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749B1 -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749B1
KR100445749B1 KR10-2001-0080419A KR20010080419A KR100445749B1 KR 100445749 B1 KR100445749 B1 KR 100445749B1 KR 20010080419 A KR20010080419 A KR 20010080419A KR 100445749 B1 KR100445749 B1 KR 10044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ttomed
filter device
coffee
op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041A (ko
Inventor
가타오카죠오지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붓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붓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붓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Abstract

바닥이 있는 프레임(3)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고, 두꺼운 종이와 같은 소요의 강성을 가진 시트재질로 형성된 개구부 프레임(2)을 포함하고 있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이다. 프레임 양자는 실제로 원추대형의 형상으로 넓은 바닥을 가진 컵형상의 용기본체(1)를 구성하도록, 얇은 종이, 부직포, 등과 같은 소요의 강성과 유연성을 가진 형상유지능력이 구비된 변형가능한 시트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관형의 몸체부(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필터장치는 사용을 위해 커피컵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개구부 프레임(2)은 몸체부(5)의 유연성에 의해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로 접히고 밀어넣어지고 그리고 수축된다. 사용을 위해, 개구부 프레임(2)은 몸체부(5)를 확장시키도록 위로 당기고, 그리고 용기본체는 컵형상으로 회복되고 그리고 뜨거운 물이 부어질 준비가 된다.

Description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본 발명은 커피, 차, 등과 같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드립핑 타입(dripping type)의 간이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뜨거운 물이 분말커피에 직접 부어져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핑 타입의 커피용 필터장치의 사용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고, 그리고 이러한 타입의 필터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고, 실용되고 있으며, 그리고 시중에 나와 있다.
일인 또는 여러사람용의 대부분의 일회용 간이 필터장치에서, 분말커피는 미리 장치에 일체로 싸여있고, 그리고 커피액은 뜨거운 물을 부으므로서 간단히 추출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타입의 필터장치가 사용후, 쓰레기로서 폐기될 수 있으므로, 널리 그리고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일회용 타입의 필터장치는 2가지 타입으로 대별될 수 있다. 하나는 분말커피를 수납하는 수납실, 그리고 커피컵 등의 가장자리에서 수납실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수납실 지지타입의 커피용 필터장치인데, 여기에서 커피액은 뜨거운 물이 직접 분말커피에 부어질 후 회수되고, 그리고 분말커피를 수납하는 수납실은 커피컵에 저장된 뜨거운 물로 적하된다. 더욱이, 다른 타입으로서, 뜨거운 물을 저장하기위한 컵형 용기, 그리고 용기에 일체로 조립된 분말커피를 수납하기위한 수납실을 포함하고 있는 용기타입의 필터장치가 있다. 용기에 일단 저장된 뜨거운 물은 커피액을 추출하도록 수납실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2가지 타입의 필터장치중 후자의 용기타입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용기타입의 필터장치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원래 간단하고 간편하게 의도되었다. 따라서, 가벼운 재질이 선택되는 경향이 있다.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진 이러한 필터장치가 컵에 위치될 때 그리고 뜨거운 물이 직접 부어질 때, 필터장치는 아래로 흐르는 뜨거운 물의 무게와 압력으로 인해 극도로 불안정하게 될 수 있고, 그리고 가끔 거칠게 취급되면 컵으로부터 쏟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뜨거운 물을 부을 때 주의가 필요하고, 그리고 가장 안정된 방식으로 컵에 위치될 수 있는 필터장치가 필요하다. 수납실 지지타입의 상기한 필터장치와 비교할 때, 이러한 용기타입의 필터장치는 뜨거운 물을 저장하기위한 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가 부피가 크고, 그리고 일회용 타입임에도 불구하고 제조코스트가 비교적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단점은 그 재질때문에 필터장치의 폐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이러한 타입의 필터장치는 콤팩트상태로 접을 수 있는 수납실 지지타입의 필터장치와 비교하여, 저장, 운반 또는 가게에 전시하는데 커다란 공간이 필요하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5-10766호 및 실용신안공보 평5-40843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커피추출기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커피추출기에서, 용기본체는 그 하반부의 둘레면에 수직 주름과, 수직 주름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기선과, 분말커피를 수납하기위한 수납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차부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수평 주름으로 구비되어, 용기본체의 하반부의 둘레면이 이들 수직 및 수평 주름 그리고 접기선에 의해 접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본체는 절반으로 접혀서 용기본체내에 수납실을 수용할 수 있다.
후자의 커피추출기에서, 용기본체는 또한 하반부의 둘레면에서 수직 주름과, 수직 주름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접기선과, 수납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차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환형 홈으로 구비되어 있다. 용기본체는 환형 홈과접기선에서 접혀질 것이고 수직 주름에 의해 직경이 감소되어 용기본체의 하반부가 상반부내에 접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본체는 여기에 감싸지는 커피용 수납실과 함께 접혀질 수 있다.
이들 2개의 제안은 종래의 부피가 큰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컵형상을 가진 용기본체의 하반부를 접으므로서 커피 추출기의 용량을 절반으로 감소시켜서, 콤팩트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문제를 안고 있는데, 수직 및 수평 주름은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야 하고 그리고 접기선은 용기본체를 접기 위해서 수직 주름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후자의 제안에서, 환형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2개의 제안에서 강성을 가진 합성수지재질이 추출기를 생성하기 위해서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수직 및 수평 주름, 접기선, 환형 홈, 등의 형성은 채택되어야 하는 불가피한 수단이다. 하지만, 접혀진 형상이 주름의 치수 및 모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접기선과 환형 홈, 그리고 이들사이의 위치적인 관계, 그리고 접기작용이 수직 주름과 수평 주름사이에, 주름들과 접기선사이에, 그리고 주름들과 환형 홈사이에 협력을 통해서 증진되기 때문에, 접기 및 확장작용은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부분들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문제가 더 있다.
또한, 재료가 주름들과 접기선의 형성의 이유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장치는 일회용 타입임에도 불구하고 쓰레기로서 간단하게 폐기할 수 없는 다른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은 용기타입의 종래의 필터장치에서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우수한 취급성능을 가지고 자유롭게 접고 그리고 확장할 수 있는, 재료로서 종이 등으로 만들 수 있는, 그리고 사용후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는, 동시에, 뜨거운 물이 부어졌을 때 컵으로부터 쏟아지지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컵에 놓일 때 안정화될 수 있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우반부가 중심선을 따라 단면으로 도시된,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우반부가 중심선을 따라 단면으로 도시된, 개구부 프레임이 몸체부와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접혀진 상태의 도 1의 필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축소된 상태의 도 1의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접혀진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정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짧은 관형으로 되어 있는 개구부 프레임, 개구부 프레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짧은 관형으로 되어 있고, 개구부 프레임과 함께 두꺼운 종이나 두꺼운 부직포와 같은 두꺼운 시트재질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프레임, 변형가능하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종이나 얇은 부직포와 같은 얇은 시트재질로 형성되고,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이 위 아래에 배치되며, 그리고 몸체부를 통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그 외형이 실제로 원추대형인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원추대형상의 몸체부, 그리고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분말커피 등과 같은 추출되는 물질을 감싸기 위한 수납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구부 프레임은 사용하지 않을 때, 몸체부의 유연성에 의해 몸체부와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접혀서 싸여지고, 그리고 몸체부는 사용시에, 바닥이 있는 프레임으로부터 개구부 프레임을 당겨서 확장시켜, 용기본체는 원래의 컵형상 모양으로 확장되어 회복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용기본체는 개구부 프레임으로부터 바닥이 있는 프레임쪽으로 점차 확대되는 직경을 가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개구부 프레임의 높이는 개구부 프레임을 수용하기 적합한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의 상부면 위에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몸체부는 개구부 프레임의 하부 끝에 연결된 상부 끝가장자리와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상부 끝에 연결된 하부 끝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부 및 하부 끝가장자리는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뻗어있고, 그리고 내주면들에 부착되어 함께 일체로 되도록 면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몸체부는 개구부 프레임의 하부 끝에 연결된 상부 끝가장자리와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상부 끝에 연결된 하부 끝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부 및 하부 끝가장자리는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뻗어있고, 그리고 외주면들에 부착되어 함께 일체로 되도록 면접촉하여, 몸체부는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전체적인 외주면을 덮는 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그리고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컵유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컵유지 프레임의 내면에 부착된 그리고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보강프레임으로 구비되어서 바닥아래에 깊은 결합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수납실이 달려있는 바닥의 구멍, 그리고 구멍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면접촉으로 수납실의 상부면의 외주면을 감싸서 이것을 수밀하게 유지하는 스커트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꺼운 종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몸체부는 변형가능하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종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꺼운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몸체부는 변형가능하고 그리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필터장치에서, 용기본체는 사용을 위해 컵형상으로 확장될 수 있고, 그리고 뜨거운 물이 부어질 준비가 된 확장된 상태에서, 커피컵 등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러므로 드리핑 타입의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사용전에, 용기본체의 개구부 프레임은 최소한으로 수축되어, 수납실과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밀어넣어,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에 싸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장치는 부피가 크지 않아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고, 그리고 저장, 운반 또는 가게에 전시할 때 커다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개구부 프레임은 특정의 위치 또는 부분에서 접히거나 또는 확장되기 시작할 필요가 없지만, 몸체부의 유연성의 장점을 취하는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신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축작용은 저항감없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높은 강성을 가진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최초의 신축작용을 리드하는 한편, 유연한 몸체부는 그 작용을 따라간다. 그러므로, 필터장치는 개구부 프레임을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간단히 밀므로서 자동으로 접혀질 수 있고, 그리고 개구부 프레임을 당겨 올리므로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확장된 용기본체는 그 바닥쪽으로 점차 커지는 원추대형의 모양을 가진 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더 큰 바닥은 안정된 방식으로 커피컵 등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장치는, 떨어지는 뜨거운 물의 압력 및 무게를 받을 때, 경량에도 불구하고,이 커피컵으로부터 떨어지지않을 것이며, 그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본체가 컵유지 프레임과 보강프레임으로 구비되어 바닥아래의 깊은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더 신뢰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필터장치는 걱정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 필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필터장치는 필터장치의 메인 몸체로서 용기본체(1), 용기본체(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구부 프레임(2), 그리고 개구부 프레임(2)아래에 위치하고 용기본체(1)의 바닥을 포함하는 하반부를 구성하는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을 포함하고 있다.
용기본체(1)는 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커피가 제공될 사람의 수에 상응하는 뜨거운 물을 수납하기위한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다(예를들면, 일인분을 위한 필터장치의 경우에, 한사람에게 제공하기에 충분한 뜨거운 물). 상반부에서 개구부 프레임(2)은 컵형상 용기본체(1)의 상부 끝부분을 차지하는 그러한 크기를 가진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사용을 위해 확장될 때, 개구부 프레임(2)은 안정된 방식으로, 특히 개구부의 형상으로 컵형상 용기본체(1)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주어진 형상 유지기능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 프레임(2)은 뜨거운 물이 용기본체(1)에 부어진 후, 개구부 프레임(2)이 그 외부표면을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을 때, 손으로 잡아도 원통형 형상이 찌그러지지않고 원통형 형상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 프레임(2)은 작은 상부 가장자리와 더 큰 하부 가장자리를 가진 테이퍼져 있는 원추대형의 형상으로 실제로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구부 프레임(2)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아래에 위치된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로 접혀질때 매끄럽게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로 들어갈 수 있다. 개구부 프레임(2)의 상부 가장자리는 링형상의 보강 가장자리(4)를 형성하도록 뒤로 접혀서, 전체적인 구조의 강도를 보강한다.
한편,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은 상기한 개구부 프레임(2)보다 더큰 직경을 가진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그 내주면의 높이의 실제로 중간레벨에서 바닥(6)과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바닥(6)의 주변 가장자리는 스커트와같이 아래쪽으로 퍼져있어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컵에 대하여 결합부(3a)를 형성한다.
바닥(6)의 중앙부에서, 바닥(6)의 하부면 아래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추출되는 분말커피와 같은 물질(8)을 담고 있는 수납실(9)과 연통하는 둥근 구멍(7)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바닥(6)은 구멍(7)의 둘레를 따라서 단차져서, 환형 받이부(10)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납실(9)의 개구부를 덮는 필터(12)의 가장자리와 수납실(9)의 플랜지(11)는 이러한 받이부(10)의 상부면에서 겹쳐있다. 이것은 필터(12)의 상부면이 바닥(6)의 상부면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의 매끄러운 흐름을 촉진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더하여, 받이부(10)의 개구부 가장자리는 구멍(7)의 둘레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뻗어서 환형 스커트(13)를 형성하고, 그 하부 가장자리는 실제로 구멍(7)을 형성한다. 스커트(13)는 면접촉방식으로 수납실(9)의 상부 둘레면을 감싸서, 수납실(9)내로 흐르는 뜨거운 물이 분말커피와 충분하게 접촉하지않고 이러한 구역을 통과하지 않는다. 분말커피와 같은 물질(8)과 접촉하지않고 뜨거운 물의통과로 인해 컵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희석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스커트(13)는 수납실(9)의 몸체부분(9a)을 따라 가능한한 가깝게 수납실의 바닥쪽으로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뜨거운 물이 몸체부분(9a)을 통과하기 때문에, 몸체부분, 즉 그 주변면이 노출되고, 그리고 수납실이 접시형상으로 침투성의 필터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때,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몸체부(5)는 유연성과 소요의 형상유지능력을 가진, 바닥이 있는 프레임(3)과 개구부 프레임(2)의 재질보다 더 얇은 얇은 종이재질로 만들어져 있는 한편, 용이하게 변형가능하여 몸체부(5)는 용기본체가 수축될 때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다.
몸체부(5)는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높이의 합과 실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몸체부(5)의 상부 가장자리는 개구부 프레임(2)의 내주면을 따라 뻗어서 개구부 프레임(2)의 내주면에 연장된 부분(5a)에 부착되고, 그리고 그 하부 가장자리는 또한 뻗어서 면접촉으로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내주면에 연장된 부분(5b)을 부착하여, 양 프레임은 보강되는 한편, 서로 일체로 된다. 대안으로서, 연장된 부분(5a,5b)은 각각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외주면들에 부착될 수 있어서, 미적인 외관을 개선한다.
상기한 수납실(9)은 상기한 바닥이 있는 프레임(3)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접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의 분말커피 등과 같은 추출되는 물질(8)을 감싸기 위해서, 그리고 동시에, 수납실을 필터(12)에 의해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필터(12)는 수납실(9)의 몸체부분(9a)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11)의 상부면상에 뻗어있다.
이러한 수납실(9)은 상기한 바와같이 접시형상으로 몸체부분(9a)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필터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접시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백(bag)형상 또는 관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전체적인 필터장치가 콤팩트하게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수납실(9)자체는 작을 필요가 있지만, 수납실(9)은 자연히 분말커피 등을 제공할 사람의 수만큼 필요한 양을 감싸고 유지하는 용량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므로, 사용을 위한 적절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연성을 가진 몸체부(5)는 원통형 모양으로 확장되어, 용기본체(1)의 전체적인 모양을 실제로 원추대형으로 확장시킨다. 제조후 사용전의 상태에서, 용기본체(1)의 개구부 프레임(2)은 접혀지고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축되도록 몸체부(5)를 구부리므로서 몸체부(5)와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에 싸여진다.
용기본체(1)의 수축은 그 강성의 장점을 취해 개구부 프레임(2)을 아래로 밀고, 동시에, 유연성의 장점을 취해 몸체부(5)를 접으므로서,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개구부 프레임(2)을 바닥이 있는 프레임(3)쪽으로 밀므로서, 컵형상으로 확장되는 용기본체(1)를 수축하기 위해서, 관형상으로 긴장되어 있는 몸체부(5)는 비정형 형상으로 찌그러질 것이고 그리고 개구부 프레임(2)과 함께, 변형되면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안쪽으로 점차 유입된다.
이 경우에, 몸체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유로이 접히고, 그리고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바닥이 있는 프레임(3)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원통형상인 개구부 프레임(2)은 바닥이 있는 프레임(3)내로 감싸여지고 그리고 수축된다.
이러한 수축된 상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컵형상인 용기본체(1)는 실제로 절반으로 접히고 그리고 높이는 대략 절반으로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은 실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몸체부(5)의 높이는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높이의 합과 실제로 같다. 하지만, 몸체부(5)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높이를 줄이므로서, 수축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는 전체적인 높이에서 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크기의 감소가 감싸여지는 수납실(9)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만, 필터장치는 접기작용에 의해 편평하게 만들수 있어서, 장치가 용이하게 포장되고 저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이렇게 찌그러트리고 수축된 상태로 즉, 접혀진 상태로 포장되고, 저장되고, 운반되고 또는 가게에 진열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필터장치는 수납실(9)에서 분말커피 등과 같은 내용물이 품질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진공으로 포장될 수 있으며, 또는 비활성가스를 충전하는 것같은,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일단 수축된 용기본체(1)가 사용을 위해 확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은 한 손으로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을 유지하고, 그리고 다른 손으로 개구부 프레임(2)을 위로 당기므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개구부 프레임(2)이 상기한 확장작용을 통해 상승하면서, 자유롭게 신축되는 몸체부(5)는 접기의 경우와 반대의 방식으로 수축된 상태로부터 회복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본체(1)는 원래의 컵형상으로 회복될 것이고 그리고 필터장치로서 사용하기위한 상태로 된다.
도 1은 커피컵(14)에 위치되고 그리고 부어지는 뜨거운 물을 위해 준비된 용기본체(1)를 도시하고 있다. 바닥이 있는 프레임(3)으로부터 당겨나온 개구부 프레임(2)을 갖춘 용기본체(1)는 양 프레임의 강성에 의해 원통형 모양으로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사이에서 몸체부(5)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고, 그리고 용기본체(1)에 인장을 주어, 용기본체(1)가 컵형상으로 유지되게 한다.
뜨거운 물이 커피컵(14)에 위치된 용기본체(1)에 채워질 때, 뜨거운 물은 필터(12)를 통해서 수납실(9)내로 침투되고, 그리고 여기에 싸여있는 분말커피 등과 같은 물질(8)을 적신다. 그러므로, 커피액은 수납실(9)의 바닥을 통해서 컵(14)에서 회수될 수 있고, 분말커피의 분말커피의 성분을 추출한다.
이 경우에, 필터(12)를 통과한 뜨거운 물은 수납실(9)내로 들어가고, 분말커피(8)내로 침투되고, 그리고 동시에, 수납실의 전체적인 부분으로 흘러간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분말커피가 충분하게 적셔지지않고, 수납실(9)의 상부부분이비게 될 수 있고, 그러므로 뜨거운 물은 분말커피와 접촉하는 일없이 수납실의 상부부분의 주변면으로부터 샐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실(9)의 상부 끝부분은 대응책으로서 상기한 스커트(13)에 의해 둘러싸여서, 뜨거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뜨거운 물이 항상 분말커피를 통과하면서, 진한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다.
뜨거운 물이 채워질 때, 용기본체(1)는 뜨거운 물의 전체적인 무게를 받는다. 동시에, 액압은 내부로부터 바닥이 있는 프레임(3)그리고 개구부 프레임(2)과 마찬가지로 몸체부(5)에 발휘되고, 몸체부(5)를 인장되도록 하고, 그러므로 몸체부의 유연성을 감소시켜서 컵형상을 안정화시킨다.
[제 2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필터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예인데,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강도는 더 강화되는 한편 용기본체(1)의 축소 능력을 유지하여, 모양을 안정화시키고, 그리고 동시에, 컵(14)에 위치시킬 때 필터장치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이 설명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부분과 동일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이고, 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기본체(1)를 포함하는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수정되었다. 특히,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높이는 제 1 실시예보다 커서 전체적인 개구부 프레임(2)은 여기에 싸일 수 있고, 그리고 바닥(6)아래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부분, 즉 결합부(3a)는 바닥(6)의 하부면으로부터아래로 걸린 전체적인 수납실(9)을 둘러싸도록 아래로 더 뻗어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 프레임(2)은 바닥(6)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부분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몸체부(5 )가 수축된 상태로 접혀질 때, 전체적인 개구부 프레임(2)이 몸체부(5)와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3)에 싸이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관형 보강프레임(15)은 바닥(6)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뻗어있고, 그리고 보강을 위해 내부면과 일체로 되도록 상기한 결합부(3a)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깊은 결합 공간(16)은 바닥(6)아래에서 만들어 질 것이다.
더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6)은 구멍(7)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져 있어서, 수납실(9)의 플랜지(11)를 수용하기 위한 받이부(10)를 형성한다. 더욱이, 스커트(13)는 수납실(9)의 상부 주변면을 감싸도록 받이부(10)의 개구부 가장자리로부터 뻗어서 뜨거운 물은 이 구역으로부터 누출되지않는다. 필터(12)는 바닥(6)의 상부면에 직접 부착되어 수납실(9)을 덮는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용기본체(1)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납실(9)을 당기므로서 컵형상으로 다시 확장될 수 있다. 동시에, 몸체부(5)의 원통형 형상은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강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그 모양은 안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하부 끝에서 결합부(3a)에 구비된 보강 프레임(15)의 하부 가장자리는 아래로 뻗어서 깊은 결합공간(16)을 만든다. 결과적으로, 필터장치가 커피컵(14)에 장착될 때, 필터장치는 커피컵(14)의 개구부가장자리와 쉽게 결합될 수 있어서 이것을 유지하고, 그리고 필터장치는 뜨거운 물의 압력과 무게로 쏟아지지않고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편, 뜨거운 물이 부어진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용기본체(1)가 소요의 강성을 가진 두꺼운 종이 또는 두꺼운 부직포와 같은 시트재질로 형성된 개구부 프레임(2) 및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의 조합, 그리고 적절한 강성, 유연성 그리고 일정한 형상유지 성능을 가지고,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과 비교하여 부드럽고 변형가능한 얇은 종이 또는 얇은 부직포와 같은 시트재질로 형성된 몸체부(5)로 구성되어 있어서, 강성을 가진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은 전체적인 용기본체(1)를 위한 형상유지 능력을 가지는 한편, 유연하고 부드러운 몸체부(5)는 접을 때, 변형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신축작용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변형능력이 구비된 몸체부(5)는 그 모양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그리고 쉽고 신뢰성 있게 신축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두꺼운 종이는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을 위한 재질로서 채용되는 한편, 얇은 종이는 사용후 필터장치의 폐기 그리고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몸체부(5)를 위한 재질로서 채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예를들면, 부직포로 만들 수 있어서,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은 모양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몸체부(5)는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형상을 유지한다.
부직포가 채용되는 경우에, 부직포의 두께는 몸체부(5)에 대하여 개구부 프레임(2)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3)을 위해 변할 수 있어서, 그 강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개구부 프레임(2)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부여하는 그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몸체부(5)는 개구부 프레임(2)이 밀릴 때 변형될 수 있는 유연성과, 관형형상으로 확장될 때 모양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형상유지 능력 양자를 부여하는 그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재질로서 종이를 채용하는 경우에, 방수특성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더욱이, 용기본체(1)가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원형컵 형상이지만,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에 있어서 다각형이 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는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커피 필터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납실(9)에 담겨진 물질(8)에 따라 임의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차(tea) 필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필터장치에서, 용기본체는 사용을 위해 컵형상으로 확장될 수 있고, 그리고 뜨거운 물이 부어질 준비가 된 확장된 상태에서, 커피컵 등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러므로 드리핑 타입의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사용전에, 용기본체의 개구부 프레임은 최소한으로 수축되어, 수납실과 함께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밀어넣어,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에 싸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장치는 부피가 크지 않아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고, 그리고 저장, 운반 또는 가게에 전시할 때 커다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개구부 프레임은 특정의 위치 또는 부분에서 접히거나 또는 확장되기 시작할 필요가 없지만, 몸체부의 유연성의 장점을 취하는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신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축작용은 저항감없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높은 강성을 가진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최초의 신축작용을 리드하는 한편, 유연한 몸체부는 그 작용을 따라간다. 그러므로, 필터장치는 개구부 프레임을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간단히 밀므로서 자동으로 접혀질 수 있고, 그리고 개구부 프레임을 당겨 올리므로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확장된 용기본체는 그 바닥쪽으로 점차 커지는 원추대형의 모양을 가진 컵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더 큰 바닥은 안정된 방식으로 커피컵 등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필터장치는, 떨어지는 뜨거운 물의 압력 및 무게를 받을 때, 경량에도 불구하고,이 커피컵으로부터 떨어지지않을 것이며, 그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본체가 컵유지 프레임과 보강프레임으로 구비되어 바닥아래의 깊은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더 신뢰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필터장치는 걱정없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짧은 관형으로 되어 있는 개구부 프레임;
    상기 개구부 프레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짧은 관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함께 두꺼운 종이나 두꺼운 부직포와 같은 두꺼운 시트재질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프레임;
    변형가능하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종이나 얇은 부직포와 같은 얇은 시트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이 위 아래에 배치되며, 그리고 몸체부를 통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그 외형이 실제로 원추대형인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원추대형상의 몸체부; 그리고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분말커피 등과 같은 추출되는 물질을 감싸기 위한 수납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 프레임은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몸체부의 유연성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내로 접혀서 싸여지고, 그리고 몸체부는 사용시에,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 프레임을 당겨서 확장시켜, 상기 용기본체는 원래의 컵형상 모양으로 확장되어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쪽으로 점차 확대되는 직경을 가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을 수용하기 적합한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의 상부면 위에서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의 하부 끝에 연결된 상부 끝가장자리와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상부 끝에 연결된 하부 끝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끝가장자리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뻗어있고, 그리고 상기 내주면들에 부착되어 함께 일체로 되도록 면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의 하부 끝에 연결된 상부 끝가장자리와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상부 끝에 연결된 하부 끝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끝가장자리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뻗어있고, 그리고 상기 외주면들에 부착되어 함께 일체로 되도록 면접촉하여,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전체적인 외주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그리고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컵유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상기 컵유지 프레임의 내면에 부착된 그리고 상기 바닥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보강프레임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바닥아래에 깊은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상기 수납실이 달려있는 바닥의 구멍, 그리고 상기 구멍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면접촉으로 상기 수납실의 상부면의 외주면을 감싸서 이것을 수밀하게 유지하는 스커트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꺼운 종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변형가능하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꺼운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변형가능하고 형상 유지능력을 가진 얇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KR10-2001-0080419A 2001-04-16 2001-12-18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KR100445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6990A JP3550375B2 (ja) 2001-04-16 2001-04-16 コーヒー等の濾過器
JPJP-P-2001-00116990 200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041A KR20020081041A (ko) 2002-10-26
KR100445749B1 true KR100445749B1 (ko) 2004-08-25

Family

ID=1896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419A KR100445749B1 (ko) 2001-04-16 2001-12-18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15616B2 (ko)
EP (1) EP1250874B1 (ko)
JP (1) JP3550375B2 (ko)
KR (1) KR100445749B1 (ko)
CN (1) CN1223302C (ko)
AT (1) ATE293382T1 (ko)
AU (1) AU763943B2 (ko)
CA (1) CA2364144C (ko)
DE (1) DE60110203T2 (ko)
DK (1) DK1250874T3 (ko)
NZ (1) NZ516144A (ko)
RU (1) RU2225154C2 (ko)
SG (1) SG120864A1 (ko)
TW (1) TWI2289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375B2 (ja) * 2001-04-16 2004-08-04 片岡物産株式会社 コーヒー等の濾過器
EP1416838B1 (en) * 2001-07-25 2005-09-21 André Monteiro Vessel for heating and filtering water
AUPS284702A0 (en) * 2002-06-07 2002-06-27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Novel screens to identify agents that modulate pericyte function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for
US6844015B2 (en) * 2002-12-19 2005-01-18 Clifford Yuguchi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ITBO20030062A1 (it) * 2003-02-13 2004-08-14 Ima Spa Capsula utilizzabil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infusa.
PL1748936T3 (pl) * 2004-05-05 2011-11-30 Columbus E Aps Jednorazowe urządzenie do zaparzania
ITMI20060945A1 (it) * 2006-05-12 2007-11-13 Illycaffe Spa Procedimento di estrazione di caffe' espresso particolarmente da una cartuccia con setto generatore di crema e bevanda ottenibile dal procedimento.
CN101234262B (zh) * 2007-01-30 2011-12-14 余敏宁 泡滤萃取设备及其流速控制装置
ES2358387T5 (es) * 2008-03-20 2015-09-17 Nestec S.A. Dispositivo de producción de bebidas para producir una bebida a partir de una cápsula de un solo uso
US8225711B1 (en) 2008-06-03 2012-07-24 Richard Anthony Andre Self-contained single-serve beverage brewing system
DE102009058240A1 (de) * 2009-12-14 2011-06-16 Hendrik Mey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schgetränken mithilfe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CN102144891B (zh) * 2011-01-19 2013-06-05 天津捷瑞康工贸有限公司 一种饮料萃取过滤装置
EP2797470B1 (en) * 2011-12-26 2016-05-18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for brewing ingredients in a solvent
WO2023163865A1 (en) * 2022-02-22 2023-08-31 Khas Batdelger Beverage fil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101A (en) * 1980-12-27 1986-04-22 Kataoka Bussan Kabushiki Kaisha Coffee package
EP0326685A2 (en) * 1988-02-08 1989-08-09 Robert A. Nordskog Improved disposable beverage brewing chamber
JPH01178835U (ko) * 1988-06-06 1989-12-21
JPH033933A (ja) * 1989-05-30 1991-01-10 Fuji Heavy Ind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444836A (ja) * 1990-06-13 1992-02-1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内装表皮材
US6103116A (en) * 1998-10-01 2000-08-15 Kx Industries, L.P. Collapsible filter
EP1250874A1 (en) * 2001-04-16 2002-10-23 Kataoka Bussan Kabushiki Kaisha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59606A (fr) * 1960-04-21 1961-04-28 Filtre télescopique pour le voyage et le camping
US3434589A (en) * 1967-05-02 1969-03-25 Frank J Valtri Expandable container
DE2715582C2 (de) * 1977-04-07 1979-09-06 Juergen 3321 Salzgitter Zimmermann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tränkes aus gemahlenen Kaffeebohnen mit einer durch Filterwandungen begrenzten Kammer zur Aufnahme des Kaffeemehls
FR2558847B1 (fr) * 1984-01-31 1986-06-20 Millipore Sa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microbiologique de liquides
US4520716A (en) * 1984-03-19 1985-06-04 Hayes Susan M Drip-type coffee making apparatus
DE3623952A1 (de) * 1986-07-16 1988-01-28 Erich H Dipl Ing Woltermann Filter zum portionierten aufbruehen von kaffee oder tee
GB8724851D0 (en) * 1987-10-23 1987-11-25 Braitrim London Ltd Expandable garment hanger
JPH0510766A (ja) 1991-07-05 1993-01-19 Murata Mfg Co Ltd 圧電素子
JP2716291B2 (ja) 1991-08-07 1998-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情報入力装置
US5806408A (en) 1996-11-01 1998-09-15 Debacker; Johanna N. Beverage brewing device
US5733448A (en) * 1997-02-26 1998-03-31 Kaura; Kamaljit S. Manually pressurized water filtering container
US6520070B1 (en) * 2000-08-16 2003-02-18 James Heczko Food packaging and preparation system utilized therewith
SG111024A1 (en) * 2000-09-28 2005-05-30 Kataoka Bussan Kk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101A (en) * 1980-12-27 1986-04-22 Kataoka Bussan Kabushiki Kaisha Coffee package
EP0326685A2 (en) * 1988-02-08 1989-08-09 Robert A. Nordskog Improved disposable beverage brewing chamber
JPH01178835U (ko) * 1988-06-06 1989-12-21
JPH033933A (ja) * 1989-05-30 1991-01-10 Fuji Heavy Ind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444836A (ja) * 1990-06-13 1992-02-1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内装表皮材
US6103116A (en) * 1998-10-01 2000-08-15 Kx Industries, L.P. Collapsible filter
EP1250874A1 (en) * 2001-04-16 2002-10-23 Kataoka Bussan Kabushiki Kaisha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06343A (ja) 2002-10-22
AU9720201A (en) 2002-10-17
CN1223302C (zh) 2005-10-19
NZ516144A (en) 2003-01-31
RU2225154C2 (ru) 2004-03-10
DE60110203T2 (de) 2006-03-23
JP3550375B2 (ja) 2004-08-04
US20020148772A1 (en) 2002-10-17
DK1250874T3 (da) 2005-06-27
KR20020081041A (ko) 2002-10-26
CA2364144A1 (en) 2002-10-16
ATE293382T1 (de) 2005-05-15
TWI228979B (en) 2005-03-11
CA2364144C (en) 2006-04-04
US6715616B2 (en) 2004-04-06
AU763943B2 (en) 2003-08-07
EP1250874B1 (en) 2005-04-20
DE60110203D1 (de) 2005-05-25
CN1381217A (zh) 2002-11-27
EP1250874A1 (en) 2002-10-23
SG120864A1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836B1 (ko)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KR100445749B1 (ko) 커피 등을 위한 필터장치
US5054631A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s having integral drinking straws
EP0722410B1 (en) Infusion package
WO2005113366A2 (en) Integrated drip proof stopper system
RU2002101890A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фе или аналогичных напитков
CN215125232U (zh) 一种伸缩折叠式茶杯
JP3508851B2 (ja) コーヒー等の濾過器
US20060222738A1 (en) Package for draining an infusion bag
JP3508852B2 (ja) コーヒー等の濾過器
JPH0513323Y2 (ko)
JPH0532461Y2 (ko)
JPH0540843Y2 (ko)
AU2014101599A4 (en) Collapsible bowl
KR200260219Y1 (ko) 접철가능한 음료수 병
CN113142945A (zh) 一种伸缩折叠式茶杯
KR20030009023A (ko) 접철가능한 음료수 병
JP2007055618A (ja) 抽出用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