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564B1 -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564B1
KR100456564B1 KR10-2002-0061620A KR20020061620A KR100456564B1 KR 100456564 B1 KR100456564 B1 KR 100456564B1 KR 20020061620 A KR20020061620 A KR 20020061620A KR 100456564 B1 KR100456564 B1 KR 10045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ounting plate
vehicle
vehicle body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466A (ko
Inventor
변용필
이민희
Original Assignee
헨켈홍성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홍성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헨켈홍성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5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발포재는 중력 또는 노화에 의한 처짐현상으로 정확한 발포가 되지 않거나 양쪽 발포패드의 위치가 맞지 않아 미충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 단면 형상과 동일한 발포재 장착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하고, 그 테두리에 발포재를 부착한 후, 전착 오븐에서 상기 발포재가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패널의 내부와 발포재 장착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재료에 비해 차체 강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Filling method of fill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발포재는 중력 또는 노화에 의한 처짐현상으로 정확한 발포가 되지 않거나 양쪽 발포패드의 위치가 맞지 않아 미충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 단면 형상과 동일한 발포재 장착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용 클립으로 고정하고, 그 테두리에 발포재를 부착한 후, 전착 오븐에서 상기 발포재가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패널의 내부와 발포재 장착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재료에 비해 차체 강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소음은 크게 공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Air borne noise)과 자동차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소음(Structure borne noise)으로 구분된다.
공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엔진 및 타이어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공기저항 소음을 포함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모든 소음을 가리키며, 자동차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엔진, 서스펜션 및 흡배기 계통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가리킨다.
특히, 차량 소음의 대부분은 500 ~ 2500Hz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가장 민감하다.
위와 같이 발생되는 소음이 차량 내부의 실내로 유입되는 경로는 대시패널(Dash Panel), 루프(Roof), 필라(Pillar), 실사이드(Sill Side)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런 유입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 및 여러 종류의 방음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음재는 차량 주행 시, 엔진 및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막아 정숙한 차량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효과를 주고 있다.
특히, 엔진 룸 및 외부 소음이 차체의 소음 전달 통로 역할을 하는 필라(Pillar), 실사이드(Sill Side) 등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포패드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위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막기 위하여 필라와 실사이드 부위에 발포패드를 사용하여 필라와 실사이드의 통로를 막는 방법을 사용한다.
적용방법은 발포되기 전의 패드를 차체에 부착시키고 자동차의 도장 라인을 통과하면서 본래 부피의 800 %이상이 발포되어 공간을 충전함으로써 위의 내용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발포물은 발포율이 800 %이상의 합성 고무 발포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패드형태의 발포재는 차체 용접 전에 충전 하고자 하는 필라, 실사이드 부위에 수작업에 의해 붙인 후 용접이 된다.
용접 후, 차체의 도장 공정에서 열에 의해 발포 되어 상기 필라, 실사이드의 통로를 충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충전하고자 하는 부위가 상당히 넓은 경우에는 1장의 패드로는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재료의 발포재(100)와,공간확보를 위한 미발포재(200)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방법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하고자 하는 부위의 양쪽에 발포재(100')를 붙여서 발포하여 충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위의 3가지 방법으로 차체 작업 시에 붙인 발포재가 차체의 충격 시,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충전 공간이 넓어서 이종재료 사용 및 2장의 발포재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서 중력 또는 노화에 의해 처짐으로 인해 발포 시, 정확한 발포가 되지 않거나 양쪽 발포재의 위치가 맞지 않아서 필라, 실사이드 부위에 미충전 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체 단면 형상과 동일한 발포재 장착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테두리에 발포재를 부착한 후, 전착 오븐에서 상기 발포재가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패널의 내부와 발포재 장착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재료에 비해 차체 강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는 종래 자동차용 충전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비교예의 작동도,
도 5는 종래 자동차용 충전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비교예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전재 11 : 발포재 장착플레이트
11a : 수용부 12 : 고정용 클립
13 : 발포재 20 : 차체 패널
21 : 결합공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전재는 차체 패널(20)의 충전부위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둘레면을 따라 발포재(1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a)를 갖는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와,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 상에 부착되어 차체 패널(20)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고정용 클립(12)과,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의 수용부(11a) 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차체 패널(20)과의 사이 공간을 충전시키는 발포재(13)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의 수용부(11a)는 바깥쪽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이곳에 부착되는 발포재(13)의 발포방향이 바깥쪽 한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10)는 필라, 실사이드 등과 같은 차체 패널(20)에 고정 가능하도록 그 차체 패널(20)과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클립(12)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용 클립(12)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사고정 방식이나 끼움고정 방식 등으로 적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용 클립(12)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체 패널(20)의 결합공(2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발포재(13)가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는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는 차체 패널(20)의 충전부위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판부재로서, 상기 차체 패널(20)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둘레면을 따라 발포재(1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1a)는 'ㄷ'자 형상을 가진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쪽면에 상기 발포재(13)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발포재의 발포 시, 바깥쪽 한방향으로 발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전재(10)의 작용은 발포되기 전의 발포재(13)가 견고하게 장착된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를 고정용 클립(12)으로 차체 패널(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자동차의 도장 라인을 통과하면서 전착 오븐의 열에 의해 바깥쪽 방향으로 발포되도록 하여 본래 부피의 800% 이상이 발포되어 차체 패널(20)과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충전재는 차체 단면 형상과 동일한 발포재 장착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테두리에 발포재를 부착한 후, 도장 공정의 전착 오븐에서 상기 발포재가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패널의 내부와 발포재 장착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패드형태로 이루어진 발포재의 미충전 및 탈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고, 발포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 패널(20)의 충전부위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둘레면을 따라 발포재(1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a)를 갖는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와,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 상에 부착되어 차체 패널(20)과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고정용 클립(12)과,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의 수용부(11a) 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차체 패널(20)과의 사이 공간을 충전시키는 발포재(13)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 장착플레이트(11)의 수용부(11a)는 바깥쪽을 향해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이곳에 부착되는 발포재(13)의 발포방향이 바깥쪽 한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KR10-2002-0061620A 2002-10-10 2002-10-10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KR10045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620A KR100456564B1 (ko) 2002-10-10 2002-10-10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620A KR100456564B1 (ko) 2002-10-10 2002-10-10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66A KR20040032466A (ko) 2004-04-17
KR100456564B1 true KR100456564B1 (ko) 2004-11-10

Family

ID=3733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620A KR100456564B1 (ko) 2002-10-10 2002-10-10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129B (zh) * 2017-03-27 2019-05-03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隔音块及具有其的汽车车身侧围密封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059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80040374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90033318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필라 충진 구조
KR20030049769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 충진용 플레이트 장착 구조
KR20030088234A (ko) * 2002-05-13 2003-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패널간 패드 충진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059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80040374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스트래치 바디형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90033318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필라 충진 구조
KR20030049769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 충진용 플레이트 장착 구조
KR20030088234A (ko) * 2002-05-13 2003-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패널간 패드 충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66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2455B1 (en) Door for vehicle with vibration suppression
US8215704B2 (en) Acoustic baffle
US5975609A (en) Sound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boot
JP2007106280A (ja) 車両用ドア構造
US10077011B1 (en) Vehicle underbody acoustic panels
US9426550B2 (en) Speak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3887205B1 (en) Vehicle trunk lid
JP5561541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100456564B1 (ko)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KR20160003186A (ko) 차량용 패널 구조, 루프 패널 및 차체
US11135983B2 (en) Acoustic damping part, method for producing a sound-insulated vehicle body and motor vehicle
JP2011111154A (ja) 車両のクラッシュパッド接続装置
JP2006088991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2002087179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110037377A (ko) 전동 압축기의 제진장치
KR20190052499A (ko) 자동차의 후드스트립 장착 구조
WO2023286356A1 (ja) ドアホールシール構造
KR200210106Y1 (ko)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KR100471478B1 (ko) 자동차용 바디의 방음구조
KR100405613B1 (ko) 컴팩트한 내부 충전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필러
KR0138810B1 (ko) 승용차의 사이드 실
KR102002843B1 (ko) 자동차
KR20090037754A (ko) 연료튜브 클립장치
KR20050098565A (ko) 자동차용 발포 조립체
JP2023049908A (ja) 車両用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