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952B1 -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952B1
KR100441952B1 KR10-2001-0083233A KR20010083233A KR100441952B1 KR 100441952 B1 KR100441952 B1 KR 100441952B1 KR 20010083233 A KR20010083233 A KR 20010083233A KR 100441952 B1 KR100441952 B1 KR 10044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workpiece
load
signa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175A (ko
Inventor
김창엽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9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of velocity,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G05B19/4163Adaptive control of feed or cutting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12Adaptive control, i.e. adjusting itself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a preassigned criter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Automatic Control Of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기 위한 부하계와, 상기한 부하계로부터 입력되는 애널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상기한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에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떨어뜨려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PLC와, 상기한 PLC의 구동신호에 따라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최적의 부하율을 설정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급격한 부하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구 및 공작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최적의 절삭이송속도를 가공 전구간에 걸쳐 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an adaptive control system of a machine and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최적의 부하율을 설정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급격한 부하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구 및 공작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최적의 절삭이송속도를 가공 전구간에 걸쳐 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든가 또는 반소재에 더욱 정밀한 가공을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작기계라 한다. 상기한 공작기계중에서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는 공작기계를 절삭공작기계라고 부르고,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공작기계를 금속가공기계라고 한다. 상기한 절삭공작기계에는 선반(lathe), 밀링기,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으며, 상기한 금속성형기계에는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절단절곡기, 단조기, 인발기 등이 있다.
산업 전반적인 성력화 추세에 힘입어 절삭 가공을 위한 공작기계의 수치제어(NC)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치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수치제어(NC)를 한층 더욱 발전시킨 컴퓨터 수치제어(CNC)가 적용된 공작기계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수치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므로 숙련된 NC 프로그래머가 요구되며, 상기한 NC 프로그래머는 절삭이송속도 및 스핀들 회전속도 등을 가공전에 미리 결정하여 프로그래밍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공구와 소재재질의 조합의 종류가 수없이 많기 때문에, NC 프로그래머는 항상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여 여유있는 절삭 이송속도나 스핀들 회전수를 정하여야만 한다. 만약, 공구와 소재 형상의 불균일에 의해 과도한 절식 깊이 또는 과도한 이송속도로 가공하게 되면, 공구 및 공작물뿐만 아니라, 공작기계 자체에 손상을 주게 되고, 공구의 파손, 채터 발생, 이송 및 주축계 축의 변형, 베어링의 손상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치제어 프로그램은 지능형 소프트웨어가 아니기 때문에 NC 프로그래머가 최적의 부하율을 설정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해주기가 어려워서, 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급격한 부하변동으로 인하여 공구 및 공작물이 파손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최적의 부하율을 설정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급격한 부하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구 및 공작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최적의 절삭이송속도를 가공 전구간에 걸쳐 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아날로그/디지틀 컨버터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하계 20 :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
30 : 제어부 40 : PLC
50 : 모터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기 위한 부하계와, 상기한 부하계로부터 입력되는 애널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상기한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에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떨어뜨려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한 PLC의 구동신호에 따라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와,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는 단계와,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공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급격하게 줄이는 단계와, 감속된 절삭이송속도를 다시 서서히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기 위한 부하계(10)와, 상기한 부하계(10)로부터 입력되는 애널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20)와, 상기한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에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떨어뜨려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한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PLC(40)와, 상기한 PLC(40)의 구동신호에 따라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와,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는 단계와,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공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급격하게 줄이는 단계와, 감속된 절삭이송속도를 다시 서서히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30)는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PLC(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모터(50)가 구동되도록 한다.
부하계(10)로부터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과중한 절삭부하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30)는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급격하게 낮추어 공구 또는 공작물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30)는 절삭이송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원래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절삭부하가 무부하치 이하의 공절삭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30)는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증가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한다.
이 경우에 진입방법은 공절삭 시작전의 피드가 프로그램 피드보다 크면 피드 100% 진입을 하고, 공절삭 시작전의 피드가 프로그램 피드보다 작거나 같으면 전 피드 진입을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최적의 부하율을 설정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기계의 절삭 가공시에 급격한 부하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구 및 공작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최적의 절삭이송속도를 가공 전구간에 걸쳐 제어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공작기계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정정)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기 위한 부하계와,
    상기한 부하계로부터 입력되는 애널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상기한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공구 또는 공작물에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급속하게 떨어뜨려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한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PLC와,
    상기한 PLC의 구동신호에 따라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2. (정정) 공구 또는 공작물의 절삭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와,
    공구 또는 공작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세전압까지 검출하는 단계와,
    부하가 과중하게 걸리는 경우에 공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한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비율을 반응시간 100ms 이하로 절삭이송속도를 급격하게 줄이는 단계와,
    감속된 절삭이송속도를 다시 서서히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1-0083233A 2001-12-22 2001-12-22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4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233A KR100441952B1 (ko) 2001-12-22 2001-12-22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233A KR100441952B1 (ko) 2001-12-22 2001-12-22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175A KR20030053175A (ko) 2003-06-28
KR100441952B1 true KR100441952B1 (ko) 2004-07-27

Family

ID=2957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233A KR100441952B1 (ko) 2001-12-22 2001-12-22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76B1 (ko) 2005-12-29 2007-04-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이송속도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는 터렛 서보 제어장치 및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149A (en) * 1981-03-18 1982-09-27 Niigata Eng Co Ltd Adjustment controller
JPH05116056A (ja) * 1991-10-28 1993-05-14 Ritsukusu Kk 工作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H08197377A (ja) * 1995-01-19 1996-08-06 Toyoda Mach Works Ltd 数値制御加工装置
JP2000317710A (ja) * 1999-05-07 2000-11-21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149A (en) * 1981-03-18 1982-09-27 Niigata Eng Co Ltd Adjustment controller
JPH05116056A (ja) * 1991-10-28 1993-05-14 Ritsukusu Kk 工作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H08197377A (ja) * 1995-01-19 1996-08-06 Toyoda Mach Works Ltd 数値制御加工装置
JP2000317710A (ja) * 1999-05-07 2000-11-21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における工具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175A (ko) 200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822B2 (en) Numerical controller
KR101224748B1 (ko) 하이포이드 기어를 이용한 2축 수치제어(nc) 테이블
KR100600648B1 (ko) 자동공작장치용 최적가공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가설치된 자동공작장치
Babu et al. Optimization of cutting parameters for CNC turned parts using Taguchi's technique
JP6407810B2 (ja) 加工ツール回転数とワーク送り速度とを調整する加工システム
KR100441952B1 (ko) 공작기계의 적응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40051693A (ko) 공작기계의 주축 제어장치 및 방법
JPH06335841A (ja) 数値制御装置および数値制御加工方法
JPH11202926A (ja) 数値制御における送り速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7423030B2 (ja) 工具交換時自動補正機能を備えた工作機械
KR100546907B1 (ko) 공작기계의 서브 공구대 제어장치
KR100337381B1 (ko) 수동선반의 바이트 파손방지 방법
Zhilevski Increasing of the Opportunities for a Class of Machine Tools with Digital Program Control
KR100655310B1 (ko) 중력축의 자동 클램프 및 언클램프 장치 및 방법
JP2003136332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のねじ切り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とそれを組み込んだ数値制御工作機械
JPH06226587A (ja) 切削機械の軸トルク制御方法
KR100343000B1 (ko) 선반의 피가공물 가공방법
KR0175555B1 (ko) 가공물의 절삭 제어방법
KR100483445B1 (ko) 공작기계의 최적 가공방법
KR100535963B1 (ko) 자동 파레트 교환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46908B1 (ko) 자동 공구 교환기의 툴포트 제어용 공압 회로
KR20090060517A (ko) 공작기계 이송축 떨림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249683Y1 (ko)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툴 언클램프 실린더 장치
SU1229023A1 (ru) Способ размерного хонинговани
KR200293096Y1 (ko) 범용모터를 이용한 복수의 주축 제어기능을 갖는공작기계의 수치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