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950B1 - 피권취물권취용불연속작동권취기 - Google Patents

피권취물권취용불연속작동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950B1
KR100437950B1 KR1019960045538A KR19960045538A KR100437950B1 KR 100437950 B1 KR100437950 B1 KR 100437950B1 KR 1019960045538 A KR1019960045538 A KR 1019960045538A KR 19960045538 A KR19960045538 A KR 19960045538A KR 100437950 B1 KR100437950 B1 KR 10043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pindle
wound
spindles
axi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14A (ko
Inventor
라베 헬무트
되링 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샴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샴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게오르그 샴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7002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07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centre or core drive type
    • B65H19/2215Turret-type with two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1Turret winders
    • B65H2408/2315Turret winders specified by number of arms
    • B65H2408/23152Turret winders specified by number of arms with two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권취물(13)을 권취하기 위한 불연속작동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형 권취스핀들(10)과 그 상류측에 배열된 레이잉장치(18)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회전드럼(4)상에 자유회전되게 착설되고 작업스핀들로서 권취위치에 그리고 예비스핀들로서 교체위치에 그대로 회전가능한 두개의 교차구동형 권취스핀들(10,11)이 제공되고, 정지상태에서 피권취물(13)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21)가 제공된다. 또한 피권취물(13)을 절단하여 튜우브에 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권취물 권취용 불연속작동권취기
본 발명은 피권취물, 특히 접착스트립과 같은 피권취물을 권취하기 위한 불연속작동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구동가능한 권취스핀들과 그 상류측에 배열된 공급장치로 구성되는 불연속 작동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불연속작동 권취기라는 용어는 권취기에 공급되는 피권취물이 정지되거나 보빈교체작업시간중에 권취기의 상류측에 배치된 저장수단에 수용되는 권취기를 정의토록 사용되었다. 이는 권취기의 직상류측에서 피권취물이 그 한 작동단계에서 권취기에 공급되는 한편 다른 작동단계에서는 정지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른 작동단계는 보빈교체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권취기는 피권취물, 특히 보빈에 권취되는 길이가 정확하고 재생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한 접착스트립, 절취형 스트립 등을 권취하는데 사용된다.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불연속작동 권취기는 언급된 사용목적에 대하여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는 한 작동단계에서 구동되고 다른 작동단계에서는 정지되는 구동형 권취스핀들을 갖는다. 공튜우브가 공지된 방법으로 권취스핀들에 수동결합되고 즉시 고정된다. 피권취물이 수동으로 튜우브에 결합되고 피권취물의 권취작동단계가 시작된다. 권취길이에 따라서 이러한 권취작동은 예를 들어 반 시간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권취기가 조합되어 권취설비를 이루며 권취작업이 모든 권취기에서 동시에 이루어진다. 권취기의 각 보빈, 즉 모든 권취기의 보빈에 피권취물이 완전히 권취되었을 때에 권취설비의 작동이 중지되고 또한 각 권취기와 함께 이 권취기에 대한 피권취물의 공급이 중지된다. 제1권취기에서 시작하여 피권취물이 예를 들어 절단공구에 의하여 수동으로 절단되며, 피권취물이 만권취된 보빈이 분리되고 공튜우브가 스핀들에 결합된 다음 피권취물의 새로운 선단부가 공튜우브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동작업은 공튜우브가 권취기에 결합되고 피권취물의 각 선단부가 각 튜우브에 연결될 때까지 설비의 모든 권취기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설비의 권취기 수요에 따라서, 또한 이러한 작업은 대략 반 시간정도가 소요된다. 이러한 시간중에 전체 설비가 정지된다. 권취기 또는 설비의 운전시간은 50%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에 기초하여 상기 언급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빈교체작업에서 피권취물을 수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운전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권취기에 의하여 피권취물이 공튜우브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권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회전드럼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착설되고, 작업스핀들로서 권취위치로, 그리고 준비스핀들로서 교체위치로 교대로 회전가능한 두개의 교차 구동형 권취스핀들이 제공되고, 정지상태에서 피권취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가 제공되며, 권취기가 피권취물을 절단하고 이를 결합할 때에 피권취물을 인장시키는 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두개의 교차구동형 권취스핀들을 제공하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피권취물의 연속공급이 중단될 수 있는 연속작동형 권취기에 대하여 이들 스핀들을 회전드럼에 자유회전되게 착설한다는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이로써 권취위치에 작업스핀들로서 각 권취스핀들을 회전시킬 수 있고 드럼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권취작업은 이들 권취스핀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빈이 완전히 권취된 후에 드럼이 180°더 회전하여 다른 권취스핀들이 권취위치에 이르게 되고 반대로 선행권취된 작업스핀들이 교체위치에 이르게 되어 여기에서 만권취보빈이 분리되고 새로운 공튜우브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중에 새로운 권취작업이 권취위치에 있는 작업스핀들에서 수행된다. 이로써 권취기의 작업운전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권취 보빈이 결합된 일측 권취스핀들이 교체위치로 회전할 때에 동시에 공튜우브를 갖는 권취스핀들이 권취위치로 회전되며, 이들 양 권취스핀들은 정지하여 있고 피권취물은 만권취보빈의 주연으로부터 공급장치측으로 연장된다. 권취기는 정지상태에서 피권취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를 가지며 이는 만권취보빈의 주연과 공튜우브의 주연사이의 피권취물의 부분을 절단한다.
교체위치에서 권취스핀들의 정지상태에서는 권취스핀들이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다른 권취스핀들의 만권취보빈과 공튜우브사이의 피권취물이 루우프를 형성하여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권취기는 피권취물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인장장치는 다기능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인장효과에 의하여 이 장치가 항시 이동진로의 동일장소에서 피권취물의 각 부분을 재현가능하게 유지하므로서 인장상태에서 고정된 피권취물은 통하여 절단되므로 절단장치는 그 기능을 신뢰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공튜우브에 대한 피권취물의 결합작업이 피권취물을 인장시키는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권취물이 공튜우브를 향하는 접착스트립의 일측면이 접착성을 갖는 경우에 인장작용으로 피권취물이 공튜우브에 접촉하게 되므로 피절단물의 절단작업후 새로이 형성된 선단부가 이미 공튜우브의 주연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권취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피권취물이 비접착성 물질인 경우에 예를 들어 공튜우브는 적당한 접착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피권취물을 절단하고 이를 보빈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양측 권취스핀들은정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어느 권취스핀들이라도 구동되지 않아야 한다. 함께 정지되어 있는 시간에 피권취물이 인장상태로 고정되어 동시에 절단되고 보빈에 부착된다. 이들 모든 과정은 기계적으로 수행되어 연속권취과정에서 교체위치에 있는 만권취보빈을 권취스핀들로부터 분리하고 공튜우브를 스핀들에 결합하여 설비의 각 권취기에서 수동으로 즉시 고정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다. 따라서 설비의 작동운전시간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대략 두배가 된다. 권취스핀들은 요구된 길이가 이에 권취되었을 때에 권취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를 위하여 권취기는 권취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당한 측정 장치와, 권취위치에서 권취스핀들의 회전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당한 제어장치를 갖는다.
피권취물을 절단하고 이를 보빈에 부착시킬 때에 피권취물 인장장치는 교체 위치로 회전하는 권취스핀들의 자유회전운동을 잠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와, 피권취물의 절단 및 보빈에 대한 피권취물의 부착과정중에 피권취물을 인장시키기 위한 축력수단을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는 교체위치로 회전하는 권취스핀들이 피권취물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중에 자유롭게 그리고 무단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권취스핀들에 작용하는 축력수단은 피권취물이 인장되도록 회전작동의 종료시에 권취스핀들에 작용토록 되어 있다. 이로써 특히 만권취 보빈의 주연으로부터 다른 권취스핀들의 공튜우브의 주연으로 연장된 피권취물의 부분에 작용한다. 브레이크해제에 의하여 작동되는 축력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힘으로 피권취물이 인장될 수 있도록 당기어지고 피권취물이 공튜우브에 대해 가압되므로서 피권취물이 권취기에 의해 결합된다.
축력수단은 탄력이 실리어 드럼의 매회전시 탄지되는 스프링 축력수단일 수 있다. 드럼은 180°만 회전하며 각 권취스핀들에는 탄력이 실리는 스프링 축력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각 회전링이 각 권취스핀들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착설되고 스프링 축력수단을 권취스핀들을 둘러싸는 토오션 스프링을 가지며 그 일측단부는 권취스핀들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회전링에 연결된다. 스프링 축력수단을 회전링의 회전으로 텐션장치에 의하여 탄력이 실린다. 탄력이 작용하는 중에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즉 이는 권취스핀들을 제동하여 권취스핀들에 결합된 토오션 스프링의 지지수단이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브레이크의 힘과 축력수단의 힘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회전과정중에 일정한 인장효과가 이미 피권취물에 가하여지는 것이 좋다. 이로써 피권취물이 인장되도록 고정되고 예를 들어 작은 스트립부분이 꼬이지 않도록한다.
회전링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 축력수단에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 축력수단용 텐션장치는 그 변부가 권취스프링이 고정원호영역에서 교체위치로 회전운동하는 동안에 회전링에 접촉하는 고정배치형 세그먼트를 가지고, 원호영역은 교체 위치로 연장된다. 이러한 세그먼트는 고정적으로 배치되며, 특히 이러한 영역에서 세그먼트가 고정원호영역상에서 회전링에 접촉하며 드럼의 각 회전운동이 회전링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스프링 축력수단의 탄력으로 전환되어 드럼의 회전운동이 이용된다. 스프링 축력수단의 힘은 브레이크에 의하여 고정된 권취스프링에 대하여 회전링의 회전운동으로 증가되고 브레이크가 어느 정도 슬립될 수는 있으나 증가된인장효과가 발생된다.
제어장치가 브레이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제어장치는 교체 위치에서 단부영역은 제외하고 세그먼트에 의하여 한정된 원호영역상에서 권취스핀들에 대한 제동작용을 유지한다. 브레이크는 작동상태에 놓여 스프링 축력수단이 세그먼트의 범위로 한정된 원호영역의 초기부분에서 탄력이 부여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브레이크는 각 권취스핀들이 교체위치에서 단부점 또는 단부영역에 이르를 때에 해제되어 스프링 축력수단이 그 효과를 발생하여 그 회전운동을 제공한다. 회전방향을 인장방향의 힘이 권취스핀들에 의하여 피권취물에 가하여지도록 선택된다.
회전링 또는 세그먼트의 변부에는 마찰증가층, 특히 라이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회전링이 결합된 롤링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세그먼트에 대한 회전링의 접촉으로 드럼의 회전운동이 회전링을 위한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이에 의하여 스프링 축력수단이 탄지된다.
브레이크 디스크가 각 권취스핀들에 배열될 수 있다. 각 브레이크 패드가 각 권취스핀들의 드럼상에 배치되고 고정배치형 작동캠링이 브레이크에 결합되며, 캠링은 드럼의 적당한 원호범위에서 드럼의 전 회전운동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각 권취스핀들에 작동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 적당한 스프링지지수단을 갖는 스프링들이 브레이크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제동력의 정밀한 설정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결합될 수 있다.
각 권취스핀들에는 결합수단의 일측 반부분을 배치되고 결합수단의 타측 반부분이 권취위치에 배치된 모우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권취기는 단일모우터만을 요구한다. 자연적으로 각 권취스핀들에 대하여 그리고 드럼에 결합되는 모우터에 대하여 또는 중간전동에 의하여 권취스핀들에 회전구동을 가하는 모우터에 대하여 별도의 모우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모우터는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지상태에 있는 피권취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가 드럼의 중공축내에 착설될 수 있으며 권취스핀들의 축선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절단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권취기의 전체구조를 보인 개략평면도.
제2도는 권취단계의 종료과정에 있는 제1도에서 보인 권취기의 개략평면도.
제3도는 권취기의 중간위치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절단과정에 있는 제1도에서 보인 권취기의 평면도.
제5도는 교체위치에 있는 권취스핀들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드럼 10,11…권취스핀들
13…피권취물 21…절단장치
25…인장장치
제1도-제4도는 구성의 작동모우드를 간명하게 보이기 위하여 권취기의 연속 작동단계를 보인 것이다. 프레임(1)(제5도)에는 주요구성부분이 배치되는 하우징 플레이트(2)가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공축(3)이 하우징 플레이트(2)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이에 드럼(4)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볼 베이링(5)(제5도)은 자유롭게 회전작동토록 제공된다. 드럼(4)은 중심축선(6)의 둘레, 특히 화살표(7)의 방향(제3도)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럼(4)에는 피니언(9)(제1도)과 협동하는 링기어(8)가 구비되어 있어 드럼이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두개의 권취스핀들(10)(11)이 드럼(4)에 자유롭게 회전토록 착설된다. 권취스핀들(10)은 권취단에 놓이는 경우 이를 작업스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권취스핀들(11)은 스핀들교체위치에 놓이므로 이를 예비스핀들이라고 할 수 있다.드럼(4)이 화살표(7)의 방향으로 180°회전할 때에 이들의 기능은 전환된다. 각 권취스핀들(10)(11)은 볼베어링(12)에 의하여 드럼(4)상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피권취물(13)이 화살표(14)로 보인 바와 같이 권취기로 공급된다. 피권취물(13)은 고정로울러(15)와 로울러(16)를 지나 보상댄서암(17)에 이르며 이 보상댄서암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피권취물의 공급장치(18)와 로울러가이드(19)에 의하여 권취스핀들(10)상의 공튜우브(20)로 공급된다. 피권취물(13)의 선단부가 공튜우브(20)에 부착된다. 이는 피권취물(13)이 공튜우브(20)를 향하는 면이 접착제 코팅면인 접착스트립이어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피권취물(13)이 비접착성 물질인 경우에 공튜우브(20)는 피권취물(13)이 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적당히 설계될 수 있다.
절단장치(21)는 드럼(4)의 중심, 즉 중공축(3)에 제공된다. 이 중공축(3)을 관통하는 축선상에 중심축선(6)에 평행하고 권취스핀들(10)(11)에 각각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블레이드(23)를 갖는 절단암(22)이 배열된다.
권취작업의 초기에, 제1도에서 보인 작업위치의 권취스핀들(10)과 이에 부착된 피권취물(13)이 회전되어 튜우브(20)에 보빈(24)(제2도)이 형성된다. 공튜우브(20)에 규정된 길이의 피권취물(13)이 감겼을 때에 권취스핀들(10)은 정지된다. 이때에 다른 공튜우브(20)가 권취스핀들(1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권취스핀들(11)도 역시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제2도-제4도에서 비교하여 보인 바와 같이, 권취스핀들(10)(11)이 정지상태에 있는 드럼(4)이 화살표(7)로 보인 바와 같이 180°로 회전되며, 이 경우 피권취물이 충분히 권취된 만권취의 보빈(24)이 실린 권취스핀들(10)이 스핀들교체위치로 이동되고 권취스핀들(11)은 새로운 작업스핀들로서 권취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미 권취스핀들(11)상에 놓인 공튜우브(20)가 피권취물(13)의 접착제면과 접촉한다. 권취기, 즉 각 권취스핀들(10)(11)에는 피권취물을 절단하고 이를 각 튜우브에 부착시키는 작업중에 피권취물(13)을 인장하는 인장장치(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장장치(25)의 구성과 작동모우드가 제5도및 제6도에 관련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인장장치(25)는 피권취물이 만권취된 보빈(24)의 주연으로부터 로울러 가이드(19)를 향하는 방향에서 권취스핀들(11)의 공튜우브(20)측으로 연장된 피권취물(13)의 부분(26)을 인장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단 장치(21)(권취스핀들 10과 11의 정지된 상태에서)가 작동되어 블레이드(23)가 팽팽하게 인장되어 있는 피권취물(13)의 부분(26)을 통과하므로서 이 피권취물의 부분(26)을 절단한다. 이제 권취위치에 놓인 권취스핀들(11)이 회전되어 새로운 권취단계가 수행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에서 보인 상태에서 손으로 수행되는 작업은 보빈교체작업뿐이다. 튜우브(20)를 포함하는 만권취 보빈(24)이 권취스핀들(10)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공튜우브(20)가 권취스핀들(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작업은 설비의 모든 권취기에서, 특히 각 권취스핀들(11)이 다른 보빈에 피권취물(13)을 권취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피절단물을 절단하고 이를 튜우브(2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피권취물질(13)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장치(25)가 제5도와 제6도에서 설명된다. 이 인장장치(25)의 주요구성을 브레이크(27)와 축력수단(28)이다. 브레이크(27)는 보빈(24)으로부터 원격한 단부에서 권취스핀들(10)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29)를 가지며 권취스핀들(10)에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디스크(29)는 드럼(4)의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드럼(4)과 함께 회전하며 브레이크 디스크(29)에 대하여 작용하는 브레이크 패드(30)와 협동한다. 탄력이 조절스크류(32)에 의하여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는 스프링(31)이 브레이크 패드(30)를 브레이크 디스크(29)에 탄지한다. 하우징 플레이트(2)에는 이 하우징 플레이트(2)의 주연측으로 돌출되게 배열되고 브레이크(27)의 작동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로 돌출된 영역 또는 돌출부를 갖는 작동캠링(33)이 고정적으로 착설된다. 제5도는 교체영역에서 브레이크(27)가 해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브레이크 패드(30)는 브레이크 디스크(29)에 대하여 일정한 간극을 두고 들려져 있다. 또한 캠작동링(33)도 브레이크(27)에서 분리되거나 권취위치에서 해제상태로 브레이크(27)를 고정한다. 작동 캠링(33)은 원호영역(34)에서, 브레이크패드(30)가 브레이크디스크(29)에 대하여 접속되게 하므로서 이러한 원호영역(34)에서 브레이크(27)가 그 제동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4)의 축선(35)을 중심으로 하여 권취스핀들(10)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원호영역(34)상에서 브레이크(27)에 의하여 방지된다. 제6도로부터 원호영역(34)은 대략 80°의 각도로 연장되었으나 권취스핀들(10)의 단부 위치는 제외됨을 알 수 있다. 축선(35)을 중심으로 하여 권취스핀들(10)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교체위치에서 방해되지 아니한다.
축력수단(28)은 토오션 스프링(36)을 갖는 스프링 축력수단의 형태일 수 있다. 토오션 스프링(36)은 권취스핀들(10)의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토오션스프링(36)의 일측단부가 링(37)에 의하여 권취스핀들(10)에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다. 토오션 스프링(36)의 타측단부는 권취스핀들(10)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토록 착설된 회전링(38)에 결합된다. 회전링(38)은 볼베어링조립체(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권취스핀들(10)에 자유롭게 이동토록 착설될 수 있다. 회전링(38)의 주연에는 예를 들어 롤링 링(rolling ring)의 형태인 층(39)이 구비되어 있다. 텐션장치(40)가 축력수단(28)에 텐션을 부여토록 작용한다. 회전링(38) 이외에 주요구성으로서 텐션장치(40)는 고정세그먼트(41)로 구성된다. 이 세그먼트(41)는 회전링(38)과 협동하는 변부(42)를 갖는다. 세그먼트(41)는 원호역역(34)보다는 크고 그 광폭부와 조화를 이루는 원호영역(43)을 갖는다. 또한 원호영역(43)은 특히 교체위치를 포함한다. 세그먼트(41)는 중공축(3)에 배열되어 고정되므로서 권취스핀들(10)(11)이 교체위치로 회전시에 회전링(38)이 변부(42)에 대하여 굴러서 권취스핀들(10)(11)의 운동축선(35)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운동으로 축력수단(28)에 탄력이 부여되거나 토오션 스프링(36)에 텐션이 부여된다. 이로써 브레이크(27)가 원호영역(34)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9)를 제동시켜 권취스핀들(10)(11)를 제동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27)는 특히 축력수단(28)에 탄력이 부여될 때에 피권취물(13)의 부분(26)에 인장효과를 부여하는 동안에 제동브레이크가 가볍게 슬립운동할 수 있도록 축력수단(28)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따라서 축력수단(28)의 탄력에 대하여 반작용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은 피권취물(13)의 부분(26)이다. 그 결과로 피권취물(13)의 이 부분(26)에 요구된 인장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인장효과는 절단장치(21)의 작동으로 피권취물의 이 부분(26)을 절단하기 위해이 부분이 팽팽하게 되도록할 뿐만아니라 동시에 인장효과는 권취단(제1도)에서 권취스핀들(10)의 공튜우브(20)에 피권취물(13)의 부분(26)이 가압되게 한다. 이와 같이, 피권취물(13)을 공튜우브(20)에 부착하는 작업이 기계수단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제6도에서는 원호영역(43)이 원호영역(34)보다 크고 또한 교체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두 영역의 차이로 교체위치를 포함하는 단부영역(44)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텐션장치(40)의 회전링(38)이 고정되어 회전을 방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브레이크(27)가 단부영역(44)에서 해제되어 축력수단(28)의 토오션 스프링(36)이 축선(3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각 권취스핀들(10)(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피권취물(13)을 절단하고 이를 새로운 공튜우브(20)에 부착시키는데 요구되는 최종인장효과를 피권취물(13)의 부분(26)에 제공한다.
비록 피권취물(13)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장치(25)가 스핀들(10)에 관련하여서만 설명되었으나 동일한 구성요소가 권취스핀들(11)에도 제공된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동일한 설명이 적용된다. 다만, 작동캠링(33)이 하나만 제공되며 드럼(4)의 주연에 연장된다.
영구자석 동기결합수단의 반부분(45)이 각 권취스핀들(10)(11)에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다. 결합수단의 다른 반부분을 권취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배치된다. 권취기에 하나의 권취모우터만 제공하면 충분하며 권취모우터의 축선은 작업단의 축선과 정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접착스트립과 같은 피권취물을 권취하기 위하여 구동가능한 권취스핀들과 그 상류측에 배열된 공급장치로 구성되는 불연속 작동권취기를 제공한다.

Claims (10)

  1. 구동형 권취스핀들(10)과 그 상류측에 배열된 공급장치(18)로 구성되는 피권취물(13)의 권취를 위한 불연속작동권취기에 있어서, 회전드럼(4)상에 자유롭게 회전토록 착설되고 작업스핀들로서 권취위치에 그리고 예비스핀들로서 교체 위치에 교대로 회전가능한 두개의 교차구동형 권취스핀들(10,11)이 제공되고, 정지 상태에서 피권취물(13)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21)가 제공되며, 피권취물(13)을 절단하여 튜우브에 부착시킬 때에 피권취물(13)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장치(2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권취물 권취용 불연속작동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피권취물을 절단하고 이를 튜우브에 부착시킬 때에 피권취물을 인장시키기 위한 인장장치(25)가 교체위치로 회전하는 권취스핀들(10,11)의 자유회전운동을 잠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27)와, 피권취물의 절단과 부착과정중에 피권취물(13)을 인장시키기 위한 축력수단(2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축력수단(28)이 탄력이 부여될 수 있는 스프링 축력수단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각 권취스핀들(10,11)에 자유롭게 회전토록 회전링(38)이착설되고, 스프링축력수단은 권취스핀들(10,11)의 둘레에 착설되어 일측단부가 권취스핀들(10,11)에 연결되며 타측단부가 회전링(38)에 연결된 토오션 스프링(36)을 가지고, 스프링축력수단이 회전링(38)의 회전으로 텐션장치(40)에 의하여 탄력이 부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링(38)의 회전으로 스프링축력수단에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장치(40)가 교체위치로 권취스핀들(10,11)의 회전운동중 일정한 원호영역(43)에서 변부가 회전링(38)에 접촉하는 고정형 세그먼트(41)를 가지고, 원호영역(43)이 교체위치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권취스핀들(10,11)에 대한 제동작용이 교체위치에서 단부영역(44)을 제외하고 세그먼트에 의하여 한정된 원호영역(43)에서 유지되게 하는 제어장치로서 브레이크(27)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7. 제5항에 있어서, 회전링(38)과 세그먼트(41)의 변부에 라이닝과 같은 마찰증가층(39)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8. 제1항-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권취스핀들(10,11)에 브레이크 디스크(29)가 배치되고, 각 브레이크 패드(30)가 각 권취스핀들을 구동시키는 드럼(4)에 배치되며, 고정배치형의 작동캠링(33)이 브레이크패드(30)와 결합됨을 특징으로하는 권취기.
  9. 제1항에 있어서, 각 권취스핀들(10,11)에 결합수단의 반부분(45)이 배치되고 결합수단의 다른 반부분이 권취위치에 배치된 모우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10. 제1항에 있어서, 드럼(4)의 중공축(3)내에 권취스핀들(10,11)의 축선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정지상태의 피절단물(13)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21)가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
KR1019960045538A 1995-10-13 1996-10-12 피권취물권취용불연속작동권취기 KR100437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8095.9 1995-10-13
DE19538095A DE19538095C2 (de) 1995-10-13 1995-10-13 Diskontinuierlich arbeitende Spulmaschine zum Aufwickeln von Spulg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14A KR970020914A (ko) 1997-05-28
KR100437950B1 true KR100437950B1 (ko) 2004-08-25

Family

ID=777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38A KR100437950B1 (ko) 1995-10-13 1996-10-12 피권취물권취용불연속작동권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75628A (ko)
EP (1) EP0768258B1 (ko)
JP (1) JPH09110246A (ko)
KR (1) KR100437950B1 (ko)
AT (1) ATE210589T1 (ko)
DE (2) DE19538095C2 (ko)
TW (1) TW3181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5B1 (ko) 2007-03-09 2008-01-17 한국전기연구원 파동 전파형 장선 테이프 증착장치
KR101510567B1 (ko) 2012-12-26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맨드렐 코일박스의 운용방법, 이를 이용한 연연속 압연방법 및 연연속 압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659A (en) * 1997-07-15 2000-07-04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 High speed transfer of strip in a continuous strip processing application
DE202005004817U1 (de) * 2005-03-22 2005-08-25 Dietze & Schell Maschinenfabrik Gmbh & Co. Kg Doppelspindelwickler
DE102006038710A1 (de) * 2006-08-18 2008-02-21 Dietze & Schell Gmbh & Co Kg Verfahren zum Wechseln zwischen den beiden Spulstellen eines Doppelspindelwicklers
CN103381432B (zh) * 2013-05-27 2015-02-18 李应杰 一种非晶带卷带机
CN107298329B (zh) * 2017-06-15 2019-01-01 南通三信塑胶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回转收卷工位的收卷工艺
CN110304496A (zh) * 2019-05-28 2019-10-08 青岛电气工程安装有限公司送变电分公司 一种带有液压千斤顶结构的线缆盘制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88A (en) * 1912-08-09 1912-10-01 Brown & Williams Automatic winding-machine.
US2586833A (en) * 1945-05-21 1952-02-26 Kohler System Company Core enveloper
US2686015A (en) * 1948-08-04 1954-08-10 Horace D Stevens Apparatus for continuous windup
US3486708A (en) * 1968-05-13 1969-12-30 Appleton Mach Web supply
GB1453933A (en) * 1972-12-13 1976-10-27 Agfa Gevaert Automatic wind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webs
IT1067135B (it) * 1976-03-29 1985-03-12 Metalmeccanica Gori Congegno di trasmissione con dispositivo a ruota libera per l immediato arresto di un membro condotto azionato in rotazione attraverso un innesto a frizione
FR2354194A1 (fr) * 1976-06-08 1978-01-06 Dcm Machine pour la realisation de bobineaux de papier constitues de plusieurs bandes enroulees ensemble
US4458852A (en) * 1981-06-05 1984-07-10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Web transfer apparatus
US4431140A (en) * 1981-11-27 1984-02-14 The Black Clawson Company Continuous pressure roll winder
US4541583A (en) * 1985-01-09 1985-09-17 Mobil Oil Corporation Continuous layon roller film winder
US4798350A (en) * 1987-05-29 1989-01-17 Magna-Graphics Corporation Web rewind apparatus with cutless web transfer
CH676356A5 (ko) * 1988-12-09 1991-01-15 Ortlinghaus Ag
JP2541360B2 (ja) * 1991-11-25 1996-10-0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繊維巻取り機
US5484499A (en) * 1993-12-17 1996-01-16 Conver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up laminates of adhesive backed shee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5B1 (ko) 2007-03-09 2008-01-17 한국전기연구원 파동 전파형 장선 테이프 증착장치
KR101510567B1 (ko) 2012-12-26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맨드렐 코일박스의 운용방법, 이를 이용한 연연속 압연방법 및 연연속 압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75628A (en) 1998-07-07
EP0768258A2 (de) 1997-04-16
DE59608426D1 (de) 2002-01-24
ATE210589T1 (de) 2001-12-15
DE19538095A1 (de) 1997-04-17
KR970020914A (ko) 1997-05-28
EP0768258B1 (de) 2001-12-12
EP0768258A3 (de) 1997-10-22
TW318173B (ko) 1997-10-21
DE19538095C2 (de) 1999-07-29
JPH09110246A (ja)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2520B2 (ja) テープロールライナ/タブ、添着装置および添着方法
KR100437950B1 (ko) 피권취물권취용불연속작동권취기
US3296784A (en) Centerless machine for coil-winding tapes and the like
US4003525A (en) Strip material unwinding device
WO2011008673A1 (en) Tensioner for continuous web rewind roll
JPS58215391A (ja) ラベルオ−バプリンタを通してラベル帯状体を駆動しかつ巻取る装置
EP0716997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utting a web
KR19990022223A (ko) 무심 접착 테이프 권취 맨드럴 및 방법
CN101219739B (zh) 胶带供应装置及使用其的带缠绕设备
US4640086A (en) Electrical insulation taping machine with uniform tape tensioning
JP2005505479A (ja) 巻取り装置
US3420459A (en) Wire take-up
WO1996037427A3 (en) Independently tensioned dual unwind and take-up mechanism using a common shaft mounting
JPS5926572B2 (ja) テ−プ巻取方法及び装置
JP3315407B2 (ja) ウェブ巻き取り装置
ITMI950468A1 (it) Dispositivo per avvolgere spire in particolare di filo metallico su una bobina
RU99115084A (ru) Изготовление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GB2380730A (en) Win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ated webs
US3191884A (en) Web rewinding apparatus
JPH0528062B2 (ko)
JPH0437045Y2 (ko)
JPH063530A (ja) 光ファイバの巻取装置
SU136824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ленты на оправку
JP3091042B2 (ja) 多条巻線装置
JPS61149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