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139B1 - 콘볼트 세트 - Google Patents

콘볼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139B1
KR100449139B1 KR1020030059781A KR20030059781A KR100449139B1 KR 100449139 B1 KR100449139 B1 KR 100449139B1 KR 1020030059781 A KR1020030059781 A KR 1020030059781A KR 20030059781 A KR20030059781 A KR 20030059781A KR 100449139 B1 KR100449139 B1 KR 10044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e
washer
mold pla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수
주영언
Original Assignee
박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수 filed Critical 박의수
Priority to KR102003005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일정한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실치한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볼트 세트가 개시된다.
그 구성은 측면부에 콘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형틀판;과 상기 제 1형틀판에 대향하고,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관통되어 타단에서 와샤에 의해 조여지도록 측면부에 와샤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제 2형틀판;과 일단이 상기 제 2형틀판 및 상기 제 1형틀판의 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1형틀판 및 제 2형틀판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매립볼트와, 일단은 상기 매립볼트와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고 타단은 와샤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와샤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매립볼트에 결합 및 분리되는 조임볼트로 구성되는 콘볼트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콘볼트 세트의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콘볼트를 매립볼트와 조임볼트로 분리하여 매립볼트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하고, 조임볼트만을 해체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다.

Description

콘볼트 세트{Cone bolt set}
본 발명은 콘볼트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토목, 건축분야의 건설현장에 있어서 콘크리트 형틀 작업 시에 형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콘크리이트 볼트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 볼트 세트는 설치 및 분해 작업이 간단하고, 분해에 따른 작업상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종래 콘크리트 형틀 작업 시에 사용되는 거푸집 조립체에 대하여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빔(beam)(11)을 지반에 세워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받침 각목(12)을 끼워 적재하여 벽막이(10)를 완성하며, 이 벽막이(10)에 형틀합판(13)을 결합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형틀합판(13)과 대향 되도록 다른 형틀합판(14)을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거푸집을 완성하고, 이들 사이에 다수의 버팀목(15)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벽막이(10)의 외측에 세로 방향으로 철근(16)을 고정 설치한 후,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철사(17)를 벽막이(10)의 받침각목 틈(18)사이에 끼워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철근(16)을 중앙에 두고 고정철사(17)를 U자형으로 굴곡시킨 후 양측 형틀합판(13)(14)에 각각 관통된 구멍에 고정철사(17)를 관통시켜 형틀합판(14)의 외측으로 나온 고정철사(17)를 꼬아서 거푸집을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 고정장치는, 벽막이(10)에 일정 간격만큼 철근(16)을 일일이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고정철사(17)를 벽막이(10)의 받침각목 틈(18)사이로 끼워 넣을 경우에도 받침각목(12)을 들어 올려 받침각목 틈(18)사이를 벌려야만 하기 때문에 거푸집을 고정함에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 20-1998-0021252 호(콘볼트 분해공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걸림편이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면이 형성된 타이 볼트 및 콘와샤를 이용하여 거푸집 형틀합판의 설치간격을 유지하는 거푸집을 고정 또는 해체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콘볼트 분해공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경우, 콘볼트(26)에 결합된 와샤를 콘볼트 분해공구를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하게 되어 편리한 점도 있으나 작업을 위해서는 무거운 콘볼트 분해공구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거푸집(27)으로부터 돌출된 콘볼트(26)는 작업자의 동선에 방해가 되어 큰 불편으로 생각되어 왔다. 특히 아파트 등 높은 곳에서의 거푸집 설치 및 분해 작업은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서 좁은 공간을 작업자들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동선에서의 장애물은 최소화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거푸집(27)으로부터 돌출된 콘볼트(26)는 작업자의 작업에 커다란 불편으로 작용하여 왔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소,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콘볼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이 간단하면서도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콘볼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해체 시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 콘볼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거푸집 조립체 및 그 분해공구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요부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일정한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실치한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콘볼트 세트는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볼트 삽입공이 측면부에 형성된 제 1형틀판;과 상기 제 1형틀판에 대향하고,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관통되어 타단에서 와샤에 의해 조여지도록 측면부에 와샤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제 2형틀판;과 일단이 상기 제 2형틀판 및 상기 제 1형틀판의 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1형틀판 및 제 2형틀판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매립볼트와, 일단은 상기 매립볼트와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고 타단은 와샤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와샤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매립볼트에 결합 및 분리되는 조임볼트로 구성되는 콘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샤 지지수단은 상기 제 2형틀판의 측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와 일측이 이 지지리브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2형틀판의 표면에 고정결합된 "ㄱ"자 형태의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샤 지지수단은 두개의 지지리브 사이를 브라켓을 연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의 와샤 하측으로는 키가 돌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콘볼트 세트가 이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시를불필요하게 제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요부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볼트 세트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볼트 세트는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일정한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실치한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콘볼트(30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볼트 삽입공(101)이 측면부에 형성된 제 1형틀판(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형틀판(100)(유로폼)에 대향하고, 콘볼트(300)의 일단이 삽입관통되어 타단에서 와샤(303)에 의해 조여지도록 측면부에 지지리브(210)와 이 지지리브(210)에 고정결합되는 "ㄱ"자형의 지지브라켓(220)으로 구성되는 와샤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제 2형틀판(200)(갱폼)을 포함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제 2형틀판(200) 및 상기 제 1형틀판(100)의 콘볼트 삽입공(101)에 삽입되어 상기 제 1형틀판(100) 및 제 2형틀판(200)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307)를 갖는 매립볼트(301)와, 일단은 상기 매립볼트(301)와 상기 결합부(307)에서 결합되고 타단은 와샤(30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와샤(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307)에서 상기 매립볼트(301)에 결합 및 분리되는조임볼트(302)로 구성되는 콘볼트(3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콘볼트(300)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와샤(303)의 내부로는 볼트형상의 돌부(304)가 형성되어 분해 및 해체 시 스패너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샤(303)의 하부로는 조임볼트(302)의 몸체표면 일측에 키(30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브라켓(220)의 콘볼트 삽입공(309)에는 키홈(308)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볼트(302)를 상기 매립볼트(301)로부터 해체한 경우 밑으로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매립볼트(301)의 하단부에는 형틀(100, 200) 해체 후 콘크리트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잘라 버리기 위해 결절부(31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결절부(311)을 전후해서 매립볼트(301)는 단면이 원형에서 직사각형으로 변화되도고 한다. 또한 말단부에는 조립핀(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핀 삽입공(318)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콘볼트 세트의 사용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형틀을 제작하기 위해 제 1형틀(100)과 제 2형틀(200)을 대향 위치시키고 콘 볼트(300)을 지지브라켓(220)의 삽입공(309)을 통해서 삽입하여 제 1형틀(100)의 측면부에 형성된 삽입공(101)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조립핀(70)을 이용하여 고정한 뒤 제 1형틀(100)과 제 2형틀(20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와샤(303)을 망치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켜 조정한 다음, 제 1형틀(100)과 제 2형틀(200)사이의 측면에 측면덮개(미도시)를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충진한다. 이 때 매립볼트(301)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결합부(307)의 입구만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충진된 콘크리트가 굳게 되면 콘볼트(300)을 해체하여 조임볼트(302)을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볼트(301)를 분리하여 지지브라켓(220)에 걸쳐 놓거나 지지브라켓(2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다.
그런 다음 형틀(100, 200)을 해체하면 도 4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물이 제작되어진다. 이 때 매립볼트(301)의 말단이 콘크리트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는데, 아파트 내부 벽의 경우에는 결절부(311)를 망치 등으로 쳐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외부로 드러난 결합부(307)의 입구를 콘크리트로 메운다.
한편,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성형물의 높이가 높아서 한 번의 거푸집 작업으로 완성되지 못할 경우에는 결합부(307)의 입구를 콘크리트로 메우기 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착구(500)를 사용하여 거푸집을 성형된 콘크리트 위에 재 설치하여 앞에서 설명한 작업을 반복한다.
즉, 성형된 콘크리트 상단부에 거푸집(B)를 올려 놓고, 결착구(5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매립된 결합부(307)에 상기 결착구(500)의 단부에 마련된 볼트부(501)를 결합하여 새로운 거푸집(B)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결착구(500)는 앞서 설명한 콘볼트(300)의 조임볼트(302)와 유사한 것으로서, 볼트부의 하단부에 스프링(502)을 삽입하여 지지판(503)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판(503)과 어느 정도 이격하여 "ㄷ"자형 압착판(504)을 결합하여 와샤(505)에 의해 조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4에서 미설명부호 506은 볼트이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아파트 건설현상에서와 같이 벽체 완성 후 슬라브(700)를 칠 경우에는 말단이 "ㄱ"자로 절곡된 매립볼트(350)를 상하에 사용하여 결착구(500)를 이용하여 층층을 올릴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면부호 600은 작업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콘볼트세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콘볼트 세트는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다.
둘째, 콘볼트를 매립볼트와 조임볼트로 분리하여 매립볼트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하고, 조임볼트만을 해체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다.
셋째, 콘볼트의 단부를 와샤와 볼트돌부로 마무리 하여 거푸집 외부로 돌출 되지 않아 작업자의 몸에 걸리는 일이 없으며, 특히 높은 곳에서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이 향상된다.
넷째, 콘볼트의 단부를 와샤와 볼트돌부로 마무리 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망치 등으로 조임볼트를 해체할 수 있다.
다섯째,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을 이기고 철판이 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양생 후 콘크리트면이 일정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볼트 세트의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콘볼트를 매립볼트와 조임볼트로 분리하여 매립볼트는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하고, 조임볼트만을 해체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콘볼트의 단부를 와샤와 볼트돌부로 마무리 하여 거푸집 외부로 돌출 되지 않아 작업자의 몸에 걸리는 일이 없으며, 특히 높은 곳에서의 작업시 작업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콘볼트의 단부를 와샤와 볼트돌부로 마무리 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망치 등으로 조임볼트를 해체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일정한 형상을 성형하기 위해 실치한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볼트 세트에 있어서,
    측면부에 콘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형틀판;
    상기 제 1형틀판에 대향하고, 콘볼트의 일단이 삽입관통되어 타단에서 와샤에 의해 조여지도록 측면부에 와샤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제 2형틀판; 및
    일단이 상기 제 2형틀판 및 상기 제 1형틀판의 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1형틀판 및 제 2형틀판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매립볼트와, 일단은 상기 매립볼트와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되고 타단은 와샤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와샤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매립볼트에 결합 및 분리되는 조임볼트로 구성되는 콘볼트로 구성되되,
    상기 와샤 지지수단은 상기 제 2형틀판의 측면부에 형성된 지지리브와 일측이 이 지지리브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 2형틀판의 표면에 고정결합된 "ㄱ"자 형태의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볼트 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의와샤 하측으로는 키가 돌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볼트 세트.
KR1020030059781A 2003-08-28 2003-08-28 콘볼트 세트 KR10044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81A KR100449139B1 (ko) 2003-08-28 2003-08-28 콘볼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81A KR100449139B1 (ko) 2003-08-28 2003-08-28 콘볼트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640U Division KR200337181Y1 (ko) 2003-08-28 2003-08-28 콘볼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139B1 true KR100449139B1 (ko) 2004-09-20

Family

ID=3736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781A KR100449139B1 (ko) 2003-08-28 2003-08-28 콘볼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1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216B1 (ko) 조립식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KR101523987B1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KR100449139B1 (ko) 콘볼트 세트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0337181Y1 (ko) 콘볼트 세트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JP7270213B2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0198525Y1 (ko) 목재 벽체거푸집 해체용 금구
KR102485138B1 (ko) 탄소섬유패널과 보강철물을 조립한 필로티 rc 기둥의 자가 휨 보강 공법 및 구조
KR20050122138A (ko)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68242Y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268243Y1 (ko) 거푸집 시스템
JPH044456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支持装置のタイ金具およびセパレータ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JPH0254065A (ja) リブ付きスラブの施工法及びリブ補強筋用スペーサー
KR2003628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330066B1 (ko) 거푸집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