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095B1 -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095B1
KR100450095B1 KR10-2001-0006013A KR20010006013A KR100450095B1 KR 100450095 B1 KR100450095 B1 KR 100450095B1 KR 20010006013 A KR20010006013 A KR 20010006013A KR 100450095 B1 KR100450095 B1 KR 10045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motor
nut
rece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273A (ko
Inventor
김광식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호 filed Critical 김대호
Priority to AU200126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1266395A1/en
Priority to PCT/KR2001/001090 priority patent/WO2002002890A1/en
Publication of KR2002000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G01C2009/06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 거푸집 상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 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이송 스크류가 고정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와; 이송 스크류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를 이루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이송 스크류 상에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에 위치되도록 기준높이를 설정하는 높이 설정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이송 스크류 상에 위치된 너트를 높이 설정수단을 통해 균일한 높이로 설정 가능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의 충진 작업시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얻을 수 있게됨으로써, 안정된 다층의 건축물 축조뿐만 아니라 도로 건설이나 기타 건축물의 축조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omitted}
본 발명은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레이저빔 주사기구로부터 방출된 레이저빔을 감식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바닥면의 수평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정된 축조와 도로 건설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건축공사현장에서 건축구조물이 정상적으로 건축되기 위해서는 액체가 봉입된 유리관에 형성된 기포의 중앙위치로써 수평의 기준을 측정하며, 이렇게 수평의 기준을 측정하고 그 수평면과 일치시켜 실이나 강선을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그 수평면 및 수평선을 기준으로 벽돌을 쌓거나 목재 등을 평행하게 건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수직선을 잡기 위해서는 실에 추를 매달아 수직의 기준을 잡고 그를 기준으로 기둥을 세우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축구조물의 평형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평 및 수직 측정장치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튜브내의 기포 위치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수평을 측정하는 수평지시계(수준계)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에 추를 매달아 중력에 의하여 실과 추가 연직선을 형성하여 수직을 측정하는 수직지시계가 있다.
또한, 건축구조물의 평형유지는 초기에 바닥면 설정작업에서 결정되어 진다하여도 과언이 아닌 데 이는, 바닥면이 전체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안정된 건축물의 축조 및 도로 건설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층 주택 등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초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의 내부와 바닥면에 필요한 철근의 배근 작업과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켜서 건축물을 축조(築造)시키게 되는 데, 이때 초기에 거푸집을 정확한 높이와 수평상태로 설치하여야만 전체 구조의 안정되게 축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평줄을 형성하였으나 근래 들어 단지 슬래브 거푸집 위에 수평 받침구 자체의 높이 조절로서 전체 수평을 맞추는 방식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수평 받침구를 슬래브 거푸집 상면 주변에 고정시킨 다음 철근 배근작업과 콘크리트 몰탈의 충진 작업을 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넓은 면적의 슬래브 거푸집 위에 다수 세워 설치된 수평 받침구의 높이에 맞춰 콘크리트 슬래브가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슬래브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평 받침구 위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정밀한 수직 및 수평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과, 작업성의 떨어져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복수의 수평 받침구를 설치하는데 있어 이들간의 정확한 위치 세팅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건축, 토목, 조선의 대형구조물용접, 대형조각 및 미술품작업 등의 현장에서 수평작업 및 수직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실과 추, 수준 수평계, 측량계 등을 이용해야 했기 때문에 그 실과 추, 수평계 등의 설치와 위치변경에 많은 시간과 작업량이 필요하였고, 매 위치마다 수평계를 미시적으로 볼 수는 있으나, 작업대상이 거대한 경우 거시적으로 볼 수가 없어서 수평작업 및 수직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거시적으로 수평관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에 레이저표시장치가 일부 도입되고 있는데, 이는 레이저빔 라인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레이저 점을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고, 레이저빔 라인을 표시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그 생산 및 조절방법이 매우 까다로워 장치의 가격이 고가이고, 사용자의 사용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오히려 작업현장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레이저표시장치를 이용한 기술을 적용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예로 "대한민국 2000년 공개특허 60663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대한민국 2000년 공개특허 60663호"의 기술은 기존의 레이저빔 주사기구로부터 방출된 레이저빔을 원통형 렌즈 또는 회전 다면경을 이용하여 레이저빔 라인으로 변환시키고, 그 레이저빔 라인을 기준 수평라인과 일치시키는 캘리브레이션 절차에 의해, 육안으로 편리하게 수평 및/또는 수직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로도 거푸집 등의 형성을 위한 수평 받침구 자체의 높이 조절시 수작업이 동반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큰 도움을 주지 못하므로 인해바닥면의 수평을 설정하는 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레이저빔 주사기구로부터 방출된 레이저빔을 감식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바닥면의 수평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안정된 축조와 도로 건설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 봉입 수평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실과 추를 이용하여 수직의 기준을 잡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하부 플레이트 20 : 상부 플레이트
30 : 이송 스크류 40 : 레이저 발생수단
50 : 가이드 축 51 : 광 수신부
52 : 척 60 : 컨트롤부
61 : 마이컴 R1~R8 : 저항
VR1, VR2 : 가변저항 PC1, PC2 : 포토커플러
TR1∼TR8 : 트랜지스터 TNR : 역기전력 흡수저항
70 : 수평계 B : 배터리
M : 모터 N : 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특징은, 슬래브 거푸집 상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 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이송 스크류가 고정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스크류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를 이루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이송 스크류상에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에 위치되도록 기준높이를 설정하는 높이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높이 설정수단은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되며, 회전하면서 레이저빔을 사방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수단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체결되어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너트와; 상기 이송 스크류의 직상방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광 수신부가 마련되며, 하단부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척이 위치된 가이드 축과; 상기 광 수신부와 인접된 가이드 축의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와; 상기 가이드 축의 하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 결합된 척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컨트롤부와 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세팅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광 수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것인지 혹은 수동으로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광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수광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 1제어신호를 제 1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를 정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1LED와;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 2제어신호를 제 5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를 역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2LED와; 상기 제 1LED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1포토커플러와; 상기 제 2LED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2포토커플러와; 상기 제 1포토커플러의 온동작시 상기 제 1포토커플러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과; 상기 제 2포토커플러의 온동작시 상기 제 2포토커플러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과; 상기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3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을 증폭하여 모터측으로 제공하는 제 1전압 제공부와; 상기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4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제 1전압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모터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1전압 도통부와; 상기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8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을 증폭하여 모터측으로 제공하는 제 2전압 제공부; 및 상기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7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제 2전압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모터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2전압 도통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 제 2가변저항은 그 가변저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제 1전압 제공부의 전압 출력단과 제 2전압 제공부의 전압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역기전력 흡수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 축의 중심부 외주면 상에는 가이드 축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계가 마련된 수평블록이 마련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높이 설정 방법의 특징은, 슬래브 거푸집 상에 이송 스크류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를 소정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결합된 너트가 기준 설정높이에 위치되도록 높이 설정수단을 통해 너트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기준높이로 설정된 너트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바닥면까지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는, 크게 하부 플레이트(lower plate;10)와 상부 플레이트(upper plate;20) 그리고 높이 설정수단으로 대별된다.
하부 플레이트(1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미도시)상에 소정간격으로 복수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중심면에는 이송 스크류(guide screw;30)가 마련된다.
상부 플레이트(20)는 하부 플레이트(10)의 이송 스크류(3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를 이룬다.
즉, 상부 플레이트(20)의 하면까지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어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높이 설정수단은, 상부 플레이트(20)가 정확하게 기준높이로 이송 스크류(30)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레이저 발생수단(40)과 너트(N) 그리고 가이드 축(50)과 컨트롤부(60)및 모터(M)와 배터리(B)로 대별된다.
레이저 발생수단(40)은 하부 플레이트(10)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회전하면서 사방(四方)으로 소정파장의 레이저빔을 주사한다.
너트(N)는 하부 플레이트(10)의 이송 스크류(30)상에 체결되는 상, 하로 이송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실질적인 바닥면의 기준높이를 이룬다.
즉, 너트(N)의 상면으로 상부 플레이트(20)가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 축(50)은, 하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전술한 레이저 발생수단(40)으로부터 주사된 빔을 수광할 수 있도록 포토 다이오드(미도시)가 내장된 광 수신부(51)가 마련되며, 하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척(chuck;52)이 공회전 가능하게 구름 지지되는 바, 이 척(52)은 전술한 이송 스크류(30)에 체결된 너트(N)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척킹홈이 형성된다.
컨트롤부(60)는 전술한 광 수신부(61)와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이저 발생수단(40)으로부터 주사되고 광 수신부(61)를 통해 수신된 빔을 디스플레이(display)화 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후술하는 모터(M)의 제어 및 배터리(B)를 통한전원의 온/오프(on/off) 등을 제어한다.
모터(M)는 가이드 축(50)의 하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너트(N)와 결합되는 척(52)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B)는 모터(M)와 컨트롤부(6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축(50)은, 그 하부에 위치된 척(52)이 너트(N)와 체결될 때 이송 스크류(30)와 동축을 유지하여야 척(52)과 너트(N)간의 안정된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즉, 가이드 축(50)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육안(肉眼)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축(50)의 대략 중심 외주면에는 상, 하 및 좌, 우로 평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즉, 가이드 축(50)의 수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7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래브 거푸집 상에 다수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10)중 어느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10)의 이송 스크류(30)에 너트(N)를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높이 설정수단을 통해 너트(N)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 스크류(30)의 직상방에 가이드 축(50)을 위치시킨 후, 이 가이드 축(50)의 하부에 마련된 척(52)을 너트(N)와 체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모터(M)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척(52)과 함께 너트(N)가 이송 스크류(30)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척(52)과 너트(N)의 회전에 따른 상, 하강에 의해 가이드 축(50) 전체가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게 된다.
한편, 이때 레이저 발생수단(40)으로 부터는 소정파장의 레이저빔이 사방으로 주사되는 상태이며, 이 레이저 발생수단(40)에 의해 주사되는 레이저빔은 소망하는 높이에서 수평으로 주사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 가이드 축(50)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축(50)의 상부 외주면에 위치된 컨트롤부(60)의 광 수신부(61)에서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이를 감지하게 되고, 동시에 컨트롤부(60)를 통해 모터(M)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을 각 하부 플레이트(10)마다 각각 수행하게 되면, 슬래브 거푸집의 바닥면이 균일하지 않아도 최종적인 너트(N)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척(52)을 너트(N)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너트(N)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20)를 위치시키고, 이 상부 플레이트(20)의 하면까지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키게 되면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주요 구성으로써 컨트롤부(60)의 전자회로의 구성은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의 회로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것인지 혹은 수동으로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광 수신부(51,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수광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61)과,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참조번호 M으로 지칭되는 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61)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시키는 영역과 역회전시키는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우선 정회전시키는 영역을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61)에서 출력되는 제 1제어신호를 제 1저항(R1)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M)를 정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1LED(L1)와, 상기 제 1LED(L1)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1포토커플러(PC1)와, 상기 제 1포토커플러(PC1)의 온동작시 상기 제 1포토커플러(PC1)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V+)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1가변저항(VR1) 및 제 2저항(R2)과, 상기 제 1가변저항(VR1) 및 제 2저항(R2)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제 3저항(R3)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V+)을 증폭하여 모터(M)측으로 제공하는 제 1전압 제공부(PU1), 및 상기 제 1가변저항(VR1) 및 제 2저항(R2)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4저항(R4)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모터(M)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1전압 도통부(PD1)로 구성된다.
또한, 모터(M)를 역회전시키는 영역을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61)에서 출력되는 제 2제어신호를 제 5저항(R5)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M)를 역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2LED(L2)와, 상기 제 2LED(L2)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2포토커플러(PC2)와, 상기 제 2포토커플러(PC2)의 온동작시 상기 제 2포토커플러(PC2)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V+)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2가변저항(VR2) 및 제 6저항(R6)과, 상기 제 2가변저항(VR2) 및 제 6저항(R6)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8저항(R8)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V+)을 증폭하여 모터(M)측으로 제공하는 제 2전압제공부(PU2), 및 상기 제 2가변저항(VR2) 및 제 6저항(R6)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7저항(R7)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모터(M)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2전압 도통부(PD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전압 제공부(PU1)는 상기 제 3저항(R3)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1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에 콜렉터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으므로 인해 큰 구동전압으로 증폭하는 제 2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전압 제공부(PU2)는 상기 제 8저항(R8)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5트랜지스터(TR5)와, 상기 제 5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 단자에 콜렉터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5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으므로 인해 큰 구동전압으로 증폭하는 제 6트랜지스터(TR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전압 제공부(PU1)와 제 2전압 제공부(PU2)가 2단의 증폭을 수행하는 이유는 상기 모터(M)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크지 않으면 스크류의 회전동작을 통한 너트(N)의 조임 혹은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 1전압 도통부(PD1)와 제 2전압 도통부(PD2) 역시 트랜지스터를 2단으로 구비한 이유는 상기 모터(M)를 경유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 켜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VR1, VR2)은 그 가변저항의 크기를 저장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미 설명한 참조번호 TNR은 상기 모터(M)의 역기전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체적인 동작의 설명은 첨부한 도 3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을 참조하여 컨트롤부(60)의 동작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설치를 완료한후 각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를 자동모드로 선택하면, 마이컴(61)은 광 수신부(51)를 통해 감지된 레이저빔의 수광위치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마이컴(61)이 정회전시켜야 한다고 판단되면 제 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1LED(L1)를 발광 동작시킨다. 단, 제 2제어신호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포토커플러(PC1)가 온동작하여 상기 제 1포토커플러(PC1)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V+)은 제 1가변저항(VR1)과 제 2저항(R2)을 통해 접지로 도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가변저항(VR1)에 연결되어 분압되는 전압은 제 3저항(R3)과 제 4저항(R4)을 통해 후단으로 전달되어진다.
상기 제 3저항(R3)을 통해 입력되는 분압전압은 제 1전압 제공부(PU1)를 구성하고 있는 제 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 1트랜지스터(TR1)는 온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 2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상기 소정의 양전압(V+)은 매우 큰 기동전압을 증폭되어진 후 모터(M)측으로 제공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4저항(R4)을 통해 입력되는 분압전압은 제 1전압 도통부(PD1)를 구성하고 있는 제 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 3트랜지스터(TR3)는 온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3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 4트랜지스터(TR4)가 턴온 동작하게 되어 상기 모터(M)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61)에서는 제 2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전압 제공부(PU2)와 제 2전압 도통부(PD2)는 온동작하지 못하므로 실제적으로 상기 모터(M)에 전압이 인가되고 그 해당 전압의 도통경로가 단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을 통해 정회전 하던 중 모터의 회전에 따라 설정된 임계위치를 반대편으로 벗어나는 경우 상기 마이컴(61)은 역회전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게 되므로, 제 1제어신호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전환하고 제 2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이컴(61)이 제 2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2LED(L2)를 발광동작시키고, 제 2포토커플러(PC2)가 온동작하여 상기 제 2포토커플러(PC2)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전압(V+)은 제 2가변저항(VR2)과 제 6저항(R6)을 통해 접지로 도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가변저항(VR2)에 연결되어 분압되는 전압은 제 7저항(R7)과 제 8저항(R8)을 통해 후단으로 전달되어진다.
상기 제 8저항(R8)을 통해 입력되는 분압전압은 제 2전압 제공부(PU2)를 구성하고 있는 제 5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 5트랜지스터(TR5)는 온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5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 6트랜지스터(TR6)가 턴온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6트랜지스터(TR6)를 통해 상기 소정의 양전압(V+)은 매우 큰 기동전압을 증폭되어진 후 상기 모터(M)측으로 제공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7저항(R7)을 통해 입력되는 분압전압은 제 2전압 도통부(PD2)를 구성하고 있는 제 7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 7트랜지스터(TR7)는 온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7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 8트랜지스터(TR8)가 턴온 동작하게 되어 상기 모터(M)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61)에서는 제 1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전압 제공부(PU1)와 제 1전압 도통부(PD1)는 온동작하지 못하므로 실제적으로 상기 모터(M)에 전압이 인가되고 그 해당 전압의 도통경로가 단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정회전시 전류의 흐름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역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세팅된 위치에 수렴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수동조작인 경우 첨부한 도 8에서 참조번호 A와 B로 지칭되고 있는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전압을 사용자 임의로 인가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건축물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행한 면을 요망하는 도로도 쉽게 건설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는 다층의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평면을 요망하는 도로 건설이나 각종 건축물의 축조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에 의하면, 이송 스크류 상에 위치된 너트를 높이 설정수단을 통해 균일한 높이로 설정 가능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의 충진 작업시 수평상태의 바닥면을 얻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안정된 다층의 건축물 축조뿐만 아니라 도로 건설이나 기타 건축물의 축조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슬래브 거푸집 상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이송 스크류가 고정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이송 스크류의 상부측에 위치되며, 시멘트 몰탈이 충진되는 기준높이를 이루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되며, 회전하면서 레이저빔을 사방으로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수단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체결되어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너트와;
    상기 이송 스크류의 직상방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광 수신부가 마련되며, 하단부에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척이 위치된 가이드 축과;
    상기 광 수신부와 인접된 가이드 축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부와;
    상기 가이드 축의 하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 결합된 척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컨트롤부와 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세팅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광 수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것인지 혹은 수동으로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모드의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광 수신부에서 발생되는 수광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 1제어신호를 제 1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를 정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1LED와;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 2제어신호를 제 5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며 모터를 역회전시킨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 2LED와;
    상기 제 1LED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1포토커플러와;
    상기 제 2LED를 경유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온동작하는 제 2포토커플러와;
    상기 제 1포토커플러의 온동작시 상기 제 1포토커플러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 전압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과;
    상기 제 2포토커플러의 온동작시 상기 제 2포토커플러에 인가되는 소정의 양 전압을 트랜지스터 구동전압 정도로 분압하는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과;
    상기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3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을 증폭하여 모터측으로 제공하는 제 1전압 제공부와;
    상기 제 1가변저항 및 제 2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4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제 1전압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모터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1전압 도통부와;
    상기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8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소정의 양전압을 증폭하여 모터측으로 제공하는 제 2전압 제공부; 및
    상기 제 2가변저항 및 제 6저항에 의해 분압되어진 전압을 제 7저항을 통해 입력받아 온동작하며 상기 제 2전압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모터를 경유한 전압을 접지측으로 도통시키는 제 2전압 도통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가변저항은 그 가변저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제 1전압 제공부의 전압 출력단과 제 2전압 제공부의 전압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역기전력 흡수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의 중심부 외주면 상에는 가이드 축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계가 마련된 수평블록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장치.
  8. 슬래브 거푸집 상에 이송 스크류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를 소정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하부 플레이트의 이송 스크류 상에 결합된 너트가 기준 설정높이에 위치되도록 높이 설정수단을 통해 너트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기준높이로 설정된 너트의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바닥면까지 시멘트 몰탈을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높이 설정방법.
KR10-2001-0006013A 2000-07-03 2001-02-02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45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1266395A AU2001266395A1 (en) 2000-07-03 2001-06-26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horizontal state of bottom plane
PCT/KR2001/001090 WO2002002890A1 (en) 2000-07-03 2001-06-26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horizontal state of bottom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28 2000-07-03
KR1020000038428A KR20000063402A (ko) 2000-07-03 2000-07-03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273A KR20020003273A (ko) 2002-01-12
KR100450095B1 true KR100450095B1 (ko) 2004-10-02

Family

ID=196764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28A KR20000063402A (ko) 2000-07-03 2000-07-03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방법
KR2020000019392U KR200205907Y1 (ko) 2000-07-03 2000-07-03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KR10-2001-0006013A KR100450095B1 (ko) 2000-07-03 2001-02-02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28A KR20000063402A (ko) 2000-07-03 2000-07-03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방법
KR2020000019392U KR200205907Y1 (ko) 2000-07-03 2000-07-03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00063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96B1 (ko) * 2002-02-04 2004-04-29 주식회사 티엘코리아 물류창고용 바닥 시공방법
CN109057357A (zh) * 2018-09-26 2018-12-21 张丽聪 一种稳固型墙体浇筑找平装置及其找平方法
CN110107091A (zh) * 2019-06-18 2019-08-09 陈武豪 一种可调节式楼地面控制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825U (ko) * 1971-06-05 1973-01-25
JPS61266910A (ja) * 1985-05-21 1986-11-26 Taihei Kogyo Kk レベリングパツト設置装置
JPH0333307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作業機における走行部のフレーム構造
JPH0333368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床面の均し方法及び装置
JPH0333367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床面の均し装置
JPH03120374U (ko) * 1990-03-19 1991-12-11
JPH0472509A (ja) * 1990-07-13 1992-03-06 Inobeeshiyon Center Kk 床パネル高さ調整装置
KR920701600A (ko) * 1990-01-26 1992-08-12 다께나까 도이찌 콘크리트 고르게하는 장치
JPH0598804A (ja) * 1991-10-14 1993-04-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均しロボツト
JPH0596311U (ja) * 1992-05-29 1993-12-27 晃司 上野 コンクリート天端均し定規
JPH06167113A (ja) * 1992-04-28 1994-06-14 Akira Muroboshi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レベル調整工法
JPH07233645A (ja) * 1994-02-23 1995-09-05 Seirei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均し装置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825U (ko) * 1971-06-05 1973-01-25
JPS61266910A (ja) * 1985-05-21 1986-11-26 Taihei Kogyo Kk レベリングパツト設置装置
JPH0333307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作業機における走行部のフレーム構造
JPH0333368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床面の均し方法及び装置
JPH0333367A (ja) * 1989-06-29 1991-02-13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床面の均し装置
KR920701600A (ko) * 1990-01-26 1992-08-12 다께나까 도이찌 콘크리트 고르게하는 장치
JPH03120374U (ko) * 1990-03-19 1991-12-11
JPH0472509A (ja) * 1990-07-13 1992-03-06 Inobeeshiyon Center Kk 床パネル高さ調整装置
JPH0598804A (ja) * 1991-10-14 1993-04-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均しロボツト
JPH06167113A (ja) * 1992-04-28 1994-06-14 Akira Muroboshi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レベル調整工法
JPH0596311U (ja) * 1992-05-29 1993-12-27 晃司 上野 コンクリート天端均し定規
JPH07233645A (ja) * 1994-02-23 1995-09-05 Seirei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均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402A (ko) 2000-11-06
KR20020003273A (ko) 2002-01-12
KR200205907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9856B1 (en) Laser plumbing device, long member plumbing device and long member plumbing method
CN101261124B (zh) 激光测量系统
KR101915290B1 (ko) 기준점별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EP0699891A1 (en) Laser gradient setting device
US7483153B2 (en) Power-saving control method in laser measuring system and laser measuring system
EP1692461B1 (en) Interchangeabl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laser suitable for use in small spaces
US5446968A (en) Strut height adjusting apparatus
KR100450095B1 (ko) 바닥면 수평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7504A (ko) 건축용 레이저 수직/수평 표시기
KR20080110332A (ko) 레이저를 이용한 철골기둥 수직도 측정장치
JP2002267445A (ja) ガイドレーザー光の方向設定作業システム
KR102056755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KR200447626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높이측정장치
JP2696240B2 (ja) 測量装置
JP2501081B2 (ja) 基準平面設定装置
KR20090058961A (ko)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JP2003021514A (ja) 測量機械用の機械高測定装置とそれを用いた測量機械、及び測量機械の機械高測定方法
JP4647797B2 (ja) ガイドレーザ光の方向設定システム
CN114775683B (zh) 一种地下施工平台调平装置
JP2006126102A (ja) 測量用表示器とそれを用いた測量方法
JP3595022B2 (ja) レーザ光線を利用した構真柱計測システム
KR20040014001A (ko) 굴진경로 자동측량방법 및 장치
WO2002002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horizontal state of bottom plane
KR200315383Y1 (ko) 굴진경로 자동측량장치
KR200244001Y1 (ko) 건축용 레이저 수직/수평 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