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13B1 -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13B1
KR100452513B1 KR10-2002-0059332A KR20020059332A KR100452513B1 KR 100452513 B1 KR100452513 B1 KR 100452513B1 KR 20020059332 A KR20020059332 A KR 20020059332A KR 100452513 B1 KR100452513 B1 KR 10045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able device
charging terminal
hold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201A (ko
Inventor
박병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충전장치 모듈에의해 휴대장치의 충전불량을 제거하고, 충전장치 모듈과 휴대장치 하우징의 체결을 강화하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장치(300)로의 통전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단자축 (240)과, 상기 충전단자축(24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충전단자축(240)을 휴대장치(300)에 밀착시켜서 원활한 접촉을 하게하는 탄성스프링(232)과, 내측 저면(220a)에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통과하는 통과공(2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스프링(232)과 충전단자축(240)을 삽입 가이드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충전단자 홀더(220),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 홀더가 안착되는 휴대장치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공수가 감소하므로 코스트 및 불량률을 줄일 수 있고, 반복되는 휴대장치(300)의 착탈에 의한 충전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Device of battery recharging for a phone}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듈에 의해서 충전장치를 구성하여 휴대장치의 충전불량을 제거하고 동시에 충전장치 모듈과 휴대장치 하우징의 체결을 강화하기 위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는 전류를 충전장치에 의해서 충전 사용하는 경우가 보통이며, 이에는 통신용단말기, 전기 면도기 등이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4a)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14)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4)에는 지지물(12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물 (12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탄성스프링(132)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튜브(130)를 지탱시킨다.
상기 지지물 (120)은 상부돌출부(120a), 하부돌출부(120b) 그리고 지지부 (120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물(120)의 하부돌출부(120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4)의 삽입공(114a)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물(120)에는 상부돌출부(120a)와 하부돌출부(120b)를 순차적으로 직관통하는 관통공(120d)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0d)으로 충전단자축(140)이 통과한다. 상기 충전단자축(140)은 전원(미도시)의 전하를 와이어(146)를 통해서 휴대장치(100)로 통전한다.
상기 충전단자축(140)은 납땜부(144), 도전성 봉(142) 그리고 접촉돌기(141)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돌기(141)에는 상기 도전성 봉(142)에 단차 성형되어 있는 접촉돌기하면(141a)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탄성스프링(1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141b)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141)는 충전단자(102)와 접촉하여상기 휴대장치(100)로 전하를 전달한다.
상기 충전단자축(140)의 접촉돌기(141)와 지지물(120)의 상부돌출부(120a)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32)이 삽입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2)은 상기 도전성 봉(142)을 외포하면서 상기 접촉돌기(141)와 접촉단자(102)의 접촉을 밀착 강화시킨다.
상기 탄성스프링(132)의 외주연을 외포하며, 상기 상부돌출부(120a)의 외주면에 튜브(130)가 장착된다. 상기 튜브(130)는 상기 탄성스프링(132)과 충전단자축(1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들을 충전단자축(140)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튜브(130)의 상단부는 일정 길이로 다수 절개되어서, 절개돌출부(130a)와 절개절곡부(13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절곡부(130b)는 압축된 탄성스프링 (132)에 의해 충전단자 쪽 방향(이하 상방향이라 한다)으로 이탈하려는 충전단자 축(1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튜브(130)의 상부는 휴대장치 하우징(110)에 형성된 개방홀(112)과 접해 있다.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110)에 형성된 개방홀(112)을 통해서 상기 튜브(130) 내부의 접촉돌기(141)와 충전단자(102)가 접촉한다.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110)은 상기 충전장치(10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장치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충전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장치(100)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휴대장치 하우징(110)에 휴대장치(100)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먼저 휴대장치(100)의 충전단자(102)는 충전단자축(140)의 접촉돌기(141)와 접촉한다.
상기 휴대장치(100)의 충전단자(102)가 충전단자축(140)의 접촉돌기(141)에 접촉되는 순간 휴대장치(100)로의 통전이 일어난다. 즉, 전원(미도시)의 전하는 상기 와이어(134), 상기 충전단자축(140)의 납땜부(144), 도전성 봉(142), 접촉돌기(141)를 경유하면서 충전단자(102)를 통하여 휴대장치(100)로 유입되어 충전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장치(100)의 충전단자(102)가 상기 접촉돌기(141)에 접촉된 상태에서 휴대장치(100)가 휴대장치 하우징(110)과 완전한 체결이 될 때까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하 ‘하방향’이라한다)으로 외력이 가해진다. 상기 외력은 휴대장치(100) 자체의 질량에 의한 중력과 사용자에 의한 인력의 합이 될 것이다.
상기 충전단자(102)가 상기 접촉돌기(141)에 접촉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스프링(132)은 압축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2)이 압축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32)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2)의 탄성력은 상기 접촉돌기 하면(140a)에 상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접촉돌기 하면(140a)에 작용하면, 상기 충전단자(102)와 접촉돌기(141)는 더욱 밀착되며 접촉은 강화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2)과 충전단자축(140)이 상기 튜브(130)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장치(100)는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110)에 완전히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휴대장치(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충전히 완료된 후,사용자는 상기 휴대장치(100)를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110)에서 분리시킨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휴대장치(1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1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충전단자축(140)도 부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접촉돌기(141)가 상기 충전단자(10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접촉돌기(141)의 걸림부(141b)가 상기 튜브(130)의 절개절곡부 (130b)와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즉, 상기 접촉돌기(141)의 걸림부(141b)가 상기 튜브(130)의 절개절곡부 (130b)와 접하게 되면, 상기 충전단자축(140)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멈추게되고 정지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축(140)의 상방향 움직임이 멈춘 상태에서 휴대장치 (100)가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충전단자(102)와 접촉돌기(141)의 접촉은 끊어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휴대장치(100)로의 충전회로는 개방되고 더 이상 충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과정을 갖는 종래의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선, 상기 충전단자축(140)과 탄성스프링(132)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상기 튜브(130)와 지지물(120)의 별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물(120)에 탄성스프링 (132)을 삽입 안착하고, 충전단자축(140)을 조립하여, 상기 튜브(130)를 하방향으로 덮고 나서 인쇄회로기판(114)에 안착하여 땜을 한다.
따라서, 충전장치 제조 공정이 많아지고 번거로워서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휴대장치(100)의 다수회의 반복적인 안착과정에서 충전단자(102)가 상기 튜브(130)의 절개돌출부(130a)와 접촉되어 충격을 주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상기 튜브(130)의 절개돌출부(130a)의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과 충전단자(102)의 외관 스크래치 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100)의 반복적인 안착과정에 따른 충격이 튜브(12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14)과 납땜되는 지지부(120c)간에 작용하여 납땜부위의 납떨어짐을 유도할 수 있어 충전불안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세째, 튜브(130)의 상부가 절개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장치(100)의 반복적인 착탈과정에서 상기 탄성스프링(132)이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132)의 단부가 튜브(130)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빠져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네째, 휴대장치 하우징(110)과 인쇄회로기판(114)과의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충전장치 구조는 사용이 불가함으로 부품공용화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부품을 취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모듈에 의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장치를 하나의 간단한 모듈화함으로써, 조립의 안정성과 휴대장치의 착탈에 의한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갖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모듈에 의한 충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공수 및 부품을 줄여서 생산 코스트가 낮은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장치 하우징과 그에 장착되는 충전장치의 체결을 강화함으로써, 체결 안정성이 강화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충전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와 휴대장치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의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가 체결된 휴대장치 하우징에 휴대장치가 안착된 부분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장치 하우징의 부분평면도 및 부분 이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와 휴대장치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의 부분 정면도 및 부분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와 휴대장치 하우징 체결 상태도와 부분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 휴대장치 102, 302 ..... 충전단자
110, 310 ..... 휴대장치 하우징 112, 312 ..... 개구홀
114 .......... 인쇄회로기판 114a ......... 삽입공
120 .......... 지지물 120a ......... 상부돌출부
120b ......... 하부돌출부 120c ......... 지지부
120d ......... 관통공 130 .......... 튜브
130a ......... 절개돌출부 130b ......... 절개절곡부
132, 232 ..... 탄성스프링 140, 240 ..... 충전단자축
141 .......... 접촉돌기 141a ......... 접촉돌기하면
141b ......... 걸림부 142 .......... 도전성 봉
144, 244 ..... 납땜부 220 .......... 충전단자 홀더
221 .......... 유동방지부재 222 .......... 홀더 후크
224 .......... 체결돌기 226 .......... 통과공
226a ......... 면취부 244′......... 원추형납땜부
245 .......... 몸통부 246 .......... 머리부
246a ......... 접촉면 246b ......... 단차면
247 .......... 리드와이어 248 .......... 커넥터
250 .......... 멈춤링 252 .......... 체결요홈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는, 일단부가 휴대장치의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통전 경로를 형성하는 통전수단과, 상기 통전수단을 부분적으로 외포하고, 상기 통전수단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통전수단을 휴대장치에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내측 저면에 상기 통전수단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와 통전수단을 안내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체결되는 휴대장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을 취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충전단자 모듈을 구성함으로서 제조 공정의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홀더에는 체결후크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후크와 체결하는 체결요홈이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더가 휴대장치 하우징에 견고하고 신속 간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체결후크의 대향 단부에는 유동방지부재가 돌출성형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홀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에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에 체결되는 상기 홀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통전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통전수단이 상기 홀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전수단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 충전장치는, 상기 이탈방지 부재는 상기 통전수단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을 요하지 아니하고도, 상기 통전수단이 상기 홀더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장치의 충전단자 구조는, 상기 홀더의 통과공은, 내주면의 상부 모서리가 경사 절삭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전수단이 상기 홀더의 통과공으로 강제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와 휴대장치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의 부분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가 결합된 휴대장치 하우징에 휴대장치가 장착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일측에는 충전단자축(240)이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축(240)는 전원(미도시)을 휴대장치(300)에 연결하여 통전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휴대장치축(240)은 머리부(246), 몸통부 (245) 그리고 납땜부 (244)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246)의 일단부는 상기 충전단자(302)와 접촉 원활화를 위해 평면상을 취하고 있으며, 접촉면(246a)이라고 한다. 상기 납땜부(244)에는 리드와이어(247)와 커넥터(248)가 연결된다. 상기 리드와이어(247)와 커넥터(248)는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하를 상기 충전단자축(240)으로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축(240)의 몸통부(245)를 외포하고 있는 것은 탄성스프링(232)이다. 상기 탄성스프링(232)의 일단부(이하에서, 상단부라한다)는 상기 충전단자축(240)의 단차면(246b)에 접촉하고, 타단부(이하에서, 하단부라한다)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충전단자 홀더(220)의 저면(220a)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232)은 상기 충전단자축(240)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상기 휴대장치(300)의 충전단자(302)에 밀착되어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상기 충전단자축(240)과 탄성스프링(232)이 안착 설치되는 공간은 충전단자 홀더(220)이다.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저면(220a)에는 통과공(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공(226)으로 상기 충전단자축(240)의 몸통부(245)가 관통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 외부의 한 쌍의 대항면에는 체결후크(22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후크(222)는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후크(222)에는 하방향(충전단자 홀더(220)의 저면(2220a) 방향, 이하 같다)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체결돌기(224)가 있다. 상기 체결돌기(224)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체결요홈(252)과 결합하여 충전단자 홀더(220)와 휴대장치 하우징(310)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후크(222)가 성형되어 있지 않은 충전단자 홀더(220)의 다른 한 쌍의 대향면에는 유동방지부재(221)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지지리브(314)와 밀착함으로써, 휴대장치(300)의 반복적인 착탈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충전단자 홀더(220)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축(240)의 몸통부(245)에는 멈춤링(244)이 결합된다.상기 멈춤링(244)은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상기 탄성스프링(232)의 탄성력에 의해서 충전단자 홀더(2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에는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형성된 개구홀(312)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구홀(312)은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에 삽입 안착된 충전단자축(220)의 머리부가 휴대장치 하우징 외부로 돌출 노출되어 상기 충전단자(302)와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내면(310b)에는 상기 개구홀(3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지지리브(314)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314)는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 홀더(220)의 유동방지부재(221)와 밀착함으로서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장치 홀더(220)가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축(240)의 하부 단부에는 원추형납땜부(244′)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원추형납땜부(24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납땜부(244)와 멈춤링(250)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다. 즉, 상기 원추형납땜부(244′)는 상기 리드와이어(246)에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충전단자 홀더(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원추형납땜부(244′)의 형상을 하방향으로 가늘어 지는 원추형상을 취함으로써 상기 충전단자축(240)을 충전단자 홀더(220)의 통과공(226)에 강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단자홀더(220)의 통과공(226)은, 내주면의 상부 모서리가 경사 절삭 가공되어 있다. 이는 도면 부호 226a(이하 면취부라한다)로 표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통과공(226)의 내주면을 경사 절삭 가공하면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상기 통과공(226)에 강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충전단자 홀더(220)가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충전단자축(240)의 몸통부(240b)에 탄성스프링(232)을 삽입한다. 상기 탄성스프링(232)이 충전단자축(240)의 몸통부(24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통과공(226)으로 상기 몸통부(240b)가 통과한다.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에 삽입 안착된 경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링(250)을 몸통부(245)에 삽입 장착시킨다.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삽입 안착된 충전단자 홀더(220)를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 (310)의 배면(310b)에서 체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후크 (222)의 체결돌기(224)를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체결요홈(252)에 후크식 체결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충전단자 홀더(220)의 외부 4면중 한 쌍의 대향면만이 휴대장치 하우징(310)과의 후크식 체결에 관여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를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후크식 체결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에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배면(310b)에 성형된 지지리브(314)와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유동방지부재(221)가 밀착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225)와 체결요홈(252)의 후크식 체결에 의해서 어느 정도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리브(314)와 유동방지부재(221)의 밀착에 의해서 충전단자 홀더(220)는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다.
즉,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 홀더(220)와 휴대장치 하우징(310)의 후크식 체결을 하는 경우 체결돌기(224)와 체결요홈(252) 간에는 약한 탄성력이 생기는데, 상기 탄성력이 유동방지부재(221)를 지지리브(314)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게 되어 체결은 더욱 견고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단자 홀더(220)의 상부에서 후크식 체결을 하고 하부에서 지지리브(314)와 유동방지부재(221)의 밀착에 의한 2중 체결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된 충전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충전을 위해 휴대장치(300)를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상기 충전단자(302)가 충전단자축(240)의 접촉면(246a)과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충전단자(302)가 충전단자축의 접촉면(246a)과 접촉하는 순간 충전장치에는 통전이 발생하고 휴대장치(300)는 충전되기 시작된다. 즉, 상기 커넥터(248)로 유입된 전하는 상기 충전단자축(240), 충전단자(302)를 통하여휴대장치(100)로 유입되어 충전 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장치(300)가 충전단자축(240)의 접촉면(246a)에 접촉된 상태에서 휴대장치(300)가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될 때까지 사용자는 휴대장치(300)에 하방향으로 외력을 가한다. 이 때, 휴대장치(300)와의 접촉에 의해 충전단자축(240)의 머리부(246)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탄성스프링(232)으로 전달되어 탄성스프링(232)을 압축시킨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300)가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되는 순간, 상기 충전단자축 (240)의 하방향으로의 동작과 탄성스프링(232)의 압축은 정지된다.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하방향으로 동작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300)가 휴대장치 하우징(310)에 체결되어 정지되어 있는 동안, 상기 탄성스프링(2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246a)과 충전단자(302)의 밀착은 강화되어 접촉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휴대장치(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충전히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장치(300)를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310)에서 분리시킨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휴대장치(100)를 상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2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충전단자축(240)도 부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탄성스프링(232)의 일단부가 충전단자 홀더(220)의 저면(220a)에 의해서, 타단부가 충전단자축(240)의 단차면(246b)에 의해서 압축력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휴대장치(300)가 상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탄성스프링(232)의 탄성복원력은 충전단자축(240)을 상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상기 휴대장치(300)의 접촉단자(302)가 충전단자축(240)의 접촉면(246a)에서 이격되는 순간 휴대장치(300)로의 충전은 더 이상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한 충전단자축(240)의 상방향으로의 동작은, 상기 멈춤링(250)이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하면(220b)에 닿는 순간 정지한다. 즉, 상기 멈춤링(250)의 직경이 상기 통과공(22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더 이상의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 원추형납땜부 (244′)가 상기 충전단자 홀더(220)의 하면(220b)에 접촉하는 순간 상기 충전단자축 (240)의 움직임은 멈춘다. 물론 이는 상기 원추형납땜부(244′)의 직경이 충전단자 홀더(220)의 통과공(226)의 직경보다 크게 성형되었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과공(226)의 내주면의 상부 모서리가 경사 절삭 가공되어 경우의 충전단자축(240)이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통과공(226)의 내주면이 을 경사 절삭 가공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충전단자축(240)이 상기 통과공(226)에 강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통과공(226)의 면취부(226a)의 직경은 통과공(226)의 나머지 내주연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원추형납땜부(244′)가 상기 통과공(226)으로 삽입될 때, 상기 상기 원추형납땜부(244′)의 작은 직경의 원추형상이 상기 면취부(226a)로의 강제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인 충전장치의 실시예를 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휴대장치의 충전단자와 접속하여 통전을 행하는 충전단자축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충전단자 홀더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됨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한 충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공수 감소에 의한 제품 품질 향상이 기대됨과 아울러 생산 코스트 절감의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충전단자 홀더와 휴대장치 하우징이 2중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므로, 충전단자 홀더와 휴대장치 하우징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고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장치의 반복적인 착탈과 외부 충격에 따른 충전단자 홀더 이탈의 불안정성 등이 제거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충전단자축과 일체로 이탈방지부재를 성형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휴대장치 분리시 충전단자축이 휴대장치 하우징으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단자축의 통과공의 내주면을 경사 절삭 가공함으로써, 충전단자축이 충전단자홀더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과정이 간단해지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6)

  1. 일단부가 휴대장치의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통전 경로를 형성하는 통전수단;
    상기 통전수단을 부분적으로 외포하고, 상기 통전수단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통전수단을 휴대장치에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내측 저면에 상기 통전수단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와 통전수단을 안내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체결되는 휴대장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체결후크가 돌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체결후크와 체결하는 체결요홈이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의 대향 단부에는 유동방지부재가 돌출성형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홀더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상기 휴대장치 하우징에 돌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통전수단이 상기 홀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통전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통과공은, 내주면의 상부 모서리가 경사 절삭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KR10-2002-0059332A 2002-09-30 2002-09-30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KR10045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32A KR100452513B1 (ko) 2002-09-30 2002-09-30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32A KR100452513B1 (ko) 2002-09-30 2002-09-30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01A KR20040028201A (ko) 2004-04-03
KR100452513B1 true KR100452513B1 (ko) 2004-10-13

Family

ID=3733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332A KR100452513B1 (ko) 2002-09-30 2002-09-30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77B1 (ko) * 2009-12-28 2012-01-17 (주)토마토엘에스아이 디지털 제어가능 노이즈 필터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964304B1 (ko) * 2017-11-09 2019-04-01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솔라셀패널이 구비된 드론수납용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01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450B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JP200203315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5607795A (en) Battery terminals of miniature electronic apparatus and structure for retaining the same
JP2018133534A (ja) アダプタ組立体及び装置
KR100452513B1 (ko)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JP3053596B2 (ja) 直付型電球ユニット
KR100485077B1 (ko)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JP2001118552A (ja) 携帯機器およびその電池パック
CN209626488U (zh) 电连接器
JPH11111369A (ja)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JPH11214103A (ja) ランプソケット
CN221008930U (zh) 一种半导体晶体管结构
KR0128167B1 (ko) 충전용 밧데리 접속단자 고정장치
JP2000340196A (ja) バッテリパックの着脱構造
JPH0487174A (ja) 直管蛍光灯ソケット
US20240072485A1 (en) Connector assembly
KR200322025Y1 (ko) 스프링 커넥터 핀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KR20030063295A (ko) 스프링 커넥터 핀
CN208189849U (zh) 电子卡连接器
KR200363233Y1 (ko) 커넥터
JPH0534112Y2 (ko)
JPH04242082A (ja) 回路用電源接続装置
KR200158785Y1 (ko) 충전기의 접점단자 고정 구조
KR200299043Y1 (ko) 배터리-팩 충전장치의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