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615A - 광고용 열기구 - Google Patents

광고용 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615A
KR20160134615A KR1020160150110A KR20160150110A KR20160134615A KR 20160134615 A KR20160134615 A KR 20160134615A KR 1020160150110 A KR1020160150110 A KR 1020160150110A KR 20160150110 A KR20160150110 A KR 20160150110A KR 20160134615 A KR20160134615 A KR 2016013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nsion
air
burn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주
Original Assignee
이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주 filed Critical 이청주
Priority to KR102016015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615A/ko
Publication of KR2016013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58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gas-bags; Fi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로 지상에 고정되며 설치 현장의 다양한 풍속에 불구하고 무인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광고용 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주머니(10);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버너(30); 상기 버너(30)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40); 상기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탱크(50); 상기 프레임(20)과 지상을 연결하는 케이블(90);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소정값(T0)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용 열기구{A Balloon for Advertizing}
본 발명은 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로 지상에 고정되며 설치 현장의 다양한 풍속에 불구하고 무인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광고용 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광고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높은 곳에 광고물을 띄워 멀리서도 사람들이 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다. 특히 이런 형태의 광고는 도속도로 주변과 같이 고층 건물이나 장애물이 없이 탁 트인 넓은 공간에서 매우 넓은 범위에 광고 효과를 낼 수 있고, 도심에서도 높이 떠 있는 물체에 사람들이 호기심을 가지게 되는 심리를 활용하여 매우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하다.
높은 곳에 광고물을 설치하는 용도는 지속적인 광고를 위한 경우와 한시적인 광고를 위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속적인 광고에는 주로 건물 옥상, 고속도로 주변의 광고용 탑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한시적인 광고는 특정 기간에 열리는 지역 행사 등을 안내할 때 주로 활용하게 되는데, 현재 이러한 광고는 주로 애드벌룬을 활용하고 있다.
애드벌룬은 내부에 수소가스나 헬륨가스를 채운 풍선을 띄우고 그 밑에 현수막을 현수하여 높이 띄우는 형태이고, 애드벌룬은 긴 케이블로 지상에 고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광고 형태는 예상보다 상당히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먼저 현수막이 클수록 애드벌룬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는 애드벌룬과 그 내부에 채워야 할 가스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바람이 많이 불 경우에도 애드벌룬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즉 바람이 거세게 부는 날에는 작은 현수막을 띄우기 위해서도 더 많은 애드벌룬을 달아야 한다. 바람이 거셀 때 애드벌룬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바람에 의해 애드벌룬이 밀려 내려앉게 되어 원하는 높이까지 애드벌룬이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바람이 부는 특성은 하루 종일 균일하지 않고, 아침에는 강풍이 불었다가 오후에는 잠잠하게 되는 등 변화무쌍하기 마련인데, 위와 같은 애드벌룬의 개수는 처음 애드벌룬을 설치할 때 결정하면 중간에 수정하기가 쉽지 않다. 가령 아침에 바람이 많이 불지 않아 적은 수의 애드벌룬을 띄워놓았는데, 오후에 바람이 많이 분다고 해서 이를 끌어 내려 애드벌룬을 더 추가하는 것이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니다. 반대로, 아침에 바람이 많이 불어 많은 수의 애드벌룬을 띄웠는데, 오후에 바람이 잦아든다면 애드벌룬을 낭비한 꼴이 된다.
그리고 한번 사용한 애드벌룬 내의 가스는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거의 일회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수 주 내지 수 개월 애드벌룬을 사용할 때라면 몰라도 하루 이틀과 같은 짧은 기간 동안 애드벌룬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가스의 낭비가 심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수소나 헬륨과 같은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기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애드벌룬이 적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최악의 상황을 예상하여 매번 많은 수의 애드벌룬을 사용한다면 그 비용은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이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3969호 등록특허공보 제128133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817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27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회성 기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 현장의 바람의 세기에 관계 없이 원하는 높이까지 부상시켜 기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그 위치를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광고용 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주머니(10);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버너(30); 상기 버너(30)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40); 상기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탱크(50); 상기 프레임(20)과 지상을 연결하는 케이블(90);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펌프(40)의 작동 여부 및 버너에 공급하는 공기와 연료의 공급량과, 상기 버너(30)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열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용 열기구는: 상기 공기주머니 또는 프레임에 설치된 광고물; 및 상기 케이블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기(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소정값(T0) 미만인 경우 펌프와 버너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용 열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풍속계(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소정값(T0) 이상이고, 상기 공기주머니 부근에 위치하는 풍속계에서 측정된 풍속(V)이 소정값(V0) 이상일 경우, 풍속에 따라 보정된 케이블 장력 기준값(TV)보다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작은 경우 펌프와 버너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단, TV > T0 이다).
상기 보정에 의해 소정값(T0)에 부가되는 보정값(Ta)은 풍속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에 의해 지상에 연결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공기주머니의 부력을 조정할 수 있어 기상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장력을 기준으로 공기주머니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광고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미리 열기구의 운용 방향을 결정할 필요 없이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열기구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의 세기에 연동하여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바람이 센 날에도 광고를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열기구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광고용 열기구의 작동 및 제어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의 제어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바람이 불 경우 공기주머니에 가해지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의 힘들의 평형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열기구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열기구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광고용 열기구의 작동 및 제어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는 연성 합성수지 재질의 공기주머니(10)의 하부에 프레임(20)이 고정된 형태로서, 프레임(20)의 하부에 케이블(90)의 상단이 연결되며, 케이블의 하단은 지상의 고정물에 고정된 형태로 운용된다.
본 발명의 열기구는 공기주머니(10) 내부의 공기를 버너(30)로 가열하여 공기주머니(10) 내부 공기의 압력을 높게 만들어 공기주머니(10)가 팽창되도록 하고, 또한 내부 공기의 밀도를 낮추어 내부 공기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공기주머니(10)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하는 것이다.
공기주머니(10)의 상단에는 개폐구(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내부 공기가 과열되어 내부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릴리즈 밸브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개폐구(12)는 후술할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강제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열기구 운용자가 열기구를 지상으로 하강시키고자 할 때 개폐구를 개방하여 공기주머니(10)의 부력을 빨리 낮출 수 있도록 하였다. 가령 지상에 있는 운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60)에 하강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60)는 버너(30)를 소화시키고 개폐구(12)를 개방하는 제어를 하게 된다.
공기주머니(10)의 하단에는, 평판 형상의 환형부(22)와, 상기 환형부에서 밑으로 연장된 연결부(24)와, 연결부(24)의 하단에 고정되는 바스켓(26)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환형부(22)는 공기주머니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연결부(24)는 상기 환형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그 하부가 공기주머니 외부로 노출되어 바스켓(26)에 연결되고, 바스켓(26)은 공기주머니의 외부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공기주머니(10)의 하단은 상술한 연결부(24)의 중간 정도 높이부분에서 막혀 있는 구조이다(물론 후술할 덕트와 연료호스는 이러한 공기주머니의 하단면을 관통하게 된다).
프레임(20)은 공기주머니(10)의 부력 조절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공기주머니(10)의 하단부 형상을 유지해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
프레임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환형부(22)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버너(3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 개의 버너는 공기와 연료를 공급받아 점화된 후 연료를 연소시키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열로써 공기주머니(10) 내부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바스켓(26)에는 연료탱크(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연료탱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축(27)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연료탱크(50)가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도록 한 이유는, 바람 등에 의해 공기주머니(10)가 휩쓸려 바스켓(26)이 기울더라도 설치축(27)에 매달려 있는 연료탱크(50)는 항상 중력 방향으로 유지되어 내부의 연료가 연료탱크 바닥 부분에 연결된 연료공급호스(52)를 통해 후술할 펌프(40)에 차질 없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연료공급호스(52)는 펌프(40)에 연결되어 있어서, 펌프(40)가 가동함에 따라 연료공급호스(52) 내부에 있던 연료는 펌프(40)를 거쳐 가압되며 연료호스(46)로 토출되고, 토출된 연료는 연료호스(46)를 따라 밸브(48)를 거쳐 각 버너(30)에 공급된다.
또한 펌프(4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 가압하여 덕트(42)를 통해 버너(30)에 공급하게 된다. 공기 역시 밸브(44)에 의해 공급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60)가 버너(30)를 점화하여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펌프(40)를 가동시켜 연료와 공기를 각 버너(30)에 공급하고, 버너(30)에 점화 불꽃을 발생시켜 연료를 연소시키게 된다.
이처럼 펌프가 연료와 공기를 별도로 버너에 공급하는 구조는 경유나 등유와 같이 대기압 하에서 기화와 착화가 잘 되지 않는 액체 연료를 위한 구조인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가령 휘발유나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스켓(26)에 기화기 등을 설치하여 혼합기의 형태로 버너에 연료와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국내의 실정 상 액화석유가스는 폭발가능성이 있고 탱크가 무거우며 연소 시 발열량이 작은 반면, 등유나 경유는 폭발가능성이 낮고 탱크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발열량도 커서 무게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 열기구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덕트(42)와 연료호스(50)에는 각각 밸브(44,48)가 설치되어 있어서, 복수의 버너(30)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공기주머니(10) 내부 공기를 빠르게 가열해야 할 경우에는 밸브가 모두 열려 3개의 버너 모두에 연료와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되도록 할 수 있고, 공기주머니(10)의 내부 공기를 천천히 가열해도 될 경우에는 하나의 버너로 연결되는 덕트와 연료호스만 열려서 하나의 버너에서만 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60)는 바스켓(26)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60)는 펌프(40)의 작동을 제어하며, 아울러 상술한 밸브들(44,48)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연료와 공기를 버너에 공급하고자 할 경우 펌프를 작동시키고 필요한 밸브를 열게 된다.
바스켓(26)의 하단에는 케이블연결부(8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블(90)이 고정되는 고리(82)와, 상기 고리(82)에 연결된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기(84)로 이루어져 있다. 장력 측정기(84)는 가령, 공기주머니(10)의 부력(FB)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90)의 장력(FC)을 측정하는 것으로, 고리(82)가 케이블에 의해 당겨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측정기 내의 시편의 변형율(strain)을 측정하거나, 고리(82)가 케이블에 의해 당겨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측정기 내의 스프링의 신장율을 측정하는 등 통상적인 하중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이러한 케이블연결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연결부에서 측정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모니터링하고, 케이블연결부에서 측정되는 장력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열기구에 광고물 등을 설치하고 띄워 올려 공중에 띄워 광고를 하기 위한 장비로서, 광고물을 공기주머니(10) 또는 바스켓(26)에 설치하고(즉 광고물을 케이블에 설치하지 않고) 열기구를 띄워 올리면, 장력 측정기(84)에서 측정되는 케이블(90)의 장력은 공기주머니(10)가 열기구의 자중 및 광고물의 무게를 이기고 열기구 및 광고물을 들어올리는 부력과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물론 바람에 의한 외력은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광고물이 무거울수록 케이블의 장력은 작아질 수밖에 없고, 이렇게 케이블의 장력이 작아져 소정 값 이하가 되면, 버너를 가열하여 공기주머니를 더 팽창시키고 공기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더 뜨겁게 하여 공기주머니(10)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을 더 크게 해야 할 것이다.
결국 광고용 열기구 운용자는, 육안으로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지를 기준으로 지상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유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선 송신에 전혀 문제가 없다)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여 직감적으로 필요한 만큼 열기구의 내부 공기를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령 상술한 제어부에서 케이블의 장력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에게 송신하여 운용자가 더 정량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광고용 열기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열기구에는 바스켓(26)의 상부에 풍속계(70)가 설치되어 있다. 풍속계(70)는 바람의 방향에 관계 없이 바람의 속도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형태의 풍속계를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72)가 회전하는 풍속계를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날개의 회전축에 엔코더(74)를 설치하면, 풍속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광고용 열기구가 떠 있는 높이의 바람의 세기 정보를 운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고, 운용자는 이러한 바람의 세기 정보를 활용하여 열기구를 운용할 수 있다. 가령 바람이 지나치게 센 경우에는 광고용 열기구를 철수시킬 필요가 있고, 이 때에는 운용자가 바람의 세기 정보를 근거로 열기구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열기구의 부력이 세면 셀수록 열기구가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되기 때문에, 철수해야 할 만큼 바람이 많이 불지는 않지만 바람이 어느 정도 불고 있을 때에는 열기구의 부력을 더 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바람의 속도를 근거로 평소보다 열기구를 더 가열하여 부력을 더 세게 할 수 있다.
[광고용 열기구의 제어]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운용자가 광고용 열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운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운용자 없이도 광고용 열기구를 자동으로 운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용 열기구의 제어의 기준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바람이 불 경우 공기주머니에 가해지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의 힘들의 평형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60)는 광고용 열기구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용 열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장력 측정기(84)에서 측정된 케이블(90)의 장력(T)을 확인한다. 제어부 내에는 열기구가 안정적으로 운용되기 위한 최소한의 부력 값에 의해 유도되는 장력값(T0)이 미리 입력되어 있어서, 현재 케이블(90)의 장력(T)과 상기 소정의 장력값(T0)을 비교하여, T<T0이면 현재의 부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버너(30)를 점화하며, 펌프(40)를 가동하고 밸브를 열어 점화된 버너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부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 T<<T0인 경우, 다수의 버너(30)로 공기주머니(10)를 가열하여 부력을 빨리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기준이 되는 최소한의 장력보다 현재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이 부족한 정도에 따라 점화되는 버너(30)의 개수와 연소량을 달리 하여 부력을 증가시키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현재 케이블(90)의 장력(T)과 상기 소정의 장력값(T0)을 비교하여 T≥T0이면 현재 불고 있는 바람의 속도(V)가 열기구에 영향을 크게 미칠만한 상황인지 판단한다. 공기 중에 이동하는 물체의 저항은 속도의 제곱값에 비례한다. 이는 즉 속도가 어느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무시할 정도이지만, 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인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저항이 상당한 수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여 본 발명에서는 풍속계(70)에 의해 측정되는 바람의 속도(V)가, 저항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라고 판단되어 제어부에 미리 입력한 소정의 바람의 속도(V0) 이하(또는 미만)일 경우, 이를 무시하고 지속적으로 T와 T0의 값을 비교하여 열기구의 부력을 모니터링한다.
하지만 만약 풍속계(70)에 의해 측정되는 바람의 속도(V)가, 상기 소정의 바람의 속도(V0) 이상이 될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부력값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즉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는 공기주머니(10)의 부력이 케이블의 장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만, 바람이 많이 불 경우에는 이러한 관계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에 의해 공기주머니(10)에 측방으로 저항력(FV)이 가해지는 경우, 저항력(FV)과 장력(FC)과 부력(FB)과 바람에 의해 열기구가 기울어지는 각도(θ)의 관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 열기구가 기울어지는 각도(θ)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력(FB) 역시 증가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부력은 장력에 의해 측정되므로, 바람이 V의 속도로 불 경우 케이블의 장력은 도 6의 관계에서
FC=FV/sinθ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의 세기(V)에 따라 측정되어야 할 장력(FC)의 값(T)은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FV)에 비례하고, 바람의 저항력은 바람의 속도(V)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바람이 저항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V0)보다 큰 V의 속도로 불 때 필요한 최소한의 장력은 T0보다도 더 커야 함을 의미하고, 그 값(TV)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보정값(Ta)이 T0 값에 부가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의 속도(V)가 소정의 속도(V0) 이상으로 불 경우에는 측정되어야 할 최소한의 장력값(TV)가 T0+Ta가 되어야 하고, 실제 측정된 장력값(T)이 TV보다 작은 경우에는 버너를 점화하여 T≥TV가 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바람의 세기가 부력의 증가만으로는 견딜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설 때에는 제어부가 운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송신하여 운용자가 열기구를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공기주머니
12: 개폐구
20: 프레임
22: 환형부
24: 연결부
26: 바스켓
27: 설치축
30: 버너
40: 공기 및 연료펌프
42: 덕트
44: 밸브
46: 연료호스
48: 밸브
50: 연료탱크
52: 연료공급호스
60: 제어부
70: 풍속계
72: 날개
74: 엔코더
80: 케이블연결부
82: 고리
84: 장력 측정기
90: 케이블

Claims (4)

  1.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주머니(10);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버너(30);
    상기 버너(30)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펌프(40);
    상기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탱크(50);
    상기 프레임(20)과 지상을 연결하는 케이블(90); 및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펌프(40)의 작동 여부 및 버너에 공급하는 공기와 연료의 공급량과, 상기 버너(30)의 점화 및 소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고용 열기구는:
    상기 공기주머니 또는 프레임에 설치된 광고물; 및
    상기 케이블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기(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소정값(T0) 미만인 경우 펌프와 버너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열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고용 열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풍속계(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소정값(T0) 이상이고, 상기 공기주머니 부근에 위치하는 풍속계에서 측정된 풍속(V)이 소정값(V0) 이상일 경우, 풍속에 따라 보정된 케이블 장력 기준값(TV)보다 상기 장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케이블의 장력(T)이 작은 경우 펌프와 버너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열기구.
    단, TV > T0 이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정에 의해 소정값(T0)에 부가되는 보정값(Ta)은 풍속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열기구.
KR1020160150110A 2016-11-11 2016-11-11 광고용 열기구 KR2016013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10A KR20160134615A (ko) 2016-11-11 2016-11-11 광고용 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10A KR20160134615A (ko) 2016-11-11 2016-11-11 광고용 열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105A Division KR101677340B1 (ko) 2014-11-28 2014-11-28 광고용 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615A true KR20160134615A (ko) 2016-11-23

Family

ID=5754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10A KR20160134615A (ko) 2016-11-11 2016-11-11 광고용 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61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69A (ko) 2000-05-15 2000-09-05 김진경 밀폐형 열기구 장치
KR100448179B1 (ko) 1998-09-14 2004-09-10 닥터 레디스 레보러터리즈 리미티드 티아졸리딘-2,4-디온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0452737B1 (ko) 2000-12-28 2004-10-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KR101281332B1 (ko) 2011-06-27 2013-07-03 이청주 광고용 비행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179B1 (ko) 1998-09-14 2004-09-10 닥터 레디스 레보러터리즈 리미티드 티아졸리딘-2,4-디온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000053969A (ko) 2000-05-15 2000-09-05 김진경 밀폐형 열기구 장치
KR100452737B1 (ko) 2000-12-28 2004-10-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구동회로장치
KR101281332B1 (ko) 2011-06-27 2013-07-03 이청주 광고용 비행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1257A (en) Pilot gas conservation system for flare stacks
US8350482B2 (en) Hybrid lighting device
KR101677340B1 (ko) 광고용 열기구
CN201254288Y (zh) 电能热气球
US7699508B2 (en) Pole-suspended flag illumination
US5429496A (en) Portable flare boom capable of being easily raised and lowered to change the flaring assembly
US3038064A (en) Decorative torch
CN107682981A (zh) 一种太阳能斑马线智能装置
KR20160134615A (ko) 광고용 열기구
US2474547A (en) Gas burner and pilot
KR101516942B1 (ko) 깃발 휘날림을 위한 에어공급장치
KR100861401B1 (ko) 열기구를 이용한 송·변전 및 배전 케이블을 설치하는 장치
US20150054286A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renewable energy
US20030113677A1 (en) Open fire display apparatus
KR101811798B1 (ko) 잉여가스 연소장치
CN207096020U (zh) 石油产品灰分测定装置
WO2010076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rtificial rain shower by ground heating
US2303807A (en) Heater for transportation units and the like
KR20220082744A (ko)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깃발 게양 장치
US8000075B2 (en) Tube integrity safety switch
KR102141468B1 (ko) 경사면을 갖는 지면의 송전철탑 설치구조
CN219160460U (zh) 熄火保护系统和取暖器
KR200434432Y1 (ko) 동력게시대용 현수막의 위치제어장치
KR20100098880A (ko) 현수막 게시대 제어방법
CN113266772B (zh) 一种具有调节设备的移动照明灯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