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690B1 - 차량용에어백장치를위한백 - Google Patents
차량용에어백장치를위한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0690B1 KR100440690B1 KR1019970708538A KR19970708538A KR100440690B1 KR 100440690 B1 KR100440690 B1 KR 100440690B1 KR 1019970708538 A KR1019970708538 A KR 1019970708538A KR 19970708538 A KR19970708538 A KR 19970708538A KR 100440690 B1 KR100440690 B1 KR 100440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panel
- bag
- inflator
- rectifier
- teth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 관한 것으로서,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을 피한 부분에 테더를 설치하여 정류체에 의한 정류 효과가 테더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가스 흐름을 확실하게 백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의 외단측으로 가져올 수 있어 백의 승차자측으로의 전개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고,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에 있어서 펴지기 어려운 접는 방식을 채용하여 가스 흐름을 좌우 방향으로 조화롭게 가져올 수 있어 백의 승차자측으로의 전개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의 한 종류로서, 승차자측 패널과 팽창기측 패널이 양자의 둘레 테두리에서 접합되어 3차원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는 유연한 백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는 팽창기 부착용 개구부를 형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특공소 51-31581호). 이와같은 백에 팽창기를 부착한다. 차량의 충돌시에 팽창기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순식간에 백내에 흘러들어가 백이 팽창하여 승차자를 충돌의 충격에서 보호한다.
상기 공지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은 승차자측 패널과 팽창기측 패널이 테더(tethe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백이 팽창할 때 팽창기측 패널과 승차자측 패널의 간격이 테더의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같이 테더에 의해 백의 전개 거리, 즉 승차자측 패널의 팽창량을 규제할 수 있지만(승차자측 패널이 가장 승차자측 가까이에 있는 부분의 스티어링 휠의 평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전개거리」라고 함), 테더만으로는 백의 전개 속도는 저감할 수 없다(스티어링 휠의 평면에서 가장 떨어진 승차자측 패널의 부분이 스티어링 휠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스티어링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전개속도」라고 함). 테더만으로는 백이 그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 즉 팽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들면 승차자의 하복부 방향으로 신속하게 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또, 다른 수단에 의한 전개제어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전개속도를 저감하고, 팽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펴지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공지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중에는 팽창기에서 분출하는 가스 흐름이 승차자측 패널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팽창기에 근접하여 가스흐름을 편향시키는 정류체(整流體)를 설치한 것이 있다(일본국 특공소 53-45574호, 미국 특허 5172933, EP600598, DE4121659).
그러나, 정류체만으로는 전개 거리를 규제할 수 없고, 또 전개속도도 어느정도밖에 저감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테더와 정류체를 함께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양자의 장점을 구비한 에어백을 얻는 것이 고안되고 있지만 이 경우의 문제점은 정류체로부터의 가스흐름의 분출 방향으로 테더가 배치되어 있으면 정류체에 의해 편향된 가스 흐름이 테더에 충돌하기 때문에 정류 효과를 저감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테더와 정류체를 병유해도 정류체에 의한 정류 효과가 손실되지 않고 에어백 전체의 전개거리와 전개속도를 저감시키고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도 신속하게 펴지는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백에는 이것을 적당한 방법으로 접어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에 있는 하우징안등에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 백의 상하의 양측부와 좌우의 양측부를 사복식(주름지게 접는 방식)으로 접어구부리는 경우가 많다. 사복식으로 접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펴지기 쉽기 때문에 상하 좌우에 사복식으로 접은 부분이 있는 경우,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이 예를들면 상하방향인 경우에는 상하에 있는 사복식으로 접혀진 부분이 원활하게 펴져 가스는 그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백의 상하 양 단에 도달한 가스는 방향을 전환하여 승차자측 패널에 충돌한다. 이와같이 하여 이 접는 방식에 의해서는 백의 전개속도를 저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정류체를 갖고, 상기 정류체에 의해 편향된 가스 흐름의 분출방향에 관련하여 특정한 접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전개속도가 저감된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의 팽창상태를 나타내는 가로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단면도,
도 4는 상기 백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의 백을 나타낸 도 1과 같은 가로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의 백을 나타내는 도 1과 같은 가로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의 백을 나타낸 도 1과 같은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백을 접어넣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처음에 접는 방식,
도 8의 (b)는 두번째로 접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 2의 백의 접는 방식을 나타낸 도 8과 같은 도면,
도 10은 역 롤식의 접는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0의 (a)는 승차자측 패널측으로의 뒤집히기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의 (b)는 뒤집힌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순 롤식으로 접는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비교예 2의 백의 접는 방식을 나타낸 도 8과 같은 도면,
도 13은 사복식으로 접는 여러가지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위한 백에 있어서, 상기 백구조의 내부에는 팽창기에서 분사되는 가스 흐름을 상기 백 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정류체를 배치하고, 상기 승차자측 패널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을 양자의 간격이 소정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테더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테더를 상기 정류체에 의해 편향된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한 것이다. 이 백은 정류체에 의한 정류 효과는 없어지지 않고 테더와 정류체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서, 상기 정류체는 상기 팽창기 부착용 개구부를 덮는 시트부이며, 상기 시트부의 중앙부는 상기 승차자측 패널 방향으로 팽창된 느슨한 면을 갖고, 상기 시트부 둘레 테두리의 적어도 2군데는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 접합되어 접합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시트부의 둘레 테두리의 상기 접합부 이외의 부분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 사이의 간격은 편향된 가스흐름의 분출 개구를 이루고 있어 좋다.
이 경우, 상기 테더는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백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의 외부측에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백의 제조상 유리하다. 또한, 상기 테더는 상기 정류체와 상기 정류체에서의 상기 접합부 보다 상기 승차자측 패널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승차자측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 있어서, 상기 백구조의 내부에는 팽창기에서 분사되는 가스 흐름을 편향시키는 정류체를 배치하고, 이 정류체에는 편향 후의 가스 흐름의 분출 방향이 상기 백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에서 정역 2개의 방향이 되도록 분출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백구조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한쌍의 측부가 가스 흐름의 상기 분출 방향으로, 또 서로 대향하는 제 2 한쌍의 측부가 가스 흐름의 상기 분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접혀 있으며, 상기 제 1 한쌍의 측부의 접혀진 부분은 상기 제 2 한쌍의 측부의 접혀진 부분에 비해 전개하기 어렵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 정류체에서 가스흐름의 분출 방향으로 접는 방식은 본래 가스가 흐르기 어렵고 비교적 펴지기 어려운 접는 방식으로 하고, 가스 흐름의 분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접는 방식은 본래 가스가 흐르기 쉽고 비교적 펴지기 쉬운 접는 방식으로 했기 때문에 가스가 백의 외부둘레 방향 전체에 비교적 균일하게 퍼진다. 이때문에, 승차자측 패널을 누르는 백 내부의 압력도 분산되고 백의 전개 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처음에는 상기 제 2 한쌍의 측부가 사복식으로 접혀지고, 그 다음에는 상기 제 1 한쌍의 측부가 역 롤식으로 접혀지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사복식으로 접는 방식이 펴지기 쉬운 방식이며,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이 펴지기 어려운 방식이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승차자측 패널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을 양자의 간격이 소정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테더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테더를 상기 정류체에 의해 편향된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면 백의 전개 속도 저감의 효과가 훨씬 좋다.
이와같이 접혀진 백은 상기 정류체의 돌출 높이가 상기 승차자측 패널의 돌출 높이의 2/3 이하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정류체의 돌출 높이가 2/3을 초과하면 정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져 백의 전개속도가 커진다.
또한, 이 백의 정류체의 폭을 팽창기 헤드의 직경 보다 크게 해 두는 것이 유리하다. 가령 정류체의 폭이 팽창기 헤드의 직경 보다도 좁을 때는 역시 정류 효과는 떨어져 백의 전개속도가 커진다.
또한, 상기 여러가지 백에 있어서 정류체를 가스 투과성을 갖지 않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가스는 정류체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히 편향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을 나타내고 있다.
백(10)은 팽창기측 패널(12)과 승차자측 패널(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패널(12, 14)은 모두 원형이며, 직물등의 유연한 소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양 패널(12, 14)은 그 둘레 테두리부에서 봉합(16)되어 백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간단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서 봉합부의 도시는 모두 생략함.) 팽창기측 패널(12)의 중심에는 원형구(18)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팽창기(20)의 꼭대기부(22)가 삽입되어 있다. 팽창기(20)에서 분출하는 가스에 의해 에어백(10)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차원 형상으로 팽창한다.
도면부호, “24”, “26”은 직물 등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스트랩형상의 테더이며, 팽창기측 패널(12)과 승차자측 패널(14)을 연결하여 양 패널(12, 14)의 간격이 테더의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규제한다. 테더(24, 26)는 백(10)의 직경상에 원형구(18)를 중심으로 한 대칭되는 위치에 2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백(10)이 전개하여 팽창 완료 상태에서는 백(10)은 도시한 균일한 편평한 형상을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테더(24, 26)는 팽창기측 패널(12)에 봉착(縫着)된 제 1 테더 형성 직물(28)과 승차자측 패널(14)에 봉착된 제 2 테더 형성 직물(30)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테더 형성 직물(28)은 원형의 기부(31)와 그 둘레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2군데에서 직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뻗어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부(31)의 직경 보다 폭이 좁은 2개의 다리부(32)로 이루어지고, 기부(31)가 팽창기측 패널(12)에 봉착되어 있다. 제 2 테더 형성 직물(30)도 마찬가지로 원형의 기부(34)와 그 둘레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2군데에서 직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뻗어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부(34)의 직경 보다 폭이 좁은 2개의 다리부(36)로 이루어지며, 기부(34)가 승차자측 패널(14)에 봉착되어 있다. 그리고, 2쌍의 다리부(32, 36)끼리 봉착(38)되어 상기 테더(24, 26)가 형성된다.
도면부호 “40”은 직물 등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정류체이다. 정류체(40)는 백(10)의 팽창시에 팽창기측 패널(12)에서 약간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류체(40)는 팽창기 부착용 개구(18)의 직경 보다 넓은 폭으로 이 개구(18)를 덮고 있다. 정류체(40)는 정류체 형성 직물(42)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정류체 형성 직물(42)은 원형의 기부(44)와 그 둘레 테두리의 서로 대향하는 2군데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2개의 다리부(46)로 이루어진다. 이 기부(44)는 상기 테더 형성 직물(28)의 기부(31)위에서 팽창기측 패널(12)에 봉착되어 있다. 2개의 다리부(46)의 자유단 끼리는 봉착(48)되고, 이것에 의해 고리형상의 정류체(40)가 얻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정류체(40)는 그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부(50)를 통하여 팽창기측 패널(12)에 접합되어 있지만 그외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52)에서는 팽창기측 패널(12)에 봉착되어 있지 않다. 이 봉착되어 있지 않은 측부(52)가 가스 흐름의 분출 개구를 구성하고 있다.
정류체 형성 직물(42)의 기부(44)상에는 이것과 거의 같은 형의 보강 직물(5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보강 직물(53)은 제 1 테더 형성 직물(28)의 기부(31)와 정류체 형성 직물(42)의 기부(44)위에서 승차자측 패널(12)과 봉착되어 있다.
팽창기(20)에서 분출된 가스는 정류체(40)의 꼭대기부(49)와 상기 접합부(50)에 충돌하여 편향되며, 분출 개구(52)를 통과하여 직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향한다.
이와같이 하여 가스 흐름은 승차자측 패널(14)을 직접 승차자측으로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승차자측 패널의 전개 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테더(24, 26)는 정류체(40)의 분출 개구(52)를 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정류체(40)가 팽창기측 패널(12)에 접합된 부분(50)의 직경방향의 외부측에 테더(24, 26)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정류체(40)에 의해 편향되어 분출 개구(52)에서 분출되는 가스 흐름(도 2의 화살표 참조)은 테더(24, 26)에 의해 방해받는 일이 없다. 이와같이 하여 이 실시예의 에어백은 테더에 의해 백의 전개를 일정 거리로 억제하는 효과와 정류체에 의해 백의 승차자측 패널(14)의 전개 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류체와 테더를 별체로 설치했지만 이를 대신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체(40)의 양 측부(50)와 승차자측 패널(14) 사이를 도 1에 나타낸 제 2 테더 형성 직물(30)과 같은 연결부재(54)에 의해 연결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류체(40)와 연결부재(54)가 테더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더(24, 26)의 내면에 정류체(40)의 양 측부(50)를 봉착하고, 정류체(40) 자체는 팽창기측 패널에 직접 봉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류체(40)와 테더(24, 26)를 한장의 직물로 구성하고, 정류체(40)의 양 측부(50)를 일단 팽창기측 패널(12)에 봉착한 후, 그 연장부인 테더(24, 26)를 승차자측 패널(14)에까지 연장해도 좋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백 본체에는 테더만을 부착해 두고, 이것과는 별도로 팽창기에 정류체를 부착한 것을 준비하여 이 팽창기를 팽창기측 패널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정류체를 백내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팽창기측 패널과 승차자측 패널의 직경은 백이 편평한 상태에서 500∼800mm이다. 그리고, 정류체의 크기로는 폭이 50∼300mm, 길이가 50∼400mm인 것이 백의 전개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길이」라고 하는 것은 정류체 형성 직물의 기부가 팽창기측 패널에 봉합되어 있을 때 가장 둘레 테두리에 가까운 봉합부 사이의 정류체의 길이, 즉 승차자측 패널측으로 팽출된 느슨함의 길이이다. 또한, 테더의 길이는 예를들면 150∼300mm이다.
실시예 1
도 1∼도 4의 백에 대해 그 전개속도가 저감하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때, 정류체의 폭은 250mm, 길이는 250mm인 것을 사용했다. 이 폭은 팽창기용의 개구의 직경인 90mm에 비해 현저하게 크다. 또한, 정류체의돌출 높이는 승차자측 패널의 돌출 높이의 1/3 위치이다. 그리고, 정류 후의 가스 흐름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백을 위치시켰다. 즉, 정류체(40)의 분출 개구(52)가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또 테더(24, 26)를 가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백의 전개속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백의 접는 방식도 중요하다. 실시한 실험에서는 우선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10)의 상하의 측부를 승차자측 패널(14)상에 사복식으로 접었다. 즉, 백(10)의 상측부 및 하측부를 백(10)의 중앙부에서 상하 둘레 테두리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련의 부분(60a, 60b, 60c, 60d, 60e, ……)에서 접고 승차자측 패널(14)상에 차례로 겹쳐진 복수의 접어넣는 편(62a, 62b, 62c, 62d, 62e ……)를 얻었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접은 본체(64)의 좌우 양측부(65)를 승차자측 패널(14)측에 마찬가지로 사복식으로 접었다. 이와같이 접은 백을 실시예 1로 한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의 에어백은 테더가 정류체의 가스 분출 개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즉, 테더가 가스의 분출을 방해하고 있다) 점에서만 실시예 1의 백과 다르며, 그 외의 점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백에 있어서 팽창기에서 가스를 발생시켜 가스 흐름에 의해 백을 전개시켜 전개속도를 측정했다. 실시예 1의 경우는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해서 전개거리 250mm의 시점에서 전개 속도가 약 55%이다. 이와같이 하여 테더를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을 피한 부분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백의 전개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도 4에 나타낸 백(단, 정류체의 폭은 170mm, 길이는 180mm)을 사용하여 정류 후의 가스 흐름이 상하 방향으로 향하도록 백을 위치시켰다. 단, 실시예 1과는 다른 접는 방식을 이용했다. 즉,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백의 좌우 양측부(66)를 승차자측 패널(14)상에 사복식으로 접고, 다음에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접은 본체(68)의 상하 양측부(70)를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롤식으로 접었다.
여기서,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이라는 것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의 측부 단말을 팽창기측 패널(12)측에서 감아 접는 상태를 말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백의 측부 단말을 승차자측 패널(14) 측에서 감아 접는 방식을 순 롤식 접는 방식이라 것에 대해,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접는 것은 「역」롤식 접는 방식이라고 부른다. 도면에 기초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의 상하 양 측부(70)에서 역 롤식으로 접어 방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도 9의 (a)에 나타낸 접은 본체(68)의 상하 양측부(70)를 그 선단(80)이 내부가 되도록 감고 차례로 접어 롤(82)를 만든다. 이것이 도 10의 (a)에 나타낸 상태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롤(82)을 그 기부(84)에서 승차자측 패널(14)측으로 뒤집는 것에 의해 도 10의 (b) 및 도 9의 (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경우나 도 10의 (b)에 나타내는 경우 모두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이다. 접은 백의 수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실제로는 도 10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접는 경우가 많다.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은 팽창기(20)에서 발생한 가스흐름이 도 10의 (a)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차자측 패널(14)을 눌러도 이 누르는 방향과는 반대측에 롤(82)이 존재하여 이 롤(82)이 저항이 되기 때문에 승차자측 패널(14)은 용이하게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순 롤식으로 접는 경우에는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승차자측 패널(14)이 화살선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롤(81)도 앞쪽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결국 승차자측 패널(14)은 용이하게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은 순 롤식으로 접는 방식에 비해 펴지기 어렵다.
비교예 2에서는 테더는 갖지만 정류체를 갖지 않은 백을 사용하고, 접는 방법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백의 상하 양 측부(71)를 승차자측 패널(14)측으로 사복식으로 접고, 다음에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접은 본체(72)의 좌우 양측부(74)를 승차자측 패널(14)측으로 역 롤식으로 접었다.
실시예 2의 것은 비교예 2에 비해 전개속도가 전체 저감되고, 특히 전개거리가 250mm 부근의 시점에서 대폭 약 65%로 저감되고 있었다. 이것은 본래 전개하기 어려운 접는 방식을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으로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 가스가 백의 외부둘레 방향 전체에서 비교적 조화롭게 흘러 승차자측 패널(14)의 누르는 힘이 작기 때문이다. 또한, 백의 상하방향의 전개도 빨라지고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으로서,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방향은 수평방향, 즉 좌우방향이고, 접는 방식은 우선 백의 상하의 측부를 사복식으로 접은 다음에 계속해서 이 접은 본체의 좌우 양측부를 역 롤식으로 접었다. 백의 전개 초기의 상하 방향의 펴지는 폭은 실시예 2쪽이 크다. 이때문에 실시예 2의 백쪽이 상하방향으로 펴지는 것이 약간 신속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것과 같은 백으로 테더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준비하여 이것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접었다.
비교예 2의 것과 비교하면 전체의 전개속도는 저감하고 있으며, 테더를 갖고 있지 않아도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으로 펴지기 어려운 접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전개속도 저감의 효과는 어느정도 있지만 테더가 없는 것에 의해 승차자측으로의 전개거리가 상당히 커진다.
또한, 비교예 4로서, 실시예 2의 것을 기초로 정류체의 돌출 높이가 승차자측 패널의 돌출 높이의 2/3을 초과한 것을 작성했다. 또한, 비교예 5로서, 실시예 2의 것을 기초로 정류체가 팽창기 헤드의 직경의 약 90%만을 덮고 있는 것을 작성했다. 모두 실시예 1, 2의 경우와는 달리 전개속도는 높지만 특히 전개거리가 약 250mm인 위치에서의 전개속도는 본 발명의 백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실시예 2, 3에서는 비교적 전개하기 어려운 접는 방식으로서 역 롤식 접는 방식을, 또 비교적 전개하기 쉬운 접는 방식으로는 사복식으로 접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를 대신해 비교적 전개하기 어려운 접는 방식으로서 역 롤식 접는 방식을,비교적 전개하기 쉬운 접는 방식으로서 순 롤식 접는 방식(도 11)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13의 (a)에는 통상의 사복식으로 접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대신해 도 13의 (b), 도 13의 (c)에는 사복식으로 접는 방식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선단(90)이 각각 바깥쪽 또는 안쪽에서 사복부에 끼워져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전개하기 어려운 접는 방식으로서 도 13의 (b), 도 13의 (c)의 것을, 또 비교적 전개하기 쉬운 접는 방식으로서 도 13의 (a)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는 처음에는 전개하기 쉬운 접는 방식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전개하기 어려운 접는 방식을 실시했지만 순서를 반대로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사복식으로 접는 방식, 역 롤식으로 접는 방식, 그외의 접는 방식은 승차자측 패널측으로 접는 것이 보통이지만 팽창기측 패널측으로 접어도 좋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서는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을 피한 부분에 테더를 설치했기 때문에 정류체에 의한 정류 효과가 테더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가스 흐름을 확실하게 백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의 외단측으로 가져올 수 있어 백의 승차자측으로의 전개 초기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서는 정류체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방향에 있어서 펴지기 어려운 접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흐름을 좌우 방향으로 조화롭게 가져 올 수 있어 백의 승차자측으로의 전개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8)
- 승차자측 패널과 팽창기측 패널이 양자의 둘레 테두리에서 접합되어 3차원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는 유연한 백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 팽창기 부착용 개구부를 형성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 있어서,상기 백 구조의 내부에는 팽창기에서 분사되는 가스 흐름을 상기 백 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정류체를 배치하고,상기 승차자측 패널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을 양자의 간격이 소정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테더에 의해 연결하고,상기 테더를 상기 정류체에 의해 편향시킨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상기 정류체는 상기 팽창기 부착용 개구부를 덮는 시트부이며,상기 시트부의 중앙부는 상기 승차자측 패널의 방향으로 팽출된 느슨한 면을 갖고,상기 시트부의 둘레 테두리의 적어도 2군데는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 접합되어 접합부를 구성하고 있으며,상기 시트부의 둘레 테두리의 상기 접합부 이외의 부분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 사이의 간격은 편향된 가스 흐름의 분출 개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테더는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백 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의 외부측 부분에서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테더는 상기 정류체와 상기 정류체의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승차자측 패널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승차자측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승차자측 패널과 팽창기측 패널이 양자의 둘레 테두리에서 접합되어 3차원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는 유연한 백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기측 패널에는 팽창기 부착용 개구부를 형성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에 있어서,상기 백구조의 내부에는 팽창기에서 분사되는 가스 흐름을 편향시키는 정류체를 배치하고,상기 정류체에는 편향 후의 가스 흐름의 분출 방향이 상기 백구조의 외부둘레를 향하는 방향에서 정역 2개의 방향이 되도록 분출 개구를 설치하고,상기 백구조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한쌍의 측부가 가스 흐름의 상기 분출방향으로, 또 서로 대향하는 제 2 한쌍의 측부가 가스 흐름의 상기 분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접혀 있고,처음에는 상기 제 2 한쌍의 측부가 사복식으로 접혀 있고, 다음에는 상기 제 1 한쌍의 측부가 상기 제 2 한쌍의 측부의 접는 방식에 비해 전개하기 어렵고, 역 롤식으로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승차자측 패널과 상기 팽창기측 패널을 양자의 간격이 소정 길이 이상으로 펴지지 않도록 규제하는 테더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테더를 상기 정류체에 의해 편향된 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정류체의 돌출 높이가 상기 승차자측 패널의 돌출 높이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정류체의 폭은 상기 팽창기 헤드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정류체는 가스 투과성을 갖지 않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위한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1996/000867 WO1997036768A1 (fr) | 1996-03-29 | 1996-03-29 | Sac pour dispositif de protection pneumatique pour vehic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2059A KR19990022059A (ko) | 1999-03-25 |
KR100440690B1 true KR100440690B1 (ko) | 2004-09-18 |
Family
ID=1415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8538A KR100440690B1 (ko) | 1996-03-29 | 1996-03-29 | 차량용에어백장치를위한백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439097B1 (ko) |
JP (1) | JP3578463B2 (ko) |
KR (1) | KR100440690B1 (ko) |
AU (1) | AU734524B2 (ko) |
DE (2) | DE69638006D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4516A (ko) * | 2012-07-24 | 2014-02-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운전석 에어백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95520B2 (ja) * | 2004-12-15 | 2010-12-08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DE102013015223A1 (de) * | 2013-09-13 | 2015-03-19 | Autoliv Development Ab | Gassack mit einer Gassackhülle und einem Deflektorelement |
US9283921B2 (en) | 2013-11-21 | 2016-03-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Driver airbag module having multiple deployment path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0U (ja) * | 1992-06-17 | 1994-01-11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エアバッグ装置の袋体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7710B2 (ja) * | 1989-08-25 | 1994-08-31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エアバツグのストラツプ検知装置 |
JP3151907B2 (ja) * | 1992-01-31 | 2001-04-03 | タカタ株式会社 | 車両乗員の脚部保護装置 |
DE4442118B4 (de) * | 1993-11-26 | 2004-07-01 | Toyoda Gosei Co., Ltd., Nishikasugai | Airbag |
-
1996
- 1996-03-29 EP EP04005470A patent/EP143909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3-29 AU AU51226/96A patent/AU734524B2/en not_active Ceased
- 1996-03-29 DE DE69638006T patent/DE69638006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3-29 KR KR1019970708538A patent/KR1004406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3-29 JP JP53510897A patent/JP357846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29 DE DE69635703T patent/DE69635703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0U (ja) * | 1992-06-17 | 1994-01-11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エアバッグ装置の袋体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4516A (ko) * | 2012-07-24 | 2014-02-0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운전석 에어백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34524B2 (en) | 2001-06-14 |
DE69635703D1 (de) | 2006-03-30 |
DE69638006D1 (de) | 2009-10-01 |
JP3578463B2 (ja) | 2004-10-20 |
AU5122696A (en) | 1997-10-22 |
EP1439097A2 (en) | 2004-07-21 |
DE69635703T2 (de) | 2006-09-14 |
KR19990022059A (ko) | 1999-03-25 |
EP1439097A3 (en) | 2004-08-11 |
EP1439097B1 (en) | 2009-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00958B2 (en) | Airbag apparatus for a front passenger's seat | |
EP0829395B1 (en) | Bag for an air bag unit for a vehicle | |
US7360791B2 (en) | Airbag apparatus | |
US5253892A (en) | Air bag | |
US7314230B2 (en) | Kneebag and occupant leg protection system | |
US7654568B2 (en) | Airbag for a front passenger's seat | |
JP4848141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US20010007391A1 (en) | Air bag apparatus for passenger seat | |
US7963552B2 (en) | Head-protecting airbag | |
US7377541B2 (en) | Leg-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occupant | |
JP5431137B2 (ja) |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インフレータのガス整流器、ガス整流器のインフレータへの組み付け方法 | |
US7819420B2 (en) | Knee-protecting airbag apparatus | |
JP6726543B2 (ja) | エアバッグ | |
JP2007521180A (ja) | エアバッグ | |
JP2631300B2 (ja) | エアバッグ | |
JP2005239054A (ja) | ニーバッグ及び乗員脚部保護装置 | |
JP4793124B2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 | |
JP2007196856A (ja) |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 | |
JP5232422B2 (ja) |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 |
US8191926B2 (en) |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airbag housing vent panel | |
JP3758665B2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ためのバッグ | |
KR100440690B1 (ko) | 차량용에어백장치를위한백 | |
US9908499B2 (en) | Curtain airbag assembly with stiffening chamber | |
US7322599B2 (en) | Knee bag and leg protection system | |
JPH0513656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