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281B1 -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281B1
KR100433281B1 KR10-2001-0000913A KR20010000913A KR100433281B1 KR 100433281 B1 KR100433281 B1 KR 100433281B1 KR 20010000913 A KR20010000913 A KR 20010000913A KR 100433281 B1 KR100433281 B1 KR 10043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ragrance
weight
parts
natural ess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507A (ko
Inventor
전성훈
이재홍
조재우
성경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2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제의 향료 조성물에 있에서, 라벤더 오일(Lavandula officinalis), 카모마일 오일(Anthemis nobilis), 제라늄 오일(Pelagonium graveolens), 버가못 오일(Citrus bergamia), 오렌지 오일(Citrus aurantium), 로즈 오일(Rosa centifolia), 산달우드 오일(Santalum album), 일랑일랑 오일(Cananga odoratayl succinate), 미르 오일(Commiphora species), 및 세이지 오일(Salvia officinalis)을 포함하는 천연 에센셜 오일로 된 조합 향료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 향료 대신 상기의 천연 에센셜 오일을 방향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10 중량%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방향제 사용시 심신의 안정과 진정 효과를 주며 불안, 우울감을 해소시키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방향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Aromatic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essential oil}
본 발명은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제 조성물에 천연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방향제 사용시에 심신의 안정과 진정 효과를 주며, 불안, 우울감을 해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향제는 향으로서 실내 분위기에 청량함을 주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향료는 청량감과 상쾌감이 요구되어 지고, 때로는 심신의 안정감과 진정효과까지도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일반적인 방향제용 향료는 일부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향취의 강약 정도에 따라 때로는 혼미스럽고, 머리가 아프다는 이유로 사용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다.
즉, 일반적인 방향제 조성물은 향료, 알코올, 가용화제, 정제수 및 방향제품의 여러 기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것으로서, 합성 향료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 향료 및 일부 시트러스 계통의 천연 오일이 혼합됨으로써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향제는, 천연 에센셜 오일만으로 향료를 구성하여 합성향료가 주는 화학적인 느낌으로 인한 방향제의 부작용을 막고, 가장 우수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줄 수 있는 천연향료로만 방향제를 배합하여 심신의 안정 등의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벤더 오일, 카모마일 오일, 제라늄 오일, 오렌지 오일, 산달우드 오일, 및 일랑일랑 오일을 포함하는 조합 향료 1 내지 15 중량부, 가용화제 1 내지 7 중량부, 에탄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조합 향료는 버가못 오일, 로즈 오일, 세이지 오일, 및 미르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방향제의 향료 성분 구성이 모두 천연 성분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방향제 조성물에서 쓰이는 합성향료 또는 합성향료와 천연오일을 조합한 조합향료가 아닌 천연 에센셜 오일로만 구성되어진 향료를 사용함으로서 기존방향제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심신에 대한 릴랙싱(Relaxing)효과로 안정감, 진정작용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고, 불안, 우울감을 해소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향료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라벤더 오일(Lavandula officinalis)은 민간요법으로 수천년 동안 쓰여온 것이며 중세 시대에는 신경 과민이라든가 히스테리 발작을 일으킬 때 정신을 맑게 하는 목적으로 쓰이기도 했다. 라벤더 오일의 화학적 성분을 볼 때 리날룰 및 리날릴 아세테이트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향취를 흡입할 때 강력한 진정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람의 불면증이나 긴장이완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 논문들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성분인 카모마일 오일(Anthemis nobilis)의 역할은 상처를 아물게 하는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신경안정과 심신의 피로에 도움을 주는 향이다.
또한 제라늄 오일(Pelagonium graveolens)은 공기 발향으로 매우 안정된 분위기를 주며 진정 작용으로 긴장완화와 정신적으로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버가못 오일(Citrus bergamia)은 감귤류 계통의 식물로서 라벤더에 함유된 성분과 같은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흡입 시에 사람 뇌파에 치료적인 변화를 준다는 보고도 있고, 향이 주는 효과로 정신을 자극하고 긴장을 이완하는데 도움을 준다.
오렌지 오일(Citrus aurantium)은 독특하고 달콤한 향취로 다른 향과의 배합이 잘되어 향취의 느낌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우울중이 있을 때 기분을 상승시켜주기도 한다
로즈 오일(Rosa centifolia)의 향취는 환상적이고 정신을 릴랙스시켜준다. 또한 감정을 이완시키며 자유로운 느낌과 상상력을 풍부하게 해주며 생리통, 긴장 증후군 및 폐경기 증후군 등의 질환에 대체의학적으로도 효과적으로 쓰인다.
산달우드 오일(Santalum album)은 명상 시에 도움을 주며 신경을 안정시키고 최음 효과가 강하여 향수제조 시에도 사용되어지고 불면증, 우울증에도 좋다.
일랑일랑 오일(Cananga odorata)은 우울증, 불안증, 정신산만증에도 쓰여지며 또한 남성의 발기부전, 여성의 불감증을 치료하는데도 효과가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스트레스와도 관계가 있으며 최음 및 최면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미르 오일(Commiphora species)은 고대 문명에서는 종교행사, 이집트 시대에는 화장품, 의료용, 미이라 보존에도 쓰여 졌고, 현재에는 구강염, 인후염 등 항염증 치료로 쓰이기도 한다. 향취의 효과로는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긴장을 풀어준다.
세이지 오일(Salvia officinalis)은 정신 및 신체 쇠약의 자극제로 사용될 수 있고, 거담작용도 있다.
상기와 같이, 심신의 안정 및 진정효과가 있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적절히 배합한 향료조합으로 사용자의 향 기호도를 높이고 자연적인 향취로 사용자의 기분을 전환시키며 그 효과로 인해 불안감, 우울감을 해소시키는 새로운 타입의 방향제이다. 상기의 방향제는 자연 그대로의 향취로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일반 방향제의 사용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용자에게도 자연 허브 향취로 청량감과 신선한 느낌을 주며, 불안감, 우울감을 해소시키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상기의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를 일정량 이상 사용함으로써, 심신에의 영향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에센셜 오일들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조합향료를 만드는데,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성분은, 라벤더 오일, 카모마일 오일, 제라늄 오일, 오렌지 오일, 산달우드 오일, 및 일랑일랑 오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오일로 조합향료를 구성할 때 배합비는, 라벤더 오일 10 내지 35 중량부, 카모마일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제라늄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오렌지 오일 5 내지 20 중량부, 산달우드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및 일랑일랑 오일 0.5 내지 2 중량부의 비로 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오일 배합에, 버가못 오일 2 내지 30 중량부, 로즈 오일 0.5 내지 5 중량부, 미르 오일 0.1 내지 1 중량부 및 세이지 오일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 에센셜 오일로 조합된 향료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10.0 중량% 이상일 때에는 상품가격이 너무 증대되고 효능 또한 함량 증량에 대비하여 적게 되고, 그 함량이 1.0 중량% 이하일 때에는 효과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방향제 조성물은 상기의 향료성분 외에, 알코올, 가용화제, 정제수 등 방향제품의 여러 기제를 이용하여 조성된 것이다. 가용화제는 향료의 용제를 말하는 것으로 전체 조성물의 3 내지 20 중량%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조된 방향제 조성물을 성형화하는 기제로서는 종이, 젤, 카라기남, 한천, 폴리머 비드 등 용도 및 타입에 따른 여러 타입의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각 원료를 정확히 계량하여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 가용화제, 에탄올에 완전 용해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서서히 상온에서 첨가하여 교반.혼합하여 가용화 시킨다. 여기에 적정한 양의 폴리머비드를 투입하고 서서히 교반하여 비드에 향료를 함침시키면서 비드의 크기를 일정량 부풀리어 숙성 시킨후, 24시간 교반하고 방치하여 1차 여과된 제품을 용기에 충진하여 본 발명의 방향제를 완성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휘발 속도 조절제로서의 에탄올 9.0중량%, 가용화 보조제로서의 프로필렌 글리콜 4.0중량%, 가용화제로서 폴리옥시 에틸렌 페닐 에테르 8.0중량%, 하기하는 표 1의 실시예 1 부분의 천연 에센셜 오일 배합으로 구성되어진 향료 2.0중량%를 혼합하여 정제수 69.0 중량%에 서서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폴리머 비드 2.0중량%을 상온에서 첨가하고 에탄올을 추가로 첨가하여 전체 조성이 100 중량% 되게 한 다음 교반, 혼합, 방치를 번갈아 하면서 24시간 숙성시켜서 1차 여과한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구성성분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라벤더 오일 350 350 1000 400 400
카모마일 오일 40 25 - - 100
제라늄 오일 40 30 - - -
버가못 오일 250 240 - 400 300
오렌지 오일 140 220 - - -
로즈 오일 30 30 - - 100
산달우드 오일 100 80 - 200 100
일랑일랑 오일 20 10 - - -
미르 오일 10 5 - - -
세이지 오일 20 10 - - -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2
상기 표 1에서의 실시예 2 부분의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를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표 1에서의 비교예 1 부분의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를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표 1에서의 비교예 2 부분의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를 5.0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상기 표 1에서의 비교예 3 부분의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를5.0 중량%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연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어진 향료로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사용시의 향취 기호도와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를 서로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효과 시험은, 남자 20명, 여자 40명(연령비는 구성 성별에 따라 20대, 30대, 40대를 각각 2:3:5로 함)으로 구성된 전문 향취 관능 평가 집단에 의하여 집(실내)에 방치하거나 또는 휴대하면서 약 2-3 주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방치된 방향제는 실내 공기에 확산된 향취를 평가하였고, 휴대용 방향제는 소지하면서 향취를 통상적으로 20회, 20초/1일 코 주위에 대어 맡게 한 후, 그 측정치를 대비하여 본 발명 방향제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취 만족도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좋다 18 30 3 3 5
약간 좋다 22 18 5 12 12
보통이다 15 8 20 20 24
약간 나쁘다 4 3 22 18 10
나쁘다 1 1 10 7 9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대단히 유효 8 9 3 6 6
유효 18 20 12 10 13
약간 유효 20 21 23 25 24
효과 없음 12 10 17 15 15
악화 2 0 5 4 2
상기 시험 결과, 표 2에서 보듯이 방향제 향취 만족도에서는, 천연 에센셜 오일 1 종류를 원료로 사용한 비교예 1이나 원료 중 일부만을 혼합하여 사용한 비교예 2 및 3보다는, 첫향, 중심향, 잔향을 고려하여 조합되어진 향인 실시예 1과 2의 방향제 조성물이 향취기호도 측면에서 현저히 선호도가 좋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제의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배합된 향료의 함량이 2.0 중량%인 경우(실시예 1) 보다는 배합된 향료의 함량이 5.0 중량%인 경우(실시예 2)가 효과적인 측면에서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첫향, 중심향, 잔향을 고려하여 천연 에센셜 오일을 조합한 향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이, 천연 에센셜 오일을 1종류만 사용한 것이나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일부 혼합한 향료보다는 향취기호도 측면이나 심신 안정 및 진정 효과의 측면에서 현저히 우수하였다.

Claims (4)

  1. 라벤더 오일 10 내지 35 중량부, 카모마일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제라늄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오렌지 오일 5 내지 20 중량부, 산달우드 오일 1 내지 10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5 내지 2 중량부, 버가못 오일 2 내지 30 중량부, 로즈 오일 0.5 내지 5 중량부, 미르 오일 0.1 내지 1 중량부, 및 세이지 오일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합 향료 1 내지 15 중량부, 가용화제 1 내지 7 중량부, 에탄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정제수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00913A 2001-01-08 2001-01-08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10043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13A KR100433281B1 (ko) 2001-01-08 2001-01-08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13A KR100433281B1 (ko) 2001-01-08 2001-01-08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07A KR20020059507A (ko) 2002-07-13
KR100433281B1 true KR100433281B1 (ko) 2004-05-28

Family

ID=2769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913A KR100433281B1 (ko) 2001-01-08 2001-01-08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046A (zh) * 2019-05-05 2019-08-23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具有镇静安神功效成分的香氛用香精及其制备方法
KR20210033326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큐어슨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32B1 (ko) * 2004-10-04 2006-07-20 엔프라니 주식회사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KR101720739B1 (ko) * 2009-11-30 2017-04-1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EP2878303B1 (de) * 2013-11-29 2017-11-15 Doris Hefti Zusammensetzung für die Aromatherapie, Aromaheilkunde und Aromatologie
CN106110360A (zh) * 2016-06-30 2016-11-16 贵州艾力康中草药开发有限公司 一种苗药艾纳香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102294166B1 (ko) * 2019-10-16 2021-08-27 주식회사 센트프로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94167B1 (ko) * 2019-10-16 2021-08-27 주식회사 센트프로 심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2076B1 (ko) * 2019-10-16 2020-09-07 주식회사 센트프로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582A (ja) * 1994-05-21 1995-12-05 Shiseido Co Ltd 誘眠香料組成物
KR19990053084A (ko) * 1997-12-23 1999-07-15 성재갑 가습기용 방향 살균제 조성물
US5958462A (en) * 1997-05-23 1999-09-28 Mclean; Linsey Therapeutic bath salts and method of use
KR200192057Y1 (ko) * 2000-03-11 2000-08-16 박춘복 라벤다 향 발산체를 내장한 소파
KR100285781B1 (ko) * 1998-06-09 2001-05-02 최영신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KR20010075899A (ko) * 2000-01-21 2001-08-11 김충경 필기구용 향잉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6582A (ja) * 1994-05-21 1995-12-05 Shiseido Co Ltd 誘眠香料組成物
US5958462A (en) * 1997-05-23 1999-09-28 Mclean; Linsey Therapeutic bath salts and method of use
KR19990053084A (ko) * 1997-12-23 1999-07-15 성재갑 가습기용 방향 살균제 조성물
KR100285781B1 (ko) * 1998-06-09 2001-05-02 최영신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KR20010075899A (ko) * 2000-01-21 2001-08-11 김충경 필기구용 향잉크
KR200192057Y1 (ko) * 2000-03-11 2000-08-16 박춘복 라벤다 향 발산체를 내장한 소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046A (zh) * 2019-05-05 2019-08-23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具有镇静安神功效成分的香氛用香精及其制备方法
KR20210033326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큐어슨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KR102240580B1 (ko) * 2019-09-18 2021-04-15 주식회사 굳센사람들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07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9653B (en) A61k 31/122 200601 a i htw a61k 31/216 200601 a i htw a61k 31/341 200601 a i htw a61k 31/60 200601 a i htw a61p 25/20 200601 a i htw a61l 9/01 200601 a i htw a61q 13/00 200601 a i htw
Lis-Balchin Aromatherapy science: a guid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JPH04149136A (ja)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KR20210123016A (ko) 천연 방향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100433281B1 (ko)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JPH0757733B2 (ja)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CN109394625A (zh) 清凉剂组合物及其制作工艺
KR20060112831A (ko) 공기청정 지속성이 우수한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청향제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019992A (ja) 高揚剤及び高揚香料組成物
Stiles The essential oils complete reference guide: Over 250 recipes for natural wholesome aromatherapy
KR100843692B1 (ko)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Worwood et al. Essential aromatherapy: A pocket guide to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KR102455783B1 (ko)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843689B1 (ko) 기분고양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20010020067A (ko)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의
JP7108012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JP2007254497A (ja) 香料組成物
KR20070059775A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JPH11343497A (ja) 化粧料
KR100622560B1 (ko) 천연아로마오일을 내포하는 반고체형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JP6839610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JP2003119491A (ja) 精神高揚用香料組成物
KR20210084109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2597575B1 (ko) 사용자 맞춤형 디퓨저 추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