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145B1 -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145B1
KR100457145B1 KR10-2002-0075603A KR20020075603A KR100457145B1 KR 100457145 B1 KR100457145 B1 KR 100457145B1 KR 20020075603 A KR20020075603 A KR 20020075603A KR 100457145 B1 KR100457145 B1 KR 10045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ble gas
sensor
separator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394A (ko
Inventor
최호순
Original Assignee
최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순 filed Critical 최호순
Priority to KR10-2002-007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6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sorpt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抽氣裝置)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불응축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액면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센서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기 본체(5)의 하방과 응축기(1) 사이에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에 흡수액 펌프(3) 토출부에 연결하는 도관(7)을 이젝터(8)와 함께 연결하고, 분리기 본체(5)의 내부와 흡수기(2)를 액복귀관(10)으로 연결한 분리기(4)와; 상기 분리기 본체(5)의 상부에 불응축가스 토출관(12)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방에 방출관(13)을 연결한 추기탱크(11)를 구비한 추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13)에 설치한 진공펌프(20)와; 상기 추기탱크(11)의 상부에 센서본체(22)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본체(22)에 감지부(23)를 케이블(24)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23)를 불응축가스 토출관 내의 액면(H)과 일정간격(t)이 유지되게 위치시킨 센서(2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BLEEDING DEVICE OF ABSORPTION REFRIGERATOR}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抽氣裝置)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는 단효용의 것은 고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열교환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이중효용의 것은 고온 재생기, 저온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고·저온 열교환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며,상기 흡수식 냉동기는 흡수액으로서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을,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는 4~7㎜Hg, 응축기는 50~70㎜Hg의 고진공도로 운전됨으로써 공기의 누설 염려가 많고, 또한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은 식염수와 유사한 성질의 것으로 큰 부식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부식억제제를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수소가스인 불응축가스가 발생하고 있는 바, 상기 누설공기와 불응축가스가 다량 존재하는 상태로 냉동기를 운전하면 능력이 저하되고 결정을 일으킬 염려가 있음으로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는 상기 누설공기와 불응축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추기장치를 부설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추기장치의 계통도로서, 1은 응축기이고, 2는 흡수기이며, 3은 상기 흡수기의 저부에 설치한 흡수액 펌프이다.
4는 분리기로서, 상기 분리기(4)는 분리기 본체(5)의 하방과 응축기(1) 사이에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을 연결하고, 상기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에 흡수액 펌프(3) 토출부에 연결하는 도관(7)을 이젝터(8)와 함께 연결하며, 상기 분리기 본체(5)의 내부에 분리실(9)을 구획 형성하여 상기 분리실(9)의 내부와 흡수기(2) 사이에 액복귀관(10)을 연결한 것이다.
11은 추기탱크로서, 상기 추기탱크(11)는 상기 분리기 본체(4)의 상부에 연결한 불응축가스 토출관(12)에 연결함과 동시에 그 상단에 밸브(14) 부설 방출관(13)을 연결하며, 상기 불응축가스 토출관(12)에는 냉매액 및 흡수액의 액면을 감지하는 수위센서(15)를 설치하여 그 검출신호에 의하여 경고등(미도시)을 점등토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 16'는 응축수관이다.
상기한 추기장치는 운전중 흡수액 펌프(3)의 구동에 의하여 흡수액을 도관(7)을 통하여 이젝터(8)에 분출하면 이젝터(8)가 응축기(1) 내의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를 흡입하여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을 통하여 분리기(4)내에 토출하고, 상기 분리기(4) 내에 토출된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에서 냉매액 및 흡수액이 분리되면서 불응축가스는 불응축가스 토출관(12)을 통하여 추기탱크(11)에 축척되고, 냉매액 및 흡수액은 분리실(9)로 넘쳐 들어가서 액복귀관(10)을 통하여 흡수기(2)에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기(4)에서 불응축가스와 냉매액 및 흡수액이 분리되면서 추기탱크(11)에 축척되는 불응축가스의 양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분리기(4) 내의 냉매액 및 흡수액도 점점 그 액면이 상승하고, 상기 액면이 수위센서(15)에 도달되면 그 검출신호에 의하여 경고등이 점등됨으로 작업자가 밸브(14)를 개방하여서 추기탱크(11)에 축척된 불응축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추기장치는 불응축가스 토출관(12)에 설치한 수위센서(15)에 흡수액의 액면이 접촉되면 수위센서(15)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경고등을 점등하고, 상기 경고등의 점등을 작업자가 확인하여 작업자가 밸브(14)를 수동으로 개방하여서 추기탱크(11)에 축적된 불응축가스를 대기에 방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편하고 작업자가 상주하여야 함으로써 흡수식 냉동기의 자동운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위센서(15)는 냉매액 및 흡수액의 액면이 접촉되면 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흡수액은 부식성이 강함으로 센서 및 그 결합부의 부식을 촉진하기 때문에 액면 검출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아니라 수명이 짧은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불응축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액면검출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센서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리기 본체의 하방과 응축기 사이에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에 흡수액 펌프 토출부에 연결하는 도관을 이젝터와 함께 연결하고, 분리기 본체의 내부와 흡수기를 액복귀관으로 연결한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불응축가스 토출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상방에 방출관을 연결한 추기탱크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에 설치한 진공펌프와; 상기 추기탱크의 상부에 센서본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본체에 감지부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를 불응축가스 토출관 내의 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위치시킨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계통도.
도 2는 종래의 것의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응축기 2 : 흡수기 3 : 흡수액 펌프
4 : 분리기 11 : 추기탱크 12 : 불응축가스 토출관
13 : 방출관 20 : 진공펌프 21 : 센서
23 : 감지부 24 : 케이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계통도로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0은 상기 방출관(13)에 설치한 진공펌프로서, 상기 진공펌프(20)는 후술하는 센서(21)의 검출신호에 의하여 구동토록 한 것이다.
21은 센서로서, 상기 센서(21)는 센서본체(22)를 상기 추기탱크(11)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본체(22)에 감지부(23)를 케이블(24)로 연결함과 동시에 감지부(23)는 중량체로 형성하여 불응축가스 토출관(12)의 내부에 운전시 설정되는 액면(H)과 일정간격(t)이 유지되게 위치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운전 중 흡수액 펌프(3)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1)내의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를 분리기(4)내에 토출하고, 상기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에서 냉매액 및 흡수액이 분리되면서 불응축가스가 추기탱크(11)에 축적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추기탱크(11)에 축적되는 불응축가스의 양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분리기(4) 내의 냉매액 및 흡수액의 액면이 설정된 액면(H) 위치에 도달되면 감지부(23)가 이를 감지하여 센서본체(22)에서 진공펌프(20)에 출력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진공펌프(20)가 구동되어 추기탱크(11)에 축적된 불응축가스를 자동으로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불응축가스를 자동으로 방출할 때 진공펌프(20)에는 릴레이(미도시)를 부설하여 진공펌프(20)를 일정시간 구동하면 추기간격을 길게 할 수 있고 추기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센서(21)는 센서본체(22)와 감지부(23)를 케이블(24)로 연결하여 감지부(23)를 진공펌프(20)가 구동되는 설정액면(H)과 일정간격(t)이 유지되게 하였음으로 감지부(23)와 센서본체(22)에 부식성이 강한 흡수액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또한 감지부(23)는 중량체로 형성하여 수직을 유지토록 하였음으로 불응축가스 토출관(12)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6)은 응축기(1)에만 연결하였으나 흡수기(2)에도 추가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출관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불응축가스를 자동 방출함으로써 간편할 뿐아니라 자동운전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센서의 감지부는 진공펌프의 구동설정 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하였음으로 센서의 수명을 연장하고 액면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분리기 본체의 하방과 응축기 사이에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불응축가스 및 냉매증기 흡입관에 흡수액 펌프 토출부에 연결하는 도관을 이젝터와 함께 연결하고, 분리기 본체의 내부와 흡수기를 액복귀관으로 연결한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불응축가스 토출관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방에 방출관을 연결한 추기탱크를 구비한 추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출관에 설치한 진공펌프와; 상기 추기탱크의 상부에 센서본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본체에 감지부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상기 감지부를 불응축가스 토출관 내의 액면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위치시킨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부는 중량체로 형성한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KR10-2002-0075603A 2002-11-30 2002-11-30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KR10045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03A KR100457145B1 (ko) 2002-11-30 2002-11-30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03A KR100457145B1 (ko) 2002-11-30 2002-11-30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94A KR20040047394A (ko) 2004-06-05
KR100457145B1 true KR100457145B1 (ko) 2004-11-16

Family

ID=3734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603A KR100457145B1 (ko) 2002-11-30 2002-11-30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15B1 (ko) 2006-12-29 2008-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흡수식 냉온수기의 사이트글래스를 구비한 퍼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85B1 (ko) * 2004-10-26 2006-07-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산형 흡수식 냉각 시스템의 냉매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KR100955610B1 (ko) * 2008-01-11 2010-05-03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소형 흡수식 냉난방기의 불응축가스 추기장치
JP5478345B2 (ja) * 2010-04-14 2014-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072A (ja) * 1989-03-31 1990-10-25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冷凍機の抽気装置
KR19990027473A (ko) * 1997-09-30 1999-04-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19990056521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3072A (ja) * 1989-03-31 1990-10-25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冷凍機の抽気装置
KR19990027473A (ko) * 1997-09-30 1999-04-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19990056521A (ko) * 1997-12-29 1999-07-15 오상수 흡수식 냉온수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15B1 (ko) 2006-12-29 2008-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흡수식 냉온수기의 사이트글래스를 구비한 퍼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394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2271A (en) Refrigerant handling system with compressor oil separation
US56365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urging an absorption cooling system
KR200329477Y1 (ko) 에어컨의 응축수 자동배수장치
KR20110072965A (ko) 응축수 증발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에어컨
KR100457145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CN207146962U (zh) 一种具有两路冷凝器的制冷系统
CN211953343U (zh) 气液分离器、空调器
JP4159310B2 (ja) 抽気装置
JP2010065917A (ja) 吸収ヒートポンプ
US3309894A (en) Device for separating, removing, and storing non-condensable gas in absorption-type refrigerators
JP2757589B2 (ja) 冷凍機の油吸収式抽気装置
CN111412697B (zh) 气液分离器及其积液控制方法、空调器
US3174296A (en) Refrigeration purge system
KR100955610B1 (ko) 소형 흡수식 냉난방기의 불응축가스 추기장치
CN215809236U (zh) 用于数据中心的机架式精密空调
CN216307898U (zh) 一种用于空调式吸油烟机的储水盒结构
KR0180599B1 (ko) 흡수식 냉,온수기
KR19990001764U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불응축가스 추기장치
JPS6245108Y2 (ko)
CN210912400U (zh) 一种储气筒
KR100347157B1 (ko) 터보 냉동기의 불응축가스 배출장치
KR200152368Y1 (ko) 흡수식 냉동기 및 냉.난방기의 추기 장치
KR950003813B1 (ko) 불응축 가스 자동 추기장치
JPH0754775Y2 (ja) 吸収式冷凍機の不凝縮ガス排出装置
JPS5838950Y2 (ja) タ−ボ冷凍機の保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