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757B1 -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757B1
KR100435757B1 KR10-2001-0085594A KR20010085594A KR100435757B1 KR 100435757 B1 KR100435757 B1 KR 100435757B1 KR 20010085594 A KR20010085594 A KR 20010085594A KR 100435757 B1 KR100435757 B1 KR 10043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rol signal
engine
variable
batter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579A (ko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7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차량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로 저하될 시, 교류 발전기 풀리 직경을 가변 시켜 엔진의 단위 회전당 교류 발전기의 회전수를 가변 시킬 수 목적으로;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제1 설정 값 이하이면, 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보다 크고 제2 설정 값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됨이 판단되면, 유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설정 값 보다 크면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을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 시키고, 상기 토출된 오일을 공급 및 상기 공급된 오일을 오일 팬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 변동 없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a variable generator in diameter}
본 발명은 가변 교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전압상태에 따라 교류 발전기의 풀리 직경을 가변시켜 엔진의 단위 회전당 교류 발전기의 회전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엔진의 시동장치나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류, 에어컨 장치 등 많은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배터리와 발전기가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상기한 발전기(1)는 벨트(4)로 엔진(2)과 에어컨 콤프레셔(3)와 연결되어 구동되며, 그 발전량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다르고, 발전량의 부하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배터리가 전원이 되어 일시 방전한다.
그리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발전기만으로 모든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도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한 종래의 발전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최근에는 요구되는 전기의 양이 갈수록 증대됨에 따라 엔진 공회전시 발전량의 부족에 의한 배터리의 완전 방전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값 이하로 저하됨이 판단되면 엔진 아이들 회전수를 증대시켜 발전량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엔진 아이들 상태에의 노이즈 수준이 악화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부밍(Booming)이 증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심각한 거부감을 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로 저하될 시, 교류 발전기 풀리 직경을 가변시켜 엔진의 단위 회전당 교류 발전기의 회전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제1 설정 값 이하이면, 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보다 크고 제2 설정 값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됨이 판단되면, 유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설정 값 보다 크면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을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 시키고, 상기 토출된 오일을 공급 및 상기 공급된 오일을 오일 팬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배터리(10)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압상태를 판단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수단(200)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구동되는 구동수단(300)과; 상기 구동수단(300)의 구동상태에 따라 유압을 토출하고, 상기 토출된 유압을 공급 또는 리턴시키는 3웨이 밸브(400)와; 상기 3웨이 밸브(400)를 통해 토출 또는 배출되는 유압에 따라 풀리가 가변되어 회전수가 가변되는 가변 교류 발전 풀리(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하는 모든 변수를 초기화하고, 시동 완료가 판단되면 검출되어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되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유압 공급 및 배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장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방봅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구조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가 구비된 엔진 간략 구조도 이고,
도 5는 종래의 교류 발전 장치가 구비된 엔진 구조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100 :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
11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20 : 배터리 전압 검출부
200 : 엔진 제어 수단 300 : 구동수단
310 : 제1 구동부 320 : 제2 구동부
400 : 3웨이 밸브 410 : 오일 팬
420 : 제1 유로 430 : 제2 유로
440 : 제3 유로 450 : 제4 유로
500 : 가변 교류 발전 수단
510, 540 : 확장부재 501': 피스톤
520 : 내측 공간 520': 실린더
530 : 스프링 600 : 크랭크 풀리
700 : 에어컨 콤퓨레셔 풀리 800 : 벨트
900 : 오토 텐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구성 블록도로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제1 설정 값 이하이면,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보다 크고 제2 설정 값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됨이 판단되면, 유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설정 값 보다 크면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장치(30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을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 시키고, 상기 토출된 오일을 공급 및 상기 공급된 오일을 오일 팬으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동작한다.
상기에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엔진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10)와;
배터리(10)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구동장치(300)는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위치에 저장된 오일을 토출시키는 오일펌프(31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위치가 가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20)로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 구성도로서, 배터리(10)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압상태를 판단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장치(20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을 토출 시키는 오일펌프(31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위치 가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직결되어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20)의 가변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3웨이 밸브(400)와; 상기 3웨이 밸브(400)를 통해 공급 및해제되는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에 의해 풀리의 형상이 가변되어 발전량이 가변되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와; 상기 오일펌프(310)에서 토출되는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오일 팬(410)과; 상기 오일 팬(410)과 오일펌프(310)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이동시키는 제1 유로(420)와; 상기 오일 펌프(310)와 3웨이 밸브(400)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이동시키는 제2 유로(430)와; 상기 3웨이 밸브(400)와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공급 또는 해제시키는 제3 유로(440)와; 상기 3웨이 밸브(400)와 오일 팬(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에서 해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 팬(410)으로 리턴 시키는 제4 유로(45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는 내주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공간(5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520)에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의 공급 및 해제됨에 따라 외주면 직경이 증감되는 확장 부재(510)가 다수개로 대칭을 이루며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확장 부재(510) 일단에는 공급 및 해제되는 오일의 압력을 직접 받도록 공간 내측 방향으로 피스톤(510')이 구비되어 있고, 공간(520) 외측 방향으로 내부 함몰된 실린더(520')를 형성해 그 내부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510')은 실린더(520') 내에 수용되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가 구비된 엔진 간략 구조도로서, 배터리 전압상태에 따라 풀리의 직경이 가변되는 가변 교류 발전장치(500)와; 엔진의 동작상태에 따라 그 회전수가 가변되는 크랭크 풀리(600)와; 에어컨 작동시 냉매를 순환시키는 에어컨 콤퓨레셔에 구비된 에어컨 콤퓨레셔 풀리(700)와; 상기 크랭크 풀리(60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와 에어컨 콤퓨레셔 풀리(7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벨트(800)와;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 풀리의 가변상태에 따라 벨트(8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오토 텐션(90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변 교류 발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에 전원을 인가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사용하는 모든 변수를 초기화시킨다(S100).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을 검출한다.
이에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 등을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는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 등을 출력한다.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 등을 입력받아 먼저, 엔진 회전수가 소정의 값(약 800rpm)에 도달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10).
즉, 상기에서 엔진 회전수가 소정의 값에 도달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엔진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배터리(10)의 검출전압이 소정의 제1 설정 기준 값 이하인가를 판단한다(S120).
즉,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에 오일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확장부재 위치가 점선의 확장 부재(540)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10)의 검출전압이 거의 방전상태에 도달하는 소정의 제1 설정 기준 값 이하임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풀리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선의 확장 부재(510) 위치로 감소시켜 엔진의 단위 회전당 풀리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발전되는 전압을 높이기 위해 구동장치(300)로 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30).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유압 해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내주면을 중심으로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공급되어 있는 오일이 오일 팬(410)으로 리턴되도록 제2 구동부인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가변 작동된다.
상기에서 제2 구동부인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가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직결되어 있는 3웨이 밸브(400)의 위치를 오일 해제 위치로 가변 시킨다.
상기에서 3웨이 밸브(400)의 위치가 오일 해제 위치로 가변됨에 따라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 소정의 공간에 공급된 오일은 제3 유로(440)와 3웨이 밸브(400)의 배출 위치를 거쳐 제4 유로(450)를 통해 오일 팬(410)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다수의 점선 확장부재(540)로 직경이 확장되어 있는 가변 교류 발전장치 풀리(500)의 직경이 피스톤(510')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공간(520) 내측으로 복귀되어 실선의 확장부재(510)와 같이 축소됨으로써, 엔진 단위 회전당 상기 가변 발전 장치 풀리(500)의 회전수가 증가하게 되어 발전량을 증대시킨다.
이어서,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회전수가 증가됨에 따라 발전량이 증가되고, 그에 따른 자동차의 전기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잔여 전력이 배터리(10)에 충전된다.
따라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배터리(10)의 전압의 상태를 계속 검출하며, 상기 배터리(10)의 전압이 제1 설정 기준 값 보다 크고 제2 설정 기준 값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되는가를 판단한다(S140).
상기에서 배터리(10)의 검출 전압이 제1 설정 기준 값 보다 크고 제2 설정 기준 값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 풀리의 직경을 유지하기 위해, 오일이 해제 또는 공급됨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구동장치(300)의 제2 구동부인 솔레노이드 밸브(320)로 출력한다(S150).
상기 구동장치(300)의 제2 구동부인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직결되어 있는 3웨이 밸브(400)의 위치가 오일 해제 위치에서 오일 해제 및 공급 차단 위치로 변경되어,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 풀리(500) 소정의 공간(520)으로부터 오일이 오일 팬(410)으로 해제됨을 방지시킨다.
이 때,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풀리가 축소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변 교류 발전 장치 풀리(500), 크랭크 풀리(600)와 에어컨 콤퓨레셔 풀리(700)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벨트(800)가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오토 텐션(900)의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벨트(800)의 장력을 조절하여 느슨해짐을 방지한다.
이어서,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 풀리(500)의 위치를 축소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발전량이 증대시킨 후, 계속적으로 배터리(10)의 충전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10) 충전 전압이 제2 설정 기준 값을 넘었는가를 판단한다(S160).
상기에서 배터리(10)의 전압 충전상태가 제2 설정 기준 값을 넘지 못함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상기 배터리(10)의 충전 전압이 제2 설정 기준 값에 도달할 때까지, 유압 공급 및 해제상태를 차단하는 상태(S150)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배터리(10)의 전압 충전상태가 제2 설정 기준 값을 넘었음이 판단되면, 엔진 제어 장치(200)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발전량을 통상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구동수단(300)으로 출력한다(S170).
구동수단(300)의 제1 구동부인 오일펌프(31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오일 팬(410)에 저장된 오일을 제1 유로(420)를 통해 흡입한 후, 제2 유로(430)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 시킨다.
또한, 제2 구동부인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3웨이 밸브(400)의 위치를 상기 제2 유로(430)를 통해 토출되는 오일을 제3 유로(440)로 인가할 수 있도록 가변 시킨다.
상기 제3 유로(440)로 인가되는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은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520)으로 공급된다.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520)에 공급된 오일은 피스톤(510)에 직접 소정의 압력으로 작용하여 실선의 확장부재(510)를 점선의 확장부재(540)로 확장시켜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의 풀리의 직경을 확대시킨다.
상기에서 가변 교류 발전 장치(500) 풀리의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크랭크 풀리(600)와 벨트(800)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가변 교류 발전 장치 풀리(500)의 회전수가 줄어들어 발전량이 통상의 발전상태로 감소된다.
이로써,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가변 교류 발전 장치 풀리의 위치를 가변 시킴으로써, 발전량을 증대 및 통상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 전기장치 등의 소모에 대응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상태를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하로 저하될 시, 교류 발전기 풀리 직경을 가변 시켜 엔진의 단위 회전당 교류 발전기의 회전수를 가변 시킬 수 있음에 따라,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 변동 없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차량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차량 동작상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엔진 회전수 및 배터리 전압을 입력받아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제1 설정 값 이하이면, 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보다 크고 제2 설정 값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됨이 판단되면, 유압 공급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설정 값 보다 크면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을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 시키고, 상기 토출된 오일을 공급 및 상기 공급된 오일을 오일 팬으로 다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차량 동작상태 검출 수단은 엔진의 동작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엔진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와;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위치에 저장된 오일을 토출 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위치가 가변되는 제2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4.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판단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을 토출 시키는 오일펌프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위치 가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직결되어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가변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3웨이 밸브와; 상기 3웨이 밸브를 통해 공급 및 해제되는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에 의해 풀리의 형상이 가변되어 발전량이 가변되는 가변 교류 발전 수단과; 상기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과 오일펌프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이동시키는 제1 유로와; 상기 오일 펌프와 3웨이 밸브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이동시키는 제2 유로와; 상기 3웨이 밸브와 가변 교류 발전 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오일을 공급 또는 해제시키는 제3 유로와; 상기 3웨이 밸브와 오일 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 교류 발전 수단에서 해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 팬으로 리턴 시키는 제4 유로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가변 교류 발전 수단은 내주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공간이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갖는 오일의 공급 및 해제됨에 따라 외주면 직경이 증감되는 확장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확장 부재 일단에는 공급 및 해제되는 오일의 압력을 직접 받도록 공간 내측 방향으로 피스톤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공간 외측 방향으로 내부 함몰된 실린더를 형성해 그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확장 부재는 다수개로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장치.
  10.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하는 모든 변수를 초기화하고, 시동 완료가 판단되면 검출되어 인가되는 배터리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되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유압 공급 및 배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 이하이면 유압 해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되는 배터리 전압이 제1 설정 값 보다 크고 제2 설정 값 보다 작으면, 유압 공급 및 해제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검출되는 배터리 전압이 제2 설정 값 보다 크면 유압 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방법.
KR10-2001-0085594A 2001-12-27 2001-12-27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94A KR100435757B1 (ko) 2001-12-27 2001-12-27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94A KR100435757B1 (ko) 2001-12-27 2001-12-27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579A KR20030055579A (ko) 2003-07-04
KR100435757B1 true KR100435757B1 (ko) 2004-06-10

Family

ID=3221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594A KR100435757B1 (ko) 2001-12-27 2001-12-27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59Y1 (ko) * 2010-01-25 2012-01-18 김현민 랜턴걸이 지지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043U (ja) * 1983-11-24 1985-06-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KR960019903A (ko) * 1994-11-17 1996-06-17 전성원 차량용 배터리 자동 충전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9980060063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 변속 차량의 배터리 전압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523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 변속기의 유온 저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9895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변속기의 총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61176A (ko) *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아이들시의 엔진 회전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043U (ja) * 1983-11-24 1985-06-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KR960019903A (ko) * 1994-11-17 1996-06-17 전성원 차량용 배터리 자동 충전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9980060063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 변속 차량의 배터리 전압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0523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 변속기의 유온 저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9895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변속기의 총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61176A (ko) * 1999-12-28 2001-07-07 이계안 아이들시의 엔진 회전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579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297B1 (ko) 차량 발전기 제어 시스템
US6253137B1 (en) Oil pressure supply device for vehicle drive system
JP6465907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100435757B1 (ko) 직경 가변 교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05068240A1 (en) Hybrid vehicle
JP4061238B2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028965A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US6800953B2 (en) Engine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672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magnetic driving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56032B2 (en) Starter/alternator assembl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040045307A1 (en) Hybrid compressor system
US7061130B1 (en) Method of determining transition from starter to alternator function by monitoring starter/alternator motor phase voltage or current
JP3705198B2 (ja) 車両の発電制御装置
JP2006307661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2004068664A (ja) 車両の発電制御装置
JP2004036695A (ja) 内燃機関用ベルトシステムおよび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2007085238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112917A (ja) オルタネータ制御装置
KR102063992B1 (ko) 알터네이터 풀리 제어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시스템
JP3028867B2 (ja) オルタネータの発電制御装置
JPH0599018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方法
KR100633328B1 (ko) 차량의 에어컨디셔너 제어방법
JPH04318239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H05176599A (ja) オルタネータの発電制御装置
JPH03100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