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614B1 -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614B1
KR100449614B1 KR20010087485A KR20010087485A KR100449614B1 KR 100449614 B1 KR100449614 B1 KR 100449614B1 KR 20010087485 A KR20010087485 A KR 20010087485A KR 20010087485 A KR20010087485 A KR 20010087485A KR 100449614 B1 KR100449614 B1 KR 10044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eight
slurry
compound
slur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8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111A (ko
Inventor
김원래
이재석
도원중
노현수
이길성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8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6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54Abrasive powders, suspensions and pastes for polishing
    • C09K3/1463Aqueous liquid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3/00Brightening metal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device) 제조시 웨이퍼의 평탄화를 목적으로 하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Planarization) 공정에 사용되는 연마용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산화물 미분말,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과산화수소, 인계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질산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침식(erosion) 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면 높은 연마속도와 우수한 연마균일도를 달성할 수 있고, 분산안정성이 높아 장기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연마시 발생하는 침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Slurry composition of low erosion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metal lines}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device) 제조시 웨이퍼의 평탄화를 목적으로 하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Planarization) 공정에 사용되는 연마용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과 인계 화합물 첨가에 의해 연마성능 및 분산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폴리아크릴산 첨가에 의해 침식(erosion) 문제가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집적회로의 집적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성에 대한 요구사항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반도체 배선이 점점 얇아질 뿐만 아니라 밀도가 점점 증가되면서 포토레지스트 공정에서의 초점심도의 여유가 감소함으로 인하여 웨이퍼 표면의 평탄성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됐기 때문이다.
웨이퍼 표면의 평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SOG EB(Spin On Glass Etch Back)나 DEP'N EB(Deposition Etch Back)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광범위한 평탄화 및 고집적 회로에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CMP 방법이 가장 많이사용되고 있다. 이는 광범위한 평탄화가 CMP 공정에 의해서만 가능할 뿐 아니라 평탄성에 대한 만족도 면에서도 CMP 방법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CMP 공정이란 반도체 웨이퍼 표면에 초순수와 연마제, 산화제, 보조 첨가제 등이 함유된 슬러리를 가한 후 연마패드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 및 직선운동이 혼합된 오비탈 운동을 실시하여 웨이퍼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CMP 공정에 사용되는 슬러리는 물리적인 작용과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서 웨이퍼 표면에 노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보다 향상되고 최적화된 평탄화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CMP용 슬러리의 종류는 연마대상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절연층을 연마하는 산화물(oxide)용 슬러리와 텅스텐이나 알루미늄층을 연마하는 금속(metal)용 슬러리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배선(metal line) 연마용 슬러리의 경우, 연마제와 산, 산화제, 안정제 등을 초순수에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때 연마제로는 금속산화물인 실리카나(SiO2), 알루미나(Al2O3)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와 무기 산화제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5,244,534호에서는 연마제로 알루미나를 사용하고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며 pH 조절제로 수산화암모늄이나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였다. 또한, 동특허 제 5,340,370호에서는 연마제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산화제로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534특허의 경우, 첫째, 2단계로 연마를 수행해야 하므로 실제 공정상 불편함이 따르고 1단계 연마와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둘째, 과산화수소만을 산화제로 사용하므로 슬러리내 과산화수소의 지속적인 분해로 인한 연마속도 저하 등이 문제가 된다. 한편, '370 특허의 경우에는 산화제로 산화철 계통의 무기 산화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화합물은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CMP용 슬러리는 연마제를 수용액상에서 분산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그 분산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되면 연마중에 웨이퍼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일정한 연마속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슬러리의 이송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러한 화합물은 금속이온에 의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어 반도체 칩 수율 저하를 초래한다. 그 밖에 불소계 화합물과 같은 할로겐 화합물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5,516,346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불소계 화합물이 연마기에 부식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장기 사용시 문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균일한 연마성능을 가지며 장기보관시 분산안정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연마시 발생하는 침식(erosion) 및 리세스(recess) 문제가 개선된, 금속배선의 CMP 공정에 적합한 슬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미분말,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과산화수소, 인계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질산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은 금속산화물 미분말,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과산화수소, 인계 화합물, 폴리아크릴산 및 질산을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물 미분말 1~30중량%;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0.01~1중량%;
과산화수소 0.25~2중량%;
인계 화합물 0.01~0.05중량%;
폴리아크릴산 0.01~1중량%; 및
질산 0.3~0.5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금속산화물 미분말은 연마제의 역할을 하며, 실리카(SiO2) 및/또는 알루미나(Al2O3)의 미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금속산화물 미분말의 함량은 전체 슬러리 대비 1~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의 경우 3~12중량%, 알루미나의 경우 3~10중량%가 적합하다. 만일 금속산화물 미분말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안정성 및 연마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안정성은 좋으나 연마입자의 양이 적어 물리적 연마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은 과산화수소와 함께 금속배선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의 역할을 하며,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iodobenzene diacetate), 요오드벤조산(iodobenzoic acid), 요오드아닐린(iodoaniline) 등과 같이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aromatic ring)에 치환되어 있는 산화제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제로서 이러한 요오드계 화합물과 과산화수소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연마중 웨이퍼 표면에 생기는 산화막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높은 연마속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아울러, 단일 무기 산화제만 사용할 시에는 높은 연마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과량의 산화제를 첨가해야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슬러리의 분산안정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과 과산화수소를 병용하기 때문에 분산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나아가, 상기 요오드계 화합물은 종래의 불소계 화합물과는 달리 연마기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아 사용상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슬러리 대비 0.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8중량%이다. 아울러 상기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과 함께 산화제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는 50중량% 과산화수소수 용액을 기준으로 전체 슬러리 대비 0.5~4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중량%가 되도록 첨가된다. 만일 상기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과 과산화수소가 각각 상기 함량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회로의 플러그 등에서 침식(erosion)이나 디싱(dishing)이 심하게 발생하는 반면, 상기 함량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슬러리의 산화력이 너무 약하여 정상적인 연마성능을 가지기 어렵다. 특히, 요오드계 화합물의 과량 첨가시에는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되며, 연마시에도 부식(corrosion)이나 피칭(pitching) 현상이 일어나 반도체 회로의 생산 수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인계 화합물은 슬러리 내의 과산화수소가 지속적으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러리의 산화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균일한 연마속도를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인계 화합물로는 트리메틸아인산염(trimethyl phosphite) 또는 트리에틸아인산염(triethyl phosphite)을 사용한다.
상기 인계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슬러리 대비 0.01~0.0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04중량%인 것이 적합하고, 상기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연마시에 발생하는 침식(erosion), 리세스(recess) 등의 결함을 추가적으로 보완하기 위해서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다. 침식, 리세스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바람직하게는 1,500~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10,000인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아크릴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슬러리 대비 0.01~1중량%이다. 폴리아크릴산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침식, 리세스 등의 결함을 보완할 수 없는 반면, 1중량%를 초과하면 슬러리의 저장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점도 증가로 인하여 연마제로서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질산은 pH 조절제의 역할을 하며, 전체 슬러리 대비 0.3~0.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은 반도체 배선 재질인 텅스텐 또는 알루미늄을 연마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발연 실리카(시판 Aerosil 90G) 60g, 탈이온수 906g,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 0.5g, 이소프로판올 5g,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인 폴리아크릴산 4.2g, 과산화수소수(50%) 20g, 질산 4g, 및 트리메틸아인산염 0.3g의 혼합물을 2ℓ의 폴리에틸렌 플라스크 내에서 2,000rpm의 속도로 90분간 교반시켜 분산하여 얻어진 슬러리를 1㎛ 뎁스(depth)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슬러리의 연마성능을 평가하고자, 텅스텐(W)이 도포된 웨이퍼를 Strasbaugh社 6EC 연마기를 이용하여 퀼 속도(quill speed) 40rpm, 패드 속도(pad speed) 60rpm, 슬러리 유량 150㎖/min의 조건하에 1분간 연마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 대신 4-요오드아닐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인 폴리아크릴산 대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인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트리메틸아인산염 대신 트리에틸아인산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5~7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슬러리를 각각 30일, 60일, 90일이 경과된 후 평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발연 실리카 대신 발연 알루미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인 폴리아크릴산 대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인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인 폴리아크릴산 대신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0인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1에서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 대신 질산철(ferric nitrat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1에서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의 첨가량을 0.5g에서 15g으로 증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1에서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7
상기 비교예 1에서 트리메틸아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연마용 슬러리를 제조하고 연마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 분 평균크기(㎛) 스크래치(개) 제거율(Å/min) 침식(Å) 디싱(Å) 리세스(Å)
실시예 1 0.155 4 3,870 230 80 15
실시예 2 0.153 4 3,830 200 85 10
실시예 3 0.158 5 3,550 210 80 10
실시예 4 0.156 5 3,850 210 85 15
실시예 5 0.156 4 3,860 220 85 13
실시예 6 0.156 6 3,800 215 95 15
실시예 7 0.158 7 3,720 210 100 12
실시예 8 0.218 11 4,300 610 120 20
구 분 평균크기(㎛) 스크래치(개) 제거율(Å/min) 침식(Å) 디싱(Å) 리세스(Å)
비교예 1 0.153 4 3,800 430 90 35
비교예 2 0.163 3 3,300 310 70 30
비교예 3 0.155 5 3,890 520 90 50
비교예 4 0.190 31 3,350 1,150 170 73
비교예 5 0.173 32 4,030 1,320 130 80
비교예 6 0.161 17 1,860 710 95 45
비교예 7 0.160 13 2,500 280 80 40
[비고]
* 상기에서 평균크기란 실리카 입자의 평균크기임.
* 상기 침식(erosion), 디싱(dishing) 및 리세스(recess)는 선폭(line width)이 0.2㎛인 패턴 웨이퍼 기준임.
* 상기 스크래치(scratch)는 0.3㎛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임.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면 높은 연마속도와 우수한 연마균일도를 달성할 수 있고, 분산안정성이 높아 장기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연마시 발생하는 침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5)

  1. 금속산화물 미분말 1~30 중량%,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 0.01~1 중량%, 과산화수소 0.25~2 중량%, 인계 화합물 0.01~0.05 중량%, 폴리아크릴산 0.01~1 중량%, 질산 0.3~0.5 중량% 및 나머지는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침식(erosion) 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이 실리카(SiO2) 및/또는 알루미나(Al2O3)이고, 상기 요오드가 방향족 고리에 치환된 구조의 화합물이 요오드벤젠 디아세테이트, 요오드벤조산 및 요오드아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인계 화합물이 트리메틸아인산염 또는 트리에틸아인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 1,500~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반도체 배선 재질인 텅스텐 또는 알루미늄을 연마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20010087485A 2001-12-28 2001-12-28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4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87485A KR100449614B1 (ko) 2001-12-28 2001-12-28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87485A KR100449614B1 (ko) 2001-12-28 2001-12-28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111A KR20030057111A (ko) 2003-07-04
KR100449614B1 true KR100449614B1 (ko) 2004-09-22

Family

ID=3221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87485A KR100449614B1 (ko) 2001-12-28 2001-12-28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6313B2 (ja) * 2003-08-08 2009-01-07 花王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用研磨液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31A (ja) * 1996-12-09 1998-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平坦化のための研磨工程およびスラリ
JPH11116948A (ja) * 1997-07-28 1999-04-27 Cabot Corp タングステンの蝕刻抑制剤を含むポリシング組成物
JP2001185515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研磨方法、配線形成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303049B1 (en) * 1999-09-01 2001-10-16 Eternal Chemical Co., Ltd. Chemical mechanical abrasive composition for use in semiconductor processing
KR100314642B1 (ko) * 1998-12-07 2001-12-28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반도체공정에사용하기위한화학기계적연마조성물
KR20030047383A (ko) * 2001-12-10 2003-06-18 제일모직주식회사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31A (ja) * 1996-12-09 1998-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平坦化のための研磨工程およびスラリ
JPH11116948A (ja) * 1997-07-28 1999-04-27 Cabot Corp タングステンの蝕刻抑制剤を含むポリシング組成物
KR100314642B1 (ko) * 1998-12-07 2001-12-28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반도체공정에사용하기위한화학기계적연마조성물
US6303049B1 (en) * 1999-09-01 2001-10-16 Eternal Chemical Co., Ltd. Chemical mechanical abrasive composition for use in semiconductor processing
JP2001185515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研磨方法、配線形成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30047383A (ko) * 2001-12-10 2003-06-18 제일모직주식회사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111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8288A (en) Composition and slurry useful for metal CMP
KR100869044B1 (ko) 구리 및 텅스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도전성 구조체들의폴리싱에 있어서 고정 연마제 폴리싱 패드들과 함께사용하기 위한 슬러리 및 폴리싱 방법들
EP0844290B1 (en) A composition and slurry useful for metal CMP
KR101335946B1 (ko) 텅스텐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EP2092034B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lurry compositions,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10035668A (ko) 화학 및 기계적 연마용 슬러리 및 이를 이용한 화학 및 기계적 연마방법
WO2017057906A1 (ko) 유기막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방법
KR100449614B1 (ko) 침식현상이 개선된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21928B1 (ko) 반도체 웨이퍼의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2605140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0445757B1 (ko)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60312B1 (ko)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57417B1 (ko)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JP4231950B2 (ja) 金属膜用研磨剤
KR100449611B1 (ko)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45759B1 (ko)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359216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 연마용 슬러리
KR101072342B1 (ko) 구리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위한 슬러리 조성물
KR100445760B1 (ko) 금속오염이 적은 금속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442549B1 (ko) 연마성능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금속 연마를 위한cmp용 슬러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8834B1 (ko) Cmp용 슬러리 조성물
KR100725552B1 (ko) 텅스텐 cmp 슬러리 조성물
KR10037472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 연마용 슬러리
KR100673635B1 (ko) 구리 배선용 cmp 슬러리 조성물
KR100565424B1 (ko) 분산안정성을 개선한 금속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