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525B1 -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 - Google Patents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525B1
KR100449525B1 KR10-2000-7009992A KR20007009992A KR100449525B1 KR 100449525 B1 KR100449525 B1 KR 100449525B1 KR 20007009992 A KR20007009992 A KR 20007009992A KR 100449525 B1 KR100449525 B1 KR 10044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tire
inner liner
release she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1751A (ko
Inventor
야마기와도시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064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206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662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58557A/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7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7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 B29C37/0075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using 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22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the article containing elements including a sealing composition, e.g. powder being liberated when the article is dam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05Pretreatment of tyres or parts thereof, e.g. preheating, irradiation, precuring
    • B29D2030/0011Surface activation of tyres or parts thereof, e.g. by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29D2030/0686Incorporating sealants on or into ty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therefore, e.g. preparation of the tyre
    • B29D2030/069Incorporating sealants on or into ty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therefore, e.g. preparation of the tyre through the use of a cylindrical support, e.g.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30/0685Incorporating 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on or into tyres
    • B29D2030/0686Incorporating sealants on or into ty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therefore, e.g. preparation of the tyre
    • B29D2030/0698Incorporating sealants on or into ty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therefore, e.g. preparation of the tyre the sealant being applied by injection, e.g. introducing the sealant through a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8Inner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666Automatic sealing of punctures [e.g., self-heal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666Automatic sealing of punctures [e.g., self-healing, etc.]
    • Y10T152/10675Using flowable coating or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666Automatic sealing of punctures [e.g., self-healing, etc.]
    • Y10T152/10675Using flowable coating or composition
    • Y10T152/10702Using flowable coating or composition within or part of construction of inflating inner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본체(1) 및 인너라이너(2)를 중합한 생 타이어(24)를 상형(29) 및 하형(30)내에 설치하고, 내측으로부터 브라자(31)를 공기압으로써 팽창시켜 가황 성형을 행한다. 이 때 한쪽 면만에서 이형성을 가지는 불소 수지 시트등의 이형 시트(9)를, 그 이형성을 갖는 면을 인너라이너(2)에 대향시켜 타이어 본체(1)와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인너라이너(2)가 타이어 본체(1)에 가황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기에 밀봉제를 충진하기 위한 밀봉제실을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형 시트(9)를 밀봉제에 용해하는 재질로서 구성하면, 밀봉제실에 잔류한 이형 시트(9)에 의한 밀봉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METHOD OF MANUFACTURING SEALANT-CONTAINING TIRES, AND SEALANT-CONTAINING TIRE}
타이어 본체 트레드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를 인너라이너에 의해 구획된 밀봉제실을 형성하고, 못등에 의한 트레드의 상처를 전기한 밀봉제실에 봉입된 밀봉제로서 자동 밀봉하여 상처로부터의 공기의 누출을 지연시키도록 한 밀봉제 넣은 타이어가, 일본국 특개평 8-323875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밀봉제 넣은 타이어는, 가황 성형전의 타이어 본체에 인너라이너를 중합시킬 때에, 양자의 접촉면의 일부에, 혹은 인너라이너 끼리의 접촉면의 일부에 탤크(talc)등의 이형제(離型劑)를 도포한 상태에서 가황 성형을 행함으로써, 타이어 본체를 인너라이너에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전기한 이형제를 도포한 부분을 비접착 상태로 잔류시켜서 밀봉제실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의 접촉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면, 이 도포 단계에서 이형제의 도포 상태가 희박하거나 조밀하기도 하고, 또한 도포후의 중력의 영향으로 이형제가 흘러서 해당 이형제가 농후한 부분과 희박한 부분이 발생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로 된 생 타이어를 가열형(加熱型)에 삽입하여 가황 성형하면 인너라이너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형제로서의 탤크 밀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발생하고, 가황 접착된 부분과 안된 부분의 경계가 불명확하게 되어 완전한 형상의 밀봉제실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원하는 형상의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밀봉제실 형상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되고 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트레드(tread)의 내측에 인너라이너(inner liner)에 의해 구획된 윤상(輪狀)의 밀봉제실을 가진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봉제 넣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타이어 장착 차륜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타이어 제조 공정도의 제1 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타이어 제조 공정도의 제2 분도.
도 4는, 도 2의 4-4 선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 선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장착 차륜의 횡단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장착 차륜의 횡단면도.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가황 공정 완료시 및 밀봉제 주입 공정 완료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13은,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1수법으로 제조한 타이어 장착 차륜의 횡단면도.
도 14는, 타이어 제조 공정의 제1 분도.
도 15는, 타이어 제조 공정의 제2 분도.
도 16은, 도 14의 (16)화살표 방향에서 본 확대도.
도 17은, 도 16의 17-17 선 화살표로 본 도면,
도 18은, 도 14의 18-18 선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19-19 선 확대 단면도.
도 20은,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2 수법을 나타내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생 타이어를 가황 성형하는 경우에, 가황 접착되는 부분과 안되는 부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정확한 형상의 밀봉제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의하면, 가황 성형전의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인너라이너(2, 21, 22)를 중합시켜서 가황 성형함으로써 해당 인너라이너(2, 21, 22)의 적어도 일부를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하고, 트레드(15)의 내측에 전기한 인너라이너(2, 21, 22)에 의해 구획된 윤상(輪狀)의 밀봉제실(6)을 형성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방법으로서,한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형성을 가진 이형 시트(9, 9 1 , 9 2 , 9 3 )를 준비하고, 가황 성형전에 인너라이너(2, 21, 22)의 상기한 밀봉제실(6)에 면하는 부분에 상기한 이형 시트(9, 91, 92, 93)를 배치하여, 가황 성형시에 상기 이형 시트(9)의 이형성을 가지지 않은 부분을 밀봉제실(6)의 벽면에 가황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황 성형전의 타이어 본체 내면에 인너라이너를 중합시킬 경우에, 인너라이너의 밀봉제실에 면하는 부분에 이형성을 가진 이형 시트를 배치하여서, 가황 성형시에 인너라이너의 밀봉제실에 면하는 부분이 가황 접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함과 동시에, 밀봉제실에 면하지 않은 부분을 확실히 가황 접착시킬 수 있다. 이것으로써, 밀봉제실의 형상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고, 또한 이 밀봉제실을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형 시트는 이형성을 가진 부분과 이형성을 갖지 않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형성을 가진 부분에서 인너라이너의 가황 접착을 방지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할 수 있고, 이형성을 갖지 않은 부분에서 인너라이너를 밀봉제실의 벽면에 가황 접착하여 인너라이너의 자유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형성을 가진 부분을 이형 시트의 한쪽 면의 일부로 하면,그 이외의부분에서 인너라이너를 타이어 본체의 내면에 접속하여 밀봉제실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더욱이 이형 시트에 있어서의 이형성을 가진 부분과 이형성을 가지지 않은 부분의 배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밀봉제실을 하나 뿐만이 아니라 복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들 복수의 밀봉제실 사이의 분리는 이형 시트의 이형성을 가지지 않은 부분을 밀봉제실 벽면에 가황 접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복잡한 밀봉제실 형상을 구비한 타이어의 제조공정이 극히 간단해진다. 특히 대형 타이어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밀봉제실을 서로 분리된 복수의 실로 구성함으로써, 이들 밀봉제실에 수용되는 밀봉제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유체를 내포하는 회전체에 있어서의 유체의 이동에 따른 회전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 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1의 특징에 추가해서,제2의특징에 의하면, 이형 시트가 밀봉제에 용해 가능한 재질로서 구성되어 있어 밀봉제실로의 밀봉제의 주입에 의해서 용해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밀봉제실에 밀봉제를 주입하면 이형 시트가 밀봉제에 용해되는 것으로서, 이형 시트의 잔류에 의한 밀봉성의 저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제2의특징에 추가해서,제3의특징에 의하면, 이형 시트가 수용성(水溶性) 종이 혹은 부직포로 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밀봉제의 주입에 의해서 이형 시트를 확실히 용해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제2의특징에 추가해서,제4의특징에 의하면, 이형 시트가 천연의 다당류(多糖類)로 된 막(film)으로 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밀봉제의 주입에 의해서 이형 시트를 확실히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특징에 추가해서,제5의특징에 의하면, 복수 매수(枚數)의 이형 시트를 적층하여 배치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황 성형시에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와 공히 이형 시트가 늘어나도, 복수 매수의 이형 시트가 그 접촉면에 있어서 상호 미끄러져 해당 이형 시트의 파단(破斷)을 방지하기 때문에,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의 바람직하지 못한 가황 접착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특징에 추가해서,제6의특징에 의하면, 가황 성형전에 이형 시트는 파형(波形)으로 접혀 꺽어져 있어, 가황 성형시에 전기한 이형 시트가 늘어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황 성형시에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와 공히 이형 시트가 늘어나도, 파형으로 접혀 꺽어진 이형 시트가 자유로 늘어나서 파단이 방지되기 때문에, 타이어 본체 및 인너라이너의 바람직하지 못한 가황 접착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제7의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으로부터제6특징의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밀봉제 넣은 타이어를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정확한 형상의 밀봉제실을 가진 고품질의 밀봉제 넣은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2륜차용 차륜의 림(rim)(R)에는, 타이어 본체(1)와, 그 내부에 가황 접착된 인너라이너(2)로 되는 튜브리스 타이어(tubeless tire)(T)가 장착된다. 인너라이너(2)는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 양측부가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되어 있고, 그 내측에 단면이 대략 원형의 공기실(5)이 구획 형성되고, 또한 인너라이너(2)의 비접착부 및 타이어 본체(1)의 내면과의 사이에 단면이 대략 원호상의 밀봉제실(6)이 구획 형성된다. 밀봉제실(6)에는 공지된 액상 밀봉제(7)가 충진된다.
림(R)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環狀)의 림 본체부(11)와, 림 본체부(11)의 폭 방향 양단(兩端)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타이어 본체(1)의 내주(內周)를 보호 유지하는 일군의 플랜지(flange)부(12, 12)를 구비한다. 인너라이너(2)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실(5)에 공기를 충진하는 공기변(空氣辨)(13)은, 림 본체부(11)의 원주 방향 1개소에 형성된 공기변 취부부(取付部)(14)를 관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인너라이너(2)의 밀봉제실(6)은 공기실(5)의 공기압에 의해 트레드(15)의 내측을 따른 형상을 보호 유지하기 때문에, 못등에 의한 반경 방향 혹은 측면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본체(1)가 상처를 입드라도, 밀봉제(7)가 이 상처를 즉시 메워 보수하여서, 공기실(5)로부터의 공기의 누출을 지연시킨다. 또한, 밀봉제(7)는 밀봉제실(6)에 보호 유지되어 있고, 공기실(5)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공기변(13)이나 그것에 맞게 변하는 압력 게이지등을 막히게 하는 일도 없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근거하여 전기한 타이어(T)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타이어(T)의 제조 공정은, 인너라이너 권취(券取) 공정, 이형 시트 권취 공정, 생 타이어 권취 공정, 금형 설치 공정, 가황 공정, 밀봉제 주입 공정 및 검사 공정으로서 된다.
우선, 인너라이너 권취 공정에서 생 고무로된 통 모양의 인너라이너(2)를 드럼(drum)(23)의 외주에 맞물리고, 연속하여 이형 시트 권취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의 외주에 이형 시트(9)를 권취한다. 그리고 생 타이어 권취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 및 이형 시트(9)의 외주에 타이어 본체(1)의 각각 부분의 소재를 권취하여 생 타이어(24)를 성형한다.
도 4는 드럼(23)에 권취된 생 타이어(24)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일내측에 위치하는 인너라이너(2)의 폭(W1)에 대하여, 그 외측에 중합된 이형 시트(9)의 폭(W2)은 작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이형 시트(9)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인너라이너(2)의 일부가 돌출하고 있다. 이형 시트(9)는 두께가 50mμ 이하의 불소 수지 시트(테플론 시트)나 실리콘 수지 시트로서 되고,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플론 시트로서는, 아사히 유리(주)(旭 가라스(株))의 아후렉구스(상품명)가 있다.
이형 시트(9)는, 그 한쪽 면에 코로나 방전이나 CS 처리가 되어 있고, 이 처리가 시행된 면은 이형성이 소멸하여 고무와의 밀착성이 높아져 있다. 그리고 전기한 처리가 시행된 한쪽의 면은 타이어 본체(1)에 접촉하고, 미처리의 이형성을 가진 다른쪽의 면은 인너라이너(2)에 접촉한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표면을 폴리에스테르, 하이파론, EP 고무등으로 피복한 금속 롤(roll)을 따라서 피처리물인 이형 시트(9)를 주행시켜 가면서, 고전압 발생기에 접속된 전극과 전기한 금속 롤 사이에 고압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코로나를 생성한 오존이나 산화 질소가 이형 시트(9)의 표면과 반응하여 카르보닐기(carbonyl基)등이 발생함으로써 해당 표면이 친수화(親水化)되는 것이다. 또한 CS 처리는, 전기한 코로나 방전에 대신하여 진공하에서 플라즈마 방전 처리를 시행하는 것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와 동일 양상의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인너라이너(2) 및 이형 시트(9)의 외주에는 생 고무로 된 타이어 본체(1)가권취되어 생 타이어(24)가 구성된다. 전기한 타이어 본체(1)는, 인너라이너(2) 및 이형 시트(9)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권취된 코드부(25)와, 코드부(25)의 축 방향 양단으로 나란하게 인너라이너(2)의 외주에 맞물리는 일군의 비드부(26, 26)와, 코드부(25) 및 비드부(26, 26)의 반경 방향 외측을 덮도록 권취된 트레드부(27)로서 구성된다.
계속해서, 드럼(23)에서 빼낸 생 타이어(24)를 금형 설치 공정에서 가황 성형용의 상형(上型)(29) 및 하형(30)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가황 공정에서 상형(29) 및 하형(30)을 가열함과 동시에, 생 타이어(24)의 내부에 배치된 브라자(31)를 공기압으로 팽창시켜, 그 압력으로써 생 타이어(24)를 상형(29) 및 하형(30)의 성형면에 밀착시켜서 최종 제품 형상이 되도록 가황 성형한다. 이 가황 성형에서, 타이어 본체(1)에 인너라이너(2)가 일체화 된다.
이 때, 이형 시트(9)는 팽창하는 브라자(31)의 압력으로써 인너라이너(2)와 타이어 본체(1) 사이에 끼워져서 압축되나, 이형 시트(9)의 인너라이너(2)에 맞닿는 다른쪽의 면(즉, 표면 처리되지 않은 측의 면)은 해당 인너라이너(2)에 가황 접착되는 것이 아니고, 타이어 본체(1)에 맞닿는 한쪽 면(즉, 표면 처리되어 있는 측의 면)이 해당 타이어 본체(1)에 가황 접착된다.
이렇게 이형 시트(9)를 사용함으로써, 가황 접착이 필요한 부분을 확실히 가황 접착함과 동시에, 가황 접착하여 떨어진 부분을 확실히 미접착 상태 그대로 남겨 놓고, 인너라이너(2) 및 타이어 본체(1) 사이에 정확한 형상의 밀봉제실(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형 시트(9)는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그 이형 시트(9)가 밀봉제실(6)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여 밀봉제(7)의 자유 유동을 저해하는 일이 없이, 밀봉제에 의한 밀봉 효과가 확실히 발휘된다.
가황 성형을 마치고 타이어 본체(1) 및 인너라이너(2)가 일체화된 것을 금형으로부터 꺼낸 후에, 밀봉제 주입 공정에서 주사기등을 이용하여 밀봉제실(6)의 내부에 밀봉제(7)를 주입하여서 타이어(T)를 완성하고, 최후의 검사 공정에서 완성품의 검사를 행하여 전공정을 종료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타이어(T)는, 타이어 본체(1)의 내면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에 가황 접착된 제1인너라이너(21)와, 타이어 본체(1)의 내면의 반경 방향 내측 부분 및 전기한 제1인너라이너(21)의 좌우 양단부에 가황 접착되어, 전기한 제1인너라이너(21)와의 사이에 밀봉제실(6)을 구획 형성하는 제2인너라이너(22)를 구비한다. 밀봉제실(6)에 면하는 제1인너라이너(21)의 벽면에 이형 시트(9)가 가황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은 제2실시예의 타이어(T)의 생 타이어 권취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드럼(23)의 외주에 권취된 제2인너라이너(22)의 외주에 이형 시트(9)가 권취되고, 또한 그 외측에 제1인너라이너(21)가 권취된다. 이형 시트(9)는, 제1인너라이너(21)에 대향하는 면이 코로나 방전 처리 혹은 CS 처리가 시행된 제1인너라이너(21)에 가황 접착되고, 또한 제2인너라이너(22)에 대향하는 면이 이형성을 발휘하여 밀봉제실(6)을 형성한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해서도, 전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 양상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타이어(T)는, 제1실시예의 타이어(T)와 동일 양상으로 1매의 인너라이너(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인너라이너(2)의 양단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 양상으로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앙부가 소정의 폭(예를 들어, 5mm)으로 걸쳐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제실(6, 6)은 인너라이너(2)의 중앙의 접착부(32)를 경계로 하여 좌우 2실로 분리되어 있어, 밀봉제실(6, 6)의 형상을 안정화 시킴과 동시에, 타이어(T)가 대형화되는 경우에 밀봉제실(6, 6)내의 밀봉제(7)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도 9는 제3실시예의 타이어(T)의 생 타이어 권취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드럼(23)의 외주에 권취된 인너라이너(2)의 외주에 2매의 이형 시트(9, 9)가 상호 5mm의 간격을 두고 권취되며, 또한 그 외주에 타이어 본체(1)의 각각의 부분의 소재가 권취되어 생 타이어(24)가 구성된다. 이형 시트(9, 9)는, 인너라이너(2)에 대향하는 면이 이형성을 가지고 있고, 타이어 본체(1)에 대향하는 면은 코로나 방전 처리 혹은 CS 처리에 의해 이형성이 제거되어 있다. 이것으로써, 2실로 구획된 밀봉제실(6, 6)을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의 구조의 타이어(T)를 제조하는 경우에, 제3실시예에서는 2매의 이형 시트(9, 9)를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있으나, 이하의 2가지 방법에 의하면 1매의 이형 시트(9)로써 동일 양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의 방법은, 이형 시트(9)의 타이어 본체(1)에 대향하는 면의 전체 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나 CS 처리로써 이형성을 소멸시키고, 또한 인너라이너(2)에 대향하는 면의 일부를 코로나 방전 처리나 CS 처리로써 이형성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타이어 본체(1)에 접착된 이형 시트(9)의 반대측의 면 일부가 인너라이너(2)에 접착되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구조의 타이어(T)를 얻을 수 있다. 인너라이너(2)에 대향하는 면의 이형성을 소멸시키는 부분은, 라인(line)형상으로도 좋고 스폿(spot)형상으로도 좋다.
제2의 방법은, 타이어 본체(1)에 대향하는 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나 CS 처리로써 이형성을 소멸시킨 이형 시트(9)에, 미리 슬릿(slit)형상의 개구나 스폿형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이형 시트(9)의 전기한 개구를 끼워서 인너라이너(2)가 타이어 본체(1)에 접촉하여 가황 접착되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구조의 타이어(T)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을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전기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어느것도 1매의 이형 시트(9)를 사용하고 있으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생 타이어(24)의 상태로서 제1인너라이너(21) 및 제2인너라이너(22)간에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가 적층상태로서 배치된다.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는, 물과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제(7)에 용해하는 재질, 예를 들어 수용성 종이, 부직포, 가식막(可食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식막은 해조류로부터 추출되는 천연의 다당류인 카라기난(carrageenan)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으로서, 수용성이기 때문에 전기한 밀봉제(7)에 용해된다.
이렇게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를 적층함으로써, 가황 공정에서 생 타이어(24)를 상형(29) 및 하형(30) 사이에 설치하여 가열시켜 가면서 최종 제품 형상으로 되도록 가황 성형할 경우에, 이형 시트(91, 92, 93)의 파단을 회피하여 제1인너라이너(21) 및 제2인너라이너(22)가 상호 가황 접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기한 가황 성형시에 생 타이어(24)와 공히 이형 시트(91, 92, 93)는 도 11A의 화살표시 a-a 방향에서 당겨 늘어지나, 이 경우에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가 상호 미끄러져 만나 파단을 방지하기 때문에, 파단부에 있어서 제1인너라이너(21) 및 제2인너라이너(22)가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이때 중앙의 이형 시트(92)의 양면에 탤크를 부착시켜 두면, 이형 시트(91, 92, 93) 상호의 미끄름을 양호하게 하여 파단을 더한층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봉제실(6)의 내부에 밀봉제(7)를 주입하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제실(6)에 잔류한 이형 시트(91, 92, 93)가 용해되는 것으로서, 이형시트(91, 92, 93)의 잔류에 의해 밀봉제(7)의 밀봉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는, 전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중의 1매, 예를 들어 중앙의 이형 시트(92)를 미리 파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가황 공정에서 생 타이어(24)를 최종 제품 형상으로 되도록 가황 성형하는 경우에, 생 타이어(24)와 공히 3매의 이형 시트(91, 92, 93)가 당겨져 늘어날 때에, 만일 상하 2매의 이형 시트(91, 93)가 파단되어도, 전기한 파형의 이형 시트(92)가 직선상으로 신장하여 파단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제1인너라이너(21) 및 제2인너라이너(22)가 직접 접촉하여 상호 가황 접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종류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 이형 시트(9, 91, 92, 93)를 밀봉제(7)에 용해되는 재질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제5실시예에서는 이형 시트(91, 92, 93)를 3매 적층하고 있으나, 그것을 2매 혹은 4매이상 적층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는, 이형 시트(9, 91, 92, 93)를 사용하여 밀봉제실(6)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형 시트(9, 91, 92, 93)를 대신하여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수법을 이하에서 개시한다.
이하,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1의 수법을 도 13 내지 도 1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2륜차용 차륜의 림(R)에는, 타이어 본체(1)와, 그 내부에 가황 접착된 인너라이너(2)로 되는 튜브리스 타이어(T)가 장착된다. 인너라이너(2)는, 타이어(T)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공기실 주벽(周壁)(3i, 3i)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는 밀봉제실 주벽(3o)을 구비하여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주벽(3)을 구비한다. 주벽(3)의 공기실 주벽(3i, 3i)과 밀봉제실 주벽(3o)을 접속하는 일군의 접속부간에는,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격벽(4)에 의해서 상호 접속된다.
공기실 주벽(3i, 3i)과 격벽(4)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단면이 대략 원형의 공기실(5)에는 공기가 충진되고, 밀봉제실 주벽(3o)과 격벽(4)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단면이 대략 원호상의 밀봉제실(6)에는 공지된 액상의 밀봉제(7)가 충진된다.
림(R)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環狀)의 림 본체부(11)와, 림 본체부(1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타이어 본체(1)의 내주(內周)를 보호 유지하는 일군의 플랜지부(12, 12)를 구비한다. 인너라이너(2)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실(5)에 공기를 충진하는 공기변(13)은, 림 본체부(11)의 원주 방향 1개소에 형성된 공기변 취부부(取付部)(14)를 관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인너라이너(2)의 밀봉제실(6)은 공기실(5)의 공기압에 의해 트레드(15)의 내측을 따른 형상으로 보호 유지되기 때문에, 못등에 의해 반경 방향 혹은 측면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본체(1)가 상처를 입드라도, 밀봉제(7)가 그 상처를 즉시 메워 보수하여서, 공기실(5)로부터의 공기의 누출을 지연시킨다. 또한, 밀봉제(7)는 밀봉제실(6)에 보관 유지되어 있고, 공기실(5)측으로 유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기변(13)이나 그것에 맞게 변하는 압력 게이지등을 막히게 하는 일도 없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을 근거하여 전기한 타이어(T)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타이어(T)의 제조 공정은, 재료 혼련(混練) 공정, 인너라이너 압출 성형 공정, 절단 공정, 절개 공정, 구멍 뚫기 공정, 접합 공정, 액체 이형제 주입 공정, 드럼 권취 공정, 생 타이어 성형 공정, 금형 설치 공정, 가황 공정, 밀봉제 주입 공정, 구멍 폐쇄 공정 및 검사 공정으로서 된다.
우선, 재료 혼련 공정에서 혼련한 재료를 인너라이너 압출 성형 공정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생 고무로부터 되는 인너라이너(2)를 성형한다. 인너라이너(2)는, 주벽(3)(도 13 참조)을 구성하는 밀봉제실 주벽(3o) 및 일군의 공기실 주벽(3i, 3i)과, 격벽(4)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전기한 밀봉제실 주벽(3o) 및격벽(4)은 횡단면이 환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부에 전기한 일군의 공기실 주벽(3i, 3i)이 접속된다. 계속해서, 절단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또한 구멍 뚫기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의 격벽(4)에 주입구(8)를 뚫어 설치한다.
계속해서, 전기한 절단 공정에서 절단된 인너라이너(2)의 양단부를 접합 공정에서 접합하여, 해당 인너라이너(2)를 환상으로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라이너(2)의 절단된 양단부를 각각 보관 유지하여 접합하는 보관 유지형(19)은, 상호 개폐하는 상형(20) 및 하형(21)으로서 구성된다. 인너라이너(2)를 평평하게 압축한 상태로서 보관 유지해야하는, 상형(20) 및 하형(21)의 대향부에 얕은 구상(溝狀)의 보관 유지면(201, 211)이 각각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상형(20)의 보관 유지면(201)에 인너라이너(2)의 밀봉제실 주벽(3o)이 맞물림과 동시에, 그 하형(21)의 보관 유지면(211)에 인너라이너(2)의 공기실 주벽(3i, 3i) 및 격벽(4)이 맞물린다.
계속해서, 액체 이형제 주입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의 격벽(4)의 주입구(8)로부터 밀봉제실(6)에 액체 이형제(9)를 주입한다. 이어서, 전기한 액체 이형제 주입 공정에서 밀봉제실(6)에 액체 이형제(9)를 주입한 환상의 인너라이너(2)를, 드럼 권취 공정에서 드럼(23)의 외주에 맞물리고, 또한 생 타이어 성형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의 외측에 타이어 본체(1)의 각각 부분의 소재를 권취하여 생 타이어(24)를 성형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한 생 타이어(24)는, 인너라이너(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권취된 코드부(25)와, 코드부(25)의 축방향 양단에 평행하도록 드럼(23)에 맞물리는 일군의 비드부(26, 26)와, 코드부(25) 및 비드부(26, 26)부의 반경 방향 외측을 덮도록 권취된 트레드부(27)로서 구성된다.
계속해서, 드럼(23)에서 빼낸 생 타이어(24)를 금형 설치 공정에서 가황 성형용의 상형(29) 및 하형(30)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가황 공정에서 상형(29) 및 하형(30)을 가열함과 동시에, 생 타이어(24)의 내부에 배치된 브라자(31)를 공기압으로 팽창시켜, 그 압력으로써 생 타이어(24)를 상형(29) 및 하형(30)의 성형면에 밀착시켜서 최종 제품 형상이 되도록 가황 성형한다.
이 때, 인너라이너(2)의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은 팽창하는 브라자(31)와 타이어 본체(1) 사이에 끼워져서 상호 압축되나,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의 접촉면은 거기에 액체 이형제(9)가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가황 접착되는 것이 아니고, 액체 이형제(9)가 부착하고 있지 않은 밀봉제실 주벽(3o) 및 타이어 본체(1)의 접촉면과, 공기실 주벽(3i, 3i) 및 타이어 본체(1)의 접촉면이 가황 접착된다. 게다가 가황 성형시에 인너라이너(2)가 신장되어도, 유동성이 있는 액체 이형제(9)는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의 접촉면을 따라 용이하게 친숙해지기 때문에,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의 접촉면이 가황 접착되는 염려는 없다. 이것으로써,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 사이에 구획되는 밀봉제실(6)을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인너라이너(2)의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의 두께의 총합은, 공기실 주벽(3i, 3i)의 두께보다도 크기 때문에, 격벽(4)의 부근 부분에서 단차(段差)가 발생한다(도 19의 원내 확대부 참조). 그리고, 브라자(31)의 외표면에서 전기한 단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단부(311)를 설치함으로써, 밀봉제실 주벽(3o), 격벽(4) 및 공기실 주벽(3i, 3i)을 균등한 압력으로써 타이어 본체(1)의 내면으로 밀어 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황 성형을 마치고 타이어 본체(1) 및 인너라이너(2)가 일체화된 것을 금형으로부터 꺼낸 후에, 밀봉제 주입 공정에서 격벽(4)의 주입구(8)로부터 밀봉제실(6)의 내부로 밀봉제(7)를 주입한다. 연속하여 구멍 폐쇄 공정에서 전기한 주입구(8)에 접착 테이프(32)를 늘여 붙혀서 타이어(T)를 완성하고, 최후의 검사 공정에서 완성품의 검사를 행하여 전공정을 종료한다.
이어서, 도 20에 근거하여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2의 수법을 설명한다.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2의 수법은, 인너라이너 압출 공정에서 압출 성형하는 인너라이너(2)의 형상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인너라이너(2)는 횡단면이 환상의 주벽(3)과, 그 주벽(3)을 2 분할하는 횡단면이 S자 형상의 격벽(4)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절단 공정에서 전기한 인너라이너(2)를 소정의 길이로서 절단한 후에, 절개 공정에서 인너라이너(2)의 주벽(3)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밀봉제실 주벽(3o) 및 일군의 공기실 주벽(3i, 3i)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이후의 공정은 기술한 제1의 수법과 동일 양상이다.
또한, 상술한 액체 이형제를 사용하여 밀봉제실을 형성하는 제2의 수법에서는, 인너라이너(2)는 밀봉제실 주벽(3o) 및 격벽(4)에 의해 구획된 포대 형상의 밀봉제실(6)을 구비하고 있으나, 시트 형상의 인너라이너(2)의 양측 가장자리를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함으로써, 그 인너라이너(2)와 타이어 본체(1)의 내면과의 사이에 밀봉제실(6)을 구획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밀봉제실(6)에 면하는 부분에 액체 이형제(9)를 도포한 인너라이너(2)를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중합한 상태에서 가황 공정을 행하면 좋다.

Claims (8)

  1. 가황 성형전의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인너라이너(2, 21, 22)를 중합시켜서 가황 성형함으로써 해당 인너라이너(2, 21, 22)의 적어도 일부를 타이어 본체(1)의 내면에 가황 접착하고, 트레드(15)의 내측에 전기한 인너라이너(2, 21, 22)에 의해 구획된 윤상(輪狀)의 밀봉제실(6)을 형성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으로서,한쪽 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형성을 가진 이형 시트(9, 9 1 , 9 2 , 9 3 )를 준비하고, 가황 성형전에 인너라이너(2, 21, 22)의 상기한 밀봉제실(6)에 면하는 부분에 상기한 이형 시트(9, 91, 92, 93)를 배치하여, 가황 성형시에 상기 이형 시트(9)의 이형성을 가지지 않은 부분을 밀봉제실(6)의 벽면에 가황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형 시트(91, 92, 93)는 밀봉제(7)에 용해 가능한 재질로서 구성되어 있어 밀봉제실(6)로의 밀봉제(7)의 주입에 의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형 시트(91, 92, 93)는 수용성 종이 혹은 부직포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이형 시트(91, 92, 93)는 천연의 다당류로서 되는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매의 이형 시트(91, 92, 93)를 적층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가황 성형전에 이형 시트(92)는 파형으로 접혀 꺽어져 있고, 가황 성형시에 전기한 이형 시트(92)는 당겨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밀봉제 넣은 타이어.
KR10-2000-7009992A 1998-03-16 1999-02-08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 KR100449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538398 1998-03-16
JP98-65383 1998-03-16
JP98-206471 1998-07-22
JP10206471A JPH11320697A (ja) 1998-03-16 1998-07-22 シール剤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98-366252 1998-12-24
JP10366252A JP2000158557A (ja) 1998-03-16 1998-12-24 シール剤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ル剤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751A KR20010041751A (ko) 2001-05-25
KR100449525B1 true KR100449525B1 (ko) 2004-09-21

Family

ID=2729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992A KR100449525B1 (ko) 1998-03-16 1999-02-08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86990B1 (ko)
EP (1) EP1065042B1 (ko)
KR (1) KR100449525B1 (ko)
CN (1) CN1103680C (ko)
AR (1) AR018151A1 (ko)
AU (1) AU748354B2 (ko)
BR (1) BR9908854B1 (ko)
CA (1) CA2323888C (ko)
DE (1) DE69920889T2 (ko)
ES (1) ES2230832T3 (ko)
ID (1) ID26585A (ko)
MX (1) MXPA00009035A (ko)
TR (1) TR200002664T2 (ko)
WO (1) WO1999047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2926B2 (ja) * 1999-06-03 2009-03-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WO2001028787A1 (en) * 1999-10-21 2001-04-26 Czarno Yanush Wheel system including automatic tire repair
JP3381065B2 (ja) * 2000-01-27 2003-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レスタイヤ
JP3943799B2 (ja) * 2000-04-05 2007-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ンク防止用シール剤、チューブレスタイヤおよびタイヤチューブ
JP4297241B2 (ja) 2001-10-18 2009-07-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04016413A1 (ja) * 2002-07-16 2004-02-26 Kosuke Nagaya 流体漏洩を防止する流体封入構造体とその漏洩防止方法
US6915826B2 (en) * 2002-12-06 2005-07-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uncture sealing pneumatic tire
US7231948B2 (en) * 2004-03-18 2007-06-19 Carlisle Intangible Company Non-pneumatic tire
JP2006131073A (ja) * 2004-11-05 2006-05-25 Honda Moto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US20080142140A1 (en) * 2006-12-15 2008-06-19 Patrick David Marks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puncture sealant tire
US8617333B2 (en) 2007-09-20 2013-12-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built-in sealant layer and preparation thereof
US8316903B2 (en) * 2007-10-01 2012-1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built-in sealant layer and preparation thereof
JP5468507B2 (ja) * 2010-09-29 2014-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タイヤ組成物、および、自動二輪車用タイヤ
US8726955B2 (en) * 2010-11-09 2014-05-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lf-balancing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235990B2 (ja) * 2014-10-17 2017-1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ラントタイヤ
US10399391B2 (en) 2014-12-16 2019-09-03 Triangle Tyre Co., Ltd. Pneumatic tire having multiple built-in sealant layers and preparation thereof
US20200023599A1 (en) * 2017-02-08 2020-01-23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909371A (zh) * 2018-07-18 2018-11-30 戴利国 轮胎及其制作方法与应用
DE112019003744T5 (de) * 2018-07-24 2021-04-08 The Yokohama Rubber Co., Ltd. Luftreif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1152608B (zh) * 2020-01-07 2021-11-16 山东华盛橡胶有限公司 一种可自动调压的电动汽车轮胎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875A (ja) * 1995-06-02 1996-12-10 Honda Motor Co Ltd シール液層付タイ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6202A (en) * 1960-08-30 1963-07-02 Johnson & Johnson Polyvinyl pyrrolidone pressure sensitive adhestive and tape containing same
BE622580A (ko) 1961-09-23
JPS5663414A (en) 1979-10-30 1981-05-3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Forming of rubber plastic coated roll
WO1988006539A1 (en) 1987-02-24 1988-09-07 Emanuel Nunes Silva Impervious tyre or container for holding a fluid
JP3497280B2 (ja) 1995-06-02 2004-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タイヤ車輪
JPH09155881A (ja) * 1995-12-12 1997-06-17 Suzuki Motor Corp 樹脂成形用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樹脂の成形方法
JP3352026B2 (ja) * 1997-11-28 2002-1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232926B2 (ja) 1999-06-03 2009-03-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875A (ja) * 1995-06-02 1996-12-10 Honda Motor Co Ltd シール液層付タイ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5042A4 (en) 2001-05-30
ID26585A (id) 2001-01-18
CN1103680C (zh) 2003-03-26
US6786990B1 (en) 2004-09-07
DE69920889T2 (de) 2005-02-03
AR018151A1 (es) 2001-10-31
AU2187499A (en) 1999-10-11
TR200002664T2 (tr) 2000-11-21
MXPA00009035A (es) 2003-04-25
CN1293612A (zh) 2001-05-02
AU748354B2 (en) 2002-06-06
BR9908854A (pt) 2000-11-21
EP1065042A1 (en) 2001-01-03
CA2323888A1 (en) 1999-09-23
EP1065042B1 (en) 2004-10-06
KR20010041751A (ko) 2001-05-25
WO1999047345A1 (fr) 1999-09-23
ES2230832T3 (es) 2005-05-01
DE69920889D1 (de) 2004-11-11
CA2323888C (en) 2005-01-04
BR9908854B1 (pt)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525B1 (ko) 밀봉제 넣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 및 밀봉제 넣은 타이어
EP081830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tube containing sealant
JP4232926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H08323875A (ja) シール液層付タイヤの製造方法
JP3567431B2 (ja) チューブレス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68028A1 (fr) Pneumatique renfermant un agent d'etancheite
US6106647A (en) Process for producing sealant-incorporated tire tube
KR100454983B1 (ko) 시일제 함유 타이어
JP4255156B2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6338766B1 (en) Retention mold for bonding tire tube
JP3853983B2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
JP3999338B2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H11320697A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024712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158557A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シール剤入りタイヤ
TW397762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ires with tire-patcher and tires with tire-patches
JPH1016519A (ja) チューブ入りチューブレスタイヤ
JP3554439B2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2007130915A (ja) 安全タイヤ用空気のうの製造方法
TW452544B (en) Tube tire
JPS6034451B2 (ja) 充てん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