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706B1 -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706B1
KR100453706B1 KR10-2003-0070820A KR20030070820A KR100453706B1 KR 100453706 B1 KR100453706 B1 KR 100453706B1 KR 20030070820 A KR20030070820 A KR 20030070820A KR 100453706 B1 KR100453706 B1 KR 10045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position
photosensitive agent
plating
produc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861A (ko
Inventor
임용학
백진욱
Original Assignee
임용학
백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학, 백진욱 filed Critical 임용학
Priority to KR10-2003-007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7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6Veined printings; Fluorescent printings; Stereoscopic images; Imitated patterns, e.g. tissues, texti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와 같은 전반적인 제조과정에 복수의 전착과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제품보다 그 표면이 돌출되어 보이는 이중적인 입체 표현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라운드 형성된 상품의 표면에 부착하여도 부분적으로 들뜨는 현상이 전혀 없도록 하고, 표현의 방식이 더 고급스러워 상품성이 높아 보일 수 있도록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스테인레스 판재 준비공정, 제1차 감광제 도포공정, 제1차 필름 부착공정, 제1차 노광공정, 제1차 현상공정, 제1차 건조공정, 제1차 전착공정, 제1차 도금공정, 문양가공공정, 제2차 도금공정,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제2차 건조공정,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 제2차 필름 부착공정, 제 2차 노광공정, 제2차 현상공정, 산화막 제거공정, 제2차 전착공정, 제3차 도금공정,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제3차 건조공정, 표면테이프 부착공정, 제품박리공정, 접착제 도포공정, 접착제 압착공정, 형상정리공정, 이형지 부착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Description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ELECTRODEPOSITION PRINTING METHODE FOR METAL STICKER}
본 발명은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전착화상 제품(Metal Sticker)에 비하여 경량화 시키면서 입체감을 주어 신미감을 높이고, 특히 라운드 부분에도 접착성이 우수하도록 옮겨 붙이는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사를 이용한 전착화상제품이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표면에 붙이는 금속제 상품 라벨이나 시계의 낱문자 등을 말한다.
이러한 전착화상제품은 도 3으로부터 도 13의 공정과 도 24내지 도 30의 공정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800메쉬의 브러시로 표면을 정렬하는 스테인레스 판재의 준비공정, 그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 위에 감광드라이어 필름 또는 감광제를 도포하는 감광제 도포공정, 감광제 위에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 형상모양의 그림이 그려진 필름을 얹는 필름 부착공정, 필름 위로 적정한 노출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1차 노광공정,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현상공정을 먼저 거친다.
이어서 현상된 표면의 수분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감광막의 밀착성으로 좋게하는 건조공정, 건조된 표면에 있어서 감광제막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니켈 또는 동니켈로써 전착하는 전착공정, 그 다음으로 전착된 상기의 니켈 표면에 니켈성분으로 무광 또는 유광 도금을 실시하는 도금공정, 도금공정이 끝난 상태에서 니켈 표면에 각종 패턴 모양을 형성하는 문양가공공정을 거친다.
그리고 문양가공공정이 끝나면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최초의 감광제를 제거하는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을 차례로 거치고, 이어서 전체적으로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표면에 보호테이프를 붙이는 테이핑공정, 스테인레스 판재로부터 제품을 박리시키는 박리공정, 박리된 제품의 이면에 본드를 도포하는 본딩공정을 거친다.
또 한, 본딩공정을 마친 후, 붙인 이면지와 표면 보호테이프의 사이에 개입된 제품을 눌러서 접착상태를 좋게하는 로울러 압착공정,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추출공정을 거친 후 이형지를 붙이면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제품의 따로 떨어진 여러개의 조각으로 되어 있을 경우, 여러개의 조각들이 일률적으로 잘 붙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으로터 이형지를 떼어 내고 떼어낸 본딩 부분을 상품의 표면에 붙인 후, 다시 표면 테이프를 떼어 내는 과정에서 접착상태가 강하다든지 약할 때 부분적으로 떨어지거나 잘 붙지 않을 수가 있다.
둘째, 상품의 표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곳에 제품을 붙일 때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잘 붙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글자 하나 하나 또는 도형 하나 하나의 끝자락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들떠올라 상품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셋째, 단순히 1차원적인 표현의 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입체감이 있는 양각상태의 도형이나 문자를 제공할 수 없으며, 그 외에 이중적인 색상 처리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와 같은 전반적인 제조과정에 복수의 전착과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제품보다 그 표면이 돌출되어 보이는 이중적인 입체 표현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라운드 형성된 상품의 표면에 부착하여도 부분적으로 들뜨는 현상이 전혀 없도록 하고, 표현의 방식이 더 고급스러워 상품성이 높아 보일 수 있도록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착화상제품을 보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착화상제품을 보인 입체 구성도
도 3은 스테인레스 판재 준비과정도
도 4는 제1차 감광제 도포공정도
도 5는 제1차 필름 부착공정
도 6은 제1차 노광공정도
도 7은 제1차 현상공정도
도 8은 제1차 건조공정도
도 9는 제1차 전착공정도
도 10은 제1차 도금공정도
도 11은 문양가공공정도
도 12는 제2차 도금공정도
도 13은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도
도 14는 제2차 건조공정도
도 15는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도
도 16은 제2차 필름 부착공정도
도 17은 제2차 노광공정도
도 18은 제2차 현상공정도
도 19는 산화막 제거공정도
도 20은 스트라이크 가공공정도
도 21은 제2차 전착공정도
도 22는 제3차 도금공정도
도 23은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도
도 24는 제3차 건조공정도
도 25는 표면테이프 부착공정도
도 26은 제품박리공정도
도 27은 접착제 도포공정도
도 28은 접착제 압착공정도
도 29는 형상정리공정도
도 30은 이형지 부착공정도
상기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을 800메쉬의 브러시로 표면을 정렬하여 준비하는 스테인레스 판재 준비공정, 상기 판재 준비공정에서 준비된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 위에 감광드라이어 필름 또는 감광제를 도포하는 감광제 도포공정, 상기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도포된 감광제 위에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 형상모양의 그림이 그려진 필름을 얹는 필름 부착공정, 상기 필름 부착공정에서 붙인 필름 위로 적정한 노출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노광공정, 상기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현상공정, 상기 현상공정을 통해 현상된 표면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감광막의 밀착성을 좋게하기 위한 제1차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마쳐 건조시킨 표면에 있어서 감광제막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전착금속으로써 전착하는 전착공정, 상기 전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된 상기의 전착금속 표면에 도금금속 성분으로 무광 또는 유광의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차 도금공정, 상기 도금공정을 마친 후, 도금층 표면에 각종 패턴 모양을 형성하는 문양가공공정, 상기 문양가공공정에서 문양가공이 끝난 상태에서 금, 크롬 등의 또 다른 2차 도금금속으로 2차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차 도금공정, 상기 제2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최초의 감광제를 제거하는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상기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차 건조공정, 상기 제2차 건조공정을 거친 상태의 스테인레스 판재와 제1차 전착제품 위에 또 다시 감광제를 도포하는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 상기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제1차 전착도형에 맞게 제조된 제2차 필름을 제1차 전착도형에 맞추어 셋팅하는 제2차 필름 부착공정, 상기 제2차 필름 부착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차 노광공정,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제2차 현상공정, 상기 제2차 현상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의 금속표면을 활성화 시켜 금속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막 제거공정, 상기 산화막 제거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 위로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금속재를 전착하는 제2차 전착공정, 상기 제2차 전착공정을 거친 후, 그 전착된 표면 위로금, 크롬 등의 또 다른 도금금속으로 3차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3차 도금공정, 상기 제3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감광제들을 제거하는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상기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3차 건조공정, 상기 제3차 건조공정이 끝난 후, 전착층의 위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테이프를 접착시키는 표면테이프 부착공정, 상기 표면테이프 부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층 바닥을 최초의 스테인레스 판재로부터 떼어 내는 제품박리공정, 상기 제품박리공정을 거친 후, 스테인레스 판재가 붙어 있던 이면에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접착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고무 로울러로 접착제 도포층을 압착하는 접착제 압착공정, 상기 접착제 압착공정을 거친 후,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을 떼어내는 형상정리공정, 상기 형상정리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접착제 도포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이형지 부착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완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상품 라벨을 보인 입체 구성도이고, 도 3내지 도 30은 도 2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전사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도 3내지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판재 준비공정, 제1차 감광제 도포공정, 제1차 필름 부착공정, 제1차 노광공정, 제1차 현상공정,제1차 건조공정, 제1차 전착공정, 제1차 도금공정, 문양가공공정, 제2차 도금공정,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제2차 건조공정,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 제2차 필름 부착공정, 제 2차 노광공정, 제2차 현상공정, 산화막 제거공정, 제2차 전착공정, 제3차 도금공정,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제3차 건조공정, 표면테이프 부착공정, 제품박리공정, 접착제 도포공정, 접착제 압착공정, 형상정리공정, 이형지 부착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완성하는 바, 특히 제2차 전착을 위한 도 15로부터 도 24의 전착공정이 중요하다.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판재 준비공정에서는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을 800메쉬의 브러시로 표면을 정렬하여 준비하는 공정이다.
이때의 스테인레스 판재 크기는 전착화상을 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와 수량에 연관이 있는 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상품용 라벨의 경우 약 400mm×420mm의 크기가 적당하며, 수세미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에 접촉시켜 가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 감광제 도포공정에서는 상기의 스테인레스 판재 위에 자외선 반응막인 감광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서, 감광제는 감광유제를 바를 수도 있고, 필름형태의 감광 드라이어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 필름 부착공정에서는 상기 감광제 도포층 위에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 형상모양의 그림이 그려진 전사 필름을 얹는 것이다.
이어서 제1차 노광공정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필름 부착공정에서 붙인 필름 위로 적정한 노출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차 현상공정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제1차 건조공정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현상공정을 통해 현상된 표면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감광막의 밀착성을 좋게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1차 전착공정에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정을 마쳐 건조시킨 표면에 있어서 감광제막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전착금속으로써 전착하는 것이며, 이때의 전착 두께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상품용 라벨의 경우 0.04 ~ 0.07mm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제1차 도금공정에서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된 상기의 전착금속 표면에 도금금속 성분으로 무광 또는 유광의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전착 두께는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은 상품용 라벨의 경우 0.01 ~ 0.02mm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문양가공공정에서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금공정을 마친 후, 그 도금층 표면에 각종 패턴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의 문양가공방법은 문양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로울러를 상기 도금층의 표면으로 굴려 가공한다.
다음으로 제2차 도금공정에서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문양가공공정에서 문양가공이 끝난 상태에서 금, 크롬 등의 또 다른 2차 도금금속으로 2차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패턴 박리공정에서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최초의 감광제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제2차 건조공정에서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것이다.
다음의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에서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건조공정을 거친 상태의 스테인레스 판재와 제1차 전착제품 위에 또 다시 감광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2차 필름 부착공정에서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제1차 전착도형에 맞게 제조된 제2차 필름을 제1차 전착도형에 맞추어 셋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차 노광공정에서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필름 부착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며, 제1차 노광공정과 대동소이하다.
다음으로 제2차 현상공정에서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산화막 제거공정에서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현상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의 금속표면을 활성화 시켜 금속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산화막 제거공정의 다음에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 가공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제1차 전착층 및 제2차 전착층의 전기적인 밀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차 전착층의 표면을 긁어 부풀어 오르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차 전착공정에서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산화막 제거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 위로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금속재를 전착하는 것이며, 이때의 전착 두께는 0.02mm ~ 0.04mm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제3차 도금공정에서는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전착공정을 거친 후, 그 전착된 표면 위로 금, 크롬 등의 또 다른 도금금속으로 3차 도금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패턴 박리공정에서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감광제들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3차 건조공정에서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것이다.
이어서 표면테이프 부착공정에서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차 건조공정이 끝난 후, 전착층의 위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테이프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품박리공정에서는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테이프 부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층 바닥을 최초의 스테인레스 판재로부터 떼어 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접착제 도포공정에서는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품박리공정을 거친 후, 스테인레스 판재가 붙어 있던 이면에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도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접착제 압착공정에서는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접착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고무 로울러로 접착제 도포층을 압착하는 것이다.
이어서, 형상정리공정에서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 압착공정을 거친 후,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을 떼어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형지부착공정에서는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형상정리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접착제 도포층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착화상제품은 전반적인 제조과정에 복수의 전착과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2차 전착과정의 직전에 제1차 전착과정의 니켈 전착층과 긴밀하게 전기접착될 수 있도록 스트라이크 가공공정을 추가 하였기 때문에 제2차 전착과정의 실현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전착화상제품 보다 그 표면이 돌출되어 보이는 이중적인 입체 표현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중적인 입체표현의 제품은 둥글게 만곡진 부분의 표면에 부착하여도 부분적으로 들뜨는 현상이 전혀 없는 것이며, 더 고급스러워 상품성을 높일 수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을 800메쉬의 브러시로 표면을 정렬하여 준비하는 스테인레스 판재 준비공정,
    상기 판재 준비공정에서 준비된 스테인레스 판재의 표면 위에 감광드라이어 필름 또는 감광제를 도포하는 제1차 감광제 도포공정,
    상기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도포된 감광제 위에 제조하고자 하는 특정 형상모양의 그림이 그려진 필름을 얹는 제1차 필름 부착공정,
    상기 필름 부착공정에서 붙인 필름 위로 적정한 노출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차 노광공정,
    상기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제1차 현상공정,
    상기 현상공정을 통해 현상된 표면을 열풍으로 건조시켜 감광막의 밀착성을 좋게하기 위한 제1차 건조공정,
    상기 건조공정을 마쳐 건조시킨 표면에 있어서 감광제막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전착금속으로써 전착하는 제1차 전착공정,
    상기 전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된 상기의 전착금속 표면에 도금금속 성분으로 무광 또는 유광의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차 도금공정,
    상기 도금공정을 마친 후, 도금층 표면에 각종 패턴 모양을 형성하는 문양가공공정,
    상기 문양가공공정에서 문양가공이 끝난 상태에서 금, 크롬 등의 또 다른 2차 도금금속으로 2차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차 도금공정,
    상기 제2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최초의 감광제를 제거하는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상기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차 건조공정,
    상기 제2차 건조공정을 거친 상태의 스테인레스 판재와 제1차 전착제품 위에 또 다시 감광제를 도포하는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
    상기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제1차 전착도형에 맞게 제조된 제2차 필름을 제1차 전착도형에 맞추어 셋팅하는 제2차 필름 부착공정,
    상기 제2차 필름 부착공정을 거친 후, 그 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 2차 노광공정,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제2차 노광공정의 노광으로 인해서 자외선에 조사된 부분의 감광제는 그대로 있고,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감광제가 제거되도록 하는 제2차 현상공정,
    상기 제2차 현상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의 금속표면을 활성화 시켜 금속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막 제거공정,
    상기 산화막 제거공정을 거친 후, 제1차 전착도형부분 위로 니켈 또는 동니켈 등의 금속재를 전착하는 제2차 전착공정,
    상기 제2차 전착공정을 거친 후, 그 전착된 표면 위로 금, 크롬 등의 또 다른 도금금속으로 3차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3차 도금공정,
    상기 제3차 도금공정을 거친 후, 제2차 감광제 도포공정에서 형성된 감광제들을 제거하는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상기 제2차 감광제 패턴 박리공정 후, 일정시간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3차 건조공정,
    상기 제3차 건조공정이 끝난 후, 전착층의 위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테이프를 접착시키는 표면테이프 부착공정,
    상기 표면테이프 부착공정을 거친 후, 전착층 바닥을 최초의 스테인레스 판재로부터 떼어 내는 제품박리공정,
    상기 제품박리공정을 거친 후, 스테인레스 판재가 붙어 있던 이면에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공정,
    상기 접착제 도포공정을 거친 후, 그 접착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고무 로울러로 접착제 도포층을 압착하는 접착제 압착공정,
    상기 접착제 압착공정을 거친 후,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을 떼어내는 형상정리공정,
    상기 형상정리공정을 거친 후, 상기 접착제 도포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이형지 부착공정을 차례로 거쳐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산화막 제거공정과 제2차 전착공정의 사이에 제1차 전착층 및 제2차 전착층의 전기적인 밀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차 전착층의 표면을 긁어 가공하는 스트라이크 가공공정을 추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KR10-2003-0070820A 2003-10-11 2003-10-11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KR10045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20A KR100453706B1 (ko) 2003-10-11 2003-10-11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20A KR100453706B1 (ko) 2003-10-11 2003-10-11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861A KR20040062861A (ko) 2004-07-09
KR100453706B1 true KR100453706B1 (ko) 2004-10-21

Family

ID=3735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20A KR100453706B1 (ko) 2003-10-11 2003-10-11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7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861A (ko)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61A (zh) 凹凸图案复制用的模片与凹凸图案的复制方法
JP4696533B2 (ja) 装飾部品、装飾部品の製造方法、シート状シール、時計、および被装飾部品
EP0188051B1 (en) Transfer sheet
GB2126529A (en) Forming and applying indicia
KR100453706B1 (ko) 복층의 전착화상을 갖는 전착화상제품의 전사제조방법
KR100630315B1 (ko) 모양부착금속박편 및 그 제조방법
GB203077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KR101903473B1 (ko) 금속 플라스틱 카드의 제조방법
KR101289806B1 (ko) 메탈 스티커 제조방법
JPH0142840B2 (ko)
KR0133994B1 (ko) 전착화상의 형성 방법
JP2005349575A (ja) 装飾用シール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装飾用シール
JP4475737B2 (ja) 立体電鋳品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立体電鋳品シート
JPH01145187A (ja) 金属箔の転写方法とその方法に用いる転写用シ−ト
JPH0350719B2 (ko)
KR102155729B1 (ko) 로터리 스크린의 제조 방법
JPS61254385A (ja) 裏面転写用部分蒸着転写箔の製造方法
JPH10254365A (ja) 電鋳銘板
JP6695678B2 (ja)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用凹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37897A (ja) カ−ドの製造方法
JP2007023341A (ja) 装飾部品、装飾部品の製造方法、時計、および被装飾部品
JP2003247093A (ja) 表示用部材、表示用部材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28282A (ja) 立体感を有する部分メタリツク転写材及びその製造法
JPH0573226B2 (ko)
CN116100984A (zh) 一种金属骨灰盒表面的立体装饰层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