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83B1 -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83B1
KR100455783B1 KR10-2002-0001300A KR20020001300A KR100455783B1 KR 100455783 B1 KR100455783 B1 KR 100455783B1 KR 20020001300 A KR20020001300 A KR 20020001300A KR 100455783 B1 KR100455783 B1 KR 10045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nder
receiver
calling
re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092A (ko
Inventor
전형성
양해술
김명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호서학원
양해술
전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1-00101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458802B1/ko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호서학원, 양해술, 전형성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호서학원
Publication of KR2002007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은 송신자가 반복호출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송신자가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 순서대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불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출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통화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에게 수신대기신호를 송신한 다음, 상기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송신자와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성공한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해당하는 호출명을 삭제하고, 다음 수신자 전화번호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모두 통화가 이루어질 경우 혹은 송신자의 키조작에 의해 반복호출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Method of auto-redialing and notifying call-recivable person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이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저장한 다음, 소정의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리다이얼링하고, 통화가능한 수신자의 경우 해당하는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에게 통지하는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전화기에 부착된 숫자키를 조작하여 다이얼링하거나 단축키 또는 재다이얼키를 눌러 다이얼링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대방과 통화한다. 그런데,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자가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일 경우에는 통화가 성공할 때까지 사용자가 계속 숫자키, 단축키나 재다이얼키를 일일이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구나, 금융업이나 보험업과 같이 업무의 특성상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많을 뿐 아니라,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신경을 쓰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업무의 효율저하 및 정신적인 피로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전화기에 부착된 숫자키, 단축키 또는 재다이얼키를 일일이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크 오프상태에서 음성인식을 통해 다이얼링하는 방법이있다. 하지만 이러한 음성인식을 통해 다이얼링하는 방법은 후크 오프상태에서만 가능하여 핸드프리의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해당 수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음성사서함에 음성메시지를 녹음해 두거나, 호출할 전화번호를 입력해 두는 간접통화방법을 사용하나, 이 경우 상기 수신자가 녹음된 음성메시지나 호출할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이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저장한 다음, 소정의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리다이얼링하고, 통화가능한 수신자의 경우 해당하는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에게 통지하는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은 송신자가 반복호출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송신자가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 순서대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불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출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통화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에게수신대기신호를 송신한 다음 상기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송신자와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성공한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해당하는 호출명을 삭제하고, 다음 수신자 전화번호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모두 통화가 이루어질 경우 혹은 송신자의 키조작에 의해 반복호출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럭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주메모리 및 음성메모리의 맵핑도,
도 3은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의 개념도, 및
도 4는 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01: 주메모리
102: 키입력부 103: 마이크
104: 스피커 105: 링검출부
106: 릴레이 107: 통화회로부
108: DTMF 발생부 109: 음성처리부
110: 음성메모리 110: 디스플레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실시예인 전화기의 블럭 구성도로서, 제어부(100), 주메모리(101), 키입력부(102), 마이크(103), 스피커(104), 링검출부(105), 릴레이(106), 통화회로부(107), DTMF 발생부(108), 음성처리부(109), 음성메모리(110) 및 디스플레이부(111)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주메모리(10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화기의 제어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반복호출모드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타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마이크(103)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00)로 전달하고, 스피커(104)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링검출부(105)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 후크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착신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106)는 후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전화라인과 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07)는 음성회로로서, 릴레이(106)와 음성처리부(109)와 연결되며, 전화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DTMF 발생부(108)는 제어부(100)와 통화회로부(107)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07)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09)는 통화회로부(107)와 연결되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107)에서 수신되는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통화회로부(107)로 출력한다. 음성메모리(110)는 녹음모드시 음성처리부(109)의 제어하에 음성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여 재생모드시 지정된 영역에서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명령이나 수신자의 전화번호 등을 디스플레이해주는 LCD 창으로 이루어진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 주메모리(101)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나타내고, 도 2b는 음성메모리(110)에 저장되는 호출명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주메모리(101)에 저장되는 전화번호와 음성메모리(110)에 저장되는 호출명을 일대일로 대응시킨다. 예를 들면, 수신자가 4인인 경우, 수신자 1에서부터 수신자 4까지의 전화번호를 주메모리(101)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해당하는 호출명이 음성메모리(11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리다이얼링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송신자(31)가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자가 4인 즉, 수신자 1 내지 수신자 4(33,35,37,39)인 경우를 예를 든 것이다. 여기서, "S"는 호출응답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고, "F"는 호출응답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송신자(31)가 반복호출모드를 선택하여 수신자 1 내지 수신자 4(33,35,37,39)의 전화번호 및 호출명을 입력하면, 주메모리(101)에서 제일 처음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 1(33)의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이때, 호출응답이 성공하면 수신자 1(33)에게 수신자 대기신호를 보낸 다음, 해당하는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31)를 호출한다.
이후, 송신자(31)와 수신자 1(33) 사이의 통화가 성공하면, 주메모리(101)와 음성메모리(110)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호출명을 삭제한 다음, 다음 전화번호 즉, 수신자 2(35)의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한편, 수신자 1(33)과의 호출응답이 실패하면 바로 다음 전화번호 즉, 수신자 2(35)의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주메모리(101)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모두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혹은 송신자(31)의 키조작에 의해 반복호출모드를 해제할 때까지 반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송신자가 반복호출모드를 선택하고,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401, 403),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입력하는 단계(405~415),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 순서대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417), 호출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불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출단계로 복귀하여 다음번 수신자를 호출하는 단계(419), 통화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에게 수신대기신호를 송신한 다음, 소정의 호출음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전화벨음과 함께 상기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를 호출하는 단계(421,423), 호출된 송신자와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성공한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해당하는 호출명을 삭제하고, 다음 수신자 전화번호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425,427), 및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모두 통화가 이루어거나 송신자의 키조작에 의해 반복호출모드를 종료하는 단계(429)로 구성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다이얼링방법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자가 키입력부(102)에서 반복호출모드키를 눌러서 반복호출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11)나 스피커(103)를 통해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여부에 대한 지시어를 문자나 음성으로 출력한다(401). 송신자는 키입력부(102)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반복호출 대기시간 예를 들면, 분단위로 입력한다(403). 설정을 완료하거나 무시할 경우에는 키입력부(102)의 "*" 키를 누른다. 이때, 송신자가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하지 않으면 반복호출 대기시간이 디폴트로 정해진 시간 예를 들면 1분으로 정해진다.
다음, 제어부(100)의 지시에 따라 호출하고자 하는 수신자의 각 전화번호를 키입력부(102)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는 주메모리(102)의 해당 번지에 저장된다(405). 다음, 제어부(100)에서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출명 입력여부와 입력방법을 선택할 것을 지시하는데, 송신자가 호출명 입력과 음성을 선택하여 송신자의 음성으로 호출명을 입력하면, 이 호출명은 마이크(103)를 통해 전화번호가 저장된 주메모리(101)의 해당 번지에 상응하는 음성메모리(110)의 해당 번지에 저장된다(407, 409, 411). 한편, 송신자가 호출명 입력과 문자를 선택하여 키입력부(102)의 문자키를 누르면, 눌러진 문자키에 따른 호출명이 제어부(100)에서 TTS(Text-to-Speech) 방식 등으로 변환처리되어, 전화번호가 저장된 주메모리(101)의 해당 번지에 상응하는 음성메모리(110)의 해당 번지에 저장된다(407, 409, 413).
단계 415에서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호출명을 추가하여 입력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추가할 경우 단계 405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추가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 여기서,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한 경우 임의의 수신자와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을때 음성만 듣고는 상대방이 누구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더불어 호출명을 입력하는 것이다.
다음, 제어부(100)에서는 DTMF 발생부(108)와 통화회로부(107)를 통해 주메모리(101)에 저장된 순서대로 반복호출대기시간에 따라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호출한 다음(417), 통화가능여부를 판단한다(419).
통화가능여부 판단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키워드 스포팅(key-word spotting) 음성인식을 이용한다. 즉, 상대방의 호출 응답시 주어진 음성에서 핵심어 예를 들면, "예", "네", "~입니다", "여보세요"가 되는 단어를 추출하여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00)에서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상대방의 음성으로부터 상기 핵심어가 인식되면, 통화가능으로 판단하여 해당 수신자에게는 수신자대기신호를 보내고(421), 송신자에게는 스피커(104)를 통해 소정의 호출음과 함께 송신자 음성의 해당 호출명으로 통화가능함을 통지한다(423). 한편, 제어부(100)에서는 호출시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통화중인 경우, 자동음성응답에 의한 응답의 경우를 통화불가능으로 판단하여 417 단계로 복귀한다. 그러면 417 단계에서는 다음 순서의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또한, 통화가능여부 판단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호출음 종료시 예를 들어 '1번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상대방으로부터 '1'번에 해당하는 DTMF 신호가 검출되면 통화가능으로 판단하여 해당 수신자에게는 수신자대기신호를 보내고(421), 송신자에게는 스피커(104)를 통해 소정의 호출음과 함께 송신자 음성의 해당 호출명으로 통화가능함을 통지한다(423). 마찬가지로, 제어부(100)에서는 호출시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통화중인 경우, 자동음성응답에 의한 응답의 경우, 혹은 상기 해당 번호에 대한 DTMF신호 이외의 신호가 검출된 경우를 통화불가능으로 판단하여 417 단계로 복귀한다. 그러면 417 단계에서는 다음 순서의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한편, 상기 423 단계에서 송신자에게 호출음과 호출명으로 통화가능자를 통지할 때, 상기 407 단계에서 호출명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호출음만 발생시킨다. 425 단계에서는 송신자는 수화기를 들고 해당 통화가능한 수신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공적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00)는 주메모리(101)와 음성메모리(110)에 각각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와 호출명을 삭제한다(427).
이후, 제어부(100)는 주메모리(101)에 저장된 다음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반복호출여부를 판단하고(429), 송신자가 반복호출을 원할 경우 417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반복호출을 원하지 않을 경우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송수신자의 단말기로서, 각각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전화기를 들었으나, 마이크, 스피커 및 보이스모뎀을 장착한 PC와 공중전화망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상기 키입력부(102)에 해당하고, 모니터 스크린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1)에 해당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나머지 구성요소들도 PC상에 용이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PC상에서 상기 제어부(100)와 주메모리(101)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의 제어동작과 프로그램 및 데이타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망을 통해 음성데이타를 IP 데이타 패킷으로 변환하여 공중전화망에서의 전화통화와 같이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을 채택하는 각종 단말기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VoIP 방식의 인터넷폰의 종류, 예를 들면 PC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주고 받는 PC-to-PC 방식인 경우에는 PC가 되고, PC에서 전화를 걸어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를 통해 일반전화기에서 받는 PC-to-Phone 방식인 경우에는 PC와 전화기가 해당되고, VoIP 게이트웨이장비를 이용하여 일반전화기에서 일반전화기로 통화하는 Phone-to-Phone 방식인 경우 전화기가 해당된다. 마찬가지로, PC나 전화기 상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PC나 전화기상에서 상기 제어부(100)와 주메모리(101)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의 제어동작과 프로그램 및 데이타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에 의하면, 전화기나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송신자가 다수 수신자의 전화번호 및 이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저장하면, 소정의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리다이얼링하고, 통화가능한 수신자의 경우 해당하는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에게 통지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송신자가 일일이 키입력부를 조작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내에 직접통화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는 전화업무와 더불어 다른 업무를 병행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통화불능으로 인한 심적 부담을 줄여주게 되어 업무 수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은 일반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Phone-to-Phone 방식과 PC-to-Phone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VoIP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PC-to-PC 방식, PC-to-Phone 방식과 Phone-to-Phone 방식에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므로 네트워크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송신자가 반복호출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송신자가 반복호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출명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전화번호 순서대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불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출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통화가능한 수신자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에게 수신대기신호를 송신한 다음, 소정의 호출음과 함께 상기 호출명을 이용하여 송신자를 호출하는 단계; 및
    호출된 송신자와 상기 통화가능한 수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성공한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해당하는 호출명을 삭제하고, 다음 수신자 전화번호로 상기 반복호출 대기시간에 따라 호출하는 단계; 및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모두 통화가 이루어질 경우 혹은 송신자의 키조작에 의해 반복호출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 판단단계에서는 호출된 수신자로부터 들려오는 음성 중 소정의 핵심어가 인식되면 통화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 판단단계에서는 수신자 호출시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통화중인 경우, 자동음성응답에 의한 응답의 경우를 통화불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 판단단계에서는 수신자에 대한 호출음 종료시 소정의 번호를 누르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수신자로부터 해당 번호에 대한 DTMF 신호가 검출되면 통화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통화가능 판단단계에서는 수신자 호출시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통화중인 경우, 자동음성응답에 의한 응답의 경우, 상기 소정의 번호에 대한 DTMF 신호 이외의 신호가 검출된 경우를 통화불가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명은 송신자의 음성 혹은 문자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KR10-2002-0001300A 2001-02-27 2002-01-09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KR100455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158 2001-02-27
KR10-2001-0010158A KR100458802B1 (ko) 2001-02-27 2001-02-27 반복송신 통화가능자 검출, 수신자 통화 대기후 송신자호출 장치
KR1020010031272 2001-06-04
KR20010031272 2001-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092A KR20020070092A (ko) 2002-09-05
KR100455783B1 true KR100455783B1 (ko) 2004-11-06

Family

ID=2773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300A KR100455783B1 (ko) 2001-02-27 2002-01-09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092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2938A1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and method employing caller identification data
US7023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phone for use in network voice operations
US7965822B2 (en) Telephony dialing using speech recognition
KR100498924B1 (ko) 유선전화망에서의 전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방법
US7058171B2 (en) IP telephone apparatus and IP telephone system
KR100455783B1 (ko)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 리다이얼링 및 통화가능자 통지방법
US6493429B1 (en) Telephone with ability to push audible read out data
KR100463761B1 (ko) 호출 응답 판정 방법 및 장치
JPS62130045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JPS6165651A (ja) 音声電話機
RU2812338C1 (ru) Телефонный аппарат системы атс с защитой от параллельного подключения
JP4583949B2 (ja) 3者通話システムおよびボタン電話装置に関する。
JP4397507B2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用アダプタ
KR100405591B1 (ko)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JP3412428B2 (ja) 電話端末装置
KR100681337B1 (ko) 컴퓨터로 제어가능한 다기능 전화기
JP2004007792A (ja) 電話装置
KR20040009121A (ko)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75937B1 (ko) 휴대단말기의 착신통화 서비스 방법
JPH0936960A (ja) Id識別端末
CN1459968A (zh) 终端机的自动重拨及可能通话者通知方法
JPH11275230A (ja) 選択肢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着信者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選択肢指定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19990016321A (ko) 핸드셋과 스피커폰 동시 통화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