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049B1 -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049B1
KR100439049B1 KR10-2002-0035616A KR20020035616A KR100439049B1 KR 100439049 B1 KR100439049 B1 KR 100439049B1 KR 20020035616 A KR20020035616 A KR 20020035616A KR 100439049 B1 KR100439049 B1 KR 10043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address
logical address
fuse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699A (ko
Inventor
정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3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0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6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address translation or modifications

Landscapes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경시키는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반전시켜주는 제1 인버터; 제1 인버터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1 퓨즈; 제1 인버터의 입력측과 제1 퓨즈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2 퓨즈를 구비하고,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플래인을 선택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플래인 주소 디코더에 논리주소 변환장치를 접속하여 플래시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경하여 주므로, 테스트한 플래인의 첫번째 블록에 에러가 발생하였더라도 이를 에러가 없는 다른 플래인의 첫번째 블록으로 대체시켜주어 결국 플래시 메모리 칩 전체를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Logical address chang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의 논리 주소 변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래인주소 디코더(plane address decoder)에 주소변환기(address changer)를 접속하여 플래인 주소 디코더에 입력되는 논리주소를 변경시켜주는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정보를 블록 단위로 지울 수 있고 다시 프로그램 할 수도 있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을 변형한 것 중 하나인데, 바이트 레벨(byte level)에서 정보를 삭제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이이피롬과는 달리 블록단위로 정보를 삭제하거나 기록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512M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주소도(memory map)를 보여준다. 512M의 메모리는 4개의 플래인(plane)으로 구성되며, 각 플래인은 1024개의 블럭(block)으로 구성된다. 플래인에서 각각의 블럭을 지정하는 블럭 주소는 동일하며 단지 플래인의 선택여부에 따라 선택된 플래인의 하나의 블럭이 선택되는 것이다.
보통 512M에서는 주소값 A[0:7] 인 0번 부터 7번 까지는 칼럼 주소(column address)로 사용되고, A[9:13] 인 9번 부터 13번 까지는 페이지 주소(page address)로 사용된다. 또한 주소값 A[14:15] 인 14번과 15번은 플래인 주소(plane address)로 사용되고, A[16:25] 인 16번 부터 25번 까지는 블럭 주소(block address)로 사용된다. 따라서 14번 및 15번이 플래인을 가리키는 주소가 되는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15] A[14] Plane
0 0 0
0 1 1
1 0 2
1 1 3
플래인을 선택하는 주소인 A[14:15] 가 디지털 값 [00] 이면 Plane[0] 이 선택된다. 그리고 플래인을 선택하는 주소가 디지털 값 [01], [10], [11] 이면 각각 Plane[1], Plane[2], Plane[3] 이 선택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래인 주소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래인을 선택하는 값을 가진 신호인 A[14:15] 가 플래인 주소 디코더(20)에 입력되면 4개의 플래인 중 하나가 선택된다.
이러한 플래인 주소 디코더를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구현한 도면이 도 3이다. 도 3은 복수개의 낸드 게이트(NAND Gate, 302~308)와 인버터(inverter, 310~320)들로 이루어진다. 만일, 플래인을 선택하는 신호인 A[14:15]로 [00]이 입력되면 제1 인버터(310)와 제2 인버터(312)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제1 낸드 게이트(302)로는 [11]이 입력되어 출력은 [0]이 되고, 제3 인버터(314)는 [1]이 출력된다. 그러나 제2 낸드 게이트(304), 제3 낸드 게이트(306) 및 제4 낸드 게이트(308)의 출력은 모두 [1]이 되고, 따라서 제4 인버터(316), 제5 인버터(318), 제6 인버터(320)의 출력은 모두 [0]이 된다. 그러므로 A[14:15]의 입력이 [00]이면 Plane[0]이 선택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컴퓨터 등의 시스템 환경은 고품질 및 높은 신뢰성의 제품을 요구하므로 플래시 메모리를 제조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불량품을 선별하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플래시 메모리를 테스트 한 결과 블록 주소가 [00]인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bad block)인 경우 이 칩은 불량 처리된다. 따라서, 단지 이러한 첫번째 블록 만 불량이고 다른 블록은 불량이 적어서 전체적으로 기준에 명시된 경우 보다 불량률이 적은 경우에도 전체 칩을 불량 처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에 입력되는 플래인 주소값을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을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변환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첫번째 메모리 블록에 에러가 발생하였더라도 이를 다른 플래인 주소로 변환하여 줌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칩을 살릴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512M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주소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래인 주소 디코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래인 주소 디코더를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구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와 플래인 주소 디코더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반도체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경시키는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반전시켜주는 제1 인버터; 제1 인버터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1 퓨즈; 제1 인버터의 입력측과 제1 퓨즈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2 퓨즈를 구비하고,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플래인을 선택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와 플래인 주소 디코더의 블록도이다. 논리주소 변환장치(40)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42)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다. 플래인 주소 신호인 A[14:15] 가 논리주소 변환장치(40)로 입력되면,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플래시 메모리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환한다. 논리주소 변환장치에서 변환되어진 주소 신호인 Ain[14:15] 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42)에 입력되고, 이러한 입력 신호에 따라 플래인이 선택된다. 따라서, 초기에 입력되는 플래인 주소 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고정된 플래인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내부 상태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 인버터(50), 제2 인버터(52), 제1 퓨즈 내지 제4 퓨즈(54~60)로 구성된다. 플래인 주소값 A[14] 는 제1 인버터(50)로 입력되고, 제1 인버터의 출력은 제2 퓨즈(56)와 연결된다. 또한 제1 퓨즈(54)는 제1 인버터(50) 및 제2 퓨즈(56)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인 주소값 A[15] 는 제2 인버터(52)로 입력되고, 제2 인버터의 출력은 제4 퓨즈(60)와 연결된다. 제3 퓨즈(58)는 제2 인버터(52) 및제4 퓨즈(6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플래인 주소값 A[14] 가 외부에서 입력되면 플래시 메모리의 블럭을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제1 퓨즈(54) 및 제2 퓨즈(56) 중 하나를 선택하여 끊어줄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주어진 플래인 주소값에 대해 내부적으로 주소를 바꿀 수 있다. 즉, 플래인 주소값 A[14] 가 [0] 일 때, 제2 퓨즈(56)가 끊어진 상태라면 플래인 주소 디코더(42)로 입력되는 플래인 주소값 Ain[14] 는 그대로 [0] 이 된다. 그러나 제1 퓨즈(54)가 끊어진 상태라면 Ain[14] 는 [1] 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의해 플래인 주소가 변환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논리주소 변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퓨즈(56)와 제4 퓨즈(60)가 끊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플래인 주소값 A[14] 와 A[15] 가 그대로 Ain[14] 와 Ain[15] 로 입력되므로 플래인 주소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래인을 선택하는 주소인 A[15:14] 가 그대로 Ain[15:14] 가 되고, 이것이 플래인 주소 디코더(42)로 입력되면 각각의 값에 따라 플래인이 선택된다. 이것은 원래 Plane[0]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 아니어서 플래인 주소를 바꿀 필요가 없을 때 제2 퓨즈(56)와 제4 퓨즈(60)를 끊어주는 경우이다.
A[15:14] Ain[15:14] Plane
00 00 0
01 01 1
10 10 2
11 11 3
그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제1 퓨즈(54)와 제4 퓨즈(60)가 끊어져 있다. 따라서 플래인 주소값 A[14]는 제1 인버터(50)를 통하여 그 값이 반전되어 Ain[14] 로 입력된다. 그러나, 플래인 주소값 A[15] 는 그대로 Ain[15] 로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를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래인을 선택하는 주소인 A[15:14] 가 [00] 인 경우에 Ain[15:14] 는 [01] 이 되어 플래인이 [0]에서 [1]로 변경된다. 그리고, A[15:14] 가 [01] 인 경우에는 Ain[15:14] 는 [00] 이 되어 플래인이 [1]에서 [0]으로 변경된다. 즉, 원래 Plane[0] 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고, 다른 Plane[1] 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제1 퓨즈(54)와 제4 퓨즈(60)를 끊어줌으로서 Plane[0] 의 주소를 변경하여 줄 수 있다.
A[15:14] Ain[15:14] Plane
00 01 1
01 00 0
10 11 3
11 10 2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c)에서는 제2 퓨즈(56)와 제3 퓨즈(58)가 끊어져 있다. 따라서, 플래인 주소값 A[14] 는 그대로 Ain[14] 가 되나,A[15] 는 제2 인버터(52)를 거쳐서 값이 반전되어 Ain[15] 가 된다. 그러므로 표 4를 참조하면, A[15:14] 가 [00] 인 경우에는 Ain[15:14] 는 [10] 이 되어 원래 Plane[0] 이 Plane[2] 으로 변환된다. 이 경우는 Plane[0] 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고 다른 Plane[2] 가 배드 블록이 아니어서 제2 퓨즈(56)와 제3 퓨즈(58)를 끊어줌으로서 플래인 주소를 [0]에서 [2]로 변경할 수 있다.
A[15:14] Ain[15:14] Plane
00 10 2
01 11 3
10 00 0
11 01 1
마지막 경우인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퓨즈(54)와 제3 퓨즈(58)가 끊어져 있다. 따라서, 플래인 주소값 A[14] 및 A[15] 는 제1 인버터(50) 및 제2 인버터(52)를 거쳐서 모두 값이 반전되어 Ain[14] 및 Ain[15] 가 된다. 결국 표 5를 참조하면, A[15:14] 가 [00] 인 경우 Ain[15:14] 는 [11] 이 되어 원래의 선택된 Plane[0] 이 Plane[3] 으로 변경된다. 이 경우는 원래의 Plane[0] 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고, 다른 Plane[3] 의 첫번째 블록이 배드 블록이 아니어서 입력된 A[15:14] 가 [00] 이지만 실제로는 Plane[3] 이 선택되도록 변경된다.
A[15:14] Ain[15:14] Plane
00 11 3
01 10 2
10 01 1
11 00 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에 논리주소 변환장치를 접속하여 플래시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경하여 주므로, 테스트한 플래인의 첫번째 블록에 에러가 발생하였더라도 이를 에러가 없는 다른 플래인의 첫번째 블록으로 대체시켜주어 결국 플래시 메모리 칩 전체를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반도체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플래인 주소를 변경시키는 논리주소 변환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반전시켜주는 제1 인버터;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1 퓨즈;
    상기 제1 인버터의 입력측과 상기 제1 퓨즈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제2 퓨즈를 구비하고,
    상기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플래인을 선택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플래인 주소 디코더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주소 변환장치는
    상기 입력신호의 갯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KR10-2002-0035616A 2002-06-25 2002-06-25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KR10043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16A KR100439049B1 (ko) 2002-06-25 2002-06-25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16A KR100439049B1 (ko) 2002-06-25 2002-06-25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699A KR20040000699A (ko) 2004-01-07
KR100439049B1 true KR100439049B1 (ko) 2004-07-05

Family

ID=3731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616A KR100439049B1 (ko) 2002-06-25 2002-06-25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0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512A (en) * 1994-05-26 1998-09-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testing device
JP2000149586A (ja) * 1998-11-12 2000-05-30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応用装置、ならびに半導体記憶装置の救済方法
KR20010091565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플래시 메모리 구조 및 그 관리 방법
KR20020011613A (ko) * 2000-08-03 2002-02-09 윤종용 메모리 셀 구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512A (en) * 1994-05-26 1998-09-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testing device
JP2000149586A (ja) * 1998-11-12 2000-05-30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応用装置、ならびに半導体記憶装置の救済方法
KR20010091565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플래시 메모리 구조 및 그 관리 방법
KR20020011613A (ko) * 2000-08-03 2002-02-09 윤종용 메모리 셀 구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699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541B1 (ko) 반도체 기억장치의 용장회로
KR96001680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회로
US7602660B2 (en) Redundancy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70038906A1 (en) Column/row redundancy architecture using latches programmed from a look up table
KR20040041540A (ko) 테스트 및 리페어를 위한 방법 및 회로
KR20020071845A (ko) 메모리 장치내의 멀티플렉스된 중복 계획을 위한 회로 및방법
US474859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ndancy circuits
US4752914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redundant circuit replacement
US4583179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10629282B1 (en) E-fuse circuit
US6914833B2 (en) Apparatus for random access memory array self-repair
US7055075B2 (en) Apparatus for random access memory array self-test
KR100639635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H04368700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6535436B2 (en) Redundant circuit and method for replacing defective memory cells in a memory device
KR100439049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논리주소 변환장치
US5857069A (en) Technique for recovering defective memory
JP3866345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試験方法
KR100429095B1 (ko) 집적회로의랜덤액세스메모리및이를테스트하는방법
KR100871691B1 (ko) 병렬 비트 테스트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100273247B1 (ko) 어드레스의재생이가능한반도체메모리
KR20010019340A (ko) 테스트 시간 단축기능을 가진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테스트 방법
JP2930037B2 (ja) 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テスト方法
KR102087509B1 (ko) 메모리 디바이스
KR016941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리던던트셀 테스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