 터치패널을 터치할 경우에는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착안된 것으로서, 차동 증폭기로부터 지나치게 많은 전류가 흘러 나갈 때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포화되어 플러스 전원전압과 마이너스 전원전압이 크램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동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터치 패널에 터치되는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관계없이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동 증폭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현파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터치 패널 111; 글래스 기판
121; 도전막 131; 전극들
141; 배선들 201; 터치 패널 제어 장치
211; 차동 증폭부 221; 신호 증폭부
231; 필터부 24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251; 제어부 261; 정현파 발생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 장치는 터치 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차동 증폭부와;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때 상기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증폭부에 정현파 신호를 제공하며,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차동 증폭부에 최대 전류를 공급하다가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경우에 상기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현파 발생부; 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형파 신호를 받아서 그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조정부와, 상기 구형파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를 삼각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삼각파 변환부, 및 상기 삼각파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차동 증폭부로 공급하는 정현파 변환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01)은 글래스 기판(111), 글래스 기판(111) 위에 부착된 투명한 도전막(121), 도전막(121)의 구석들에 형성된 전극들(131), 및 전극들(131)에 연결되고 도전막(121)의 가장자리들 위에 형성되며 일단들이 차동 증폭부(도 2의 211)에 연결된 배선들(141)을 구비한다.
배선들(141)을 통해서 전극들(131)로 전류가 공급되면, 전극들(13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도전막(121) 전체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 제어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제어 장치(201)는 차동 증폭부(211), 신호 증폭부(221), 필터부(23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41), 제어부(251) 및 정현파 발생부(261)를 구비한다.
상기 차동 증폭부(211)는 전극들(도 1의 131)에 연결되며, 정현파 발생부(261)로부터 정현파 신호(INn)를 받아서 전극들(도 1의 131)에 전류(OUTn)를 공급한다. 그러다가 특정 물체,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을 터치하면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OUTn)는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을 통해 사용자의 몸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도전성에 따라서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도 1의 101)로 흘러나가는 전류의 양은 달라진다. 즉, 도전성이 높은 사용자(전류가 잘 흐르는 사람)인 경우에는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은 많아지고, 도전성이 낮은 사용자(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사람)인 경우에는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도 1의 101)로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은 작아진다.
이와 같이,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에 따라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 전압(Pn)이 달라진다. 즉,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많으면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 전압(Pn)은 높아지고,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적으면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 전압(Pn)은 낮아진다.
상기 차동 증폭부(211)는 복수개의 차동 증폭기(도 3의 301 - 304)를 구비하며, 상기 차동 증폭기들(도 3의 301 - 304)은 각각의 전극(도 1의 131)에 하나씩 연결된다.
상기 신호 증폭부(221)는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 전압(Pn)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 증폭부(221)는 다수개의 신호 증폭기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 증폭기들은 각각의 차동 증폭부(21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차동 증폭기들(도 3의 301 - 304)에 하나씩 연결되며, 대응되는 차동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Pn)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필터부(231)는 신호 증폭부(221)에 연결되며, 상기 신호 증폭부(221)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부(231)는 다수개의 필터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들은 각각의 증폭부(22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신호 증폭기들에 하나씩 연결되며, 대응되는 신호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41)는 필터부(23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41)는 다수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은 각각 필터부(23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필터들에 하나씩 연결되며, 대응되는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51)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41)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이를 분석하여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에 터치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251)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4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서 그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에 접촉되어 있는 손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어부(251)는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사용자의 손으로 흘러나가는 전류량의 비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도 1의 101)에 터치되는 물체는 터치 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51)는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Controller)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현파 발생부(261)는 제어부(25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S1)에 응답하여 정현파 신호(INn)를 차동 증폭부(211)에 인가한다. 상기 정현파 발생부(261)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동 증폭부(211)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동 증폭부(211)는 다수개의 차동 증폭기들(301 - 304)을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들(301 - 304)의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차동 증폭기(301)에 대해서만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301)는 다수개의 저항들(R1 - R7)과 캐패시터(C1) 및 연산 증폭기(311)를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301)는 정현파 발생부(261)로부터 정현파 신호(IN1)를 받아서 터치 패널(도 1의 101)로 전류를 제공한다.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에서는 물체의 터치를 대기하는 동안에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전극들(도 1의 131)로 최대의 전류가 공급된다. 이 때는 연산 증폭기(311)의 입력단들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311)의 출력 전압(P1)은 제로(zero)이다. 그러다가 물체,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에 터치되면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최대의 전류가 흘러나간다. 그러면, 연산 증폭기(311)의 입력단들(-,+)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고, 연산 증폭기(311)는 상기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 전압(P1)을 발생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1)의 양에 따라 차동 증폭기(311)의 출력 전압(P1)이 달라진다. 즉,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1)의 양이 많으면 연산 증폭기(311)의 입력단들(-,+)의 전압차가 커지게 되어 차동 증폭기(301)의 출력 전압(P1)은 높아지고,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1)의 양이 적으면 연산 증폭기(301)의 입력단들(-,+)의 전압차가 작아지므로 차동 증폭기(301)의 출력 전압(P1)은 낮아진다.
이때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너무 적은 양의 전류가 흘러나가면 차동 증폭기(301)의 출력 신호(P1)의 진폭이 너무 작아서 터치 패널(도 1의 101)에 터치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힘들고,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지나치게 많은 전류가 흘러 나가면 차동 증폭기(301)의 출력 신호((P1)가 포화(saturation)되어 플러스 전원전압(VCC)과 마이너스 전원전압(VEE)이 크램핑(clamping)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30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차동 증폭기(301)의 출력 신호(P1)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터치 패널(도 1의 101)에 터치되는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현파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현파 발생부(261)는 구형파 조정부(411), 삼각파 변환부(421) 및 정현파 발생부(431)를 구비한다.
상기 구형파 조정부(411)는 제어부(도 2의 251)로부터 구형파 신호(S1)와 제어 신호(S2)를 받으며, 구형파 신호(S1)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구형파 조정부(411)는 전위차계(415)를 구비한다. 전위차계(415)의 H 단자에 소정 레벨, 예컨대, 5볼트 크기를 갖는 구형파 신호(S1)가 인가되고, 전위차계(415)의 L 단자는 접지되며, 전위차계(415)의 W 단자는 삼각파 변환부(421)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도 2의 251)로부터 전위차계(415)에 제어 신호(S2)가 인가되면, 제어 신호(S2)의 상태에 따라 W 단자의 위치가 조정된다. 즉, 전위차계(415)의 내부 저항이 조정된다. 따라서 W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S3)의 크기가 조정된다.
즉, 제어부(도 2의 251)는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제어 신호(S2)를 발생하여 구형파 조정부(41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S3)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흘러나가는 전류(OUTn)가 적을 경우에는 구형파 조정부(41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S3)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부터 적정한 전류가 흘러나가도록 조정하고, 이로 인하여 차동 증폭부(도 1의 211)로부터 불필요한 전류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며, 터치 패널의 화면(도 1의 151)에 터치한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상기 삼각파 변환부(421)는 구형파 조정부(411)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신호(S3)를 입력하고 이를 변환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삼각파 신호(S4)를 출력한다. 상기 삼각파 변환부(421)는 연산 증폭기(425)와 저항들(R11,R12) 및 캐패시터(C11)를 구비한다.
상기 정현파 변환부(431)는 삼각파 변환부(421)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S4)를 입력하고 이를 변환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현파 신호(INn)를 발생하여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 공급한다. 정현파 변환부(431)는 연산 증폭기(435), 저항들(R21,R22) 및 캐패시터(C21)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은 제1 내지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6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계(611)로써, 대기하는 동안에 제어부(251)는 정현파 발생부(261)에 제어 신호(S2)를 인가하여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101)에 최대 전류가 인가되게 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101)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최대로 하기 때문에 아무리 도전성이 낮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한다 해도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전류가 흘러 나가게 되고, 결국은 제어부(251)는 터치 패널에 물체가 터치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터치 패널(101)에 물체가 터치되면(615), 제어부(251)는 물체의 도전성을 체크한다(617). 즉, 제어부(251)는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101)로 흘러나가는 전류의 양이 많은지 적은지를 체크한다.
제2 단계로써,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101)로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많으면 제어부(251)는 정현파 발생부(261)에 제어 신호(S2)를 발생하여 정현파 발생부(261)로부터 차동 증폭부(211)로 전송되는 정현파 신호((INn)의 크기를 감소시킨다(621). 그러면 차동 증폭부(211)에서 출력되는 신호(Pn)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신호(Pn)의 크기가 적정 수준에 이르게 되면 차동 증폭부(211)에 인가되는 정현파 신호(INn)의 크기를 고정시키고 제어부(251)는 터치 패널(101)에 터치된 물체의 위치를 검출한다.
반대로,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101)로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적으면 제어부(251)는 정현파 발생부(261)로부터 차동 증폭부(211)로 전송되는 정현파 신호((INn)의 크기를 증가시킨다(625).
그러다가, 물체가 터치 패널(101)로부터 떨어지면, 차동 증폭부(211)에서 터치 패널(101)로 흘러가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제어부(251)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차동 증폭부(211)로부터 터치 패널(101)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최대가 되게 한다.
제3 단계로써, 제어부는 차동 증폭부(211)의 출력 전압(Pn)을 측정하여 터치 패널(101)에 터치된 물체의 위치를 검출한다(631).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시에는 터치 패널(도 1의 101)에 최대 전류를 인가하다가 사용자가 터치 패널(도 1의 101)을 터치하는 순간 사용자의 도전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몸으로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정현파 발생부(도 2의 261)에서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 인가되는 정현파 신호(INn)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몸으로 흘러나가는 전류(OUTn)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정현파 발생부(도 2의 261)에서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 인가되는 정현파 신호(INn)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도 1의 101)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도전성의 고저에 따라 차동 증폭부(도 2의 211)로부터 터치 패널(도 1의101)로 흘러나가는 전류의 양을 적정하게 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방지하며, 또한 도전성이 높은 사람이거나 낮은 사람이거나 상관없이 어떤 종류의 사람이 터치 패널(도 1의 101)을 터치하더라도 그 접촉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터치 패널 제어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차동 증폭부와;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때 상기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증폭부에 정현파 신호를 제공하며, 대기하는 동안에는 상기 차동 증폭부에 최대 전류를 공급하다가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경우에 상기 물체의 도전성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현파 발생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부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로 전달하는 필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 발생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물체가 접촉될 때, 상기 차동 증폭부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로 흘러나가는 전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차동 증폭부에 공급하는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차동 증폭부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로 흘러나가는 전류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차동 증폭부에 공급하는 정현파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현파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형파 신호를 받아서 그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구형파 조정부와;
    상기 구형파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를 삼각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삼각파 변환부; 및
    상기 삼각파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차동 증폭부로 공급하는 정현파 변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파 조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구형파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삼각파 변환부로 전달하는 전위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제어 장치.
KR1020040057116A 2004-07-22 2004-07-22 터치 패널 제어 장치 KR10046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16A KR100460194B1 (ko) 2004-07-22 2004-07-22 터치 패널 제어 장치
US11/067,831 US7479951B2 (en) 2004-07-22 2005-02-17 Device for controlling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16A KR100460194B1 (ko) 2004-07-22 2004-07-22 터치 패널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194B1 true KR100460194B1 (ko) 2004-12-04

Family

ID=3565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116A KR100460194B1 (ko) 2004-07-22 2004-07-22 터치 패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9951B2 (ko)
KR (1) KR100460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03B1 (ko) * 2009-10-23 2011-12-19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KR101135821B1 (ko) 2009-01-07 2012-04-16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패널의 신호 처리 장치 및 입력 장치
KR101239103B1 (ko) * 2011-04-19 2013-03-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차동 신호 처리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US9535526B2 (en) 2009-09-08 2017-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device, and coupling-noise elimina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8948B2 (en) * 2006-06-20 2009-10-27 Lutron Electronics Co., Inc. Touch screen with sensory feedback
JP4791427B2 (ja) * 2007-09-19 2011-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El発光式タッチスイッチ
JP2012243058A (ja) * 2011-05-19 2012-12-10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30320994A1 (en) * 2012-05-30 2013-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de tes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757A (en) * 1984-11-29 1986-11-18 Interact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ouch mapping
US5008497A (en) * 1990-03-22 1991-04-16 Asher David J Touch controller
US6058485A (en) * 1997-07-29 2000-05-02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digitizing panel
JP2001117723A (ja) * 1999-10-19 2001-04-27 Nec Software Hokkaido Ltd タッチパネル座標回転装置
EP1178430B1 (en) * 2000-08-04 2010-01-06 Gunze Limited Touch-panel device
TW565798B (en) 2001-10-12 2003-12-11 High Tech Comp Corp Pressing point coordinate detecting method for resistor type touch panel
KR100847813B1 (ko) * 2001-12-27 2008-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구동장치 및 방법
US7236161B2 (en) * 2003-03-21 2007-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touch s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US7250940B2 (en) * 2003-12-31 2007-07-31 Symbol Technologies, Inc.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821B1 (ko) 2009-01-07 2012-04-16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패널의 신호 처리 장치 및 입력 장치
US9535526B2 (en) 2009-09-08 2017-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device, and coupling-noise eliminating method
KR101093803B1 (ko) * 2009-10-23 2011-12-19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KR101239103B1 (ko) * 2011-04-19 2013-03-06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차동 신호 처리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79951B2 (en) 2009-01-20
US20060017704A1 (en)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995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ouch panel
JP5086394B2 (ja) タッチパネルの制御回路、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電子機器
US8106892B2 (en) Touch screen driver for resolving plural contemporaneous touche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102596607B1 (ko) 터치회로,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100753797B1 (ko) 선형성 확보를 위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의 배선구조
CN106648198B (zh) 用于电容触摸感应触摸屏面板的差动电流模式模拟前端电路
US11681390B2 (en) Electronic writing apparatus with multiple conductors
JPWO2015041268A1 (ja) 検出センサ及び入力装置
KR20100121556A (ko) 저전력 터치 스크린 제어기
KR100681157B1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5797908B2 (ja) タッチパネルの制御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電子機器
US20070139390A1 (en) Touch screen measurement circuit and method
JP6908493B2 (ja) タッチパネルの制御回路、制御方法、それを用いた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
TWI502427B (zh) 觸控裝置及其量測電壓動態調整方法
TWI680399B (zh) 觸控電路
JP6510343B2 (ja) 容量測定回路、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電子機器
TWI497371B (zh) 觸控裝置及其量測電壓動態調整方法
JP2019211898A (ja) タッチ検出回路、入力装置、電子機器
JP4488338B2 (ja) 圧力検出装置
WO2022170542A1 (en) Apparatus for force sensing and electronic device
JP4321858B2 (ja) 位置圧力検出装置
KR101119209B1 (ko) 정전용량형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CN117193550A (zh) 抗干扰电路及电容笔
US20100054500A1 (en) Audio device and audio input/output method
JP2019144878A (ja) タッチパネルの制御回路、制御方法、それを用いた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504

Effective date: 20080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9

Effective date: 2009010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124

Effective date: 200903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01

Effective date: 200906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