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113B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113B1
KR100438113B1 KR10-2002-0017624A KR20020017624A KR100438113B1 KR 100438113 B1 KR100438113 B1 KR 100438113B1 KR 20020017624 A KR20020017624 A KR 20020017624A KR 100438113 B1 KR100438113 B1 KR 10043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endon
fixing device
expansion
prestress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526A (ko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조병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완 filed Critical 조병완
Priority to KR10-2002-001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1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이용하되 인장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고성능 팽창재를 이용하여 그 팽창압에 의해 비금속 텐던을 정착장치에 정착시킴으로서 구조물 완공 후 정작장치 및 텐던의 부식이 방지되어 구조물의 장기적인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비금속텐던에 긴장력도입으로 인한 응력집중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트 구조물제작 및 기존 구조물에 외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텐던 삽입용 덕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금속이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 및 공기배출관; 비금속 텐던; 및 팽창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non-metallic anchorage apparatus for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and pre-st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이용하되 인장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고성능 팽창재를 이용하여 그 팽창압에 의해 비금속 텐던을 정착장치에 정착시킴으로서 구조물 완공 후 정작장치 및 텐던의 부식이 방지되어 구조물의 장기적인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비금속텐던에 긴장력도입으로 인한 응력집중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트 구조물제작 및 기존 구조물에 외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건설구조물 또한 급속하게 증대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건설재료인 강재, 콘크리트는 산화, 중성화, 염해 등에 따른 열화손상이 불가피하다. 이로서 발생되는 건설구조물에 소요되는 비용의 상당부분이 유지관리비이며, 이러한 유지관리비용은 최근 급등하는 추세에 있어 도시재정의 관심과 우려를 낳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각종 고속도로 상의 영종대교, 서해대교, 광안대교와 같은 장대교량에서는 교량의 미를 고려하여 주요 구조부재로서 강선(steel tendon)을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교량 상판 구조물뿐만 아니라, 수많은 지하철과 공동구, 전력구와 같은 지하 박스구조물의 주요 부재로서 강선이 널리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해안가 구조물에서는 강선 등이 염해 피해를 심각히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사용되는 강재의 부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통해 지하수가 침투하여 심각한 부식 손상을 유도하고, 특히 겨울에는 제설제의 과도한 사용으로 콘크리트 교량상판과 같은 구조물이 부식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강선과 같은 금속인 강재 긴장재가 장대 교량의 케이블 및 상판 보강재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어스앵카, 외부 단면 보강공법 등의 구조물에 1방향 인장부재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열악한 부식환경에서는 긴장재와 정착장치의 부식으로 인해 그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강재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강재 긴장재의 표면에 아연을 도금하거나 내부식성의 피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져 왔으나, 근본적인 처방은 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강재긴장재를 대신하여 비강재 복합재로 제조된 긴장재를 건설구조물에 적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긴장재의 정착 및 연성확보 방안이 요구된다.
즉, 상기 복합재료 긴장재는 1방향 인장부재로서, 국부적인 지압하중이나 전단응력에 취약하여 낮은 응력 상태에서 조기에 파단될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복합재료 긴장재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대부분 기존 강재 긴장재 및 정착장치의 변형된 형태로서 복합재 긴장재의 응력집중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인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재 긴장재와 함께 기존 복합재료 긴장재의 정착장치는 강재를 사용함으로서 정착장치의 부식으로 인해 복합재료 긴장재의 탁월한 내부식성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상기 복합재료긴장재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반면에 국부응력, 전단응력에는 취약하여 기존의 강재 긴장장치를 이용한 복합재료 긴장재의 긴장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긴장력 도입의 어려움과 함께 강재긴장재와 마찬가지로 긴장재와 긴장력 도입장치(Jack) 사이에서 발생하는 초기릴렉세이션으로 인해 도입하고자 하는 정확한 긴장력의 계산이 어려워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하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취성적인 복합재료 긴장재를 사용한 구조물에서는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구조물 자체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가 거의 없어 종국적으로 복합재료 긴장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트 도입시스템에서 정착장치 및 긴장재의 외부환경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증진시키되, 부식방지가 가능한 복합재료로 제작된 정착장치 및 긴장재를 이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긴장재의 응력 집중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연성파괴를 유도할 수 있고, 초기 릴랙세이션을 효율적으로 예측하는 것과 같이 복합재료 긴장재의 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용 정착장치 및 긴장방법에 의해 구조물 시공 및 보강의 극대화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슬래브, 해양구조물, 지하구조물등 과 같이 열악한 부식 환경 하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콘크리트구조물(PSC)의 강재 긴장재 및 정착장치를 대신하여 모든 재질을 비금속 재료로 사용함으로서 특히, 긴장재와 함께 정착장치의 내부식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의 공연기간동안 구조물의 내하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강재긴장재의 정착방법과 유사한 쐐기와 같은 마찰식 정착장치가 복합재료 긴장재에 응력집중을 발생시켜 조기 파단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복합재료 긴장재의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긴장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부식에 취약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의 구체예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에 주입되는 팽창제의 작용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3a,도3b, 도3c ,도3d 및 도3e는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구조물에 설치하는 순서도 및 그 완성된 상태의 구체예이다.
도4는 기존 구조물(교량용 거더)의 보수, 보강에 사용된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의 설치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비금속 정착장치 200:비금속텐던
300:팽창제
400: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500:긴장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복합재료 긴장재(이하 비금속 텐던이라 한다) 및 강재 정착장치를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의 정착장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비금속 정착장치, 큰 긴장력 도입에 따른 정착단부의 응력집중에 의한 국부적인 지압하중, 전단응력에 약한 성질을 가진 비금속 텐던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쐐기를 이용한 마찰력에 의한 텐던의 정착방법이 아닌 고성능 팽창제를 이용한 팽창압 및 마찰력을 이용한 정착방식, 비금속 텐던을 이용하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성파괴을 유도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제작 또는 기존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이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하 그 구체예를 도 1내지 도4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 비금속 텐던의 정착방식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의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의 순서로 설명한다.
< 비금속 정착장치 >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100)는 도1과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정착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텐던 삽입용 덕트(60)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강재(20)가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10);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30);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40) 및 공기배출관(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슬리브로서 그 재질이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한 부식방지 및 후술되는 팽창성 모르타르와 같은 팽창재의 팽창압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와 같은 유기, 무기질 플라스틱 재질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종래에는 텐던의 경우 비금속 재질인 복합재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정착장치는 기존의 강재 정착장치를 이용하였는데, 결국 정착장치가 부식될 경우 텐던이 부식되지 않은 복합재료를 사용한다는 사용가치가 무의미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이고 가벼워 운반,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면 형상이 반드시 원형에 한정되지 않으나 팽창압의 구속효과를 위해서는 원형단면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와 길이는 소요되는 긴장력 및 팽창재의 팽창압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다.
도1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측 정착단부를 도시한 것인데 구조물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 슬리브(10) 외주면에는 나선형 인발방지 보강재(20)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비금속 텐던이 긴장 또는 이완될 때 비금속 정착장치의 원래자리로부터의 인발, 파손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비금속 정착장치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수직판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형성될 수 도 있으며, 그 형상 및 연속여부는 제작방법상, 경제적인 측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100)의 양 단부에는 비금속 텐던(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고무 등의 재질의 패킹재(30)가 형성되는 데, 이는 팽창재가 비금속 정착장치의 내부에 충진되고,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에 노출되는 비금속 정착장치(100)의(도1에서는 우측) 패킹재(30)의 하단부에는 팽창재주입관(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공기배출관(50)이 형성되어, 좁은 공간인 비금속 정착장치 내부에 팽창재가 비금속 정착장치의 하부로부터 주입되어 최종적으로 상부까지 채워지도록 하고, 내부에 남아있는 공기가 잔존하는 경우 팽창재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으므로 팽창재가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잔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관이 패킹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크기 및 개수는 비금속 정착장치의 크기 및 팽창재의 양 등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비금속 정착장치(100)에는 도1과 같이 비금속텐던(200)이 구조물 내부를 경유하여 설치 될 수 있도록 가이든 관의 역할을 하는 덕트(60)가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금속텐던(200)을 수용하는 공간역할을 하고, 비부착식(UNBOMDNED) 또는 부착식(BONDED)으로 비금속 텐던을 수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연성파괴의 유도목적상 비금속 텐던(200)이 비부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형강관 또는 파형수지관이 이용될 수 있고, 통상 공장제품이 이용되어 현장설치작업에 의한 시공성의 저하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 비금속 텐던의 정착방식>
본 발명의 비금속 텐던(200) 자체는 공지된 복합재료인 탄소섬유보강플라스틱(CFRP)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강플라스틱종류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종래에는 도1과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기 위하여 비금속텐던(200)을 이용한 예는 있지만, 이러한 비금속텐던의 사용상의 문제점은 그 정착장치에의 정착이 쐐기와 같은 기계적 마찰력에 의지함으로서 재질상 국부적인 지압응력 및 전단응력에 취약한 단점이 드러나 비금속 텐던의 정착시 파손이 일어나 실제로 이를 이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비금속텐던(200)을 긴장재로 이용하되, 정착판에 물리는 쐐기를 이용한 기계적 마찰력에 의한 정착방식이 아닌 팽창재의 팽창압 과 팽창재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비금속텐던이 정착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재질적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종래에는 비금속텐던을 정착장치에 정착시킬 때, 비금속텐던의 단부가 삽입된 쐐기를 쐐기정착판에 삽입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게되는데, 이때 매우 큰 긴장력이 가해질 때 순간적으로 쐐기에 물리는 부분 및 그 연속한 일정 부분에 비금속 텐던의 파손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전단응력 및 지압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결국, 비금속 텐던 사용 시, 오히려 긴장력에 도입에 따른 파손이 염려되어 실제사용이 매우 제한적이고, 최근처럼 장지간의 교량용 거더 또는 빔을 프리스트레스 방식으로 제작할 때에는 거의 실용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쐐기와 같은 기계적압축력에 의한 정착방식이 아니라 비금속 정착장치 내부에서 비금속 텐던을 팽창제의 팽창압에 의하여 정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 원리를 도시한 것이 도2이다. 도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금속 정착장치(100)의 내부에 삽입된 비금속 텐던(200)이 팽창제(300)의 팽창에 의해 발현되는 방사형의 팽창압(500)에 의해 정착되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팽창압은 비금속 정착장치의 중앙부분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보다는 원형단면의 비금속 정착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비금속 텐던을 사방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팽창압의 구속효과가 크다는 것도 역시 확인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팽창재(300)과 비금속 텐던간의 접촉부분에도 재료적 마찰력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비금속텐던(200)이 팽창재의 팽창압 및 마찰력에 의해 비금속 정착장치에 정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도2의 팽창압(Pa)이 비금속 정착장치의 중앙부분에 가장 크게 나타나고 그 양쪽으로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비금속 정착장치의 슬리브의 길이가 비금속 텐던의 정착에 영향을 지대하게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소요의 팽창압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로서 쐐기 형식의 정착장치를 이용함으로서 긴장재와 긴장장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기 릴랙세이션으로 인한 부정확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하력의 저하를 나름대로 방지할 수 있는데, 결국 본 발명에서는 도입되는 비금속 텐던의 정착력을 보다 예측가능하게 도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팽창제(300)는 재질적으로는 고성능의 팽창성능을 가지면서 경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팽창성시멘트를 이용한 팽창성모르타르를 이용하며, 통상의 포틀랜트 시멘트에 팽창성 혼화제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 비금속 정착장치 및 텐던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는 방법>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는 방법은 용도상 2가지 경우를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새로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 시 처음부터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텐던을 이용하는 경우 및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새로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제작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는 비금속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에 비금속텐던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긴장장치로 긴장하는 단계; 상기 정작장치의 팽창제주입관을 통하여 팽창제를 주입, 양생하는 단계; 상기 정착장치에 삽입된 비금속 텐던을 정착장치에 정착시켜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면 도3a 내지 도3d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비금속 정착장치(100)는 도3a와 같이, 통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정착단, 거더의 경우에는 양 단부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비금속 정착장치에는 최종적으로 비금속 텐던(200)이 삽입된 후 정착되므로 설계시 비금속 텐던이 설치되는 장소에 미리 비금속 정착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비금속 정착장치는 비금속덴던을 수용하는 덕트(60)가 연결되며 상기 덕트 내부를 경유하여 비금속 덴던이 설치된다. 비금속 정착장치는 매우 큰 긴장력이 도입되는 비금속 텐던이 정착되므로 순간적으로 매우 큰 초기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교축의 직각방향으로 보강판 등을 설치하여 비금속 텐던에 긴장력 도입 시 이동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금속 정착장치의 매설작업이 완료되면, 비금속 텐던을 도3b와 같이 덕트 내부를 경유하여 비금속정착장치에 유압잭과 같은 긴장장치(600)로 긴장력을 도입하여 일단 가정착시킨다. 여기서 가정착의 의미는 비금속 텐던이 아직 팽창재에 의하여 비금속 정착장치에 정착되지 않고 긴장장치에 의하여 일단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아직 비금속텐던에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일단 비금속 정착장치에 비금속텐던을 가정착한 후에는, 비금속정착장치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50)을 통해 도3c와 같이 팽창재를 주입한다. 이때 팽창재가 패킹재로 양 단부가 막힌 비금속 정착장치 안에 밀실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그 주입량 및 주입압을 적당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팽창재주입관은 패킹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금속 정착장치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패킹재의 상단부에 설치된 공기배출관(60)으로 빠져나가 공기잔존에 의해 팽창재가 비금속 정착장치에 골고루 채워지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팽창재(300)가 충진되면 일정한 시간을 흐르면서 양생되는데, 이로서 설치된비금속텐던에 팽창압이 가해지게 되고 비금속텐던이 상기 팽창압에 의하여 비금속 정착장치에 정착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3d와 같이 상기 긴장장치를 제거함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의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다,
상기와 같은 순서에 따라 최종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빔(BEAM)의 단부를 도시한 것이 도3e이다.
본 발명과 같이 CFRP와 같은 비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비금속 텐던 자체의 재료적 연성이 부족하여 구조물 자체에서 연성(탄성한계를 넘는 힘을 가함으로써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을 확보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인장철근량을 평형철근비 보다 많게 하는 과보강설계에 의해 비금속 텐던의 파단을 피할 수 있다. 나아가 비금속텐던(200)이 덕트 내부에 별다른 충진재 없이 설치되는 비부착식 방식에 의한 설치를 할 경우, 부착식으로 하는 경우보다 소성변형이 자유로우므로 구조물의 연성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서 비금속 텐던을 사용함으로서 구조물의 연성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즉 비금속텐던의 비부착식설치 및 인장철근의 과보강설계를 통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비부착식으로 비금속 텐던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라면 비금속텐던에 도입되는 긴장력의 크기를 작게하고, 비금속텐던의 설치개수를 늘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면, 외부에 노출된 부분의 비금속 정착장치가 매설된 부분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마무리한다.
매설암거, 터널등과 같은 지하박스 구조물의 제작, 염분에 의한 부식 방지가 필요한 해양구조물의 제작 및 영구앵커와 같이 앵커체의 부식방지가 필요한 경우 및 교량상판에 이용되는 경우 매우 효율적인 부식방지 수단을 제공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설치하는 경우도 새로운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와 크게 다를 바 없는데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구조물 외부에 설치할 수 밖에 없다는 점 말고는 설치순서는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4와 같이 교량하부구조인 거더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의 저하에 의한 거더의 처짐이 발생하고 이로서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더의 양 단부를 감싸도록 외부에 정착단을 다수 설치하고, 거더의 중간 중간에 보조 정착단을 다수 설치한 후, 거더의 한쪽 단부로부터 중간의 보조 정착단을 경유하여 타 단부에 최종적으로 비금속텐던을 정착시키거나 양쪽 단부에서 동시에 정착시킴으로서 거더의 이완된 프리스트레스트를 보강함으로서 구조물을 보강시키되 비금속 정착장치 및 비금속 텐던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기존 구조물 보강 시 외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이 더 용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 경우 부식방지가 근본적으로 가능하여 더 더욱 구조물 보수, 보강방법에 유리함을 가진다.
본 발명 교량슬래브, 해양구조물, 지하구조물등 과 같이 열악한 부식 환경 하에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콘크리트구조물(PSC)의 긴장재 및 정착장치를 비금속 재료로 사용함으로서 특히, 긴장재와 함께 정착장치의 내부식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의 공연기간동안 구조물의 내하력저하가 방지되어 궁극적으로 구조물의 유지관리비의 감소를 확보할 수 있고, 쐐기와 같은 마찰식 정착장치가 복합재료 긴장재에 응력집중을 발생시켜 조기 파단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비금속 텐던의 재료적 특성을 고려한 긴장방법(팽창재의 사용)을 제시함으로서 부식에 취약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비금속 텐던을 사용하면서 구조물의 연성파괴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구조물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는 설계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텐던 삽입용 덕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금속이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 및 공기배출관;
    을 포함하며,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부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텐던 삽입용 덕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금속이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 및 공기배출관;
    상기 덕트 및 비금속 슬리브에 삽입되는 비금속 텐던;
    를 포함하며, 상기 비금속 텐던이 외부환경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단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텐던 삽입용 덕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금속이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 및 공기배출관; 상기 덕트 및 비금속 슬리브에 삽입되는 비금속 텐던;
    상기 팽창재주입관을 통해 주입된 팽창재;
    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재의 팽창압 및 팽창제와 비금속 텐뎐의 마찰력에 의해 비금속 텐던이 소요의 정착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비금속 슬리브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와 같이 부식되지 않고, 팽창제의 팽창압에 의한 소요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재료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비금속텐던은 탄소섬유 보강플라스틱과 같은 보강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팽창재는 팽창시멘트 또는 팽창성혼화제를 이용한 팽창성모르타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에서,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금속 정착장치에 비금속텐던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긴장장치로 긴장하는 단계;
    상기 정작장치의 팽창제주입관을 통하여 팽창제를 주입,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착장치에 삽입된 비금속 텐던을 정착장치에 정착시켜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제의 팽창력 및 비금속 텐던의 팽창제와의 마찰력에 의해 비금속 텐던의 정착력 및 부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8. 제 7항에서, 상기 비금속 텐던을 비부착식으로 설치하고, 인장철근량을 과 보강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성파괴를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비금속정착장치는 텐던 삽입용 덕트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인발 방지보금속이 형성된 비금속 슬리브; 상기 슬리브 양 단부에 형성된 팽창재 유출방지용 패킹재; 외부와 노출된 패킹재에 형성된 팽창재주입관 및 공기배출관; 을 포함하며,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부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비금속텐던은 탄소섬유 보강플라스틱과 같은 보강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KR10-2002-0017624A 2002-03-30 2002-03-3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KR10043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624A KR100438113B1 (ko) 2002-03-30 2002-03-3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624A KR100438113B1 (ko) 2002-03-30 2002-03-3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526A KR20030078526A (ko) 2003-10-08
KR100438113B1 true KR100438113B1 (ko) 2004-07-02

Family

ID=3237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624A KR100438113B1 (ko) 2002-03-30 2002-03-3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09B1 (ko) 2005-09-15 2006-11-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어스 앵커
KR101362978B1 (ko) 2012-03-06 2014-02-13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텐던 정착부의 콘크리트 인장파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
KR20160015255A (ko) * 2013-05-14 2016-02-12 에스앤피 클래버 리인포스먼트 컴퍼니 아게 철골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철골 구조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5326A (ja) * 1987-02-23 1988-08-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紐状又は棒状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S6480650A (en) * 1987-07-25 1989-03-27 Shimizu Construction Co Ltd Stretching material for prestressed concrete and fixing device thereof
JPH01249304A (ja) * 1988-03-31 1989-10-04 Kumagai Gumi Co Ltd 定着具付き繊維強化合成樹脂製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緊張材の製造方法
JPH0742310A (ja) * 1993-08-03 1995-02-10 Tokyo Seiko Co Ltd コンクリ−ト補強用繊維複合型補強材およびその端末定着方法
KR950006172A (ko) * 1993-08-19 1995-03-20 류필상 포우스트텐션 공법의 피.에스 콘크리트빔용 스트랜드강선의, 보조 쐐기를 가진 정착구 및 그것을 이용한 정착 방법
JPH07139090A (ja) * 1993-11-17 1995-05-30 Asuo Yonekura 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補強・補修方法
JPH10148010A (ja) * 1996-11-19 1998-06-02 Kogen Kizai Kk スパイラルシース
JPH11124957A (ja) * 1997-10-20 1999-05-11 Tonen Corp 強化繊維補強筋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H11343702A (ja) * 1998-06-01 1999-12-14 Japan Life Kk 複数の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の緊結部とこれに使用する定着駒
KR20010093078A (ko) * 1999-09-15 2001-10-27 쟝-삐에르 마르상-아르뿌메 건축물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5326A (ja) * 1987-02-23 1988-08-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紐状又は棒状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S6480650A (en) * 1987-07-25 1989-03-27 Shimizu Construction Co Ltd Stretching material for prestressed concrete and fixing device thereof
JPH01249304A (ja) * 1988-03-31 1989-10-04 Kumagai Gumi Co Ltd 定着具付き繊維強化合成樹脂製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緊張材の製造方法
JPH0742310A (ja) * 1993-08-03 1995-02-10 Tokyo Seiko Co Ltd コンクリ−ト補強用繊維複合型補強材およびその端末定着方法
KR950006172A (ko) * 1993-08-19 1995-03-20 류필상 포우스트텐션 공법의 피.에스 콘크리트빔용 스트랜드강선의, 보조 쐐기를 가진 정착구 및 그것을 이용한 정착 방법
JPH07139090A (ja) * 1993-11-17 1995-05-30 Asuo Yonekura 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補強・補修方法
JPH10148010A (ja) * 1996-11-19 1998-06-02 Kogen Kizai Kk スパイラルシース
JPH11124957A (ja) * 1997-10-20 1999-05-11 Tonen Corp 強化繊維補強筋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H11343702A (ja) * 1998-06-01 1999-12-14 Japan Life Kk 複数のコンクリートユニットの緊結部とこれに使用する定着駒
KR20010093078A (ko) * 1999-09-15 2001-10-27 쟝-삐에르 마르상-아르뿌메 건축물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09B1 (ko) 2005-09-15 2006-11-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어스 앵커
KR101362978B1 (ko) 2012-03-06 2014-02-13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텐던 정착부의 콘크리트 인장파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
KR20160015255A (ko) * 2013-05-14 2016-02-12 에스앤피 클래버 리인포스먼트 컴퍼니 아게 철골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철골 구조물
KR102267298B1 (ko) * 2013-05-14 2021-06-21 에스앤피 클래버 리인포스먼트 컴퍼니 아게 철골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철골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526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183B2 (en) Precast column base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EP3382143B1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upport and post-support and apparatus suitable for same
RU2375523C1 (ru) Опалубка для создания усиливающей оболочки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гофрированны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Zhang et al. Tensile behavior of FRP tendons for prestressed ground anchors
CN112031821B (zh) 隧道衬砌缺陷的加固防护治理方法
JP2016160690A (ja) 道路橋防護柵及びその設置工法
WO2016005941A1 (pt) Sistema de reforço estrutural com armaduras ancoradas internamente por aderência
JP3880738B2 (ja) 炭素繊維シート内蔵セメントモルタル複合板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US20160305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ost-tensioned concrete
JP6811678B2 (ja) 連続繊維補強材を適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043811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용 비금속 정착장치 및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도입방법
KR20050030924A (ko) 표면열화 및 피복이 미 확보된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재매입보강공법
KR1004144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보강재 및 그것을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20070088341A (ko) 두 겹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형파형강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3220B1 (ko)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에 대한 보수 및 보강방법과이에 사용되는 소일네일 구조체
Al-Salloum et al. Rehabilitation of the infrastructure using composite materials: overview and applications
RU2371560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несу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ной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0867414B1 (ko)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JP2006016893A (ja) 既存構造物のせん断補強方法
CN110747735A (zh) 钢-混凝土组合梁预制混凝土桥面板的锚固连接装置
JP7222824B2 (ja) 壁高欄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Gaafar Strengthe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prestressed near surface mounted fibre reinforced polymers
KR20030010499A (ko) 와이어로프와 스프링을 복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재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20060026569A (ko) 지지선과 선행하중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토류벽 지지공법
KR100493514B1 (ko) 철근 콘크리트 교량에 있어서 교각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단면확대보수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면확대 보수보강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