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200B1 -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200B1
KR100443200B1 KR10-2001-0027132A KR20010027132A KR100443200B1 KR 100443200 B1 KR100443200 B1 KR 100443200B1 KR 20010027132 A KR20010027132 A KR 20010027132A KR 100443200 B1 KR100443200 B1 KR 10044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yceps
snail
cultured
above step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937A (ko
Inventor
윤희경
장락진
Original Assignee
윤희경
장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경, 장락진 filed Critical 윤희경
Priority to KR10-2001-002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2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충하초의 인공재배가 용이하면서도 영양학적인 특성 등이 우수한 새로운 기주동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과 이렇게 재배된 동충하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달팽이를 기주로 하여 배양·재배된 동충하초 및 달팽이에 현미, 다슬기, 번데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달팽이혼합배지에 동충하초 균을 접종하여 배양·재배한 동충하초 배양체 조성물과 이들의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양질의 달팽이 배지에서 동충하초균을 배양·재배하게 되므로, 영양학적인 측면이나 효능면에서 우수한 양질의 동충하초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VEGETABLE WORMS CULTIVATED IN A SNAIL AND THEIR METHOD OF CULTIVATION}
본 발명은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충하초는 대부분 곤충에 기생하여 숙주가 되는 곤충의 시체에 자실체를 형성하는 자낭균류로, 겨울에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온다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하였다.
동충하초에 관한 기록은 청나라 오의낙의 본초종신(1757)이 처음이나 이미 그전부터 약용으로 쓰였다고 하며, 1765년 조학민이 쓴 "본초강목습유"에는 동충하초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설명이 실려 있다. 동충하초는 작용이 완만하여 병후 신체조정이나 체질강화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오의낙의 본초종신(1757)에는 폐결핵, 기관지천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조학민이 쓴 "본초강목습유"에는 폐병에 특효가 있고 강장효과가 크다고 기록되어 있다.
동충하초의 신비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동충하초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동충하초는 신장병에 특효를 나타내며 (왕국동, "요녕중의 잡지", 1995.2.), 비장의 기능을 돕고, 발모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The Journal of Dermatology", 1986., 일본), 혈당치를 내려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harmaceutical Bulletin", 1993., 일본).
동충하초는 균이 곤충을 침입하여 곤충을 죽게 한 다음, 기주로부터 자좌(子座)를 형성하는 버섯을 말하나, 균이 곤충을 침입하여 곤충을 죽게 할지라도 자좌를 형성하지 않고 기주의 표면에 무성생식 기관인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종류도 있다. 자좌를 형성하는 동충하초의 대부분은 자낭균강 맥각균목 맥각균과에 속하는 코디셉스속(동충하초속, Cordyceps), 포도넥스트리아속(Podonectria), 토루비엘라속 (Torrubiella) 등이 있는데, 대표적인 속은 코디셉스속으로, 동충하초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동충하초균은 적은 수의 균류와 종자에 기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개의 경우 곤충을 기주로 하므로 동충하초의 분류에는 기주가 되는 곤충의 분류도 포함시킨다. 동충하초의 기주로서 알려진 곤충의 목으로는 잠자리목, 딸정벌레목, 나비목, 파리목, 벌목, 매미목, 노린재목, 메뚜기목, 거미류 등 많은 종류의 곤충이 해당된다.
많이 알려져 있는 동충하초로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Berk. sacc.), 매미동충하초(C. sobolifera), 벌동충하초(C. sphecocephala) 등이 있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L. ex Fr. Link)는 북동충하초,잠용충초, 용초, 번데기 동충하초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나비목의 번데기에 기생하는 자실체와 번데기의 복합체이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번데기를 기주로 하는 기주 특이성이 있으며, 외부의 교란이 없는 안정된 생태계를 좋아한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 분포하고 있으며, 누에번데기(100%)를 이용하여 인공재배가 가능하다.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는 일명 누에 동충하초라고도 하며, 생산관리가 용이하고 생육기간이 짧아 대량생산이 용이하므로 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동충하초가 눈꽃 동충하초이다. 눈꽃 동충하초는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불완전 균류로, 서식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곤충을 기주로 하여 발생한다.
시넨시스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Berk. sacc.)는 동충하초 또는 충초(蟲草)로 불리기도 하며, 인시목 박쥐나방 유충의 몸을 기주로 하여 발생하는 자실체(버섯)와 유충의 복합체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동충하초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자연상태로 생장된 동충하초 자실체를 채집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동충하초 자실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많은 인공재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동충하초의 인공재배방법은 주로 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균과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균을 누에 유충이나 누에 번데기에 접종하여 자실체를 생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충하초 재배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013호는 곤충 특히 누에 번데기를 물에 넣고 끓인 다음 수분함량을 60∼65로 조절한 뒤 종균병에 넣고 멸균시킨 후 중간 배양된 번데기 동충하초 종균을 투입하여 누에 번데기와 종균이 잘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종균을 배양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23907호는 누에 4∼5령기 유충 또는 번데기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균을 접종하여 자실체를 배양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33558호는, 곡물배지에 번데기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배지 전 표면을 자실체가 완전히 덮은 상태로 생육될 수 있도록 동충하초 액체종균을 접종하여 자실체를 배양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6736호는 건조된 누에 유충 또는 번데기에 페실로마이세스 자포니카(Paecilomyces japonica)균 또는 코디셉스 밀리타리스 (Cordyceps militaris)균을 접종하여 감염을 유발시킨 후 균에 감염된 누에 유충 또는 번데기에 자실체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재배조건을 조절하여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동충하초의 인공 재배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812호는 동충하초의 기주로 주로 사용되는 가잠이나 번데기 대신 두부, 두유 등의 제조 후 남은 콩섬유박의 함량이 높은 액체배지에 페실로마이세스 자포니카균주를 접종하여 동충하초를 인공배양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한편, 달팽이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달팽이는 콘드로이친(Condroitin)이라 불리는 생리활성화 물질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드로이친은 뮤코 다당체의 한 형태로, 어류, 패류 등에도 있으나 달팽이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특히 달팽이는 콘드로이친을 직접 다량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드로이친은 인체의 관절, 연골, 피부, 혈관벽 등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생리활성화 물질로 관절의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고 물리적인 충격과 스트레스를 흡수시켜 주는 유액이 연골에 머물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달팽이는 단백질이 많고 칼슘이 풍부하며 지방이 거의 없어 담백한데, 예로 부터 여러 가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프랑스에서는 달팽이 요리가 피부미용과 강장작용, 강정작용, 변비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로마인들은 달팽이를 원기를 회복시켜 주는 약용식으로 사용하고 이 밖에 상처 또는 화상치료나 임산부에게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한방에서는 예로 부터 달팽이가 소아 신경질환, 치질, 피부병, 습진, 무좀, 백납, 심신불안, 신장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의 인공재배와 관련된 종래기술, 특히 자연에 존재하는 동충하초의 특성에 따라 곤충을 기주로하는 인공재배의 경우 대부분 누에 유충이나 누에 번데기를 기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기주곤충의 위생문제가 있고, 특히 번데기의 경우대부분 동결 번데기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 품질, 가공공정의 신뢰성 등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성분이나 효과면에서 천연 동충하초에 가까운 동충하초의 생산이나 생산된 동충하초의 다양성을 위해서도 인공재배를 위한 다양한 기주동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재배의 용이성, 생산성, 원료의 공급 문제 등을 고려할 때 동충하초의 기주로 사용할 수 있는 동물은 상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동충하초를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으면서도 영양학적인 특성 등이 우수한 새로운 기주동물을 찾아 연구하던 중 달팽이가 이러한 특성에 적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충하초의 인공재배가 용이하면서도 영양학적인 특성 등이 우수한 새로운 기주동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과 이렇게 재배된 동충하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고, 원료의 공급이 용이하며, 가격면에서도 기존의 동충하초 배지로 사용되던 번데기와 비슷한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달팽이에 현미, 다슬기, 번데기 등 다른 배지성분을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동충하초를 재배하는 방법 및 그렇게 재배된 동충하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달팽이를 기주로 하여 배양·재배된 동충하초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달팽이에 현미, 다슬기, 번데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달팽이혼합배지에 동충하초 균을 접종하여 배양·재배한 동충하초 배양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은 달팽이를 3∼4일간 굶겨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후 30∼70℃로 3∼10시간 건조시켜 달팽이 배양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준비된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종균이 접종된 배양배지를 배양온도 23∼27℃, 실내습도 65∼75%의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온도 15∼20℃, 습도 80∼95%의 조건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달팽이 배지는 다음과 같이 준비된다.
먼저 배지로 사용되는 달팽이를 3∼4일간 굶겨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후 건조시켜 수분함량을 조절한다. 배지의 수분 함량이 높으면 자실체는 잘 발아되지만 균사체는 잘 배양되지 않으며, 또 수분함량이 낮으면 균사체의 배양은 잘되나 자실체가 발아하지 못한다. 따라서, 적당한 수준으로 달팽이의 수분함량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건조기에서 30∼70℃로 3∼10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그러나 달팽이의 상태나 원하는 배양조건, 접종될 동충하초균의 종류 등에 따라 건조온도나 건조시간은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된 달팽이는 속살을 분리하여 적당량을 유리병, 플라스틱병, 봉지 등에 입병하여 배지로 사용하거나 또는 단단한 껍데기에 싸인 원형을 유지한 채로 속살을 배지로 이용한다.
달팽이 속살을 배양병에 담아 배지로 사용할 경우 달팽이만으로, 즉 100% 달팽이로 배지를 구성하거나 또는 달팽이 외에 다른 배지성분을 추가로 혼합한 달팽이혼합배지를 구성할 수 있다. 혼합배지 성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현미, 다슬기, 번데기 중 1 이상을 선택하며, 이밖에도 기존에 동충하초의 배지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곤충이나 곡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달팽이를 단단한 껍데기에 싸인 원형 그대로 배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속살 부분에 동충하초균을 접종하여 재배하는데, 동충하초가 생육되면 자실체가 자라서 달팽이의 껍질 밖으로 나오게 된다.
달팽이로는 주로 식용 달팽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달팽이 배지는 동충하초 종균배양이나 동충하초 재배에 사용될 수 있다.
종균배양에 사용할 경우 달팽이를 잘게 썰어서 단독으로 고체배지를 구성하거나 또는 여기에 현미나 다슬기를 혼합한 혼합고체배지를 구성하여 원균을 접종·배양하면 동충하초의 고체종균을 얻게 된다. 또한 준비된 달팽이를 잘게 썰어서 끓인 물에 설탕 등을 첨가하여 액체배양액을 만든 후 원균을 접종·배양하면 동충하초의 액체종균을 얻게 된다.
원균은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균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균을 한국동충하초은행(KEFC)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거나 야생에서 채집하여 분리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달팽이 고체배지나 혼합고체배지 또는 달팽이 배양액에 원균을 접종하고 통상 1 주일 정도 배양하면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종균을 얻게 된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원균은 여러 번 계대배양하면 재배과정에서 자실체가 발이되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자실체 발이를 위해서는 야생에서 채집하여 분리한 원균을 2∼3회 이식하여 사용하고 다시 야생에서 균을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달팽이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재배방법은 크게 배양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접종된 배양배지를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하는 단계 및 균사체가 배양된 배양배지를 재배실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각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달팽이를 이용한 배양배지의 준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단한 껍데기에 싸인 원형 그대로의 달팽이 배지나 속살을 분리하여 입병한 100% 달팽이 배지 또는 달팽이 외에 다른 배지성분을 추가로 혼합하여 입병한 달팽이혼합배지를 준비한다.
2)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과정에서 준비된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한다. 살균은 바람직하게는 100∼102℃에서 3시간 경과 후 121℃에서 90분간 수행한다. 살균이 끝난 배지를 냉각시킨 후 20℃ 이하에서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균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균의 액체종균 또는 고체종균을 무균상태에서 접종한다. 동충하초 종균으로는 감자나 대두분을 이용한 액체배양액에서 배양한 일반적인 액체종균이나 현미 등의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일반적인 고체종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달팽이 배지에서 종균배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균사체 배양단계
동충하초 종균이 접종된 배양배지를 적당한 조건의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시킨다. 배양조건은 통상 동충하초 균사체의 배양조건인 배양온도 23∼27℃, 실내습도 65∼75% 정도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8∼10일 후면 종균이 배지 안에 고루 퍼져 균사체의 배양이 완성된다.
4) 동충하초 자실체 생육단계
상기 과정에서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적당한 조건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한다. 자실체로 생육하는 조건은 통상 동충하초 자실체의 생육조건인 온도 15∼20℃, 습도 80∼95%, 바람직하게는 90% 정도가 적합하다. 눈꽃 동충하초균의 경우 이러한 생육조건에서 100 lx의 빛을 조사하면 자실체가 발이되어 나오며, 발이된 자실체를 계속 같은 조건에서 100∼400 lx의 빛을 조사하면 자실체가 생육된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경우 1000 lx의 빛을 3일 정도 조사하면 자실체가 발이되어 나오며, 발이된 자실체를 같은 조건에서 100∼400 lx의 빛을 조사해주면 자실체가 생육된다. 자실체가 배양병 입구까지 자라거나 달팽이의 껍데기 밖으로 자라나오면, 즉 자실체가 5㎝ 이상 자라면 수확을 하게 되는데, 눈꽃 동충하초의 경우 발이시부터 수확시까지 통상 약 2주 정도가 소요되며 총 재배일수로는 약 30∼33일 정도가 소요된다. 또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경우 발이시부터 수확시까지 약 3∼5주 정도가 소요된다. 눈꽃 동충하초균의 경우 노란색 자실체로 자라게 되며,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균의 경우 오렌지색 자실체로 자라게 된다.
동충하초는 버섯과 기주와의 결합체이므로 기주와 자실체를 함께 수확한다. 따라서, 수확시 기주인 달팽이로부터 자실체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수확된 동충하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동결 건조시켜 제품화하거나 수(水) 추출액 또는 술 등으로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양질의 달팽이 배지에서 동충하초균을 배양·재배하게 되므로 영약학적인 측면이나 효능면에서 우수한 양질의 동충하초를 얻게 되며, 또한 동충하초의 생육이 빠르고 양호하여 단기간내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Claims (5)

  1. 달팽이를 3∼4일간 굶겨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후 30∼70℃로 3∼10시간 건조시켜 달팽이 배양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준비된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종균이 접종된 배양배지를 배양온도 23∼27℃, 실내습도 65∼75%의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온도 15∼20℃, 습도 80∼95%의 조건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하는 단계;
    를 거쳐 배양·재배된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2. 달팽이를 3∼4일간 굶겨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후 30∼70℃로 3∼10시간 건조시키고 여기에 현미, 다슬기, 번데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준비된 혼합배지를 살균한 후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종균이 접종된 배양배지를 배양온도 23∼27℃, 실내습도 65∼75%의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온도 15∼20℃, 습도 80∼95%의 조건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하는 단계;
    를 거쳐 배양·재배된 동충하초 배양체 조성물.
  3. 달팽이를 3∼4일간 굶겨서 배설물을 배출시킨 후 30∼70℃로 3∼10시간 건조시켜 달팽이 배양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준비된 배양배지를 살균한 후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종균이 접종된 배양배지를 배양온도 23∼27℃, 실내습도 65∼75%의 배양실에서 동충하초 균사체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배양된 동충하초 균사체를 온도 15∼20℃, 습도 80∼95%의 조건에서 동충하초 자실체로 생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배양배지는 현미, 다슬기, 번데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동충하초의 재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종균은 달팽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 또는 액체배지에 원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2001-0027132A 2001-05-18 2001-05-18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KR100443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32A KR100443200B1 (ko) 2001-05-18 2001-05-18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32A KR100443200B1 (ko) 2001-05-18 2001-05-18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37A KR20010084937A (ko) 2001-09-07
KR100443200B1 true KR100443200B1 (ko) 2004-08-04

Family

ID=1970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32A KR100443200B1 (ko) 2001-05-18 2001-05-18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047A1 (ko) * 2015-06-24 2016-12-29 스마테크 주식회사 해마를 이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및 이의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33B1 (ko) * 2001-07-25 2003-11-03 에이치엔엠바이오(주) 달팽이 또는 우렁이를 이용한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04560941A (zh) * 2014-12-23 2015-04-29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提高虫草发酵生物量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047A1 (ko) * 2015-06-24 2016-12-29 스마테크 주식회사 해마를 이용하여 재배된 동충하초 및 이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937A (ko)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3704B (zh) 一种杏鲍菇的栽培基及其栽培方法
KR100717124B1 (ko) 망태버섯 노지 자연재배방법
CN106900348A (zh) 一种富硒平菇的栽培方法
KR20210058759A (ko) 동충하초의 대량 증식 종균 획득 방법과 이를 이용한 대량 배양방법
CN106613339A (zh) 一种羊肚菌室外丰产栽培的方法
KR20170079322A (ko) 셀레늄을 함유한 계종버섯 재배방법
CN103081869A (zh) 一种冬虫夏草低海拔人工培殖方法
KR20190120554A (ko) 동충하초의 인공재배방법
CN106538251A (zh) 一种降低大叶种茶树萎芽病的快速育苗方法
Babytskiy et al. New findings of pest sciarid species (Diptera, Sciaridae) in Ukraine, with the first record of Bradysia difformis
KR100276842B1 (ko) 눈꽃 동충하초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그의 배양방법
CN107873395A (zh) 一种香菇棒式夏季栽培方法及快速接种器
Lim Sericulture training manual
CN107810781A (zh) 一种活蚕培育蛹虫草的方法
CN104054504B (zh) 蜂蛹虫草的培育方法
CN104686198A (zh) 一种桑枝栽培木耳的方法
CN107417443A (zh) 一种富硒猕猴桃肥料以及猕猴桃的高产种植法
KR100432472B1 (ko) 동충하초속균의 자실체 및 균사체의 대량 생산방법
KR102265286B1 (ko) 활착곡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누룽지 제조방법
KR100288105B1 (ko) 신규한 번데기동충하초 균주와 그 종균 및 자실체 재배방법
KR20010016736A (ko) 동충하초 재배방법
KR100443200B1 (ko) 달팽이를 기주로 하는 동충하초 및 그 재배방법
KR100674123B1 (ko)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유충을 기주로 한밀리타리스동충하초의 인공 재배방법
KR100509686B1 (ko) 파리 유충을 기주로 한 동충하초 재배방법
CN103999690A (zh) 蛹虫草的人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