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737B1 -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 Google Patents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737B1
KR100452737B1 KR10-2001-0082826A KR20010082826A KR100452737B1 KR 100452737 B1 KR100452737 B1 KR 100452737B1 KR 20010082826 A KR20010082826 A KR 20010082826A KR 100452737 B1 KR100452737 B1 KR 10045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urrent
output
current mirror
mirr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379A (ko
Inventor
니시토바시게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5Current mirrors using bipolar tran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정전류구동장치를 구성하는 복수개 구동회로들의 각각은 제1전류거울회로 및 제2전류거울회로로써 구성된다. 제1전류거울회로는 각각이 기준전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출력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 간에는 출력전류의 변동이 감소된다.

Description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Driving circuit and constant current dr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류거울회로를 갖는 구동회로가 부하를 정전류(constant current)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구동회로의 예를 보여준다. 이 구동회로는 전류거울(current mirror)회로 및 기준전류설정저항기(R)로 구성된다.
전류거울회로는 복수개의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을 구비한다. 이 전류거울회로에서, 전원단자 및 개개의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은 도 1에 보여진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요컨대, PNP트랜지스터(Tr0)는 전원단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되고, PNP트랜지스터(Trn)는 전원단자에 가장 먼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복수개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의 베이스들은 서로 연결된다. 그 이미터들은 공통전원선을 통해 전원단자에 공통접속되고, PNP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의 콜렉터들은 출력단자들(O1내지 On)에 각각 연결된다. 이 전류거울회로의 제1단(stage)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는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이른바 다이오드커플링(diode coupling)이 이루어진다.
이 전류거울회로에서,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의 전류가 PNP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의 콜렉터들의 각각을 통해 흘러,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전류들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독립전위로 설정된 부하가 전류구동된다. 제1단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는 기준전류설정저항기(R)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이 기준전류설정저항기(R)는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기준전류(Iref)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준전류설정저항기(R)의 값의 적절한 선택은 소망의 값을 갖는 전류가 출력단자들(O1내지 On)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정전류값을 필요로 하는 부하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 종래의 구동회로는, 예를 들면 하나의 반도체집적회로(IC)로서 구성된다.
최근에, 정전류구동을 요하는 부하로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이후, "LED"라 함)을 배열함으로써 구성된 LED표시패널, 유기화합물의전기발광(electroluminescence; 이후, "EL"이라 함)현상을 이용하는 복수개의 유기EL소자들을 배열함으로써 구성된 유기EL표시패널 등이 있다.
그러한 표시패널들에서, 다수의 LED들 및 다수의 유기EL소자들이 발광소자들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전류구동장치는 하나의 구동회로(IC)만으로 구성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들은 복수개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복수개 블록들은 복수개의 구동회로들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이 경우, 각 구동회로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에 불규칙한 성분이 있는 경우, 그 불규칙성은 발광소자의 발광량에 변동이 유발되게 한다. 그 결과, 표시패널에서 불규칙적인 표시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각 구동회로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각 구동회로에 설치된 기준전류설정저항기(R)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기준전류가 일정하게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동회로는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전류거울회로의 입력전류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구동회로들이 표시패널을 정전류로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구동회로들의 기준전류들의 변동을 줄이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293245호는 "정전류구동장치 및 정전류구동반도체집적회로"를 개시한다. 이 정전류구동장치에서는, 복수개의 정전류구동IC들이 EL표시패널의 유기EL소자를 정전류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전류구동회로 및 제어회로는 정전류구동IC들의 각각에 들어있다. 기준전류발생회로가 정전류구동IC들의 각각에 내장된다. 기준저항기에 기초하여 발생된 기준출력전류는 기준단자로부터 출력된다. 기준전류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된 기준출력전류는 각 정전류구동기 IC의 기준전류입력단자로 입력된다. 동일한 전류값을 갖는 구동전류들이 출력단자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출력된다. 구동전류는 각 제어회로에 의해 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된다.
이 구성으로 인해 복수개의 정전류구동기 IC들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부하들이 정전류구동기 IC들 간의 출력전류의 작은 변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출력단자들을 갖는 전류거울회로에 의해 구성된 구동회로의 경우, 전류거울회로의 공통전원선의 임피던스는 출력단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류비에 편차가 생기게 한다. 도 2는 전류거울회로에서의 전류비의 편차 및 배선저항값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전류거울회로의 배선저항값이 증가할수록, 즉, 셀(트랜지스터)의 위치가 전원단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수록, 전류비의 편차는 크게 된다. 그 결과, 전원단자에 가까이 위치된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의 밝기와 전원단자로부터 멀리 위치된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의 밝기간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3a에 보인 것처럼, 네 개의 구동회로들이 표시패널의 발광소자들을 구동하는 경우, 구동회로들의 각각의 출력전류는, 도 3b의 실선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 구동회로들이 전원단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수록 감소된다. 이는, 도 3b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회로의 끝 쪽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전류와 그 구동회로에 인접한 구동회로의 처음 쪽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전류간에 큰 차이가 있게 한다. 이는 하나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 및 그것에 인접한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된 발광소자간의 경계에서 분명한 밝기차이가 있게 한다. 그래서, 화질이 극히 떨어진다.
도 3b에서의 점선은 기준전류의 변동을 나타내며, 이 변동은 구동회로의 생산공정에 의해 야기된 전기적 특성의 변동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이 문제가 기준전류설정저항기(R)의 값을 적당히 선택하여 기준전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논리적으로는 해결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전류에서의 변동을 작은 값이 되도록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2의 특성라인의 기울기를 낮추기 위해, 공통전원선의 임피던스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통전원선의 폭을 더 넓게 만들거나 복수개의 전원단자들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전류거울회로의 기준전류의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트리밍(trimming) 등을 수행하거나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반도체집적회로를 웨이퍼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일들은 구동회로가 반도체집적회로로써 구성되는 경우 비용증가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간의 출력전류에서의 변동이 억제되어 작아질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전류거울회로를 사용하는 종래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보인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보인 구동회로를 사용하는 정전류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를 사용하는 정전류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를 사용하는 정전류구동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설명도들,도 6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를 사용하는 정전류구동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설명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8은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9는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12는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13은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참조번호들 및 기호들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참조번호들 및 기호들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와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재간의 관계가 분명하도록 하기 위해 부가된다. 그러나,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발명들 기술적인 범위들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참조번호들 및 기호들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와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를 포함한다. 제1전류거울회로는 각 출력전류가 기준전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출력한다. 제2전류거울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의 최종단으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의 극성을 바꾸고(극성반전하고)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출력한다.
이 구동회로는 전류배출(current discharging)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는, 기준전류가 공급되는 기준전류입력단자(12),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단자(11), 기준전류입력단자(12) 및 전원단자(11)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결정하는 제1회로(Tr0), 전원단자(11)로부터 연장되는 공통전원선(16),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 공통전원선 및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 사이에 마련되어 제1회로(Tr0)에 의해 결정된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 중의 하나를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을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의 최종단으로서, 복수개의 제2회로들(Tr1내지 Trn)의 다음 단에 마련되어 제1회로(Tr0)에 의해 결정된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3회로(Trn+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제3회로(Trn+1)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의 극성을 바꾸고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기준전류출력단자(13)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실제로,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에 포함된 제1회로(Tr0),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3회로(Trn+1)가 PNP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NPN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 경우, 제1회로(Tr0) 및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중의 적어도 하나가 베이스전류보상회로(Trx및/또는 Try)를 가지도록 구동회로가 구성될 것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에 포함된 제1회로(Tr0),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3회로(Trn+1)가 P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N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전류배출형 구동회로의 전원단자(11)는 공통전원선(16)의 중앙으로부터 빼 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전원단자는 공통전원선(16)의 복수개의 위치들로부터 빼 내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회로는 전류흡입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는, 기준전류가 공급되는 기준전류입력단자(12), 접지에 연결된 접지단자(14), 기준전류입력단자(12) 및 접지단자(14)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결정하는 제1회로(Tr0), 접지단자(14)로부터 연장된 공통접지선(17),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 공통접지선(17) 및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 사이에 마련되어 제1회로(Tr0)에 의해 결정된 복수개의 출력전류들 중의 하나를 복수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을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의 최종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제2회로들(Tr1내지 Trn)의 다음 단에 마련되어 제1회로에 의해 결정된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3회로(Trn+1)를 포함한다.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제3회로(Trn+1)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의 상기 극성을 바꾸고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기준전류출력단자(13)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에 포함된 제1회로(Tr0),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3회로(Trn+1)가 NPN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PNP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로(Tr0) 및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중의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Trx및/또는 Try)를 가지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에 포함된 제1회로(Tr0), 제2회로들(Tr1내지 Trn) 및 제3회로(Trn+1)가 N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는 P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류흡입형 구동회로의 접지단자(14)는 공통접지선(17)의 중앙에서부터 빼 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단자(14)는 공통접지선(17)의 복수개의 위치들로부터 빼 내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정전류구동장치는 단자들(12 및 13)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구동회로들(11내지 1n)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동회로는, 각 출력전류가 기준전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출력하는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제1전류거울회로(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의 최종단으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의 극성을 바꾸어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2전류거울회로(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회로 및 정전류구동장치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출력단자로부터 전류를 배출하는 전류배출형 전류거울회로가 이극(bipolar)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구성되도록 설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와 제2전류거울회로(20)로 구성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는 전원단자(11), 기준전류입력단자(12) 및 출력단자들(O1내지 On, "n"은 2이상인 정수)을 가진다. 이 제1전류거울회로(10)는 기준전류입력단자(12)에 공급되는 입력전류(Iref)에 대응하는 출력전류들을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한다. 또, 제1전류거울회로(10)로부터의 출력전류들 중의 하나는 제2전류거울회로(20)에 공급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는 제1전류거울회로(10)로부터의 출력전류의 극성을 변환한 후, 그것을 기준전류출력단자(13)로부터 출력한다. 접지단자(14)가 제2전류거울회로(20)에 구비된다.
도 5는 전술한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1전류거울회로(10)는 복수개의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을 구비한다. PNP트랜지스터(Tr0)는 본 발명의 제1회로에 해당하며, 복수개의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은 본 발명의 복수개의 제2회로들에 해당하고, PNP트랜지스터(Trn+1)는 본 발명의 제3회로에 해당한다.
제1전류거울회로(10)에서, 전원단자(11)와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은 도 5에 보인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요컨대, PNP트랜지스터(Tr0)는 전원단자(1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되고, PNP트랜지스터(Trn+1)는 전원단자(11)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의 개개의 베이스들은 서로 연결된다. 이미터들은, 전원단자(11)로부터 연장되게 위치된 공통전원선(16)을 통해 서로 공통접속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의 제1단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는 그것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른바 다이오드커플링이 이루어진다.
마지막단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Trn+1)의 콜렉터는 제2전류거울회로(20)에 연결된다. 중간의 단들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의 콜렉터들은 출력단자들(O1내지 On)에 각각 연결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는 NPN트랜지스터들(Tra및 Trb)로 구성된다. NPN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는 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이른바 다이오드커플링이 이루어진다. NPN트랜지스터(Tra)의 이미터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또, NPN트랜지스터(Trb)의 베이스는 NPN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그 콜렉터는 기준전류출력단자(13)에 연결되고, 그 이미터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NPN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가 NPN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른다. 이 경우, NPN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NPN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NPN트랜지스터(Trb)가 전류를 빨아들이도록 기능하므로, PNP트랜지스터(Trn+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극성은 바뀌어 그 극성이 반전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구동회로들을 N개("N"은 2이상인 정수) 연결하여 구성된 정전류구동장치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N개의 구동회로들이 직렬로 연결된 정전류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1단에 배치된 제1구동회로(11)의 기준전류입력단자(12)는 기준전류설정저항기(R)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기준전류설정저항기(R)는 제1구동회로(11)의 제1전류거울회로(10)에 들어있는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기준전류(Iref)를 결정한다. 따라서, 기준전류설정저항기(R)의 저항값의 적절한 선택은 소망의 값을 갖는 출력전류가 제1구동회로(11)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얻어질 수 있게 한다.
제1구동회로(11)의 기준전류출력단자(13)는 다음 단에 배치된 제2구동회로(12)의 기준전류입력단자(12)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개개의 구동회로들은 직렬로 연결된다. 최종단에 배치된 N번째 구동회로(1N)의 기준전류출력단자(13)는 연결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정전류구동장치에서, 제1구동회로(11)의 출력단자(On)로부터 배출된 전류의 값은 제1구동회로(11)의 기준전류출력단자(13)로부터 빨아들여진 전류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구동회로(12)의 기준전류입력단자(12)로부터 배출된 전류의 값은 제2구동회로(12)의 출력단자(O1)로부터 배출된 전류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구동회로(11)의 출력단자(On)로부터 배출된 출력전류의 값은 제2구동회로(12)의 출력단자(O1)로부터 배출된 출력전류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결과, 제1구동회로(11) 및 제2구동회로(12)간의 경계에서의 출력전류들의 값들은 도 6b에 보인 것처럼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동일성은 다른 구동회로들에서도 유사하다. 즉,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간의 경계에서의 출력전류들의 값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 및 그것에 인접한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다른 발광소자간의 경계에서의 실질적인 밝기차는 없다. 그래서, 고 품질의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1및 제2전류거울회로들의 각각에 추가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에서, 제1전류거울회로(10a)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로서 소용되는 PNP트랜지스터(Trx)가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1전류거울회로(10)에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PNP트랜지스터(Trx)의 베이스는 PNP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그 이미터는 PNP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구동회로에서는, 전류증폭율(Hfe)이 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류는 콜렉터전류보다 충분히 작다. 따라서, 식 "기준전류(Iref) = 콜렉터전류(Ic)"는 베이스전류를 무시하고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전류가 무시될 수 없다면, 콜렉터전류(Ic)는 PNP트랜지스터(Trx)에 의해 구성된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추가하여 기준전류(Iref)에 더 가깝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 제2전류거울회로(20a)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로서 소용되는 NPN트랜지스터(Try)가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2전류거울회로(20)에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NPN트랜지스터(Try)의 베이스는 NPN트랜지스터(Tra)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그이미터는 NPN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제2전원단자(15)에 연결된다. NPN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전류를 보상하기에 적합한 전원이 제2전원단자(15)에 가해진다.
NPN트랜지스터(Try)로써 구성된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추가하는 것은 베이스전류가 무시될 수 없는 경우에도 NPN트랜지스터(Tra)의 콜렉터전류(Ic)가 기준전류(Iref)에 더 가깝게 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에 따르면, 기준전류입력단자(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와 높은 정확도로 일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전류거울회로(10a)의 최종단에 배치된 PNP트랜지스터(Trn+1)의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기준전류출력단자(13)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높은 정확도로 일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전류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는 제1전류거울회로(10a) 및 제2전류거울회로(20a)의 각각에 베이스전류보상회로가 설치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도 8에 보인 것처럼, 베이스전류보상회로는 제2전류거울회로(20a)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도 9에 보인 것처럼, 베이스전류보상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a)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출력단자로부터의 전류를 빨아들이는 전류흡입형 전류거울회로가 이극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구성되도록 설계된다.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유사한 참조기호들을 부여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b)와 제2전류거울회로(20b)로 구성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b)는 복수개의 NPN트랜지스터들(Tr0및 Trn+1)을 구비한다. NPN트랜지스터(Tr0)는 이 발명의 제1회로에 해당하며, 복수개의 NPN트랜지스터들(Tr1및 Trn)은 이 발명의 복수개의 제2회로들에 해당하고, NPN트랜지스터(Trn+1)는 이 발명의 제3회로에 해당한다.
제1전류거울회로(10b)에서, 접지단자(14)와 NPN트랜지스터들(Tr0및 Trn+1)은 도 10에 보인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요컨대, NPN트랜지스터(Tr0)는 접지단자(14)에 물리적으로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NPN트랜지스터(Trn+1)는 물리적으로 접지단자(14)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NPN트랜지스터들(Tr0및 Trn+1)의 개개의 베이스들은 서로 연결된다. 그 트랜지스터들의 이미터들은 접지단자(14)로부터 연장되게 위치된 공통접지선(17)을 통해 서로 공통접속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b)의 제1단에 배치된 NPN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는 그것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른바 다이오드커플링이 이루어진다.
최종단에 배치된 트랜지스터(Trn+1)의 콜렉터는 제2전류거울회로(20b)에 연결된다. NPN트랜지스터들(Tr1및 Trn)의 콜렉터들은 출력단자들(O1내지 On)에 각각 연결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b)는 PNP트랜지스터들(Tra및 Trb)을 구비한다. PNP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는 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이른바 다이오드커플링이 이루어진다. PNP트랜지스터(Tra)의 이미터는 전원단자(11)에 연결된다. 또, PNP트랜지스터(Trb)의 베이스는 PNP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그것의 콜렉터는 기준전류출력단자(13)에 연결되고, 그 이미터는 전원단자(11)에 연결된다.
PNP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가 PNP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른다. 이 경우, PNP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PNP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PNP트랜지스터(Trb)는 전류를 배출하기 위한 기능을 하므로, NPN트랜지스터(Trn+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극성은 그 극성이 반전되도록 바뀐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구동회로의 동작은, PNP트랜지스터들 및 NPN트랜지스터들이 서로 바뀌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동회로에 따르면, 전류배출형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구동회로들을 사용하여 구성된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 및 그것에 인접한 다른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간의 경계에서의 실질적인 밝기차는 없다. 그래서, 높은 품질을 갖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가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 내의 제1 및 제2전류거울회로들의 각각에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에서, 제1전류거울회로(10c)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로서 소용되는 NPN트랜지스터(Trx)가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 제1전류거울회로(10c)에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NPN트랜지스터(Trx)의 베이스는 NPN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그 이미터는 NPN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제2전원단자(15)에 연결된다. NPN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전류를 보상하기에 적합한 전원이 제2전원단자(15)에 가해진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구동회로에서, 큰 Hfe를 갖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류는 콜렉터전류보다 충분히 작다. 따라서, 식 "기준전류(Iref) = 콜렉터전류(Ic)"는 베이스전류를 무시하고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전류가 무시될 수 없는 경우, NPN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전류(Ic)는 NPN트랜지스터(Trx)로써 구성된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추가함으로써 기준전류(Iref)에 더 가깝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 제2전류거울회로(20c)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로서 소용되는 PNP트랜지스터(Try)가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2전류거울회로(20b)에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PNP트랜지스터(Try)의 베이스는 PNP트랜지스터(Tra)의 콜렉터에 연결되며, 그 이미터는 PNP트랜지스터(Tra)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PNP트랜지스터(Try)로써 구성된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전류가 무시될 수 없는 경우에도, 콜렉터전류(Ic)는 기준전류(Iref)에 더 가깝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동회로에 따르면, 기준전류입력단자(1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와 높은 정확도로 일치될 수 있다. 또, 제1전류거울회로(10c)의 최종단에 배치된 NPN트랜지스터(Trn+1)의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기준전류출력단자(13)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높은 정확도로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전류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실시예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가 제1전류거울회로(10c) 및 제2전류거울회로(20c)의 각각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도 12에 보인 것처럼, 베이스전류보상회로는 제2전류거울회로(20c)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또, 도 13에 보인 것처럼, 베이스전류보상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c)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출력단자로부터의 전류를 배출하는 전류배출형 전류거울회로가 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도록 설계된다. 이하,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유사한 참조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d) 및 제2전류거울회로(20d)로 구성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d)는 기준전류입력단자(12)로부터 공급되는 기준전류(Iref)에 대응하는 출력전류들을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한다. 또, 제1전류거울회로(10d)로부터의 출력전류들 중의 하나는 제2전류거울회로(20d)에 공급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d)는 제1전류거울회로(10d)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의 극성을 바꾸어, 그것을 기준전류출력단자(13)로부터 출력한다.
상세하게는, 제1전류거울회로(10d)는 복수개의 P채널MOS트랜지스터들(이후, "PMOS트랜지스터"라 함)(Tr0내지 Trn+1)을 구비한다. PMOS트랜지스터(Tr0)는 이 발명의 제1회로에 해당하며, 복수개의 PMOS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은 이 발명의 제2회로들에 해당하고, PMOS트랜지스터(Trn+1)는 이 발명의 제3회로에 해당한다.
제1전류거울회로(10d)에서, 전원단자(11)와 PMOS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은 도 14에 보인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요컨대, PMOS트랜지스터(Tr0)는 전원단자(1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되고, PMOS트랜지스터(Trn+1)는 전원단자(11)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PMOS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의 개개의 게이트들은 서로 연결된다. 그 소스들은 전원단자(11)로부터 연장되게 위치된 공통전원선(16)을 통해 서로 공통접속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d)의 제1단에 배치된 PMOS트랜지스터(Tr0)의 게이트는 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최종단에 배치된 PMOS트랜지스터(Trn+1)의 드레인은 제2전류거울회로(20d)에 연결된다. 중간의 단들에 PMOS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의 드레인들은 출력단자들(O1내지 On)에 각각 연결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d)는 N채널MOS트랜지스터들(이후, "NMOS트랜지스터"라함)(Tra및 Trb)을 구비한다. NMOS트랜지스터(Tra)의 게이트는 자신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Tra)의 소스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또, NMOS트랜지스터(Trb)의 게이트는 NMOS트랜지스터(Tra)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그 드레인은 기준전류출력단자(13)에 연결되고, 그 소스는 접지단자(14)에 연결된다.
NMOS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가 NMOS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른다. 이 경우, NMOS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NMOS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NMOS트랜지스터(Trb)가 전류를 빨아들이는 기능을 하므로, NMOS트랜지스터(Trn+1)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극성은 그 극성이 반전되도록 바뀐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구동회로의 동작은, PNP트랜지스터들 및 NPN트랜지스터들이 PMOS트랜지스터들 및 NMOS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각각 대체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도 제1실시예의 구동회로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는 출력단자로부터의 전류를 빨아들이는 전류흡입형 전류거울회로가 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도록 설계된다. 이하,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유사한 참조기호를 부여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제1전류거울회로(10e) 및 제2전류거울회로(20e)로 구성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e)는 복수개의 NMOS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을 구비한다. NMOS트랜지스터(Tr0)는 이 발명의 제1회로에 해당하며, 복수개의 NMOS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은 이 발명의 제2회로들에 해당하고, NMOS트랜지스터(Trn+1)는 이 발명의 제3회로에 해당한다.
제1전류거울회로(10e)에서, 접지단자(14)와 NMOS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은 도 15에 보인 위치들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요컨대, NMOS트랜지스터(Tr0)는 접지단자(14)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되고, NMOS트랜지스터(Trn+1)는 접지단자(14)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물리적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NMOS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의 개개의 게이트들은 서로 연결된다. 그 소스들은 접지단자(14)로부터 연장되게 위치된 공통접지선(1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전류거울회로(10e)의 제1단에 배치된 NMOS트랜지스터(Tr0)의 게이트는 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최종단에 배치된 NMOS트랜지스터(Trn+1)의 드레인은 제2전류거울회로(20e)에 연결된다. 중간의 단들에 배치된 NMOS트랜지스터들(Tr1내지 Trn)의 드레인들은 출력단자들(O1내지 On)에 각각 연결된다.
제2전류거울회로(20e)는 PMOS트랜지스터들(Tra및 Trb)을 구비한다. PMOS트랜지스터(Tra)의 게이트는 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PMOS트랜지스터(Tra)의 소스는 전원단자(11)에 연결된다. 또, PMOS트랜지스터(Trb)의 게이트는 PMOS트랜지스터(Tra)의 게이트에 연결되며, 그 드레인은 기준전류출력단자(13)에 연결되고, 그 소스는 전원단자(11)에 연결된다.
PMOS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가 PMOS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른다. 이 경우, PMOS트랜지스터(Trb)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PMOS트랜지스터(Tra)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PMOS트랜지스터(Trb)가 전류를 배출하도록 기능하므로, NMOS트랜지스터(Trn+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극성은 그 극성이 반전되도록 바뀐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구동회로의 동작은, NMOS트랜지스터들 및 PMOS트랜지스터들이 서로 바뀌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구동회로에 따르면, 전류배출형 발광소자들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구동회로들을 사용하여 구성된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와 인접한 다른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소자간의 경계에서의 실질적인 밝기차는 없다. 그래서, 높은 품질을 갖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다른 구동회로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제1전류거울회로의 전원단자의 물리적인 위치가 변경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의 이미터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통전원선(16)의 물리적인 중앙에 전원단자(11)가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중앙은 PNP트랜지스터(Tr0)의 이미터가 형성된 제1부분과 PNP트랜지스터(Trn+1)의 이미터가 형성된 제2부분 사이의 부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중앙은 제1부분 및 제2부분 사이의 실질적 중앙에 놓일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회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들 중에서 중앙에 있는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가 가장 크다. 출력전류들은 출력단자(O1)쪽 및 출력단자(On)쪽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적어진다. 즉, 그 출력전류들은 산의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7실시예에 따른 N개의 구동회로들이 정전류구동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개개의 구동회로들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들은 도 6c에 보인 것처럼, 연속하는 산들의 형상을 이룬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간의 경계에서의 출력전류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된다면, 높은 품질을 갖는 화상이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얻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1구동회로로부터의 출력전류 및 N번째 구동회로로부터의 출력전류간의 차이는 제1실시예에 따른 N개의 구동회로들이 정전류구동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더 작다. 그래서, 이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한 화면의 한 끝에서의 밝기 및 다른 끝에서의 밝기간의 차이는 작아 높은 품질의 화상을 발생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가 공통전원선(16)의 중앙으로부터 전원단자(11)를 빼 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또, 제3 및 제4실시예들은 공통접지선(17)의 중앙으로부터 접지단자(14)를 빼 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경우들의 모두는 전술한 효과들과 유사한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의 변형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이 구동회로는, PNP트랜지스터들(Tr0내지 Trn+1)을 연결하는 공통전원선(16)의 복수개 위치들로부터 전원단자(11)가 빼 내어진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는, 공통전원선(16)이 m개의 성분들("m"은 3이상인 정수)로 분할되고 (m-1)개의 전선들이 개개의 분할지점들로부터 빼 내어지고 전원단자(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통전원선(16)이 m개의 성분들로 분할되는 경우 m개 분할조각들 간에는 양 끝들 각각에 위치된 분할조각의 길이가 양 끝들 이외의 분할조각의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7에 보인 "m=3"인 예에서, 공통전원선(16)은 1:2:1의 비율로 분리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공통전원선(16)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하는 것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회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들은, 복수개의 분할지점들에 위치된 출력단자들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들이 산들의 꼭대기들이 되는, 연속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산들을 이룬다.
제7실시예의 이 변형예에 따른 N개의 구동회로들이 정전류구동장치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각 구동회로의 출력단자들(O1내지 On)로부터 출력되며 각각의 출력전류가 복수개의 산 형상들을 갖는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은 연속적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 간의 경계에서의 출력전류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높은 품질의 화상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제1구동회로로부터의 출력전류 및 N번째 구동회로로부터의 출력전류간의 차이는, 공통전원선(16)의 중앙 부분과 같은 하나의 부분으로부터 출력전류가 빼 내어질 때와 비교하여 훨씬 적다. 그래서, 이 정전류구동장치가 표시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화면의 한 끝에서의 밝기 및 이 화면의 다른 끝에서의 밝기간의 차이는 작고 그래서 높은 품질을 갖는 화상이 발생된다.
제5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도 공통전원선(16)의 복수개 위치들로부터 전원단자(11)를 빼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3 및 제4실시예들도 접지선(17)의 복수개 위치들로부터 접지단자(14)를 빼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들의 모두는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효과들과 유사한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7실시예들에 따른 구동회로에서는, 앞단의 구동회로의 끝단에서의 출력전류가 다음 단의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전류거울회로의 입력전류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구동회로들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구동회로들간의 경계에서의 전류의 변동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 구동회로가 반도체집적회로로써 구성되는 경우, 구동회로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를 사용하는 정전류구동장치가 유기EL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경우, 구동회로들 간의 경계에서의 출력전류의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밝기의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전류의 변동을 서로 인접한 구동회로들간에 적어지게 할 수 있는 저렴한 정전류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각 출력전류가 기준전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출력하는 제1전류거울회로; 및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의 최종단으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류의 극성을 바꾸어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2전류거울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는,
    기준전류가 공급되는 기준전류입력단자;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단자;
    상기 기준전류입력단자 및 상기 전원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결정하는 제1회로;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연장되는 공통전원선;
    복수개의 출력단자들;
    상기 공통전원선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자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회로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출력전류들 중의 일부를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2회로들; 및
    제1전류거울회로의 최종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제2회로들의 다음 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회로에 의해 결정된 상기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3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공통전원선의 중앙으로부터 빼 내어진 구동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상기 제3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출력전류의 상기 극성을 바꾸고 상기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기준전류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에 포함된 상기 제1회로, 상기 제2회로들 및 상기 제3회로는 PNP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NPN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된 구동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 및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 중의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가지는 구동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에 포함된 상기 제1회로, 상기 제2회로들 및 상기 제3회로는 P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N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된 구동회로.
  7. 삭제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공통전원선의 복수개의 위치들로부터 빼 내어진 구동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는,
    상기 기준전류가 공급되는 기준전류입력단자;
    접지에 연결된 접지단자;
    상기 기준전류입력단자 및 상기 접지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출력전류들을 결정하는 제1회로;
    상기 접지단자로부터 연장된 공통접지선;
    복수개의 출력단자들;
    상기 공통접지선 및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자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회로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복수개의 출력전류들 중의 일부를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는 복수개의 제2회로들; 및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의 상기 최종단인 상기 복수개의 제2회로들의 다음 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회로에 의해 결정된 상기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제3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공통접지선의 중앙으로부터 빼 내어진 구동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상기 제3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출력전류의 상기 극성을 바꾸고 상기 극성바뀐 출력전류를 기준전류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에 포함된 상기 제1회로, 상기 제2회로들 및 상기 제3회로는 NPN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PNP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된 구동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 및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 중의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전류보상회로를 가지는 구동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거울회로에 포함된 상기 제1회로, 상기 제2회로들 및 상기 제3회로는 N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전류거울회로는 P채널MOS트랜지스터들로써 구성된 구동회로.
  14. 삭제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공통접지선의 복수개의 위치들로부터 빼 내어진 구동회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1-0082826A 2000-12-28 2001-12-21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KR100452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1486A JP4735911B2 (ja) 2000-12-28 2000-12-28 駆動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定電流駆動装置
JPJP-P-2000-00401486 200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379A KR20020055379A (ko) 2002-07-08
KR100452737B1 true KR100452737B1 (ko) 2004-10-14

Family

ID=1886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826A KR100452737B1 (ko) 2000-12-28 2001-12-21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82186B2 (ko)
JP (1) JP4735911B2 (ko)
KR (1) KR100452737B1 (ko)
TW (1) TW554608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867A (ko) 2014-11-28 2016-06-08 이청주 광고용 열기구
KR20160134615A (ko) 2016-11-11 2016-11-23 이청주 광고용 열기구
KR20170021491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체와 프로펠러를 지닌 비행로봇
KR20170021507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물창 검사방법
KR20170039400A (ko)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검사로봇의 자세 및 거리 유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3775B2 (ja) * 2002-04-26 2011-03-1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El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4357413B2 (ja) * 2002-04-26 2009-11-04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El表示装置
JP4630884B2 (ja) * 2002-04-26 2011-02-09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El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el表示装置
GB2389952A (en) * 2002-06-18 2003-12-24 Cambridge Display Tech Ltd Driver circuits for electroluminescent displays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U2003276706A1 (en) 2002-10-31 2004-05-25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JP3810364B2 (ja) 2002-12-19 2006-08-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用ドライバ
US7944411B2 (en) * 2003-02-06 2011-05-17 Nec Electronics Current-drive circuit and apparatus for display panel
US6864641B2 (en) 2003-02-20 2005-03-0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iodes
US20040217934A1 (en) * 2003-04-30 2004-11-04 Jin-Seok Yang Driving circuit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04334124A (ja) * 2003-05-12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742063B1 (ko) * 2003-05-26 2007-07-2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류생성공급회로 및 표시장치
JP4304585B2 (ja) 2003-06-30 2009-07-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流生成供給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電流生成供給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JP4103079B2 (ja) 2003-07-16 2008-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流生成供給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電流生成供給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JP4066360B2 (ja) 2003-07-29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流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TWI247259B (en) * 2003-08-06 2006-01-11 Ind Tech Res Inst Current drive system with high uniformity reference current and its current driver
JP4036210B2 (ja) 2004-05-24 2008-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流供給回路、電流供給装置、電圧供給回路、電圧供給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57152B1 (ko) * 2004-07-29 2006-12-1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수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용 출력 드라이버
JP2006178283A (ja) * 2004-12-24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駆動装置および電流駆動方法
KR100685090B1 (ko) 2006-01-05 2007-02-22 주식회사 케이이씨 정전류 구동 회로
JP2007213027A (ja) 2006-01-12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駆動回路
JP2008076666A (ja) * 2006-09-20 2008-04-0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素子の駆動回路
TW200822801A (en) * 2006-11-09 2008-05-16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8146568A (ja) * 2006-12-13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00201671A1 (en) * 2007-09-12 2010-08-12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ecision current over a wide dynamic range
WO2009136318A1 (en) * 2008-05-06 2009-1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d driv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3239A1 (en) * 1990-02-20 1991-08-28 Precision Monolithics Inc. Current mirror with base current compensation
JPH0876869A (ja) * 1994-09-05 1996-03-22 Fuji Electric Co Ltd 多出力の電流出力回路装置
TW307060B (en) 1996-02-15 1997-06-01 Advanced Micro Devices Inc CMOS current mirror
US5767698A (en) * 1996-06-06 1998-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speed differential output driver with common reference
US5808508A (en) * 1997-05-16 1998-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rent mirror with isolated output
US6384638B1 (en) * 1998-12-21 2002-05-07 Sony Corporation Differential charge pump for providing a low charge pump current
US6229376B1 (en) * 1999-01-06 2001-05-08 Hendrik Mario Geysen Electronic array and methods
JP3500322B2 (ja) * 1999-04-09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定電流駆動装置および定電流駆動半導体集積回路
US6326836B1 (en) * 1999-09-29 2001-12-04 Agilent Technologies, Inc. Isolated reference bias generator with reduced error due to parasitic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867A (ko) 2014-11-28 2016-06-08 이청주 광고용 열기구
KR20170021491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체와 프로펠러를 지닌 비행로봇
KR20170021507A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화물창 검사방법
KR20170039400A (ko)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검사로봇의 자세 및 거리 유지 방법
KR20160134615A (ko) 2016-11-11 2016-11-23 이청주 광고용 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4608B (en) 2003-09-21
US6882186B2 (en) 2005-04-19
JP2002202823A (ja) 2002-07-19
KR20020055379A (ko) 2002-07-08
JP4735911B2 (ja) 2011-07-27
US20020084812A1 (en)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737B1 (ko)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KR100488909B1 (ko) 유기 el 소자 구동 회로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1159931B1 (ko) 전기 부하 작동을 위한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TWI474751B (zh) 具複數個發光二極體之負載電流控制裝置與方法
US7609735B2 (en) Providing a suitable output current to a laser diode
US8742689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KR910005362B1 (ko) 표시구동장치
JPH08330936A (ja) 電源抵抗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20030122808A1 (en) Display device drive circuit
CN101061448A (zh) 电压生成电路、恒流电路以及发光二极管驱动电路
US8125162B2 (en) Current mirror circuit
JP4408935B2 (ja) ドライバ回路
KR20070102405A (ko) 반도체 장치
CN109119418B (zh) 半导体集成装置及其栅极筛查试验方法
KR20060046049A (ko) 유기 el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US8203506B2 (en) LED drive circuit
US20050024300A1 (en) Organic EL panel drive circui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US20010052867A1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KR100524280B1 (ko) 전자 회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5262689A (en) BIMOS current driver circuit
CN115568288A (zh) 电流驱动器
US20040257251A1 (en) Digital voltage/analog current converting circuit of electron luminescent panel
CN115148162B (zh) 驱动电路、背光电路及显示面板
KR20050030610A (ko) 커런트 미러 회로
JP2005101993A (ja) 論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