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880B1 -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880B1
KR100450880B1 KR1019950038181A KR19950038181A KR100450880B1 KR 100450880 B1 KR100450880 B1 KR 100450880B1 KR 1019950038181 A KR1019950038181 A KR 1019950038181A KR 19950038181 A KR19950038181 A KR 19950038181A KR 100450880 B1 KR100450880 B1 KR 10045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ubstituted
hepatitis
methyl
py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072A (ko
Inventor
박문수
김재현
정동훈
문기호
하종열
임재욱
조인구
최건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외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외제약
Priority to KR101995003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880B1/ko
Publication of KR97002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하기 일반식 (I) 의 신규한 이리도이드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는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 은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며,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 에톡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함께 또는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n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며, R3 는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C1-C5 알킬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B 형 간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신규한 이리도이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하기 일반식 (I) 의 신규한 이리도이드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는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 은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며,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 에특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함께 또는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n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며, R3 는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C1-C5 알킬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B 형 간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모노 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인 이리도이드(Iridoids) 유도체로서 신규한 오쿠빈(Aucunin) 및 제니핀(Genipin) 등이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B 형 간염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참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4-1886호), 이들은 각각 하기 구조식 [A] 및 [B] 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오쿠빈 및 제니핀은 항 바이러스 활성을 비롯하여 간보호작용, RNA 및 단백질 생합성의 억제, 해독활성 등의 생체활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제니핀으로 대표되는 R1=OH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분해되어 디알데히드를 생성하면서 알부민 등 생체내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와 결합함으로써 뇨, 변 및 각종 장기를 푸른 빛으로 변화시키고 면역독성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을 갖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과 구조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갖는 기존의 화합물로는 국제 특허 공개 제 WO 92/06061 호에 기재된 하기 구조식 [C] 의 화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 은 벤조일옥시,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에톡시에톡시를 나타내고,
R2 는 벤조일옥시메틸, 메톡시메틸, 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 카르복시 또는 하이드록시메틸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일반식 [C] 의 화합물이 고지혈증 치료제나 이담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을 뿐이므로, R1 및 R2 치환기의 종류 및 생리활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선행기술을 기초로하여 본 발명자들은 종래 화합물에 비해 실질적으로 보다 우수한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오쿠빈 및 제니핀의 유도체로서 새로이 고안된 일련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들의 항 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하는 광범위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 상기 일반식 (I) 의 범주에 속하는 화합물이 이러한 목적에 부응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서 R1 이 저급알콕시 그룹인 화합물은 제니핀류 화합물에 대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화학적으로도 안정화되어 생체내 안정성이 증대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 의 이리도이드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는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 은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를 나타내며,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 에톡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함께 또는 의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n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며, R3 는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C1-C5 알킬을 나타낸다.
B 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에 대해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양쪽 이 둘다 이중결합인 경우, R1 은 메톡시를 나타내고,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아미노, 푸르푸릴메틸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된 메틸; 에톡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된 에테닐; 또는 펜타디에닐을 나타내거나, 6 원환의 이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5 원환의 이 단일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및 R2 는 함께 을 나타내고, 여기서 R3 는 하이드록시 또는 아세톡시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상기 일반식 (I) 화합물의 피란 그룹에서 R1 그룹이 치환되어 있는 1 번 위치 및 5 원 환과 융합되어 있는 4a 및 7a 위치의 탄소는 비대칭 탄소로서 R 또는 S 형태이거나, R 및 S 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이들 각각의 광학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스파라긴산염, 글루콘산염, 글루타민산염, 염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또는 구연산염 등과 같은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 및 이리도이드계 화합물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그밖의 다른 산 또는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이들 염은 통상의 전환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상기 일반식 (I) 의 신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식 (I) 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도식 1 또는 2 에 정리하여 나타낸 바에 따라 임의로 용매 및 염기의 존재하에 출발물질로서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메틸 (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를 이용하고 R2 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도식 1:
반응도식 2:
한편, 반응도식 1 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는 문헌 공지된 방법에 따라 트리플루오로붕소·디에틸에테르 및 메탄올의 존재하에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하이드록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일명 제니핀)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도식 1 및 2 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 (I) 의 신규 이리도이드계 화합물이 목적하는 항 바이러스 활성을 갖고 있으며, 치료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정도로 독성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간염바이러스의 복제 억제효과, 세포독성시험 및 급성독성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간염바이러스의 복제 억제효과는 2. 2. 15. 세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2. 2. 15. 세포계(참조: Sells et al., Journal of Virology, 62, 2836-2844, 1988)는 B 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간암세포로서 만성 HBV 감염의 모든 필수적인 바이러스적 특징을 정확하게 표본화하는 대표적인 표준 세포이다. 즉, 2. 2. 15. 세포는 DNA 패턴이 안정되고, 복제되는 바이러스가 높은 레벨로 존재하며, 바이러스 특이성 RNA 전사체 및 단백질이 적절한 크기 및 패턴으로 존재하고, 침투한 HBV 비리온이 고역가로 방출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HBV 에 대한 활성도를 평가하는데 매우 적절한 세포계로 인정되고 있다(참조: Korba and Milman, Antiviral Research, 15, p217-228 (1991)).
본 발명에서는 먼저 2. 2. 15. 세포를 배양하고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로 처리한 다음, DNA 및 RNA 의 추출, 겔 전기영동, HBV DNA 의 혼성교잡 분석(Hybridization analysis) 과정을 통해 간염바이러스의 복제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처리된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고 비교물질로는 간염치료제로 널리 공지되어 있는 ddC (dideoxy cytidine) 를 사용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이리도이드 유도체가 공지의 ddC 에 비해 거의 3 배에 달하는 우수한 복제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의 항 바이러스 효과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때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중성 적 염료(neutral red dye) 포획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 범위내에서는 세포에 대해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수행한 급성독성시험으로 부터도 공지 화합물인 제니핀에 비해 월등한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 의 화합물은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B 형 간염 치료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 형 간염 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투여시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일반식 (I) 의 화합물을 배합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시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는 고체이거나 액체일 수 있으며, 희석제, 향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현탁제, 결합제, 정제팽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당, 전분, 만니톨, 면실유 등을 언급할 수 있다.
B 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방법에 사용된 화합물은 초기에는 하루에 킬로그람당 0.1 내지 100mg 의 투여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투약량은 환자의 필요정도, 치료되어야 할 상태의 정도, 사용될 화합물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특정한 상태에서 바람직한 투약량을 결정하는 것은 본 분야의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량보다 적은 투약량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상황에 따라 최적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조금씩 투약량을 증가시킨다. 편의에 따라, 총 하루 투약량을 몇회에 걸쳐 나누어 하루동안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하이드록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5g (22.1mmol)을 메탄올 250㎖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플루오로붕소·디에틸에테르를 촉매량 가한 다음,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20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농축시켰다. 메틸렌클로라이드 100㎖ 로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 v/v)로 분리, 정제하여 오일상의 표제 화합물을 5.26g (수율: 100%) 수득하였다.
1H-NMR (CDCl3) : δ 7.47(s, 1H), 6.02(s, 1H), 5.21(s, 1H), 4.23(s, 2H), 3.76(s, 3H), 3.41(s, 3H). 3.15(m, 1H), 3.04(m, 1H), 2.80(m, 1H), 2.30(m, 1H)
실시예 1: 메틸 (1S,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4카르복실레이트(I-1a) 및 메틸 (1R,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1b)의 합성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5.26g (21.9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피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PCC) 9.5g (44.2mmol)을 가한 다음,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4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틸렌클로라이드 5/1/1, v/v/v)로 반응의 진행정도를 확인한 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틸렌클로라이드 5/1/1, v/v/v)로 정제하고 n-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 v/v)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의 화합물(I-1a)을 2.1g (수율: 40%),동일성상의 화합물(I-1b)을 2.63g (수율: 50%)각각 수득하였다.
· 화합물 (I-1a) :
융점 : 158.5 내지 161.5℃
1H NMR (CDCl3) : δ 9.77(s,1H), 7.47(m,1H), 7.08(m,1H), 5.28(m,1H), 3.75(s,3H), 3.28(s.3H). 3.25(m,1H), 3.12(m,2H), 2.51(m,1H)
IR (KBr) : 2970, 2830, 2730, 1710, 1680, 1630, 1450, 1290, 1190, 1170, 1090 및 1070cm-1
· 화합물 (I-1b) :
융점 : 68 내지 69.5℃
1H NMR (CDCl3) : δ 9.77(s,1H), 7.47(s,1H), 6.99(m,1H), 5.29(m,1H), 3.76(s,3H), 3.48(s,3H), 3.36(m,1H), 3.30(m,1H), 2.99(m,1H), 2.60(m,1H)
IR (KBr) : 2970, 2830, 2730, 1710, 1680, 1630, 1450, 1290, 1190 및 1070cm-1
실시예 2: 메틸 (4aS,7aS)-7-클로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2)의 합성
제법 A :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1.857g (7.74mmol)을 피리딘 15㎖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적하깔대기를 사용하여 티오닐클로라이드 1.84g (15.5m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70 내지 80℃ 를 유지하면서 3 일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에틸아세테이트 70㎖ 를 가하고 1N-염산수용액,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소금물의 순서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2, v/v)로 정제하여 오일상의 화합물(I-2) 을 1.5g (수율: 75%) 수득하였다.
제법 B: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238㎎ (1 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촉매량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트리에틸아민 181㎕ (1.3 mmol)을 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메틸설포닐클로라이드 149㎎ (1.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물을 1N 염산수용액 및 소금물로 세척하고 진공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0/1, v/v)로 정제한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 : 1, v/v)의 혼합용액으로 재결정하여 백색결정상의 화합물(I-2) 을 228㎎ (수율: 89%) 수득 하였다.
· 화합물 (I-2) :
융점 : 72.5 내지 73.5℃
실시예 3: 메틸 (4aS,7aS)-7-아지도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3)의 합성
메틸 (4aS,7aS)-7-클로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0.156g (0.6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4㎖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나트륨아지드 0.05g (0.6mmol)을 가한 다음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물 20㎖ 를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 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출물로 부터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0/1, v/v)로 정제하여 오일상의 화합물(I-3)을 140mg (수율: 88%) 수득하였다.
· 화합물 (I-3) :
1H-NMR (CDCl3) : δ 7.5(m,1H), 5.89(s,1H), 4.47(m,1H), 3.97(m,2H), 3.71(s,3H), 3.55(s,3H), 3.19(m,1H), 2.91(m,1H), 2.62(m,1H), 2.13(m,1H)
IR (KBr) : 2960, 2860, 2100, 1710, 1640, 1440, 1390, 1290, 1180 및 1080cm-1
실시예 4: 메틸 (1S,4aS,7aS)-7-[(푸르푸릴-2-일)메틸아미노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4) 의 합성
(푸르푸릴-2-일)메틸아민 74㎕ (2 당량) 및 아세트산 24㎕ (1 당량)을 메탄올 10㎖ 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메틸 (1S,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0.1g (0.42mmol) 및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Na(CN)BH3) 0.028g (1 당량)을 가하고 상온에서 3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확인한 후,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 2 로 조정하였다. 계속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12 로 조정한 다음 메탄올을 감압증류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3 회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소금물로 세척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4,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I-4) 을 0.117g (수율: 87%) 수득하였다.
· 화합물 (I-4) :
1H NMR (CDCl3) : δ 7.45(m,1H), 7.36(m,1H), 6.32(m,1H). 6.18(m,1H), 5.76(s,1H), 5.13(m,1H), 3.76(s,3H), 3.73(s,3H), 3.35(s,3H), 3.33(m,2H), 3.08(m,1H), 2.92(m,1H), 2.75(m,1H), 2.26(m,1H)
IR (KBr) : 2960, 2860, 1710, 1640, 1450, 1370, 1290, 1180, 1160 및 1080cm-1
실시예 5: 트란스-메틸 (1S,4aS,7aS)-7-(1,3-펜타디에닐)-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5a) 및 시스-메틸 (1S,4aS,7aS)-7-(1,3,-펜타디에닐)-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5b)의 합성
-78℃ 에서 크로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 0.31g (1.05 당량)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n-부틸리튬 70㎕ (2.1 당량) 을 가하였다. 등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한 다음, 메틸 (1S,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0.2g (1.08mmol)을 가하고 15 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하면서 반응을 완결시켰다. 물 10㎖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15㎖ 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1, v/v)로 분리, 정제하여 백색 결정의 화합물(I-5a) 0.18g (수율: 50%) 및 (I-5b) 0.15g (수율: 42%) 을 수득하였다.
· 화합물 (I-5a) :
1H NMR (CDCl3) : δ 7.46(m,1H). 6.53(m,1H), 6.15(m,1H), 5.95(m,1H), 5.80(m,1H), 5.23(m,1H), 3.74(s,3H), 3.34(s,3H), 3.1(m,2H), 2.82(m,1H), 2.34(m,1H), 1.82(m,3H), 1.43(m,1H)
IR (KBr) : 3480, 2960, 1710, 1640, 1450, 1380, 1300, 1170 및 1080cm-1
· 화합물 (I-5b) :
1H NMR (CDCl3) : δ 7.46(m,1H), 6.53(m,1H), 6.15(m,1H), 5.95(m,1H), 5.80(m,1H), 5.23(m,1H), 3.74(s,3H), 3.34(s,3H), 3,0(m,2H), 2.79(m,1H)
2.30(m,1H), 1.82(m,3H), 1.43(m,1H)
IR (KBr) : 3480, 2960, 1710, 1640, 1450, 1380, 1300, 1170 및 1080cm-1
실시예 6: 메틸 (4aS,7aS)-7-(2-에톡시카보닐에테닐)-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6) 의 합성
상온에서 카보닐에톡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Ph3P=CHCOOEt) 696mg(2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7㎖ 에 용해시키고 메틸 (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238mg (1mmol)을 가한 다음 3 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펜탄을 사용하여 반응중에 생성된 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제거하고 감압증류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0/1,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I-6) 을 280mg (수율: 97%) 수득하였다.
· 화합물 (I-6) :
1H NMR (CDCl3) : δ 7.46(s,1H), 7.37(d,1H,J=15.8Hz), 6.38(m,1H), 5.81(d,1H, J=15.8Hz), 5.20(m,1H), 4.19(q,2H,J=4.1Hz), 3.78(s,3H), 3.36(s,3H), 3.17(m,2H), 2.91(m,1H), 2.37(m,1H), 1.28(t,3H,J=4.1Hz)
IR (KBr) : 3480, 3040, 3000, 2960, 2860, 1720, 1650, 1450, 1375, 1300 및 1080cm-1
실시예 7: 메틸 (4aS,7aS)-7-페닐티오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I-7) 의 합성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238mg (1 mmol) 및 디페닐디설파이드 262mg (1.2mmol)을 증류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에 용해시키고, 트리 n-부틸포스핀 299㎕ (1.2mmol)을 가한 다음 실온에섯 10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디에틸에테르 및 물을 가한 후 수용액층을 디에틸에테르로 3 회 추출하여 유기층을 합하였다. 유기층을 10% 수산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0/1,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I-7)을 306mg (수율: 92%) 수득하였다.
· 화합물 (I-7) :
1H NMR (CDCl3) : δ 7.41(s,1H), 7.32(m,4H), 7.15(m,1H), 5.73(m,1H), 5.15(m.1H), 3.72(s,3H), 3.60(s,2H), 3.31(s,3H), 3.02(m,2H), 2.71(m,1H), 2.23(m,1H)
IR (KBr) : 3070, 3000, 2960, 2860, 1715, 1640, 1590, 1480, 1450, 1370, 1290, 1250, 1170 및 1080cm-1
실시예 8: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8) 의 합성
실온에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38mg (2mmol)을 에탄올 5㎖ 에 용해시키고 피리딘 194㎕ (2.4mmol) 을 가한 후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4Å 분자체 0.02g 및 메틸 (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238mg (1mmol) 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1N 염산용액 및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진공증류한 다음,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20/1, v/v)로 분리, 정제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 v/v)로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의 화합물(I-8) 을 144mg (수율: 57%) 수득하였다.
· 화합물 (I-8) :
융점 : 98.5 내지 99.7℃
1H NMR (CDCl3) : δ 7.85(s,1H). 7.4(s,1H), 7.17(s,1H), 6.2(s,1H), 5.21(m,1H), 3.67(s,3H), 3.25(s,3H), 3.15(m,1H), 3.0(m,1H), 2.95(m,1H), 2.28(m,1H)
IR (KBr) : 3440, 3360, 2960, 2840, 1700, 1680, 1640, 1450, 1300, 1220, 1160, 1080, 1040, 950 및 880cm-1
실시예 9: 메틸-2-하이드록시-2a,3,4,4a,7a,7b-헥사하이드로-2H-1,7-디옥사사이클로펜타[c,d]인덴-5-카르복실레이트(I-9) 및 메틸-2-하이드록시-2a,3,4,4a,5,6,7a,7b-옥타하이드로-2H-1,7,-디옥사사이클로펜타[c,d]인덴-5-카르복실레이트(I-10)의합성
단계 1:
메틸 (4aS,7aS)-7-하이드록시메틸-1-하이드록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5g (22.1m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피리디늄클로로크로메이트(PCC) 9.13g (42.4mmol)을 가한 다음 실온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과량의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실리카겔을 통해 여과한 후 진공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2, v/v)로 분리, 정제하여 메틸 (4aS,7aS)-7-포르밀-1-하이드록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를 오일상으로 4.6g (수율: 93%) 수득하였다.
단계 2:
단계 1 에서 수득한 화합물 0.5g (2.23mmol) 을 에탄올 200㎖ 에 용해시키고 10% Pd/C 2.92mg 을 첨가한 후 실온의 1 기압 수소대기하에서 3 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한 후 진공증류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2,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I-9)200mg (수율: 40%)및 화합물 (I-10) 150mg (수율: 30%)을 각각 수득하였다.
· 화합물 (I-9) :
융점 : 82 내지 83℃
1H NMR (CDCl3) : δ 7.57(s,1H), 5.86(m,1H), 5.1(s,1H), 3.74(s,3H), 3.17(m,1H), 2.87(m,1H), 2.71(m,2H), 2.27(m,1H), 1.84(m,2H), 1.16(m,1H)
IR (KBr) : 3460, 2960, 2920, 1690, 1655, 1450, 1400, 1330, 1310, 1280, 1180, 1110 및 1030cm-1
· 화합물 (I-10) :
융점 : 82 내지 84℃
1H NMR (CDCl3) : δ 5.41(m,1H), 4.92(s,1H), 4.07(s,1H), 3.78(d,1H,J=11.7Hz), 3.55(m,1H), 3.49(s,3H), 2.77(m,1H), 2.52(m,2H), 2.27(m,1H), 1.73(m,1H), 1.51(m,1H), 1.31(m,2H)
IR (KBr) : 3440, 2960, 2920, 1735, 1650, 1450, 1300, 1250, 1210, 1190 및 1080cm-1
실시예 10: 메틸-2-아세톡시-2a,3,4,4a,7a,7b-헥사하이드로-2H-1,7-디옥사사이클로펜타[c,d]인덴-5-카르복실레이트(I-11)의 합성
메틸-2-하이드록시-2a,3,4,4a,7a,7b-헥사하이드로-2H-1,7-디옥사사이클로펜타[c,d]인덴-5-카르복실레이트 268mg (1.18mmol) 을 피리딘 5㎖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아세트산무수물 584㎕ (2.36mmol)을 가한 다음 2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2, v/v)로 분리, 정제하여 백색결정의 화합물(I-11)을 240mg (수율: 76%) 수득하였다.
· 화합물 (I-11) :
융점 : 58.5 내지 61℃
1H NMR (CDCl3) : δ 7.50(s,1H), 5.84(m,1H), 3.74(s,3H), 2.95(m,1H), 2.72(m, 2H), 2.32(m,1H), 2.09(s,3H), 1.94(m,1H), 1.77(m,2H), 1.19(m,1H)
IR (KBr) : 2980, 2950, 2880, 1750, 1710, 1660, 1440, 1380, 1370, 1290 및 1080cm-1
실시예 11: 메틸 (4aS,7aS)-7-(2-페닐에테닐)-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12)의 합성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3.25g (8.36mmol) 을 무수 디에틸에테르 30㎖ 에 현탁시킨 후, 1.6M n-부틸리튬 7.83㎖ 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여기에 무수 디에틸에테르 10㎖ 에 용해시킨 메틸 (4aS,7aS)-7-포르밀-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2g (8.36mmol) 을 가하였다. 5℃ 에서 10 분간 교반한 다음 증류수 20㎖ 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용액층은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해서 물, 소금물의 순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진공감압증류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2,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I-12) 을 1.69g (수율: 65%) 수득하였다.
· 화합물 (I-12) :
1H NMR (CDCl3) : δ 7.51(s,1H), 7.34(m,2H), 7.27(m,2H), 7.13(m,1H), 6.80(m,2H), 5.96(m,1H), 4.42(m,1H), 3.64(s,3H), 3.45(s,3H), 3.16(m,1H), 2.93(m,1H), 2.84(m,1H), 2.13(m,1H)
IR (KBr) : 3040, 2960, 2920, 1700, 1640, 1440, 1300, 1200, 1170 및 1080cm-1
실시예 12: 메틸 (4aS,7aS)-7-아미노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I-13) 의 합성
메틸 (4aS,7aS)-7-아지도메틸-1-메톡시-1,4a,5,7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c]피란-4-카르복실레이트 70mg (0.264 mmol)을 메탄올 5㎖ 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프로판디티올 0.138㎖ 및 촉매량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한 다음 2 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 v/v)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I-13) 을 0.052g (수율: 82%) 수득하였다.
· 화합물 (I-13) :
1H NMR (CDCl3) : δ 7.44(s,1H), 5.70(s,1H), 4.46(m,1H), 3.62(s,3H), 3.45(s,3H), 3.30(m,2H), 3.06(m,1H), 2.72(m,1H), 2.50(m,1H), 2.01(m,1H)
IR (KBr) : 3440, 2960, 2860, 1710, 1640, 1440, 1390, 1290, 1180 및 1080cm-1
생물학적 실험예 1: 간염바이러스 복제의 억제효과
공지의 방법(참조: Korba and Milmam, Antiviral Res., 15, 217 (199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 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을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A. 세포배양
2. 2. 15 세포를 5%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2mM 글루타민 및 50㎕/㎖ 의 젠타마이신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RPM 11640 배지에서 배양 및 유지하였다. 통상의 방법으로 세포배양물의 G418 에 대한 저항성 및 Myco-plasma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세포를 1 x 104/㎠ 의 농도로 다수-웰 조직배양평판 (multi-well tissue culture plate)에 접종하고 합류(confluence)되도록 7 일간 배양한 다음, HBV DNA level 이 안정되도록 2 내지 3 일간 합류상태를 유지시켰다. 시험화합물에 노출시키기 24 시간전에 배양배지를 교체하였다. 9 일간의 처리기간동안 24 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였으며, 시험화합물을 새 배지에 첨가하였다. 시험화합물의 첫번째 투여직전 및 3, 6, 9 일후의 배지를 취하여 HBV DNA 분석을 위해 -70℃ 에서 저장하였다. 그후, 세포를 용해시키고 세포내(intracellular) HBV DNA 를 분석하였다.
B. DNA 및 RNA 의 추출
세포외(extracelluar) HBV DNA 를 분석하기 위해 배양배지 0.2㎖ 를 25 ℃ 의 1M NaOH/10xSSC (1xSSC = 0.15M NaCl/0.015M 소듐시트레이트, pH 7.2)에서 20 분간 반응시키고, 곧바로 슬롯 블롯(slot blot) 장치를 이용하여 20xSSC 에 미리 적신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적용하였다. 시료를 1M Tris/2M NaCl (pH 7.2) 0.5㎖ 로 2 회, 20xSSC 0.5㎖ 로 1 회 세척하여 중화시킨 다음, 2xSSC 로 다시 세척하고 80℃ 의 진공하에 1 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통상, 지름 10cm 접시에 배양 유지된 배양물은 6㎖ 용해완충액에 용해시키며, 세포외 DNA 는 상기한 코르바 등(Korba et al., 1989) 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C. 겔 전기영동
세포 DNA 시료(10㎍/lane)를 제한효소 HindⅢ로 소화시키고(digestion) 1% 아가로오스겔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한 다음,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으로 전이시켰다.
D. HBV DNA 의 혼성교잡 분석(Hybridization analysis)
제한효소 EcoRI 으로 소화시키고 정제한 3.2kb 크기의 HBV DNA 단편에 새김눈 해독(nick translation)법을 이용하여 [32P]dCTP로 표지한 다음 혼성교잡의 탐침(hybridization probe)으로 사용하였다. 혼성교잡 및 후-세척(post-washing)의 조건은 코르바 등(Korba et al., 1989)의 방법을 참고하였고, 시료중의 HBV 핵산 함량은 암비스 베타 스캐너(Ambis beta scann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에 혼성교잡된 32P 시그날의 상대량은 각각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필터(겔 또는 슬롯 블롯)에 적용된 HBV DNA 표준량에 혼성교잡하는 시그날 양과 비교하였다. 표준화곡선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cpm 측정치로 부터 HBV DNA 양을 구하였다.
세포내 및 세포외 HBV DNA 함량에는 고유변이(inherent variation)가 있으므로, HBV 비리온(virion) DNA 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 형성된 HBV DNA 평균치의 3.5 배 이상, 그리고 HBV DNA 복제중간체의 경우 3.0 배 이상의 억제만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P<0.05). 각각의 세포 DNA 제조에 있어서 통합된(integrated) HBV DNA 레벨(본 실험에서 세포당 일정한 수치로 유지)은 세포내 HBV DNA 형성 레벨을 계산하여 블롯 혼성교잡 분석에 있어서의 기술적 고유변이를 제거하는데 이용하였다. 처리되지 않은 세포에서 세포외 HBV 비리온 DNA 의 전형적인 값은 배양배지 ㎖ 당 50 내지 150pg 의 범위이며 평균 약 75pg/㎖ 이고, 세포내 HBV DNA 복제 중간체(RI)는 세포 DNA ㎍ 당 50 내지 100pg 의 범위이며 평균 약 74pg/㎍ 이다. 본 발명에서 혼성교잡 분석의 결과, 세포 DNA ㎍ 당 1.0pg 의 세포내 HBV DNA 는 세포당 2 내지 3 게놈복사(genome copy)에 해당하고, 배양배지 ㎖ 당 1.0pg 의 세포외 HBV DNA는 3x105 바이러스 입자에 해당하였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따라 HBV 복제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비교물질로는 간염치료제 뿐아니라 AIDS 치료제로도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ddC(dideoxy cytidine)를 선택하였고 비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2. 2. 15. 세포배양시 이리도이드 유도체의 HBV 복제에 대한 억제효과
(1) 세포외 HBV DNA 의 분석은 9 일간 처리 후 24 시간 동안에 수행하였다.
(2) 각 농도에서의 처리결과는 2 회의 실험결과를 평균한 것이다.
(3) 영은 HBV DNA 의 감지할 수 없는 양을 나타낸다. HBV DNA 에 대한 감응 감쇄(Sensitivity cut-off)는 0.1pg/㎖ 이다.
상기 표 1 의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HBV DNA 복제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물학적 실험예 2: 세포 독성 시험
세포 독성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 바이러스 효과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 때문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HSV 또는 HIV 등 바이러스와 숙주의 다양한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널리 사용되는 세포 생존에 대한 표준 조사법인 중성 적 염료(neutral red dye) 포획법을 이용하였다.
독성시험은 96-웰 조직배양평판에서 수행하였다. 세포를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게 배양하고 시험화합물로 처리하였는데, 이때 4 가지 농도에서 3 배수로 시험하였다. 염료의 포획정도로 부터 상대적인 독성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내부 이행(internalized)된 염료의 흡광도(A510)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측정치는 시험화합물로 처리하지 않은 9 개 대조군의 평균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평균치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수치가 낮을수록 세포에 대한 독성이 큼을 의미한다. 9 개의 대조군의 염료 포획 백분율은 101±2 였으며, 하기 표 2 로 부터 알 수 있듯이, 실험결과 시험화합물의 유효량 범위내에서는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표 2 에서 시험 화합물의 조성은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다.
표 2. 이리도이드 유도체의 세포 독성 시험
생물학적 실험예 3: 급성 독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2)을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30mg/㎖ 의 농도로 현탁시키고 마우스에 300mg/kg 의 용량으로 1 회 경구 또는 복강내 투여한 다음, 1 내지 2 주 동안 생존수를 관찰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동량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제니핀을 300mg/kg 의 용량으로 사용하여 일주일간의 사망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는데,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니핀을 300mg/kg 의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했을 경우에는 8/8, 경구투여시에는 6/8 의 비율로 사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2)의 경우에는 동일 용량에서 1 마리도 사망하지 않았다.
표 3. 이리도이드 유도체의 급성 독성 시험

Claims (5)

  1. 하기 일반식 (I) 의 신규한 이리도이드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체.
    상기식에서
    는 이중결합 또는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R1 은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를 나타내며,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 에톡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을 나타내거나
    R1 및 R2 는 함께 또는 의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n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며, R3 는 하이드록시, 아세톡시 또는 C1-C5 알킬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쪽 이 둘다 이중결합인 경우, R2 는 포르밀; 클로로, 아지도, 아미노, 푸르푸릴메틸아미노, 페닐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종에 의해 치환된 메틸; 에톡시카보닐 또는 페닐에 의해 치환된 에테닐; 또는 펜타디에닐을 나타내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6 원환의 이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5 원환의 이 단일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및 R2 는 함께 을 나타내고, 여기서 R3 는 하이드록시 또는 아세톡시를 나타내는 화합물.
  4. 제 1 항에 따른 일반식 (I) 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이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배합시킨 B 형 간염 치료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불활성 담체가 유당, 전분, 만니톨 및 면실유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조성물.
KR1019950038181A 1995-10-30 1995-10-30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KR10045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181A KR100450880B1 (ko) 1995-10-30 1995-10-30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181A KR100450880B1 (ko) 1995-10-30 1995-10-30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72A KR970021072A (ko) 1997-05-28
KR100450880B1 true KR100450880B1 (ko) 2006-01-12

Family

ID=3717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181A KR100450880B1 (ko) 1995-10-30 1995-10-30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8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466A (en) * 1981-09-14 1982-05-21 Taito Kk Polymer of novel nitrogen-containing monoterpene derivative
JPS6422820A (en) * 1987-07-20 1989-01-25 Tsumura & Co Drug for alleviating hyperlipemia
EP0505572A1 (en) * 1990-10-09 1992-09-30 TSUMURA &amp; CO. Iridoide derivative and its use as medicine
KR940001886A (ko) * 1992-07-15 1994-02-16 이병언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복제를 억제하는 약학적 제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466A (en) * 1981-09-14 1982-05-21 Taito Kk Polymer of novel nitrogen-containing monoterpene derivative
JPS6422820A (en) * 1987-07-20 1989-01-25 Tsumura & Co Drug for alleviating hyperlipemia
EP0505572A1 (en) * 1990-10-09 1992-09-30 TSUMURA &amp; CO. Iridoide derivative and its use as medicine
KR940001886A (ko) * 1992-07-15 1994-02-16 이병언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복제를 억제하는 약학적 제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장일무 et al., 1983. 14(3), p.95-101 *
약학회지, 장일무 et al., 1984, 28(1), p.35-4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072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744B1 (ko) 항 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US6262083B1 (en) Genipin derivative having liver protection activity
CZ20022655A3 (cs) Sloučeniny s protinádorovým účinkem, způsob jejich přípravy a farmaceutické kompozice s jejich obsahem
KR100425281B1 (ko) 항바이러스성 피리미딘다이온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4601038B2 (ja) インドリルマレイミド類
CN103249733A (zh) 用于治疗或预防轻度认知障碍的稠合的三唑
EP0029581B1 (en) Amino substituted tetrahydrobenzindoles, a process for preparing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6077963A (en) Process to produce a protease inhibitor
KR100450880B1 (ko) B형간염바이러스의복제를억제하는신규한이리도이드유도체및그의제조방법
CN111303027A (zh) 一种氟罗沙星的丙烯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0558950B1 (en) 3-aryl-glycidic ester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IE902114A1 (en) Dibenzo[1,5]dioxocin-5-one derivatives, their use in¹medicament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CN115819391A (zh) 一类黄芩素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824396B (zh) 一种n-乙酰基洛美沙星的丙烯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24414A (zh) 一种n-乙酰基氧氟沙星的丙烯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458745B2 (ja) パピローマウイルス阻害剤
CN112824416A (zh) 一种脱n-甲基左氧氟沙星的丙烯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320578A (zh) 一种脱n-甲基氟罗沙星的丙烯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0039404A (ko) 20(에스)-캄포테신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염
CN1169802C (zh) 土槿乙酸化合物及其制备方法
BE867095A (fr) Nouveaux derives sesquiterpeniques utiles notamment comme inhibiteurs du systeme complementaire et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US6759409B2 (en) Inhibitors of papilloma virus
KR100240778B1 (ko)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치료제조성물
KR19980077684A (ko)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CN115108970A (zh) 二酰胺类衍生物及其制药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