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536B1 -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536B1
KR100454536B1 KR10-2002-0017917A KR20020017917A KR100454536B1 KR 100454536 B1 KR100454536 B1 KR 100454536B1 KR 20020017917 A KR20020017917 A KR 20020017917A KR 100454536 B1 KR100454536 B1 KR 10045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visually impaired
sensing
fill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893A (ko
Inventor
곽상운
Original Assignee
곽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운 filed Critical 곽상운
Priority to KR10-2002-001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5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8Elements representing tex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보행하는 보도뿐만 아니라 건축물 실내외 복도 및 현관 등의 바닥에 감지돌기를 부착하여 시각장애자의 보행방향 및 보행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시각장애인들이 보행 중 보행방향과 위치 등을 확인하는데 보다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모양으로 바닥면(100)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1)는 상온 경화형이나 가온, 가압 경화형의 다양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10)에 균일 또는 불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필러(11)를 첨가하여, 바인더(10)가 경화완료 되었을 때 필러(11)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선택된 형틀(30)의 모양과 형상으로 고경도 감지돌기(1)가 성형/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The raised block to lead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the way of its installati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각 장애자가 통상의 보행상태에서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 등으로 그 존재 및 대강의 형태를 확인하여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종 건축물 등의 실내, 외 바닥면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바람직한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종래에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시각장애인이 발의 감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그 표면에 약시자들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노란색의 페인트를 도포한 장애자용 유도블럭이 최초 사용되었으나 제작의 어려움 및 페인트 탈색과 미끄럼 현상 등으로 인하여 지금은 거의 사용치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근자에는 미끄럼현상이 없고, 탈색이 전혀 없는 PVC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면에 다수개의 감지돌기를 형성시킨 판 형태의 장애자용 유도타일을 별도 제작하여 시각장애자가 보행하는 노면 또는 인도블럭 등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유도블럭 성형제작에 따른 공정, 제작비용은 물론이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 이는 그 설치코자하는 바닥블록의 크기와 모양에 준하여 제작되어야함으로 금형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도를 비롯한 횡단보도, 지하철 개찰구, 버스 정류장 등 공공기관의 모든 바닥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타일이 설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부 특정한 곳에만 설치되고 있어 장애인이 불편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또, 위와 같은 유도타일은 최초 설치 또는 설치된 것을 제거한 후 위치를 변경코자하는 경우 그 작업이 난해하여 전문시공업체에 의뢰하여야 하는 등 이의 적절한 해결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바인더에 필러를 함몰시킨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만을 별도 성형/제작한 후 그 제작된 감지돌기를 인도를 비롯한 횡단보도, 지하철 개찰구, 버스 정류장 및 공공기관 등의 모든 바닥면에 부착/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서 어떠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바닥면에도 원하는 위치와 형태로 배치/설치가 가능하고, 또 바인더와 필러의 기능에 의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논슬립 기능과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연출이 가능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도심환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등 새로운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감지돌기와 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감지돌기의 성형/제작 공정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성형/제작과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돌기를 별도의 타일에 부착/성형한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감지돌기 10:바인더
11:필러 30,40:형틀
50:유도블록 100:마감제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감지돌기와 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감지돌기의 성형/제작 공정도이며,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성형/제작과 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돌기를 별도의 타일에 부착/성형한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키로 한다.시각장애인들이 보행 중 보행방향과 위치 등을 확인하는데 보다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모양으로 바닥면(100)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1)에 있어서,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돌기(1)는 상온 경화형이나 가온, 가압 경화형의 다양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10)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필러(11)를 첨가하여, 바인더(10)가 경화완료 되었을 때 필러(11)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선택된 형틀(30)의 모양과 형상으로 고경도 감지돌기(1)가 성형/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상기 감지돌기(1)를 구성하는 바인더(10)는 상온(20 ℃ 내외)에서 약 6 시간 내지 12 시간 정도 경과되었을 때 경화될 수 있는 요건을 가지는 다양한 수지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1.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에 디글리실(diglycidyl) 타입과 트리글리실(triglycidyl) 타입에 있어서 분자량이 350 ~ 3000 MW 범위의 무용제 또는 용적 희석용 에폭시 수지.
2. 아크릴 수지(acryl resin)로서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한 용제형의 아크릴우레탄과 락카 또는 수성아크릴 하이드로졸과 에멀죤 무용제형 아크릴 실란과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3.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 ORTHO계, 비스페놀계의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4.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중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polyol)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쇼어(shore) A 경도 30 이상의 용제형 및 무용제형 도료로 일액형(一液形)의 유변성 도료, 습기경화형 도료와 이액형(二液形)의 촉매경화형 도료와 폴리올(polyol) 경화형 도료.
5. 알키드 수지 중에서 다염기산과 다가알코올 에스테르 화합물로 변성시킨 도료형태의 알키드 수지로서 로진(rosin), 페놀(phenol), 에폭시(epoxy), 비닐 스티렌 모노머(vinyl styrene monomer),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실리콘(silicon)변성 알키드 수지들을 바인더(10)로 선택사용 할 수 있다.또한 바인더(10)와 혼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필러(11)는 표면이 다공질이 아니며, 그 형상은 개략적으로 구형이나 타원형 또는 구형과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의 글라스 비드(glass bea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상기 바인더(10)와 필러(11)는 투명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칼라의 색상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기 필러(11) 입자의 크기를 약 20 ~ 200 mesh 정도의 범위 내에서 적정의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상기와 같은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는 하기와 같은 시공방법을 통하여 시공코자하는 바닥면(100)에 시공될 수 있다.1) 상기한 바인더(10)와 필러(11)를 구성부재로 하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감지돌기(1)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형틀(30)에 원하는 색상과 성분의 바인더(10)와 필러(11)를 혼합 주입한 후 경화시킴으로서 생산된 감지돌기(1)를 시공코자하는 바닥(100)에 적정위치와 방향으로 접착제(20)를 이용하여 부착/시공할 수도 있지만,
2) 시공코자하는 바닥면(100)에 선택된 감지돌기(1)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형틀(4)을 직접적으로 안착시킨 후 원하는 색상과 성분의 바인더(10)와 필러(11)를 그 형틀에 혼합 주입한 다음 경화시켜 바닥면(100)에 돌출/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고,
3) 또 위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에 감지돌기(1)가 성형 돌출된 블록이나 타일 등의 시각장애인 유도블럭(50)을 별도 제작한 후 그 제작된 유도블록(20)을 바닥면(100)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품화할 수도 있다.위 시공방법 중 상기 감지돌기(1)를 바닥면(100)에 부착시킬 때 사용되는 접착제(20)는 감지돌기(1) 성형시 사용된 바인더의 성분과 동일한 성분을 사용하여 접착제로서 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이는 고경도와 강력한 접착력을 가짐에 따라서 여타한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그리고 상기 감지돌기(1)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바인더(10)에 살포되는 필러(11)는 바인더(10)의 내부에 매입되거나 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매입 접착되는데, 이때 상기 바인더(10)가 미처 경화되기 전의 상태로 살포되므로 바인더(10)가 경화됨과 동시에 그 접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인 한편, 상기 바인더(10)는 상온(약 20 ℃ 내외)에서 약 6~12 시간 정도가 경과되면 완전히 경화되어 필러(11)의 고정작업이 종료될 수 있는 것이다.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감지돌기(1)를 시공하게 되면 도로변이나 각종 건축물 등의 실내, 외의 기존 바닥면(100)을 철거하거나 교체, 손상, 구조변경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가운데 간단하게 설치가능함과 더불어 돌출되는 감지돌기(1)만을 바닥면에 부착 또는 성형/고착시키는 방법을 취함에 따라서 설치위치와 방향 등을 다양하게 배치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바닥면(100)을 형성하는 마감재(시멘블럭, 대리석 블록, 각종 타일 등)의 모양과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위치와 방향,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칼라의 바인더(10)와 필러(11)를 선택 적용하게 되면 주변의 환경과 조화는 물론이고, 약시자에게도 다소나마 식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칼라의 구현도 가능하다.(참고: 현재 약시자들에게 식별력을 갖게 하는 수단으로 표면을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 상기 필러(11)는 바인더(10)의 내부로 함몰된 입자도 있지만 그 필러(11) 중 일부는 외부로 돌출상태로 분포되어 있어 미끄럼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는 등 논슬립 기능까지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은 바인더와 그 바인더에 고정된 필러의 기능으로 인하여 높은 표면강도와 함께 내마모성과 내오염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사용되어질 용도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양, 위치, 색상으로 배치/구성할 수 있고, 또 시공코자하는 기존바닥의 블록 등을 철거 및 손상, 보수작업 없이도 누구나 쉽게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시 바닥에 수분(빗물 등)이 있다 하더라고 구애받지 않고 바로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의 편익성은 물론이고 유지관리 및 건축물의 고급화에도 일조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9)

  1. 시각장애인들이 보행 중 보행방향과 위치를 확인하는데 보다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모양으로 바닥면 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감지돌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온 경화형이나 가온, 가압 경화형의 다양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인더에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필러를 첨가하여, 바인더가 경화완료 되었을 때 필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선택된 형틀의 모양과 형상으로 고경도 감지돌기가 성형/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에 디글리실(diglycidyl) 타입과 트리글리실(triglycidyl) 타입에 있어서 분자량이 350∼3000 MW 범위의 무용제 또는 용적 희석용(check)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아크릴 수지(acryl resin)로서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한 용제형의 아크릴 우레탄과 락카 또는 수성아크릴 하이드로졸과 에멀죤 무용제형 아크릴 실란과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중 ORTHO계, 비스페놀계의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 수지(urethane resin) 중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polyol)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쇼어(shore) A 경도 30 이상의 용제형 및 무용제형(check) 도료로 일액형(一液形)의 유변성 도료, 습기경화형 도료와 이액형(二液形)의 촉매경화형 도료와 폴리올(polyol) 경화형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알키드 수지 중에서 다염기산과 다가알코올 에스테르 화합물로 변성시킨 도료 형태의 알키드 수지로서 로진(rosin), 페놀(phenol), 에폭시(epoxy), 비닐스티렌 모노머(vinyl styrene monomer),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및 실리콘(silicon)변성 알키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7. 접착제를 이용하여 감지돌기를 바닥면에 부착시키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감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코자하는 바닥면에 선택된 감지돌기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형틀을 직접적으로 안착시킨 후 원하는 색상과 성분의 바인더와 필러를 그 형틀에 혼합 주입한 다음 경화시켜 바닥면에 돌출/성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코자하는 바닥면으로 사용될 블록 또는 타일의 표면에 상기 7항 내지 8항의 방법으로 감지돌기를 돌출/성형시킨 장애자용 유도블럭을 별도 제작한 후, 그 제작된 유도 블록을 각종 건축물의 바닥면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시공방법.
KR10-2002-0017917A 2002-04-02 2002-04-02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KR10045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917A KR100454536B1 (ko) 2002-04-02 2002-04-02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917A KR100454536B1 (ko) 2002-04-02 2002-04-02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893A KR20020029893A (ko) 2002-04-20
KR100454536B1 true KR100454536B1 (ko) 2004-11-05

Family

ID=1972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917A KR100454536B1 (ko) 2002-04-02 2002-04-02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67B1 (ko) * 2007-11-02 2008-04-24 주식회사 세진로드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947B1 (ko) * 2011-07-29 2013-06-17 (주)노루페인트 시각장애인 안내용 유도돌기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926U (ko) * 1976-06-04 1977-12-12
JPS57128611U (ko) * 1981-02-02 1982-08-11
KR19980019350A (ko) * 1998-03-05 1998-06-05 곽상운 건축용 논슬립마감재와 그 시공방법(nonslip finisher for construction construction method)
KR20000041360A (ko) * 1998-12-22 2000-07-15 한정국 미끄럼 방지 도로의 시공 방법
KR20000050174A (ko) * 2000-05-20 2000-08-05 임경식 장애자 유도용 고무 - 수지 혼합형 보도블럭 및 그제조방법
KR200234667Y1 (ko) * 2001-03-21 2001-10-08 이익규 시각장애자용 바닥표시구
KR200245132Y1 (ko) * 2001-05-18 2001-10-15 신태영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KR20010108598A (ko) * 2000-05-30 2001-12-08 곽상운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926U (ko) * 1976-06-04 1977-12-12
JPS57128611U (ko) * 1981-02-02 1982-08-11
KR19980019350A (ko) * 1998-03-05 1998-06-05 곽상운 건축용 논슬립마감재와 그 시공방법(nonslip finisher for construction construction method)
KR20000041360A (ko) * 1998-12-22 2000-07-15 한정국 미끄럼 방지 도로의 시공 방법
KR20000050174A (ko) * 2000-05-20 2000-08-05 임경식 장애자 유도용 고무 - 수지 혼합형 보도블럭 및 그제조방법
KR20010108598A (ko) * 2000-05-30 2001-12-08 곽상운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KR200234667Y1 (ko) * 2001-03-21 2001-10-08 이익규 시각장애자용 바닥표시구
KR200245132Y1 (ko) * 2001-05-18 2001-10-15 신태영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착형 점자유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067B1 (ko) * 2007-11-02 2008-04-24 주식회사 세진로드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893A (ko) 200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84B1 (ko) 아크릴계 미끄럼방지용 도료조성물
US7249911B2 (en) Detectable warning-dots demarkation for pedestrian safety
US8046943B2 (en) Safety kick plat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0832038B1 (ko) 미끄럼 방지용 바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Xu et al. Performance, environmental impact and cost analysis of marking materials in pavement engineering, the-state-of-art
KR100454536B1 (ko) 시각장애자 안내용 감지돌기 및 그 시공방법
KR100623635B1 (ko) 야광성 미끄럼방지도료 및 그 시공방법
JP4153008B2 (ja) 路面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7113327A (ja) 安全で耐久性のある標識材を固着した建造物の階段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200032392A (ko) 미끄럼방지용 아크릴계 도료
KR102205286B1 (ko) 야간 시인성이 개선된 자체발광 스마트 횡단보도의 시공방법
KR102270935B1 (ko) 야광 경계석, 그를 구비하는 보도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30075838A (ko)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KR101045359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200340238Y1 (ko) 건축물 계단 마감재의 구조
KR200179213Y1 (ko) 시각장애인용 유도타일
KR101697640B1 (ko) 나노수경성 개질유황을 이용한 염해저항성이 향상된 측구를 포함한 경계블럭 시공방법
KR20030036518A (ko) 유도 및 표시블록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유도 및 표시블록
JPH1150420A (ja) 突起物群表示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262363B1 (ko) 축광재를 이용한 발광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경관 보도 구조
KR200272874Y1 (ko)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럭
KR102062991B1 (ko) 시각장애인용 문자 표기 점자 유도블록
KR101168905B1 (ko) 시각장애인용 안전유도블럭의 제조방법
KR101091877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20072485A (ko) 시각 장애자용 점자블럭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