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610B1 -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 - Google Patents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610B1
KR100451610B1 KR10-2001-7014366A KR20017014366A KR100451610B1 KR 100451610 B1 KR100451610 B1 KR 100451610B1 KR 20017014366 A KR20017014366 A KR 20017014366A KR 100451610 B1 KR100451610 B1 KR 10045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
dihydro
methyl
imidazo
benzodiaze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487A (ko
Inventor
젱크프랑스와
호프만-에메리파비엔네
훈켈러발터
마르틴제임스리차드
슬레이트앤드류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11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 화합물, 및 불안증 치료제 및/또는 경련 억제제 및/또는 비-진정제 수면-유도성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IMIDAZODIAZEPINE DERIVATIVE}
상기 화합물 및 그의 염은 신규하며 유용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은 감지할 수 있는 진정 작용 및/또는 운동 근육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투여량 범위에 걸쳐서 치료상의 목적, 특히 불안증 치료제 및/또는 경련 억제제 목적 및/또는 불면증의 비-진정제 수면-유도성 치료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 및 이들 약제의 제조 방법은 물론 치료상 활성 물질로서 상기 언급된 화합물 및 그의 염 자체,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치료 목적 또는 상응하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이를테면 하기 반응식 1로 나타낸 합성 경로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조디아제핀은 시험관내에서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결합하는 높은 친화력뿐만 아니라 불안 장애, 불면증, 기분 장애, 정신병 증상 및 장애, 및 경련성 장애와 같은 증상에서 급속한 공격 및 강력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문헌[Hollister, L. E. et al., Clinical uses of benzodiazepines.J. Clin.Psychopharmacol.13(Suppl. 1) 1S-169S, 1993] 참조).
특히, 본 발명의 벤조디아제핀은 급성 및 만성 불안 장애(일반적인 불안 장애, 공포 장애, 사회 및 기타 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 및 급성 불안 위기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를 치료하는데 유용하고, 신속히 작용하여 경증 내지 중증의 불안 장애에 효험이 있으며 매일 투여할 때(예컨대 하루에 1번, 하루에 2번 또는 하루에 3번) 효과적임은 물론 공지의 통상적인 벤조디아제핀 불안증(예를 들어, 운동 근육의 손상, 과도한 진정 작용, 치료 효과의 내성, 육체적 의존성(및 결과적인 금단 증상), 남용 책임(즉, 생리학적 의존성), 인식 손상,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약물 상호 작용(특히, 에탄올, 또는 환자 집단 내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물질과의 상호 작용), 또는 과잉 투여에 따른 독성 효과(과장된 약리학적 효과, 또는 높은 투여량에 따른 화합물 자체의 비특이적 효과에 기인함))의 특징적인 부작용이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적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리학적인 개요는 동물로부터 수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치료상 투여량 범위와 부작용을 낳는 투여량을 명확하게 분리시킴을 포함한다.
불안 장애의 치료 및/또는 경련의 치료 및/또는 수면 장애의 비-진정제 치료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잠복기의 약리학적인 개요는 동물에 대한 운동 근육의 성능 표준 시험(예를 들어, 정맥내 주사후 1 시간 이하의 다른 시점에서 동일한 동물에서 평가된 운동 근육 작용을 갖는 마우스(mouse)에서의 회전 로드 시험(rotating rod test))에서 운동 근육 손상이 없거나 최소임을 포함한다. 본발명의 화합물은 회전 로드 부족에 대한 ED50(또는 동물의 50%에서 손상을 일으키는 투여량)이 약 10 mg/kg 정맥 주사보다 더 높음을 나타냈고, 이는 측정의 전 기간에 걸쳐서 다른 시점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리학적 개요는, 불안 장애를 갖는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한 불안증 치료제와 같은 효과와 함께 pKi9.1을 갖는 벤조디아제핀 수용체(균질화된 래트(rat) 피질을 사용한 시험관내 결합 분석에서의3H-플루마제닐)에 시험관내에서 결합하는 매우 높은 친화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비 임상단계에서 공지의 통상적인 생성물의 몇 가지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는 장점이 추가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불안 장애를 갖는 마우스 모델에서의 활성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마우스에서 낮은 에탄올 상호 작용, 장기간에 걸쳐 치료된 후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길항제(예를 들면, 사마제닐)가 투여된 마우스에서의 최소 금단 증상, 장기간에 걸친 치료 후 마우스에서 불안증 치료제의 효과 최소 감소(소위, 내성이라고 함), 또는 래트에서 최소의 인식 손상이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벤조디아제핀의 낮은 투여량은 불안 장애를 갖는 동물 모델에서 활성이 있고, 동물에서 경련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전형적인 예를 들어, 마틴(Martin) 및 해펠리(Haefely)의 문헌[Drugs used for the treatment of anxiety and sleep disorders, In: Principles of Pharmacology: Basic Concepts and Clinical Applications, P. Munson 등 편집, 뉴욕: Chapman & Hall, 243-277, 199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벤조디아제핀은 사이토크롬 P450 동위효소를최소 생산하거나 또는 억제하지 않으므로, 대사 원인에 기인한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중추 신경계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친화력은 문헌[Nature,294, 763-765, 1981] 및 [J. Neurochemistry,37, 714-722, 198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시험관내에서 확립되었다. 이들 방법에 따라서, 각각의 시험 물질에 의해 래트 피질 중의 특이적인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3중 수소화된 플루마제닐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이 측정되었다. 친화력은 래트 피질 중의 특이적인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3중 수소화된 플루마제닐의 특이적인 결합의 척도로서 pKi를 측정함으로써 계산하였다(pKi에 대한 배경 정보 참조 문헌: 쳉(Cheng, Y.) 및 프루소프(W. H. Prusoff)의 문헌[Relationship between the inhibition constant(Ki) and the concentration of inhibitor which causes 50 percent inhibition(IC50) of an enzymatic reaction,Biochem. Pharmac. 22, 3099-3108, 1973]).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운동 근육을 손상시키는 성질을, 예를 들어 회전 로드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약 20 내지 30g의 중량이 나가는 마우스(Ibm: MORO(SPF); 스위스 체하-4414 퓔린스도르프 소재의 알씨씨 리미티드(RCC Ltd.) 제)를 상기 시험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마우스를 마크롤론(등록상표, Macrolon) I형 케이지에서 실험실용 집단에서 1일 이상 동안 하기 시도에 따라서 양육하였다(12:12 시간 낮-밤 주기). 이들을 시험할 때까지 양육 케이지 속에서표준 설치 동물용 음식물(스위스 카이제르아우스트 소재의 클리바 뮈렌(Kliba Muhlen)) 및 수돗물에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한다. 이들을 낮-밤 주기의 빛의 비율 동안 행해진 시험전 적어도 30 분전에 시험 실험실로 가져온다. 회전 로드 시험 중에, 동물을 수평하게 배열된, 매끄러운 직경 3cm의 금속 로드 상에 놓고 분 당 2 회전으로 회전시켰다. 초기에, 이 동물에게 30초 이상 동안 시험 상황에 익숙해질 기회를 준다. 이어서, 1분 이상 동안 로드에 성공적으로 남아 있는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다. 그 다음, 이 선택된 동물에게 다양한 투여량의 정맥 주사로 시험 제제를 투여한다. 주사 후 다양한 시점에서, 이 동물이 최소 주기(15초, 30초, 1분 및 2분의 시점에서 최소 주기 10초; 5분, 15분, 30분 및 60분의 시점에서 최소 주기 1분) 동안 로드 상에서 여전히 걸을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상기 동물의 50%가 여전히 로드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투여량(즉, ED50)을 상기 각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앞서 기재된 시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 투여후 다음 시점에서 측정된 회전 로드 시험(mg/kg 정맥 주사에 따른 ED50)
15초 30초 60초 2분 5분 15분 30분 60분
pKi=9.1 >10 >10 >10 >10 >10 >10 >10 >10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체내의 작용제 활성은 불안 장애를 갖는 마우스 자발 충돌 모델(실험적인 상세한 설명을 위해 마틴(Martin) 등의 문헌[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of buspirone fails to yield anxiolytic-like effects in a mouse operant punishment paradigm,Pharmacol. Biochem. Behav.,46, 905-910, 1993] 참조)에서 증명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거의 30 내지 40g의 중량이 나가는 다 자란 암컷 백색 마우스[Ibm: MORO(SPF); 스위스 체하-4414 퓔린스도르프 소재의 알씨씨 리미티드 제]를 몇 개월에 걸쳐 잘 훈련시켜 사용하였다. 마우스를 톱밥으로 바닥을 깐 마크롤론 I형 플라스틱 케이지 내에서 각각 양육하였다. 표준 실험용 음식물(스위스 카이제르아우스트 소재의 클리바 뮈렌)에 대한 접근은 제한된 반면에, 수돗물은 임의로 마우스가 이용할 수 있었다. 실험을 하는 동안, 마우스는 자유 급식시 체중의 거의 80 내지 85%를 유지하였다. 오전 7시 내지 오후 5시 사이에 매일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음식을 주지 않은 마우스가 음식 컵 내로 운반되는 음식물 펠렛(배합 A/I; 미국 뉴햄프셔주 랭커스터 소재의 피. 제이 노이즈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P. J. Noyes Company, Inc.) 제품) 20mg을 받기 위하여 소리가 가늘고 움직이는 상자(약 17 ×18 ×21cm) 내에 있는 레버(lever)를 누르도록 먼저 훈련시켰다. 훈련기간을 20분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매주 평일에 실시하였다. 반응의 안정적인 패턴이 확립되었을 때, 신규한 실험적인 상이 도입되었다. 주 당 1 또는 2 기간(소위, "충돌 시험") 내에, 각 레버 프레스(press)가 1회용 음식물 펠렛으로 보강된 초기 5분 주기에 이어서 각 레버 프레스가 스테인레스-강철제 격자 마루를 통하여 운반된 약한 갑작스런 움직임의 충격 및 부수된 1회용 음식물 펠렛의 공급을 초래하는 신호가 없는 15분 주기가 따른다. 이후의 충돌 시험에서, 시험하기 전에 몇 가지 표준 벤조디아제핀수용체 전체 작용제(예를 들면, 디아제팜) 또는 비히클(vehicle) 중의 하나를 수용하였다. 튼튼하고 안정한 응징된 응답의 약물-유도성 증가를 나타낸 마우스만이 잠재적인 불안증 치료제를 연구하기 위한 다음의 실험에서의 사용을 위해 유지되었다. 연속적으로 약물을 노출시키면, 1 주일 이상의 세출 주기로 단리되었다. 충돌 시험을 하기 약 30분 전에 경구용 환약으로 투여시켜 치료하였다. 충돌 시험기간의 응징된 부분 내에서 레버 프레스 평가는 주어진 화합물의 불안증 치료제 가능성의 정확한 징후를 제공한다. 각각의 약물 투여량에 대한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인정된 0.05 이하의 p 값으로 한쪽꼬리 윌콕슨 대응짝 부호 순위 검정(one-taile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test)을 이용하여 동일한 동물에서 비히클 조건하의 자료(시험중 약물로 산재된 비히클 시험에 대한 평균값)와 개별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최소 효과 투여량(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불안증 치료제와 같은 효과를 가짐)은 기타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작용제(예를 들면, 디아제팜)를 대표하여 유력한 불안증 치료제와 같은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는 3 mg/kg 경구 투여이었다.
시험관내에서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결합하는 높은 친화력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회전 로드 손상에 대한 ED50이 10 mg/kg 이하의 정맥 주사에 도달하는데 실패하였다.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예를 들어, 마우스에 자발적인 충돌 모델에서 활성임)에 대한 작용제 활성을 고려할 때, 상기 치료상 관련된 효과가 감지할 수 있는 진정 작용 및/또는 운동 근육 손상의 부재시 넓은 투여량범위에 걸쳐 수득될 수 있다는 중요한 장점으로 불안증 치료제(평온화제) 및/또는 경련 억제제로서, 및/또는 불면증을 비-진정제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회전 로드 시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00 mg/kg 이하를 마우스에 정맥 주사로 투여하였으나 치사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래트(Ibm: RORO(SPF); 스위스 체하-4414 퓔린스도르프 소재의 알씨씨 리미티드 제)도 본 발명의 화합물 100 mg/kg을 정맥 주사로 수용하였으나 치사가 일어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을 약제, 예를 들어 약학 제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약학 제제는, 예를 들어 정제, 피복정제, 당의정,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 용액, 유화제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좌제의 형태로 직장으로 투여되거나, 예를 들어 주사 용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약학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담체로 가공될 수 있다. 락토스, 옥수수 전분 또는 그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등은, 예를 들어 정제, 피복정제, 당의정 및 경질 젤라틴 캡슐용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에 적합한 담체로는, 예를 들어 식물성유, 왁스, 지방, 반-고체 및 액체 폴리올 등이 있으나, 활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 연질 젤라틴 캡슐의 경우에 어떠한 담체도 필요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액 및 시럽의 제조에 적합한 담체로는, 예를 들어 물, 폴리올, 사카로스, 전화당, 글루코스 등이 있다. 알콜, 폴리올, 글리세롤, 식물성유 등과 같은 보조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용성 산 부가염의 주사 수용액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좌제에 적합한 담체로는, 예를 들어 천연 또는 경화 오일,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 폴리올 등이 있다.
약학 제제는 보존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료, 착색제, 풍미제, 삼투압 조정용 염, 완충액, 피복제 또는 산화방지제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또한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기타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및 치료학적으로 불활성인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기타 물질을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으로 불활성인 담체와 함께 생약의 형태로 투여시킴을 포함하는 약제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치료 목적, 특히 불안증 치료제 및/또는 경련 억제제 및/또는 불면증을 비-진정제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넓은 제한 내에서 다양할 수 있고, 물론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서 개개인의 요구에 맞추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의 경우에 있어서 1일 투여량은 약 1 내지 1000mg이 적절하다. 정맥 또는 직장 투여의 경우에 있어서 1일 투여량은 약 1 내지 100mg이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의 제조, 특히 비-진정제 및 비-운동 근육 손상시키는 불안 치료제 및/또는 경련 억제제 및/또는 비-진정제 수면-유도성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유용한 산 부가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예시하지만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a) 6-클로로-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디아제핀-2,5(1H)-디온(III).
6-클로로-이사토인산 무수물(II) 25.0g 및 사코신 12.4g을 교반하에 아르곤 대기하에 p-크실렌 100㎖ 중에 현탁시키고 2시간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이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1시간동안 추가로 교반한 다음, 여거하였다. 침전물을 p-크실렌 25㎖로 2회 세척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6-클로로-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디아제핀-2,5(1H)-디온(II))를 탈이온수 75㎖ 중에 0℃에서 1시간동안 침지하고, 여거한 다음, 탈이온수 25㎖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80℃에서 1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베이지 색 분말 25.2g, 융점 230 내지 232℃.
(b) 에틸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V).
6-클로로-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디아제핀-2,5(1H)-디온(III) 25.0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 톨루엔 200㎖와 N,N-디메틸-p-톨루이딘 32.1㎖중에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을 100℃로 가열하고 옥시염화인 11.2㎖를 30분에 걸쳐서 첨가한 다음, 100℃에서 2시간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어두운 오렌지색 용액을 40℃로 냉각하고, 감압하에 톨루엔을 제거하여 어두운 오렌지색 오일 82g을 수득하였다.
헥사메틸디실라잔 81.2㎖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65㎖를 혼합하고 -35℃로 냉각하였다. 부틸리튬 229.5㎖를 45분에 걸쳐서 첨가하고 -35℃에서 30분동안 교반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70.4㎖ 중 에틸(디메틸아미노-메틸렌아미노)아세테이트 35.2g의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수득된 오렌지색의 용액을 -35℃에서 1시간 더 교반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중 조 이미노클로라이드 용액을 -15℃에서 1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이 어두운 적색 용액을 -15℃에서 1시간동안 및 이어서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75㎖를 10분 이내에 첨가한 다음, 탈이온수 75㎖를 한번에 첨가하고 오렌지색 현탁액을 2시간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200㎖와 탈이온수 100㎖ 중에 분배하였다. 상을 분리하여 유기 상을 1N 수성 HCl 100㎖로 2회 세척하고 탈이온수 100㎖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0㎖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n-헵탄 200㎖ 중에 실온에서 30분동안 침지시키고 여거하였다. 수득된 점착성 결정체를 에탄올 213.5㎖ 중에 30분동안 환류로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2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에틸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V))을 여거하고, 에탄올 20㎖로 3회 세척하여 감압하에 60℃에서 16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베이지색 분말 23.4g, 융점 225.5 내지 226.5℃.
(c)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 핀-3-카복스아미드(VI).
에틸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실레이트(V) 22.8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 1,4-디옥산 91.2㎖ 중에 현탁시켰다. 포름아미드 14.1㎖와 메탄올산 나트륨 13.9㎖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밝은 빛의 오렌지색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것은 10분 후에 백색 현탁액으로 변하였다. 이 현탁액을 3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탈이온수 200㎖를 한번에 첨가하고 1,4-디옥산을 감압하에 40℃에서 유거하였다. 잔류하는 백색 현탁액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침전물(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스아미드(VI))을 탈이온수 50㎖로 3회 세척하고 감압하에 80℃에서 1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백색 분말 19.43g, 융점>250℃.
(d)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 핀-3-카보니트릴(VII).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스아미드(VI) 19.0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 1,4-디옥산 95㎖ 중에 현탁시키고, 옥시염화인 6.58㎖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가열시켜 환류시킨 후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고, 이것을 감압하에 50℃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탈이온수 100㎖ 중에 실온에서 2시간동안 침지시켰다. 침전물(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보니트릴(VII))을 여거하고 탈이온수 30㎖로 3회 세척하여 진공하에 80℃에서 1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밝은 황색 분말 17.3g, 융점 238.5 내지 239.5℃.
(e)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 핀-3-카복스아미독심(VIII).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보니트릴(VII) 16.8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1㎖ 중에 현탁시키고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3.48g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메탄올산 나트륨 34.2㎖를 황색 현탁액에 60분에 걸쳐서 첨가시킨 결과 무색 현탁액으로 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이상 교반한 후, 0 내지 2℃로 냉각하고 탈이온수 202㎖를 3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0℃에서 1시간 이상 교반한 후, 침전물(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스아미독심(VIII))을 여거하고 탈이온수 40㎖로 2회 세척하고 진공하에 70℃에서 1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백색 분말 17.84g, 융점>250℃.
(f)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X).
7-클로로-5,6-디하이드로-5-메틸-6-옥소-4H-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3-카복스아미독심(VIII) 8.0g과 산화 마그네슘 1.0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1,4-디옥산 160㎖ 중에 현탁시켰다. 클로르아세틸 클로라이드 2.7㎖를 한번에 첨가하고 수득된 백색의 진한 젤을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17시간 환류시켜 밝은 오렌지색 유체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디옥산 100㎖를 유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탈이온수 180㎖를 15분 이내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거하고 탈이온수 50㎖로 2회 세척하고 진공하에 80℃에서 18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밝은 분홍색 분말 8.3g. 이 조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 중에 환류로 용해하고 활성탄 다르코(Darco) G 60 0.83g을 첨가하였다. 이 계를 1시간 환류시킨 후 디칼리트 스피덱스(Dicalit-Speedex) 25g 상에서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filter cake)를 따뜻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로 3회분으로 세척하였다. 이 여과액을 감압하에 40℃에서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 80㎖ 중에 환류로 1시간 침지시킨 다음,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2℃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침전물(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X))을 여거하고, 차가운 3차-부틸-메틸에테르 25㎖로 2회분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80℃에서 5시간 건조시켰다. 조생성물: 밝은 베이지색 분말 7.6g, 융점 234 내지 238℃.
(g)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X) 7.0g을 교반 및 아르곤 대기하에 1,4-디옥산 70㎖ 중에 현탁하고 디메틸아민(에탄올 중 33%) 25.7㎖를 6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이상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35℃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50㎖와 탈이온수 20㎖ 중에 분배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탈이온수 20㎖로 2회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25㎖로 동량씩 2회로 별도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조생성물: 밝은 황색 발포체 8.0g.
정제
조생성물을 에탄올 40㎖ 중에 환류로 용해하고 활성탄 다르코 G 60 400mg을 첨가하였다. 이 계를 1시간 환류시키면서 교반한 후, 디칼리트 스피덱스의 핫 패드(hot pad) 상에서 여과하고 뜨거운 에탄올 40㎖로 2회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하에 14g으로 농축하고,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동일 온도에서 3차-부틸-메틸에테르 40㎖를 5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하고, 16시간 교반하고 추가로 2℃로 냉각하였다. 2℃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침전물을 여거하고 3차-부틸-메틸에테르 20㎖로 세척하여 진공하에 60℃에서 1시간 건조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분말을 에틸아세테이트 26㎖로 환류하면서 용해시켰다. 이어서 에틸아세테이트 6.5㎖를 유거하고 수득된 농후한 용액을 서서히 실온으로 냉각한 후, 0℃로 냉각하였다. 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침전물을 여거하고 차가운 3차-부틸-메틸에테르 10㎖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60℃에서 16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분말(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을 상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서 에틸아세테이트 24.3㎖ 중에 재차 결정화시켰다. 생성물: 백색 분말 5.5g, 융점 151.5 내지 153℃.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 말레이트(1:1)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I) 373mg과 말레산 116mg을 뜨거운 에탄올 3㎖ 중에 용해시켰다. 냉각하자마자, 이 염은 결정화하였다. 현탁액을 0℃에서 10분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건조시켜 백색 고체의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 말레이트(1:1)를 수득하였다. 융점 182 내지 184℃.
실시예 A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을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여 하기 조성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활성 물질 25.0mg
락토스 일수화물 177.5mg
옥수수 전분 화이트 60.0mg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12.0mg
포비돈 30 15.0mg
활석 9.0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5mg

Claims (7)

  1. 하기 화학식 I의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 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
    화학식 I
  2. 제 1 항의 화합물 및 치료학적으로 불활성인 담체를 포함하는, 불안증, 경련 또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
  3.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을 디메틸아민의 존재하에 아민화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7-클로로-3-(5-디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5-메틸-4,5-디하이드로-이미다조[1,5-a][1,4]벤조디아제핀-6-온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1-7014366A 1999-05-12 2000-05-05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 KR100451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09513 1999-05-12
EP99109513.4 1999-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487A KR20010112487A (ko) 2001-12-20
KR100451610B1 true KR100451610B1 (ko) 2004-10-06

Family

ID=823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366A KR100451610B1 (ko) 1999-05-12 2000-05-05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391873B1 (ko)
EP (1) EP1178990B1 (ko)
JP (1) JP3706307B2 (ko)
KR (1) KR100451610B1 (ko)
CN (1) CN1164590C (ko)
AR (1) AR023884A1 (ko)
AT (1) ATE231865T1 (ko)
AU (1) AU769666B2 (ko)
BR (1) BR0010495A (ko)
CA (1) CA2372040C (ko)
DE (1) DE60001313T2 (ko)
DK (1) DK1178990T3 (ko)
ES (1) ES2189759T3 (ko)
MX (1) MXPA01011449A (ko)
TR (1) TR200103237T2 (ko)
WO (1) WO2000069858A1 (ko)
ZA (1) ZA200108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8307A1 (fr) 2006-08-11 2008-02-14 Panasonic Corporation Contre-mesure de temporisation d'une pluralité de dispositifs de lectur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reproduction réalisant un contrôle d'économie d'énergie
WO2009024324A2 (en) * 2007-08-20 2009-02-26 Evotec Neurosciences Gmbh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20090054412A1 (en) * 2007-08-20 2009-02-26 John Alan Kemp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BRPI0815579A2 (pt) * 2007-08-20 2015-02-18 Evotec Neurosciences Gmbh Tratamento de distúrbio do sono
DK2252581T3 (da) * 2008-01-22 2012-07-16 Lilly Co Eli Kappa-selektiv opioidreceptorantagonist
CN107007559B (zh) * 2017-04-21 2020-05-15 浙江京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的口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134471B (zh) * 2017-06-27 2020-05-15 浙江京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苯并二氮杂*化合物的固态形式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3246C (en) * 1994-03-16 2000-08-22 Thierry Godel Imidazodiazepines
DE59607274D1 (de) * 1995-01-06 2001-08-16 Hoffmann La Roche Hydroxymethyl-imidazodiazepine und deren 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2040A1 (en) 2000-11-23
JP3706307B2 (ja) 2005-10-12
BR0010495A (pt) 2002-02-13
US6391873B1 (en) 2002-05-21
CA2372040C (en) 2008-12-02
AR023884A1 (es) 2002-09-04
KR20010112487A (ko) 2001-12-20
ATE231865T1 (de) 2003-02-15
EP1178990B1 (en) 2003-01-29
TR200103237T2 (tr) 2002-04-22
CN1350538A (zh) 2002-05-22
DE60001313D1 (en) 2003-03-06
JP2002544277A (ja) 2002-12-24
ES2189759T3 (es) 2003-07-16
AU769666B2 (en) 2004-01-29
CN1164590C (zh) 2004-09-01
WO2000069858A1 (en) 2000-11-23
ZA200108913B (en) 2003-03-26
DE60001313T2 (de) 2004-01-22
MXPA01011449A (es) 2002-06-04
DK1178990T3 (da) 2003-05-26
EP1178990A1 (en) 2002-02-13
AU5211400A (en)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19158T2 (de) Pyrazoloisochinolinenderivaten als kinase inhibitoren
DE69112895T4 (de) Pharmazeutische Verbindungen.
WO2007147646A1 (de) OXO-SUBSTITUIERTE IMIDAZO[1,2b]PYRIDAZIN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TW200424206A (en) Salts of tricyclic inhibitors of poly(ADP-ribose) polymerases
HRP980398A2 (en) 5H-THIAZOLO /3,2-a/ PYRIMIDINE DERIVATIVES
EP0278161B1 (en) Ketone derivatives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the withdrawal syndrome
KR100451610B1 (ko) 이미다조디아제핀 유도체
DK175197B1 (da) Anvendelse af tetrahydrobenz[c,d]indol-6-carboxamider som anxiolytika
TW201920195A (zh) 五環化合物
JPH01100118A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トロンボキサンa↓2拮抗剤を含む新規な医薬組成物、その使用及びその製造法
WO2002036577A1 (fr) Derives quinazoline et medicaments
EP0452926B1 (en) 5-aryl-4-alkyl-3H-1,2,4-triazole-3-thiones useful as memory enhancers
KR920007437B1 (ko) 티에노시클로 헵타 피리다진 화합물과 그것의 의약용도
JP2006522095A (ja) ピロロ[1,2−b]ピリダジン化合物及びそのCRF1受容体拮抗剤としての使用
US7098338B2 (en) 2,3,4,4a-tetrahydro-1H-pyrazino(1,2-a) quinoxalin-5(6H)one derivatives
JPH01265076A (ja) 医薬品
EP1001956B1 (en) 2,3-benzodiazepine derivatives
JP2008514565A (ja) 三環式化合物、それら製造方法、及び医薬剤としての使用
JP2005507391A (ja) 不安及び痙攣の治療のための7−tert−ブチル−3−(2−フルオロフェニル)−6−(2h−(1,2,4)トリアゾール−3−イルメトキシ)−(1,2,4)トリアゾロ(4,3−b)ピリダジン
JP2000517287A (ja) 物質乱用の処置方法
US20040254173A1 (en) Modulation of dopamine responses with substituted (S)-2,3-benzodiazepines
US4075408A (en) Imidazopyrazolodiazepine compounds
JP2006522094A (ja) ピロロ〔1,2−b〕ピリダジン化合物及びそれらの使用
KR20060030907A (ko) 7-치환된 3-니트로-피라졸로 '1,5-a! 피리미딘
JP2002529470A (ja) 縮合ピリダジノン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