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006B1 - 본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본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006B1
KR100447006B1 KR10-2002-0022771A KR20020022771A KR100447006B1 KR 100447006 B1 KR100447006 B1 KR 100447006B1 KR 20020022771 A KR20020022771 A KR 20020022771A KR 100447006 B1 KR100447006 B1 KR 10044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nd
screw
hole
pu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201A (ko
Inventor
조희왕
Original Assignee
조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왕 filed Critical 조희왕
Priority to KR10-2002-002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0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18Devices for applying adhesives to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20Arrangements for activating or for accelerating setting of adhesives, e.g. by using heat

Abstract

본 발명은 본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본드 공급장치는 본드의 펌핑을 위한 펌프가 탱크 하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펌프의 수리를 위해서 탱크로부터 펌프를 분리하고자 할때 탱크 내부에 담겨있는 본드가 탱크 밖으로 쏟아지게되어 수리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펌프 구동시 기어펌프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어 탱크 밖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이로인해 탱크 밖으로 유출된 본드에서 발생하는 심한 악취가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ㄱ'자 모양의 펌프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펌프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펌핑용 스크류를 설치한 후 펌핑되는 본드가 탱크의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드가 펌핑될때 스크류의 상축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더라도 그 누설되는 본드가 다시 탱크 내부로 회수되므로 본드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탱크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고장 수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본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드 공급장치{Bond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본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드가 펌핑될때 스크류의 상축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더라도 그 누설되는 본드가 다시 탱크 내부로 회수되므로 본드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탱크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고장 수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본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를 접착할때 전용의 본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본드는 상온상태에서는 고체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온도(약 100℃~200℃)로 가열하게되면 고체에서 녹아 고점도의 반액체상태로 전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발을 제조하는 공장에서는 상기와같은 본트를 액체상태로 공급해주는 별도의 본드공급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본드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를 접착하기위한 본트를 내장하는 탱크(1)를 구비하고, 이 탱크(1)의 바닥부분에 본드를 핫멜트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히터(2)를 설치하며, 탱크(1)의 하측 일단에는 탱크(1) 내부의 본드를 본드건(본드를 접착 대상물로 출력하는 장치)으로 공급하는 펌프(3)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3)의 내부에는 기어펌프(4)가 내장되어있어서 상기 기어펌프(4)의 회전에 의해 액체상태의 본드가 펌핑되며, 탱크(1)의 상단에는 본드의 보충을 위한 투입구(6)가 형성되어있고, 이 투입구(6)에는 덮개(5)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본드 공급장치는 히터(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탱크(1) 내부에 존재하는 본드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면서 액체상태로 존재하게되며, 펌프(3)의 구동에 의해 본드건으로 펌핑되어 접착 대상물에 도포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본드 공급장치는 본드의 펌핑을 위한 펌프가 탱크 하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펌프의 수리를 위해서 탱크로부터 펌프를 분리하고자 할때 탱크 내부에 담겨있는 본드가 탱크 밖으로 쏟아지게되어 수리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펌프 구동시 기어펌프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어 탱크 밖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이로인해 탱크 밖으로 유출된 본드에서 발생하는 심한 악취가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ㄱ'자 모양의 펌프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펌프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펌핑용 스크류를 설치한 후 펌핑되는 본드가 탱크의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드가 펌핑될때 스크류의 상축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더라도 그 누설되는 본드가 다시 탱크 내부로 회수되므로 본드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탱크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고장 수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본드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 등을 접착할때 사용되는 본드를 저장하는탱크와; 상기 탱크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탱크 내의 본드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며, 그 상단 일측이 탱크 외부로 노출되고, 수직단 내부에는 스크류의 장착을 위한 수직홀이 형성되어 있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수직홀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펌프 하우징의 상단부 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홀과;
상기 수직홀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하여 탱크 내의 본드를 펌핑하는 스크류와;
탱크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그 회전축이 스크류의 상부와 연결되며, 구동하여 스크류를 회전시켜 펌핑되는 보드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모터와;
상기 배출홀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출홀을 통과하는 본드의 온도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보조히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하우징의 수평단에 배출홀과 연통하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탱크의 상부로부터 상기 나사공으로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본드 공급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본드 공급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탱크, 2: 히터,
10: 펌프하우징, 11: 수직홀,
12: 배출홀, 13: 스크류,
14: 모터, 15: 회전축,
16: 보조히터, 17: 나사공,
18: 유량조절밸브, 20: 펌프하우징,
21: 나사결합부, 22: 수직홀,
23: 유입홀, 24: 스크류,
25: 회전축, 26: 모터,
27: 공급호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0은 탱크(1)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하우징을 나타낸다.
펌프하우징(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ㄱ'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 상단부를 형성하는 수평단의 끝부분이 탱크(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펌프하우징(10)의 수직단 내부에는 본드 펌핑용 스크류(13)의 설치를 위한 수직홀(11)을 관통 형성하고, 펌프하우징(10)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수직홀(11)과 연통되도록 배출홀(12)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홀(11)을 통해 펌핑되어지는 본드의 외부 송출이 배출홀(12)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면부호 13은 상기 수직홀(1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를 나타내는데, 이 스크류(13)의 상부는 탱크(1)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모터(14)의 회전축(15)에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스크류(13)가 연동회전하여 탱크(1) 내의 본드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크류(13)가 회전함에 따라 탱크(1) 내부에 존재하는 본드가 수직홀(11)을 통해 상측으로 펌핑된 후 배출홀(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펌프하우징(10)의 상단부 수평단에는 배출홀(1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보조히터(16)를 설치하여 이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는 본드의 온도가 항상 높은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본드건으로 배출되는 본드가 항상 액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징(10)의 수평단 도중에 배출홀(12)과 연통되도록 별도의 나사공(17)을 형성하고, 이 나사공(17)에 별도의 유량조절밸브(18)설치하였다.
상기 유량조절밸브(18)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단에 탱크(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유량조절밸브(18)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량조절밸브(18)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배출홀(12)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본드의 배출량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탱크(1)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홀(12)의 끝부분에 별도의 컨넥터를 설치하여 본드건과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탱크(1) 외부로 노출된 펌프하우징(10)의 끝단부에 배출홀(12)과 연통되는 또다른 배출구(19)를 형성하여 복수의 본드건으로 본드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모터(14)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14)가 일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그의 회전축(15)과 연결되어있는 스크류(13)가 일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13)가 회전함에 따라 탱크(1) 내부에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본드가 수직홀(11)을 따라 상측으로 펌핑되고, 그 펌핑압에 의해 본드가 상측의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어 본드건으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홀(12)을 따라 배출되는 본드의 배출량은 배출홀(12)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18)를 조절하여 배출홀(12)의 개도량을 조정함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12)을 따라 배출되는 본드는 배출홀(12)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히터(16)로 부터 열을 받아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면서 액체상태로서 펌핑된다.
상기와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본드 공급장치는 펌프하우징(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있는 스크류(11)의 회전에 의해 본드가 상측으로 펌핑되는 것이며, 상기 스크류(11)의 상부와 모터(14)의 회전축(15)이 탱크(1) 내부 상단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11)의 펌핑동작시 스크류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더라도 그 누설되는 본드가 다시 탱크 내부로 회수되므로 본드의 탱크 외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모터(14)가 탱크(1)의 상단 외부에 설치되므로 모터(14)의 수리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 등을 접착할때 사용되는 본드를 저장하는 탱크(1)와; 상기 탱크(1)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탱크 내의 본드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2)를 포함하여 구서된 것에 있어서,
탱크(1)의 하부면에 펌프하우징(20)의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1a)와;
상기 결합부(1a)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결합부(21)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크류(24)의 설치를 위한 수직홀(22)이 형성되며, 탱크(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펌프하우징(20)과;
상기 수직홀(22)과 연통되도록 펌프하우징(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유입홀(23)과;
상기 펌프하우징(20)의 수직홀(22) 내에 설치되어 유입홀(23)로 유입되는 본드를 하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류(24)와;
탱크(1)의 상면에 수직설치되고, 그 회전축(25)이 상기 스크류(24)의 상부와 결합되어 스크류(24)를 회전시키는 모터(2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24)가 회전하게되고, 상기 스크류(24)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펌핑압에 의해 탱크(1) 내의 본드가 유입홀(23)을 통해 수직홀(22) 내부로 유입되어 펌프 하우징(20)의 하측 끝부분에 연결되는 공급호스(27)로 배출되어 본드건으로 공급된다.
상기와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펌프 하우징(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부(21)를 탱크(1)의 바닥부분에 형성되어있는 결합부(1a)에 직접 나사결합하여 결속시키므로 기밀성 유지가 용이해지며, 이 경우에도 스크류(2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6)가 탱크(1)의 상부 외면에 설치되므로 모터(26)의 교체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탱크 내부에 'ㄱ'자 모양의 펌프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펌프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펌핑용 스크류를 설치한 후 펌핑되는 본드가 탱크의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본드가 펌핑될때 스크류의 상축 축을 통해 본드가 누설되더라도 그 누설되는 본드가 다시 탱크 내부로 회수되므로 본드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탱크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고장 수리가 용이해지도록 한 본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 등을 접착할때 사용되는 본드를 저장하는 탱크(1)와; 상기 탱크(1)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탱크 내의 본드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2)를 포함하여 구서된 것에 있어서,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며, 그 상단 일측이 탱크(1) 외부로 노출되고, 수직단 내부에는 스크류(13)의 장착을 위한 수직홀(11)이 형성되어 있는 펌프하우징(10)과;
    상기 수직홀(11)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펌프 하우징(10)의 상단부 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홀(12)과;
    상기 수직홀(11)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하여 탱크(1) 내의 본드를 펌핑하는 스크류(13)와;
    탱크(1)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그 회전축(15)이 스크류(13)의 상부와 연결되며, 구동하여 스크류(13)를 회전시켜 펌핑되는 보드가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모터(14)와;
    상기 배출홀(12)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출홀(12)을 통과하는 본드의 온도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보조히터(1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10)의 수평단에 배출홀(12)과 연통하는 나사공(17)을 형성하고, 탱크(1)의 상부로부터 상기 나사공(17)으로 별도의 유량조절밸브(18)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드 공급장치.
  3. 신발의 중창이나 바닥재 및 갑피 등을 접착할때 사용되는 본드를 저장하는 탱크(1)와; 상기 탱크(1)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탱크 내의 본드가 핫멜트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하는 히터(2)를 포함하여 구서된 것에 있어서,
    탱크(1)의 하부면에 펌프하우징(20)의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1a)와;
    상기 결합부(1a)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결합부(21)가 하단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크류(24)의 설치를 위한 수직홀(22)이 형성되며, 탱크(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펌프하우징(20)과;
    상기 수직홀(22)과 연통되도록 펌프하우징(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유입홀(23)과;
    상기 펌프하우징(20)의 수직홀(22) 내에 설치되어 유입홀(23)로 유입되는 본드를 하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류(24)와;
    탱크(1)의 상면에 수직설치되고, 그 회전축(25)이 상기 스크류(24)의 상부와 결합되어 스크류(24)를 회전시키는 모터(2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본드 공급장치.
KR10-2002-0022771A 2002-04-25 2002-04-25 본드 공급장치 KR10044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71A KR100447006B1 (ko) 2002-04-25 2002-04-25 본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71A KR100447006B1 (ko) 2002-04-25 2002-04-25 본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201A KR20030084201A (ko) 2003-11-01
KR100447006B1 true KR100447006B1 (ko) 2004-09-07

Family

ID=3238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71A KR100447006B1 (ko) 2002-04-25 2002-04-25 본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05B1 (ko) * 2004-04-28 2006-05-11 노드슨상산 주식회사 핫멜트를 이용한 신발접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647A (en) * 1986-12-08 1988-03-15 Nordson Corporation Powder feeder apparatus
US4938383A (en) * 1988-04-13 1990-07-03 Kabushiki Kaisha Shinkawa Dispenser apparatus
KR970012257U (ko) * 1995-09-25 1997-04-25 접착제 자동 도포장치
KR19980017965A (ko) * 1996-08-31 1998-06-05 서정헌 금속 이온 격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이온 격리제
KR19990033218U (ko) * 1999-03-24 1999-08-05 박희빈 사료 운반차량용 약품 공급장치
KR20000058490A (ko) * 2000-06-03 2000-10-05 서종길 본드 도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647A (en) * 1986-12-08 1988-03-15 Nordson Corporation Powder feeder apparatus
US4938383A (en) * 1988-04-13 1990-07-03 Kabushiki Kaisha Shinkawa Dispenser apparatus
KR970012257U (ko) * 1995-09-25 1997-04-25 접착제 자동 도포장치
KR19980017965A (ko) * 1996-08-31 1998-06-05 서정헌 금속 이온 격리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 이온 격리제
KR19990033218U (ko) * 1999-03-24 1999-08-05 박희빈 사료 운반차량용 약품 공급장치
KR20000058490A (ko) * 2000-06-03 2000-10-05 서종길 본드 도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201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920A (en) Thermoplastic grid melter
US4667850A (en) Thermoplastic grid melter
US50057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ulticomponent materials
US4485941A (en) Apparatus for melting and dispensing thermoplastic material
US4666066A (en) Thermoplastic grid melter
JP6530159B2 (ja) 可変周波数駆動部及び閉ループフィードバック制御部を備える計量システムを有する接着剤吐出システム
JPS59162382A (ja) 粘性液状材料圧送方法及び装置
KR100447006B1 (ko) 본드 공급장치
KR102041834B1 (ko) 핫멜트 분사장치
CN109351559A (zh) 一种led灯加工设备
JP6041407B1 (ja) 使い捨て式ダイヤフラム弁
KR102171462B1 (ko) 접착제 혼합장치
JPH1128410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の溶融供給装置
CN111555150B (zh) 一种配电箱
CN210159898U (zh) 热熔胶供胶泵
KR100296631B1 (ko) 접착제 자동 분사기
KR100767899B1 (ko) 실러 도포장치용 정량 토출장치
KR200248597Y1 (ko) 접착제 도포장치
JP3124779U (ja) 大シリンジと小シリンジで成るエア圧送式液体吐出装置
CN218190755U (zh) 胶水供给装置
CN220444253U (zh) 一种大流量的螺杆阀
KR20190048577A (ko) 스크류 펌프 및 그 제어방법
KR100578005B1 (ko) 핫멜트를 이용한 신발접착장치
CN213867236U (zh) 一种乳化沥青喷洒装置
KR102202676B1 (ko) 접착제 믹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