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146B1 - 안테나배열 - Google Patents

안테나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146B1
KR100454146B1 KR10-1998-0701162A KR19980701162A KR100454146B1 KR 100454146 B1 KR100454146 B1 KR 100454146B1 KR 19980701162 A KR19980701162 A KR 19980701162A KR 100454146 B1 KR100454146 B1 KR 10045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rray
radiating element
decoupling
reflector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83A (ko
Inventor
로란트 가블일
막스 궤틀
게오르크 크링거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1999003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6Turnstile or like antennas comprising arrangements of three or more elongated elements disposed radially and symmetrically in a horizontal plane about a common centr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갖는 전자기 파의 동시 수신 또는 동시 전송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는 인접 방사 요소 모듈(1)간에서 디커플링 장치(17)를 갖는다. 이 디커플링 장치는 부착 방향(21)에서 인접한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간에 제공된다.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간에 제공되도록 디커플링 구조체(17)를 개선시킨 것인데, 이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부착 방향(21)에서 적어도 종방향 성분으로 신장되며, 이 종방향 성분은 상응하는 인접 방사 요소 모듈(1)의 중심 또는 베이스(23)간의 방사 요소 모듈 분리(25)의 25%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
분리되어 상호 디커플링된(decoupled) 출력부에 공급되는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지닌 전자파의 동시 수신 또는 동시 전송을 위한 다이폴(쌍극자), 슬롯 또는 평면 방사 요소(planar radiating elements)가 제공되는 이중 편파 안테나 어레이, 즉 방사 요소 배열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 요소 배열은 예를 들어, EP 0685900 A1 또는 "Antennen"[Antennas], 2nd part, Bibliographic Institute, Mannheim/Vienna/Zurich, 1970, pages 47 to 50에 공지되어 있다. 이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평 편파에 의한 전방향성 방사 요소(omnidirectional radiating elements)의 경우, 공간적으로 90°옵셋되어 있는 2개의 시스템간에서 커플링이 존재하는 다이폴 스퀘어(dipole square) 또는 다이폴 크로스(dipole cross)의 유형이 상기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지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하에서 방사 요소 모듈이라 칭하는 방사 요소 배열은 통상적으로, 반사면, 소위 반사기 앞에 배치되어 있는데, 평면 안테나의 경우에, 기판상의 금속 층이 반사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안테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이들 방사 요소 모듈을 상호 접속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실제로, 송,수신국 당 10개 이상의 방사 요소 모듈을 상호접속시켜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경우에, 방사 요소 모듈은 상호 나란히 또는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사 요소 모듈을 중첩하여, 상호 나란히 경사져서 또는 직선으로 배치하는 것을 안테나 어레이의 정렬이라 한다.
그러나, 다수의 방사 요소 모듈이 상호접속될 때, 2개의 편파를 지닌 상호접속된 방사 요소 모듈간의 어레이의 디커플링이 방사 요소 모듈 자체의 디커플링보다 상당히 불량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단점은 주로, 안테나 어레이의 정렬이 2개의 편파면들중 한 편파면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 상황은 주로, 방사 요소 모듈이 수직 방향에서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안네타 어레이에서 발생되는데, 상기 방사 요소 모듈은 수직에 대해서 +45°및 -45° 각도로 선형 편파를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정렬된다. 편파면과 상이하게 정렬된 이와 같은 안테나 어레이를 또한, 이하에서 간략히 X-편파된 어레이라 한다.
이와 같은 어레이의 경우에, 편파면 및 어레이의 정렬간의 일치성 부족 뿐만아니라 반사기에 대해 기울어진 편파면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호 강하게 결합된 인접 모듈에서 발생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경우에, 부적절하다고 밝혀진 예를 들어 20 내지 25dB의 디커플링 레벨이 종종 발생된다.
수직 편파가 이동 무선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안테나 유형은 2개의 편파를 사용하여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편파를 갖는 이중-편파된안테나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디커플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개개의 방사 요소들, 즉 방사 요소 모듈간에 분리 벽(separating walls)을 설치한 안테나 어레이가 이미 제안되어 있는데, 이 분리 벽은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간의 부착 또는 접속 방향(attachment and connection direction) 또는 라인에 직각으로 정렬된다. 특히 광대역 안테나의 경우에, 이와 같이 설계된 X-편파된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편파 회전(polarization rotation)으로 인해 디커플링을 열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중접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평 편파를 사용하는 개개 방사요소들의 경우에, 수평으로 배치된 로드(rods)가 개개 방사 요소간의 디커플링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커플링 개선은 상기 편파를 지닌 방사 요소에만 관계되고, X-편파된 어레이의 경우(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수직 정렬된 안테나 어레이는 예를 들어 +45°및 -45°의 선형 편파와 일치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편파된 급전 시스템간에서 디커플링을 개선시키지 않는다.
상술된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어레이는 이미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보 제3,541,5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안테나 매트릭스, 즉 다수의 수평 로우(row) 및 수직 칼럼(column)으로 배치된 다수의 방사 요소 모듈, 로드 형태이며 서로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방사 요소 모듈간에 배치되는 기생 반사기(parasitic reflector)처럼 작용하는 반사기 소자를 포함한다. 로드 형태의 이 기생 반사기 소자는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을 접속시키는접속 라인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들 기생 반사기 소자는 빔 형성을 위하여 사용되며, 이는 단일 방사 요소 모듈이 사용될때 조차도 여전히 유효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을 따르는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지닌 전자파의 동시 수신 또는 동시 전송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1a는 2개의 방사 요소 모듈 및 이들 모듈간에 제공된 본 발명을 따른 디커플링 장치를 지닌 안테나 어레이의 개요적인 평면도.
도1b는 도1a의 화살표 방향(Ib)을 따라서 본 측면도.
도2a는 십자형의 디커플링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을 따른 안테나 어레이의 수정된 전형적인 실시예의 평면도.
도2b는 도2a의 화살표 방향(IIb)에서의 측 상면도.
도2c는 도2a 및 도2b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개요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소위 패치 방사 요소가 방사 요소 모듈로서 사용되는 도2a로부터 수정된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b는 도3a에서 화살표 방향(IIIb)에서의 도3a의 측 상면도.
도4a는 안테나 어레이의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의 평면도.
도4b는 도4a에서 화살표 방향(IVb)에서의 측 상면도.
도5는 패치 방사 요소를 지닌 반사기 및 상기 반사기 앞에서 이격된 슬롯화된 디커플링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폭에 걸쳐서 2개의 편파용 급전 시스템간을 고 레벨로 디커플링하는 X-편파된 안테나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규정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이점이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을 다른 해법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각 인접 방사 요소 모듈의 바람직한 디커플링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적절한 디커플링을 갖지 않는 비교가능한 이중 편파 안테나 어레이의 경우(즉, 상이한 극성의 2개의 전자기 파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안테나 어레이의 경우)에, 예를 들어, 소정의 안테나 이득을 위해선, 기지국 안테나 당 전송 및 수신을 위하여 별도로 2개 이상의 공간적으로 옵셋된 안테나 어레이를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을 따르면, 단지 하나의 X-편파된 안테나 어레이 만으로도 필적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안테나 어레이가 예를 들어, 30dB 이상의 고 레벨의 디커플링에 따라서 전송 및 수신 둘다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당연히 비용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 레벨의 수직 빔형성을 지닌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편파들간에서 성취될 수 있는 고 레벨의 디커플링으로 인해, 본 발명을 따른 해법은 특히, 이동 무선 분야에 적합하게 된다.
본 발명을 따르면, 이들 장점은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 간에 신규한 구조체를 지닌 디커플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사용된 수평 분리 벽 또는 로드와 완전히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정렬된 안테나 어레이에서, 상기 구조체는 정확하게 정반대의 방식으로 배치된다. 특히, 디커플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구조체는(원리적으로, 또한, 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어레이의 수평 부착 방향에 대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어레이의 수직 부착 방향에서 정렬되어 종방향의 신장부를 갖는다. 다른 말로서, 수직 방향에서 신장하는 종방향의 로드가 중첩되어 배치된 2개의 방사 요소 모듈 간에서 맞추어진 경우 또는, 필요한 경우, 종방향의 슬롯(이는 반사기 표면에 제공되거나 이 표면 앞의 부가적인 도전성 표면에 제공된다) 또는 또 다른 구조체가 종방향의 리세스 또는 신장부를 가진채 맞추어진 경우, 수직으로 정렬된 X-편파된 어레이에서 조차도 양호한 결과를 얻는다.
그러나, 십자형(cruciform)의 구조체를 갖는 디커플링 장치가 2개의 인접 X-편파된 방사 요소 모듈간에 사용되는 경우 매우 유용한 결과를 얻는데, 상기 구조체는 예를 들어, 2개의 상호 교차하는 개별 로드(즉, 금속성 도전 로드) 또는 반사기 표면 또는 옵셋되어 위치되지만 이 표면에 평행한 금속의 도전성 표면에 포함되는 십자형 슬롯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전성의 십자형 구조체는 자신의 교차부(intersections)에서 서로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최종적으로, 면들이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1/2 파장 이상 떨어지지 않는다면, 십자형의 도전성 구조체는 서로 상이한 면에 위치되는 이점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이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1a 및 도1b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개시한 것이다. 이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모듈은 도펠-다이폴 장치(Doppel-dipole)(3)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90° 공간적으로 옵셋되어 정렬되고 별도로 급전되는 2개의 시스템을 구비하는 소위 턴스타일 안테나(turnstile antenna)일 수 있다. 또한, 이들과 대조적으로, 다른 이중-다이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전송 방향에서, 개별적인 다이폴은 예를 들어 정방형 구조(즉, 소위 다이폴 스퀘어(dipole square))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다른 상이한 방사 요소 모듈은 또한, 이하에서 패치 방사 요소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갖는 전자기파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사 요소 모듈(1)은 반사기(7)와 거리를 두고 그 위에 위치되는 다이폴과 함께 반사기(7)앞에 설치된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반사기(7)는 패널(11)상에서 금속화(metallization)(9)에 의해 형성되며, 패널의 배면상에는 급전 네트워크(13)가 위치되어, 각 편파를 위하여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인 방사 요소 모듈을 상호접속시킨다. 이 경우에, 다이폴(3)은 패널(11)에 대해 기계적으로 지지되고, 소위 밸런스 장치(balancing device)(14)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패널(13)로부터 급전받는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예시된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은 수직 정렬(V)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반사기 면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이중-다이폴 장치(3)는 방사 요소 모듈(1)이 수직(V)에 대해서 +45° 및 -45°의 선형 편파가 수용되도록 선택된다.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간에 고 레벨의 디커플링을 성취하기 위하여,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도1a 및 도1b에 따라서 설명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데, 이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도전성 로드(17a)를 구비한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는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간의 중심에 배치되는데, 로드(17a)는 방사 요소 모듈(1)의 접속 방향 또는 부착 방향(21)에서, 즉 인접 방사 요소 모듈(1)간의 직접 접속 라인상에서 인접 방사 요소 모듈(1)간에 위치된다.
도1a 및 도1b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따른 디커플링 구조체(17)의 종방향 또는 신장 요소는 방사 요소 모듈의 2개의 인접 중심 또는 베이스간에서 적어도 1/4 거리보다 크거나 같다. 이 경우에, 종방향 성분은 상기 방사 요소 모듈 분리(25)의 40 또는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로드(17a)는 반사기 표면(7) 위에서 짧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스페이서 요소(18)를 통해서 패널(11)에 의해 반사기(7)상에 기계적으로 지지되고, 반사기(7)와 전기 접촉한다. 최종적으로, 디커플링 구조체는 이중-다이폴 장치(3)보다 반사기 표면(7)으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지만, 디커플링 구조체(17) 및 반사기 표면간의 거리가 이중-다이폴 장치의 다이폴의 거리 보다 1/2 보다 큰 경우, 이는 디커플링 레벨의 극선도(polar diagram)에 근본적으로 동일한 량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배열은 로드(17a) 형태의 도전성 디커플링 구조체(17)가 반사기 면으로부터 파장의 1/8 내지 1/4 보다 크게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실시예에서, 이 배열은, 다이폴(3')이 예를 들어 0.1 내지 0.5 파장,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 파장 및 특히, 약 2.25 파장의 거리를 두고 반사기 표면 앞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반사기 표면(7)으로부터 0.015 내지 0.125 파장, 특히 0.015 내지 0.035 파장(즉, 파장의 약 1/60 내지 1/8, 특히 1/60 내지 1/30) 거리를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로드 형태로 될 필요는 없지만, 도1a에서 평면도로 도시된 로드와 동일한 위치에서 반사기 표면(7)에 포함되는 슬롯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배열은 반사기 표면 앞에서 이격되어 있는 도전성 표면인데, 이 표면에 대해 상응하는 절단을 행하여 접속 또는 부착 방향(21)의 영역과 평행하고 이 영역에서 종방향으로 신장하는 구조체를 갖는다.
도2a, 2b 및 2c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는, 디커플링 구조체(17)가 접속 방향(21)에서 신장하는 로드(17a)가 아니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실시예와 상이한데, 2개의 상호 교차 로드를 포함하는 십자형 디커플링 구조체(17b)가 이 대신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도2c는 도2a 및 도2b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개요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로드(27)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며, 2개의 로드 각각은 편파면, 즉 다이폴(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로드(27)를 지닌 십자형 디커플링 구조체(17b)는 또 다시 도전형으로 되는데, 이 2개의 로드(27)는 자신들의 교차부(29)에서 서로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 이 방식으로 형성된 십자형 디커플링 구조체(17)의 종방향 성분(접속 또는 부착 방향(21)에서)은 예를 들어, 0.25 내지 1 파장, 바람직하게는 0.5내지 0.8 파장 및 특히, 약 0.7 파장이 된다. 용어 " 종방향 성분" 은 수직, 즉 부착 방향에서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간의 직접 접속 라인상의 돌출을 의미한다. 대칭적인 설계로 인해, 부착 방향(21)과 직각인 방향에서 신장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동일한 길이로 된다.
도3a 및 도3b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종래의 문헌인 ITG Specialist Report 128 "Antennen"[Antennas], VDE-Verlag GmbH, Berlin, Offenbach, page 259에 공지된 원리처럼, 소위 패치 방사 요소(1a)는 도2a 및 도2b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방사 요소 모듈로서 사용된다. 이들은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수신하기 위한 소위 십자형 슬롯 또는 옵셋 슬롯 배열을 지닌 개구-결합된 마이크로스트립-패치 안테나(aperture-coupled microstrip-patch antennas)이다.
평면도에서, 패치 방사 요소(1a)는 스퀘어 구조를 갖고, 또 다시 수직(V)에 대해 45°각도를 이루는 자신들의 슬롯 배열과 정렬되어, 이들 요소들이 +45° 및 -45°로 수신 및 전송하도록 한다.
개개의 급전 시스템(1)의 스퀘어 구조로 인해, 부착 방향(21)에서의 2개의 방사 요소 모듈(1) 간의 외부 윤곽(outer contours)들간의 유효 거리는 비교적 짧게 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도2a 및 도2c를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토대로 설명된 바와 같은 십자형 디커플링 구조체(17)가 특히 적합하게 된다.
도4a 및 도4b를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는 상응하는 십자형 슬롯(17c)이 상호교차하는 로드(27)의 형태로 형성되고 반사기(7) 면 앞에 배치되는 십자형 디커플링 구조체(17b) 대신에 디커플링 구조체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3a 및 도3b와 상이한데, 상기 배열 및 이 십자형 슬롯(17c)의 정렬은 도3a 및 도3b에 따른 십자형 로드 배열(17b)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치수는 도3a 및 도3b에 따른 십자형 로드 배열의 치수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반사기 앞에 지지되는 2개의 패치 방사 요소(22)를 갖는 반사기(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요소(22)간에는 반사기(20) 앞에서 이격된 금속 시트 도전성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표면에 형성된 슬롯(26)을 갖는 디커플링 요소(24)가 제공된다.
도면에서, 반사기 또는 패널상의 다이폴(3)의 기계적인 앵커 및 지지체는 단지 도1a 내지 도2c에만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밸런스 장치(14)를 통해서 기판 또는 패널상에 개개의 다이폴을 앵커하기 위하여, 이 수단을 통해서 상기 다이폴에 전기적으로 급전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이폴이 반사기 판상에 앵커링되어 웹(webs) 또는 아암(arms)을 통해서 이 판위에 지지되고 반사기 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다이폴이 개개의 리드를 통해서 패널로부터 급전된다. 이 내용에서, 이미 공지된 DE4302905C2 또는 이외 다른 다이폴 장치가 참조되어 있다. 다른 도면(3a)은 반사기 또는 패널에 대해서 다이폴의 기계적인 지지체를 도시하지 않는다.

Claims (17)

  1. 반사기(7)를 사용하여 2개의 선형 직교 편파를 갖는 전자기 파의 동시 수신 및/또는 동시 전송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로서,
    - 2개 이상의 방사 요소 모듈(1)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정렬은 접속 방향(21)에 의해 관리되는데, 상기 방사 요소 모듈(1)은 서로에 나란하게 또는 중첩되어 배치되며,
    - 상기 방사 요소 모듈(1)은 2개의 직교 편파를 갖는 전자기 파를 동시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사 요소 배열(3)을 가지며,
    -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접속 방향(21)은 수신 또는 전송될 2개의 선형 직교 편파의 2개의 상호 직교 편파 면의 정렬에 대해 회전되며,
    -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1)들 간에서 디커플링 장치(17)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장치(17)는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21)의 접속 방향과 평행한 종방향 성분으로 신장되는 디커플링 구조체(17)를 구비하며,
    - 상기 각 디커플링 구조체(17)의 종방향 성분은 상응하는 인접 방사 요소 모듈(1)의 중심 또는 베이스(23)간의 방사 요소 모듈 분리(25)의 25%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향(21)에서 디커플링 구조체의 종방향 성분의 종방향 신장은 방사 요소 모듈 분리(25)의 최소한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향(21)에서 측정된 상기 디커플링 요소의 종방향 성분 대 횡방향 성분의 방향에서 신장 비는 0.5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디커플링 구조체(17)의 상기 접속 방향(21)에서 종방향의 신장 대 이에 대해 직각으로 진행하는 횡방향 신장의 비는 0.7 보다 크거나 같고 1.5 보다 작거나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0.9 보다 크거나 같고 1.1, 특히 1.0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5.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접속 방향에서 종방향 성분으로 신장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도전성 로드(17a) 또는 상기 접속 방향(21)에서 근본적으로 신장하는 종방향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접속 방향(21)에서 종방향 성분으로 신장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17c)을 구비하고 반사기(7) 또는 상기 반사기 앞에서 거리를 두고 배치된 분리된 도전성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17a)는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1) 간의 직접 접속 라인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이와 동시에, 2개의 인접 디커플링 구조체(17, 17a)간에서 직접 접속 라인상에서 바람직하게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십자형 배열(17b, 17c, 17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서로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는 2개의 로드 또는 다수의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27)는 서로에 대해 직교하여 정렬되는 2개의 편파와 평행한 각 종방향의 신장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십자형 배열(17b) 형태의 디커플링 구조체(17)는 서로에 대해 십자형 방식으로 반사기 면(7)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교차부(29)에서 전도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배열은 반사기(7)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기(7)의 앞에 배치된 도전형 표면에 형성되는 십자형 슬롯 배열(17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반사기(7)에 대해 상이한 분리 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반사기 면으로부터의 거리는 수신 또는 전송될 전자기파의 1/2 파장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1)간의 직접 접속 라인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속 방향(21)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는 2개의 인접 방사 요소 모듈(1) 간의 직접 접속 라인에 직각인 중심 횡방향 면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커플링 구조체(17)의 십자형 배열(17b, 17c, 17d)의 상기 2개의 상호 수직인 성분은 수신 또는 전송될 2개의 선형 직교 편파의 2개의 상호 직교 편파 면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요소 배열(3)은 다이폴 방사 요소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요소 배열(3)은 패치 방사 요소 배열(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어레이.
KR10-1998-0701162A 1996-07-04 1997-06-05 안테나배열 KR10045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7015A DE19627015C2 (de) 1996-07-04 1996-07-04 Antennenfeld
DE19627015.4 1996-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83A KR19990037683A (ko) 1999-05-25
KR100454146B1 true KR100454146B1 (ko) 2005-01-24

Family

ID=779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62A KR100454146B1 (ko) 1996-07-04 1997-06-05 안테나배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5812A (ko)
EP (1) EP0848862B1 (ko)
KR (1) KR100454146B1 (ko)
CA (1) CA2228548C (ko)
DE (2) DE19627015C2 (ko)
ES (1) ES2175417T3 (ko)
WO (1) WO1998001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2983A (en) * 1997-05-14 1999-09-14 Andrew Corporation High isolation dual polarized antenna system using dipole radiating elements
DE19823749C2 (de) * 1998-05-27 2002-07-11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 Mehrbereichsantenne
DE19823750A1 (de) * 1998-05-27 1999-12-09 Kathrein Werke Kg Antennenarray mit mehreren vertikal übereinander angeordneten Primärstrahler-Modulen
DE19860121A1 (de) * 1998-12-23 2000-07-13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r Dipolstrahler
US6615026B1 (en) * 1999-02-01 2003-09-02 A. W. Technologies, Llc Portable telephone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 antenna
FI990395A (fi) 1999-02-24 2000-08-25 Nokia Networks Oy Laitteisto antennien keskinäisten häiriöiden vaimentamiseksi
US6512475B1 (en) * 1999-04-02 2003-01-28 Geophysical Survey Systems, Inc. High-frequency dual-channel ground-penetrating impulse antenna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identifying plastic pipes and rebar in concrete
DE19931907C2 (de) * 1999-07-08 2001-08-09 Kathrein Werke Kg Antenne
DK1227545T3 (da) * 1999-10-26 2003-10-27 Fractus Sa Interlacede flerbåndsantennearrangementer
US6356242B1 (en) * 2000-01-27 2002-03-12 George Ploussios Crossed bent monopole doublets
DE10012809A1 (de) 2000-03-16 2001-09-27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 Dipolantenne
US6774745B2 (en) * 2000-04-27 2004-08-1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Activation layer controlled variable impedance transmission line
US6452549B1 (en) 2000-05-02 2002-09-1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tacked, multi-band look-through antenna
US6429824B2 (en) * 2000-05-02 2002-08-0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Low profile, broadband, dual mode, modified notch antenna
US6690331B2 (en) 2000-05-24 2004-02-10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Beamforming quad meanderline loaded antenna
US6323814B1 (en) 2000-05-24 2001-11-2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Wideband meander line loaded antenna
AU2001275024A1 (en) 2000-05-31 2001-12-1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canning, circularly polarized varied impedance transmission line antenna
WO2001093369A1 (en) 2000-05-31 2001-12-0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Wideband meander line loaded antenna
AU2001276826A1 (en) 2000-06-14 2001-12-2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Narrowband/wideband dual mode antenna
US6300915B1 (en) * 2000-11-09 2001-10-09 Bae Systems Aerospace Inc. Advanced Systems Vertical array antennas for differential GPS ground stations
DE10064129B4 (de) * 2000-12-21 2006-04-20 Kathrein-Werke Kg Antenne, insbesondere Mobilfunkantenne
KR100403764B1 (ko) * 2000-12-28 2003-10-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편파 다이버시티 기법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안테나
FR2823017B1 (fr) * 2001-03-29 2005-05-20 Cit Alcatel Antenne multibande de telecommunications
MXPA03009485A (es) * 2001-04-16 2004-05-05 Fractus Sa Sistema de antenas doblemente polarizado y de banda doble.
DE10150150B4 (de) 2001-10-11 2006-10-05 Kathrein-Werke Kg Dualpolarisiertes Antennenarray
DE10203873A1 (de) * 2002-01-31 2003-08-14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 Strahleranordnung
US7405710B2 (en) * 2002-03-26 2008-07-29 Andrew Corporation Multiband dual polarized adjustable beamtilt base station antenna
US6674406B1 (en) * 2002-10-08 2004-01-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progressive slot loading
DE10316564B4 (de) * 2003-04-10 2006-03-09 Kathrein-Werke Kg Antenne mit zumindest einem Dipol oder einer dipolähnlichen Strahleranordnung
US6940465B2 (en) 2003-05-08 2005-09-06 Kathrein-Werke Kg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element
DE10359623A1 (de) * 2003-12-18 2005-07-21 Kathrein-Werke Kg Mobilfunk-Antennenanordnung für eine Basisstation
US7015871B2 (en) 2003-12-18 2006-03-21 Kathrein-Werke Kg Mobile radio antenna arrangement for a base station
US7132995B2 (en) 2003-12-18 2006-11-07 Kathrein-Werke Kg Antenna having at least one dipole or an antenna element arrangement similar to a dipole
US7027004B2 (en) 2003-12-18 2006-04-11 Kathrein-Werke Kg Omnidirectional broadband antenna
DE10359622A1 (de) * 2003-12-18 2005-07-21 Kathrein-Werke Kg Antenne mit zumindest einem Dipol oder einer dipolähnlichen Strahleranordnung
JP4169709B2 (ja) * 2004-02-16 2008-10-22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アレーアンテナ装置
DE602004012705T2 (de) * 2004-02-20 2008-07-17 Alcatel Lucent Dualpolarisiertes Antennenmodul
DE102004025904B4 (de) 2004-05-27 2007-04-05 Kathrein-Werke Kg Antenne
EP1784894A1 (en) * 2004-08-31 2007-05-16 Fractus, S.A. Slim multi-band antenna array for cellular base stations
US7148848B2 (en) * 2004-10-27 2006-12-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band, bent monopole antenna
DE102005005781A1 (de) * 2005-02-08 2006-08-10 Kathrein-Werke Kg Radom, insbesondere für Mobilfunkantennen sowie zugehörige Mobilfunkantenne
KR100725501B1 (ko) * 2005-08-19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파 측정장치
US7616168B2 (en) * 2005-08-26 2009-11-10 Andrew Ll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of a crossed dipole pair dual polarized antenna
US7358924B2 (en) 2005-10-07 2008-04-15 Kathrein-Werke Kg Feed network, and/or antenna having at least one antenna element and a feed network
ES2380580T3 (es) 2005-10-14 2012-05-16 Fractus S.A. Formación menuda de antenas de triple banda para estaciones base celulares
DE102006037518B3 (de) 2006-08-10 2008-03-06 Kathrein-Werke Kg Antennen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 Mobilfunk-Basisstation
DE102006037517A1 (de) 2006-08-10 2008-02-21 Kathrein-Werke Kg Antennen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 Mobilfunk-Basisstation
DE102006039279B4 (de) 2006-08-22 2013-10-10 Kathrein-Werke Kg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DE102007006559B3 (de) * 2007-02-09 2008-09-11 Kathrein-Werke Kg Mobilfunkantenne, insbesondere für eine Basisstation
WO2008148569A2 (en) * 2007-06-06 2008-12-11 Fractus, S.A.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 dual-band dual-polarized antenna assembly and dual-polarized antenna array
JP5294443B2 (ja) * 2007-06-21 2013-09-18 三星電子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
WO2010033004A2 (ko) * 2008-09-22 2010-03-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DE102008059268A1 (de) 2008-11-27 2009-11-19 Kathrein-Werke Kg Einrichtung zur Lageerkennung einer Antennenanordnung
US8838176B2 (en) * 2012-01-10 2014-09-16 Mediatek Inc. High gain antenna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TWI497832B (zh) * 2012-06-18 2015-08-21 Wistron Neweb Corp 去耦合電路及天線裝置
US9437935B2 (en) 2013-02-27 2016-09-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ual band antenna pair with high isolation
CN103715519B (zh) * 2013-06-09 2016-12-28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双极化阵列天线及其辐射单元
DE102013012305A1 (de) 2013-07-24 2015-01-29 Kathrein-Werke Kg Breitband-Antennenarray
KR101636828B1 (ko) * 2015-01-08 2016-07-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십자형 디커플러를 이용한 lte 펨토셀용 4-포트 mimo 안테나
WO2016132712A1 (ja) 2015-02-16 2016-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アレイ及び無線通信装置
DE102015002441A1 (de) 2015-02-26 2016-09-01 Kathrein-Werke Kg Radom sowie zugehörige Mobilfunkanten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Radoms oder der Mobilfunkantenne
US9799953B2 (en) 2015-03-26 2017-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enna isolation
DE102015007503A1 (de) 2015-06-11 2016-12-15 Kathrein-Werke Kg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DE102015007504B4 (de) 2015-06-11 2019-03-28 Kathrein Se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DE102015115892A1 (de) * 2015-09-21 2017-03-23 Kathrein-Werke Kg Dipolsockel
US10833401B2 (en) * 2015-11-25 2020-11-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Phased array antennas having decoupling units
US10148015B2 (en) 2016-03-14 2018-12-04 Kathrein-Werke Kg Dipole-shaped antenna element arrangement
DE102016104610A1 (de) 2016-03-14 2017-09-14 Kathrein-Werke Kg Mehrfachhalter für eine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und eine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mit einem solchen Mehrfachhalter
DE102016104611B4 (de) 2016-03-14 2020-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polförmige Strahleranordnung
DE102016112257A1 (de) 2016-07-05 2018-01-11 Kathrein-Werke Kg Antennenanordnung mit zumindest einer dipolförmigen Strahleranordnung
DE102016219163A1 (de) 2016-10-04 2018-04-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enn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US11145968B2 (en) 2017-03-29 2021-10-12 Nihon Dengyo Kosaku Co., Ltd. Array antenna and sector antenna
WO2018209577A1 (zh) * 2017-05-16 2018-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
DE102017116920A1 (de) 2017-06-09 2018-12-13 Kathrein Se Dual-polarisierter Kreuzdipol und Antennenanordnung mit zwei solchen dual-polarisierten Kreuzdipolen
CN107546489B (zh) * 2017-08-16 2020-12-15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消除耦合谐振的多频基站天线
CN111384595B (zh) * 2018-12-29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入多出天线及基站
WO2020190863A1 (en) 2019-03-21 2020-09-24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parasitic assemblies for improving cross-polarization discrimination performance
DE102019108901A1 (de) 2019-03-22 2020-09-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enanordnung für Mobilfunksysteme mit zumindest einem dual-polarisierten Kreuzdipol
CN110176671A (zh) * 2019-05-20 2019-08-27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阵列天线
DE202021003761U1 (de) 2020-03-24 2022-03-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isstationsantennen mit einem aktiven Antennenmodul und zugehörige Vorrichtungen
MX2022011745A (es) 2020-03-24 2022-10-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Elementos radiantes con pies de alimentacion en angulo y antenas de estacion base que incluyen las mismas.
US20230104131A1 (en) * 2020-04-28 2023-04-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reflector assemblies including a nonmetallic substrate having a metallic layer thereon
WO2022051906A1 (zh) * 2020-09-08 2022-03-17 摩比天线技术(深圳)有限公司 解耦元件以及天线
CN213753057U (zh) * 2020-12-31 2021-07-20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天线振子和天线
EP4040602A1 (en) * 2021-02-08 2022-08-10 Nokia Technologies Oy An array of patch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0876A (en) * 1967-06-29 1970-05-05 Itt Vertical beam steering antenna system
US3541559A (en) * 1968-04-10 1970-11-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Antenna for producing circular polarization over wide angles
DE7142601U (de) * 1971-11-11 1972-07-13 Rohde & Schwarz Richtstrahlfeld fuer zirkulare oder elliptische polarisation zum aufbau von rundstrahlantennen
GB2265258B (en) * 1992-03-11 1995-09-27 Siemens Plessey Electronic Antenna array incorporating a choke
DE4302905C1 (de) * 1993-02-02 1994-03-17 Kathrein Werke Kg Richtantenne, insbesondere Dipolantenne
GB9410994D0 (en) * 1994-06-01 1994-07-20 Alan Dick & Company Limited Antennae
SE503126C3 (sv) * 1994-12-12 1996-04-01 Teracom Components Ab Anordning vid antennsystem för att bryta högfrekventa elströmmar i den bärande konstrukt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1923A1 (de) 1998-01-15
US6025812A (en) 2000-02-15
EP0848862B1 (de) 2002-04-17
KR19990037683A (ko) 1999-05-25
DE59707037D1 (de) 2002-05-23
CA2228548C (en) 2003-01-14
DE19627015A1 (de) 1998-01-08
EP0848862A1 (de) 1998-06-24
DE19627015C2 (de) 2000-07-13
ES2175417T3 (es) 2002-11-16
CA2228548A1 (en) 199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146B1 (ko) 안테나배열
KR100466960B1 (ko) 이중 편파 다중대역 안테나
KR100797981B1 (ko) 안테나
US6339407B1 (en) Antenna array with several vertically superposed primary radiator modules
EP2346114B1 (en) Dual-frequency / polarization antenna for mobile-communications base station
AU755256B2 (en)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EP2062331B1 (en) Dual-band dual-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US6225950B1 (en) Polarization isolation in antennas
US7443356B2 (en) Antenna module
EP0965151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radio signals
US20040140942A1 (en) Dual-polarized radiating assembly
US6061032A (en) Device in antenna units
CN1254966A (zh) 双极化基站天线
KR101498161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KR101085887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EP2005522B1 (en) Broadband dual 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JP2003078339A (ja) 水平および垂直偏波共用アンテナ装置
CN116780170A (zh) 天线组件和基站天线
CN110462931A (zh) 阵列天线以及扇形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