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002B1 -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 Google Patents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002B1
KR100446002B1 KR10-2002-0005847A KR20020005847A KR100446002B1 KR 100446002 B1 KR100446002 B1 KR 100446002B1 KR 20020005847 A KR20020005847 A KR 20020005847A KR 100446002 B1 KR100446002 B1 KR 10044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impact sound
layer
soun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824A (ko
Inventor
김태식
연구흠
이중표
석진석
안재원
이현배
Original Assignee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0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는 고밀도의 제1 발포체를 상부 및 하부층으로 구성하고, 저밀도의 제2 발포체를 중간층으로 구성하여 적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인 차음 특성을 갖으면서도 단열성이 우수한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Composite foamed material for soundproof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복합건물의 층간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다공성 매질 및 무기물충진제를 포함하여 가교발포시킨 발포체를 이용하여, 소음 및 건축물의 바닥면을 직접 충격시 발생하는 바닥충격음을 차단하여 실내 음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층간에 발생하는 공동 주택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중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소음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공동 주택은 각 세대간 경계벽과 바닥을 서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문제가 따르며, 그 중에서도 외부소음, 바닥충격음, 경계벽을 통한 세대간 소음, 물소리 등 소음 문제와 진동의 문제가 심각하다. 소음 환경 측면에서 볼 때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바닥이나 벽, 설비 등은 거주자들이 편안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성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즉 세대를 구획하는 경계벽은 인접세대에서 발생하는 말소리나 TV소리 등의 소음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해야 하며, 바닥은 공기 전파음은 물론 바닥 충격음과 같은 고체 전파음을 차단해 주어야한다.
최근 바닥 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만으로 바닥 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일이나 프랑스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뜬바닥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뜬바닥구조'는 슬라브 위에 유리섬유면과 같은 충격음 저감재를 깐 후 내장바닥을 구성하여 그 곳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직접적으로 구조체(슬라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뜬바닥구조'의 시공을 위해 유리솜이나 암면, 폐고무칩 단독, 고무시트 등의 여러 가지 완충재가 시도되고 있으나, 습식공법하에서 시공성과 경제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차음특성을 만족시키는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뜬바닥구조'로 시공하기 위한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고, 카본 블랙 등 보강 충전제, 산화방지제, 가교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고무 발포체 조성물을 중간층으로 구성하고,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우레아계 또는 폴리 올레핀계 고분자로부터 얻어진 플라스틱 발포체를 상부 및 하부층으로 적용한 3층 적층구조로 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발포체층 및 고무 발포체 조성물을 각각 한 층씩만 적용한 2층 적층구조로 하여 차음 특성을 갖는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복합체는 적층된 각각의 층이 전혀 상이한 재질의 발포체를 적층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적층을 위해서는 접착부제가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음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재로서 폐타이어 분쇄물, 고무칩, EVA(ethylene vinyl acetate)칩, 발포스틸렌폼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고, 하중 안정재로 플라이애쉬, 탄산칼슘, 탈크, 점토, 실리카, 마이카, 모래, 각종 플라스틱 분쇄물, 시멘트, 석고, 마그네시아,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을 혼합하고, 유기 또는 무기 결합재를 첨가하여 건물의 기초슬라브 위에 타설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시공이 복잡하고 또한 충격음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재료들이 혼합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방법이 갖는 문제점, 즉 시공성에 취약하고, 각종 충격음이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종래의 소재를 대체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으며, 이를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여 가교발포시킨 고밀도의 제1 발포체를 상·하부층으로 하고, 저밀도의 제2 발포체가 중간층으로 삽입된 적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효과적인 차음 특성을 갖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3단 적층구조의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5단 적층구조의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공된 시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포함하여 시공된 시험체를 설치한 잔향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포함하여 시공된 시험체를 설치한 잔향실의 2층 음원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포함하여 시공된 시험체를 설치한 잔향실의 1층 수음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3단 적층구조의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밀도 발포체층 20: 저밀도 발포체층
상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하여 제공되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는, 밀도 65 내지 300 kg/m3인 제1 발포체를 상부층과 하부층에 구성하고, 밀도 20 내지 100 kg/m3인 제2 발포체를 중간층으로 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발포체와 제2 발포체가 교대로 반복되어 적층되되, 최상층 및 최하층에는 상기 제1 발포체로 된 3단 이상의 적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발포체의 밀도가 제2 발포체에 비해 10 내지 180kg/m3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첨부도면과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밀도 및 저밀도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후의 물성도 함께 나타내었다.
발포체 A 발포체 B 발포체 C 발포체 D
EVA 50 50 0 0
LDPE 50 50 100 100
다공성 매질 30 40 0 0
CaCO3 40 30 0 0
가교제 1.0 1.0 1.5 1.6
발포제 7.5 9.1 25 10
활제 2.0 2.0 3.0 3.0
밀 도 162 131 35 120
반발탄성(%) 47.8 39.1 33.6 43.3
열전도율 0.038 0.043 0.036 0.041
이들 발포체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하여 복합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층간 구조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3층으로 적층된 복합발포체의 사시도로서 제1 발포체 A(10) 를 상부 및 하부층으로 하고, 제2 발포체 C(20) 를 중간층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1 발포체 A(1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여 다공성 매질, 가교제, 발포제, 발포조제, 활제 및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투입하여 혼련하는 단계와,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압출시켜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출시트를 가열하여 가교발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교발포체를 권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포체 A(1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여 다공성 매질, 가교제, 발포제, 발포조제, 활제 및 기타 기능성 첨가제를 투입하여 혼련하는 단계와,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압출하여 모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모판에 전자선 조사장치를 통과시키면서 0.2 내지 20 Mrad의 에너지를 갖는 방사선을 조사시켜 가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선에 의해 가교된 성형 모판을 180 내지 230 ℃ 범위의 온도에서 발포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전자선 가교 발포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발포체 C(2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가교제, 발포제 및 기타 조제를 혼련한 후 화학가교 또는 전사선 가교발포법에 의해 제조되는 발포체로써, 통상적인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도 2는 5층으로 적층된 복합발포체의 사시도로서 제1 발포체 A(10)와 제2 발포체 C(20)가 교차로 반복되어 적층되고, 최상층 및 최하층에는 상기 제1 발포체A (10)로 적층하여 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충격에 의한 충격음레벨을 평가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KS F2810에 따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측정방법 제1부(표준 경량충격원에 의한 방법;2001) 및 제2부(표준 중량충격원에 의한 방법;2001)를 적용하여 바닥충격음레벨을 측정하였다. 이를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상대적인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 시험체의 시공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공된 시험체의 단면도이다.
차음 특성 측정을 위한 제품의 크기는 가로 4200mm, 세로 3000mm, 두께는 10mm로 하였으며, 이를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을 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이 포함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성은 최하층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150mm(61)를 시공하고, 층간소음 저감용 폴리올레핀계 복합 발포체(63)를 타설한 후, 경량기포 콘크리트(65)를 시공한 다음, 몰탈(67)로 마감하여구성된다.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65)의 밀도는 400kg/m3이었다.
나. 시험체의 설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를 포함하여 시공된 시험체를 설치한 잔향실의 측면도이다.
상하층 두 잔향실(80, 90) 사이의 바닥 개구부(유효개구부 : 11.2 m2)에 시험체를 시공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60, 두께:270mm)를 반입 설치하고, 시험체와 개구부간의 틈은 찰흙으로 밀실하여 마무리하여 시험체 설치를 완성하였다.
다. 충격음원 설치 및 수음실 바닥 충격음 레벨의 측정
도 5는 각각 잔향실의 2층, 음원실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잔향실의 1층, 수음실의 평면도이다.
충격음 발생기(30, 경량 및 중량 충격음원)는 음원실(80)의 바닥시험체의 중앙과 이로부터 모서리와의 중간 4개 지점 등 5개 지점(A1 내지 A5)에 설치하였으며 수음실(90)의 평균음압레벨의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폰(40) 위치는 잔향실 마이크로폰 상호간에 1m 이상 이격되고, 시험체면 및 벽면으로부터는 1m 이상 이격되는 5개 지점(M1 내지 M5)에서 총 25회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도 5에서 (50)은 수음실의 흡음 보정용 스피커이다.
라. 시험시설 및 장치
- 잔향실 :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로써 상층 음원실(80)과 하층 수음실(90)로 구성되고, 두께는 300mm 이며, 형태는 도 3 내지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7면체 부정형이고, 잔향실 용적은 음원실(80)과 수음실(90)이 각각 269.0 m3, 217.2 m3이다.
- 경량 충격 음원 : 태핑머신, 덴마크 B&K사 3204
- 중량 충격 음원 : 타이어 자동낙하기 5.10-10.4 PR 일본 요코하마사
- 마이크로폰 : KS C 5522에 규정하는 1종에 적합한 무지향 특성을 가진 것. (덴마크 B&K사 2166 및 2639)
- 음압레벨측정기 : 실시간 주파수 분석기 (덴마크 B&K사 2144)
충격음 저감 특성의 경우, 충격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이 슬라브 등의 구조물에 전달되어 공기중에 음으로 방사된다는 이론에 따라 표준 경량 충격원 및 표준 중량 충격원에 의해 O 내지 3200hz 영역의 진동수의 충격음을 발생시켜 바닥충격음레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충격음 레벨은 ISO 140 Part 6 (1978)을 준용하여 수음실의 기준 흡음력(10m3)에 대한 보정값으로 환산하였다.
이하에서 충격음 저감 현상을 살펴보면, 중량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500hz 이하대의 저주파 충격음은 상·하부층인 고밀도의 제1 발포체에 의해 흡수되어 저감되고, 500hz이상의 고주파 충격음은 중간층인 저밀도의 제2 발포체에 의해 흡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흡음효과는 내부에너지 손실에 의한 흡음 메커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충격에 의해 발생한 진동에너지가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과정에서 탄성이 있는 재료를 통과할 때, 진동에너지가 탄성체의 탄성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내부 손실이 발생하고 이것이 진동의 흡수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중간층의 저밀도 발포체층은 상기 저밀도 발포체 사이에 함유된 공기에 의하여 흡음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독립 기포와 연속 기포의 혼합에 의한 구조적 영향에 의하여, 특히 500hz 이상의 고주파의 진동흡수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상호 적층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고밀도인 제1 발포체와 저밀도인 제2 발포체 간의 밀도 차이가 나는 경우 충격에 의한 진동이 고밀도 발포체층과 저밀도 발포체층 사이를 교대로 통과하면서 진동의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로부터 고밀도 발포체층과 저밀도 발포체층의 밀도와 반발탄성계수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큰 폭으로 넓은 영역대에 대한 흡음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하층부과 중간층 발포체의 밀도 차이가 10 내지 180kg/m3이 되도록 하여 충격음 저감재를 제작하는 것이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예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구분 공시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적층구조 충격음 저감재시공하지 않음 3층 구조상부층 : A중간층 : C하부층 : A 5층 구조상부층 : A중간상층 : C중간중층 : A중간하층 : C하부층 : A 3층 구조상부층 : B중간층 : D하부층 : B
바 닥충격음레 벨 주파수 경량 중량 경량 중량 경량 중량 경량 중량
63125250500100020003150 30.253.359.566.768.671.477.2 36.044.646.347.249.958.6- 29.050.153.546.338.125.018.1 35.643.743.333.026.922.9- 28.647.250.541.231.018.612.0 35.043.138.527.321.013.2- 29.551.656.451.545.338.633.1 35.744.045.539.535.032.9-
상기 표 2에서 주파수의 단위는 hz이며, 바닥 충격음레벨의 단위는 dB이다.또,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1은 3층으로 적층된 복합발포체를 시험체에 시공한 것으로써, 복합발포체의 적층구조는 상부 및 하부층부를 밀도가 162kg/m3인 발포체 A로 구성하고, 중간층으로는 밀도가 35kg/m3인 발포체 C를 구성한 것이다. 실시예 1에 의한 충격음 저감정도는 경량충격음에 대해 평균 33.8%, 중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평균 24.5% 저감되었다. 실시예 2는 5층으로 적층된 복합발포체를 시험체에 시공한 것으로써, 복합발포체의 적층구조는 상기 발포체 A와 상기 발포체 C가 교차로 반복되어 적층되고, 최상층 및 최하층에는 상기 발포체 A를 적층하여 된 것이다. 실시예 2에 의한 충격음 저감정도는 경량충격음에 대해 평균 40.5%,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평균 33.4%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은 3층으로 적층된 복합발포체를 시험체에 시공한 것으로써, 복합발포체의 적층구조는 밀도가 131kg/m3인 발포체 B를 상부 및 하부층으로 하고, 밀도가 120kg/m3인 발포체 D를 중간층으로 구성한것이다. 비교예 1에서의 충격음 저감정도는 경량충격음에 대해 평균 24.8%,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평균 15.7%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에서 나타나듯이 중간층의 발포체의 밀도가 100kg/m3보다 클 경우, 특히 경량 충격음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파의 충격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3조와 관련하여 "공업화 주택 성능 및 생산기준"에서는 바닥충격음의 성능기준이 하기 표 3과 같이 급별로 제시되어 있다. 평가방법은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중 3개 주파수(63Hz, 500Hz, 2000Hz)에 대해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구분 급별 바닥충격음레벨(dB)
주파수 63Hz 주파수 500Hz 주파수 2000Hz
중량 1급 66미만 43미만 39미만
2급 66이상 71미만 43이상 48미만 39이상 44미만
3급 71이상 76미만 48이상 53미만 44이상 49미만
경량 1급 76미만 63미만 59미만
2급 76이상 86미만 63이상 68미만 59이상 64미만
3급 86이상 96미만 68이상 73미만 64이상 69미만
상기 표 2 및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는 중량 및 경량 충격음에 대한 저감 효과가 모두 1급인 것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상용화에 문제점이 없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3단 적층구조의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상층부 및 하층부로 구성되는 고밀도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와 중간층으로 구성되는 저밀도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시트들이 각각의 피딩롤에 장착되고, 이들을 소정의 속도로 공급하여 주는 피딩단계(S100)와, 상기 폴리올레핀 발포체 시트들이 융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S200)와, 상기 가열된 폴리올레핀 발포체 시트를 롤사이로 통과시켜 눌러줌으로써 융착시키는 단계(S300)와, 상기 융착된 복합발포체를 냉각하는 단계(S400)와, 상기 냉각되어 안정화된 복합발포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S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는 적층구조가 되는 각각의 층이 같은 폴리올레핀계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열을 가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융착시키는 열융착 방식이므로 별도의 접착제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으로 하는 비교적 고밀도의 제1 발포체를 상하부층으로 하고, 저밀도의 제2 발포체를 중간층으로 하여 적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500hz 이하대의 저주파 충격음은 상·하부층인 고밀도 발포체에 의해 흡수되어 저감되고, 500hz이상의 고주파 충격음은 중간층인 저밀도 발포체에 의해 흡수되어 매우 효과적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재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는 적층구조가 되는 각각의 층이 같은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에 있어서, 접착제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의 부가적인 효과는,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단열성이 뛰어나 층간 단열재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밀도 65 내지 300 kg/m3인 제1 발포체를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하고,
    밀도 20 내지 100 kg/m3인 제2 발포체를 중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발포체와 제2 발포체가 교대로 반복되어 적층되되, 최상층 및 최하층에는 상기 제1 발포체로 된 3단 이상의 적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포체의 밀도가 제2 발포체의 밀도보다 10 내지 180kg/m3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05847A 2002-02-01 2002-02-01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KR10044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847A KR100446002B1 (ko) 2002-02-01 2002-02-01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847A KR100446002B1 (ko) 2002-02-01 2002-02-01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824A KR20030065824A (ko) 2003-08-09
KR100446002B1 true KR100446002B1 (ko) 2004-08-25

Family

ID=3222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47A KR100446002B1 (ko) 2002-02-01 2002-02-01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142B1 (ko) * 2002-05-24 2005-08-03 전종균 차음재
KR100545030B1 (ko) * 2002-09-13 2006-01-24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체의 프레임 방음용 발포체 조성물
KR100729871B1 (ko) * 2005-04-20 2007-07-02 (주)재현 건물의 층간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172B1 (ko) * 2005-09-09 2006-09-12 양동석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13125B1 (ko) * 2005-12-31 2007-05-02 천명원 폐 타이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음 판넬
KR100729234B1 (ko) * 2006-04-03 2007-06-15 삼성토탈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차단용 수지 조성물
KR101020096B1 (ko) * 2008-05-16 2011-03-09 윤헌효 발포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8238B1 (ko) * 2011-04-11 2013-01-03 최진철 건축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1561B1 (ko) * 2017-06-13 2019-01-23 박병훈 층간 소음 완충재의 제조 방법
KR200497538Y1 (ko) * 2018-03-05 2023-12-11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바닥재
KR102018595B1 (ko) * 2018-04-09 2019-09-05 조원대 충격음 저감용 고밀도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2186295B1 (ko) * 2020-01-07 2020-12-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다층구조 매트
KR102532725B1 (ko) * 2021-10-05 2023-05-18 주식회사 애니켐 탄소중립 친환경 발포시트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물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414A (ko) * 1995-10-31 1997-05-28 경주현 서로 다른 밀도의 발포체층을 갖는 복합재료 샌드위치구조체
KR20000023666A (ko) * 1996-07-09 2000-04-25 밤바라 존 디. 강화된 특성을 가진 적층 발포 구조물
KR200196556Y1 (ko) * 2000-04-24 2000-09-15 임지택 주택바닥 방음 방진재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414A (ko) * 1995-10-31 1997-05-28 경주현 서로 다른 밀도의 발포체층을 갖는 복합재료 샌드위치구조체
KR20000023666A (ko) * 1996-07-09 2000-04-25 밤바라 존 디. 강화된 특성을 가진 적층 발포 구조물
KR20010036969A (ko) * 1999-10-13 2001-05-07 권문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200196556Y1 (ko) * 2000-04-24 2000-09-15 임지택 주택바닥 방음 방진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65B1 (ko) 2008-11-25 2011-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824A (ko)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002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복합 발포체
KR100900642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530822B1 (ko)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101113544B1 (ko)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20040039255A (ko) 3중 구조의 건물 바닥용 방음판과 그 제조방법
KR100665085B1 (ko)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KR100499822B1 (ko) 건축물용 층간 방진재 적층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312358Y1 (ko) 건축물용 층간 방진재 적층구조
KR20160115615A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5164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방지용 저감재
KR102496901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적층형 층간 차음재
KR20080074318A (ko) 층간 차음을 위한 건축용 흡음재
KR100700640B1 (ko) 소음 방지재
KR101046796B1 (ko) 기포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2517245B1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100545877B1 (ko) 건축물 층간바닥 저소음 단열 차음 방진재
CN207484821U (zh) 高分子防噪音保温建材
KR20160005619A (ko) 소음방지재
KR200341162Y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방지용 저감재
KR200318901Y1 (ko) 단열성을 갖는 플라스틱계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층간바닥 차음재
KR200302693Y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차음재
KR20160005616A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