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109A -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109A
KR20210084109A KR1020190177086A KR20190177086A KR20210084109A KR 20210084109 A KR20210084109 A KR 20210084109A KR 1020190177086 A KR1020190177086 A KR 1020190177086A KR 20190177086 A KR20190177086 A KR 20190177086A KR 20210084109 A KR20210084109 A KR 20210084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composition
perilla
arborvitae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김경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109A/ko
Publication of KR2021008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5Recovery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림치유 기법을 활용하여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포함한 약용식물 향유 조성물을 통해 가정에서 스트레스 완화를 구현할 수 있는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Aromatic Composition for Psychological Relaxation}
본 발명은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림치유 기법을 활용하여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포함한 약용식물 향유 조성물을 통해 가정에서 스트레스 완화를 구현할 수 있는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신(心身)안정이란 몸과 마음이 안정되지 못함을 의미하며, 스트레스란 환경 또는 특정 사건에 대해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매우 높은 수준의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불균형이 초래되고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도록 만드는 긴장상태를 말한다.
최근 고령인구를 포함한 현대인들은 급속도로 복잡하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의 영향으로 대내외적으로 많은 자극에 노출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스트레스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 불안감과 이로 인한 심인성 질환 및 높은 자살율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줄여나가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조절방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편, 산림치유(Forest Healing)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2005년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법적·제도적으로 정비되어 왔으며 산림치유 활동으로 인한 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는 많은 연구로 입증되고 있다.
특히 산림치유의 요소 중 향기는 기분상태를 개선시켜 우울감, 불안, 소외감 등을 완화시키며 자율신경과 내분비계를 조절하여 면역력 증가 및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가장 잘 알려진 성분으로 피톤치드는 '산림향'이라고 부르는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을 발산하는 휘발성 방향성분으로서, 우리 몸을 쾌적하게 해주며 항균, 항염, 면역증진, 스트레스 조절 등 심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편백, 소나무, 전나무 등에서 휘발되는 것으로 유명하나, 측백의 정유 함유량이 편백보다 더 높으며 또한 측백의 잎과 부속물은 전통적으로 한약재로 사용되어 진정, 안정 효과가 알려져 있어 산림치유 및 심신안정에 적합하다.
측백나무(側柏, Thuja orientalis L.)는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잎, 어린가지 혹은 종자를 약용부위로 사용하며 지혈, 진해거담, 혈압강하, 항균, 진정 효과 등 다양한 질병치료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 양혈지혈(凉血止血), 거담지해(祛痰止咳), 양심안신(養心安神)의 효능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자는 백자인(栢子仁)이라는 본초명으로 양심안신(養心安神)의 효능이 강하여 불면, 불안, 동계(動悸) 증세에 사용되고 있음다.
차조기(紫蘇, Perilla frutescens)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잎, 줄기 혹은 씨앗을 약용부위로 사용하며 진정, 해열, 항균, 진해거담, 소화촉진 등 다양한 질병 치료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 해표산한(解表散寒) 및 행기관중(行氣寬中)의 효능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행기관중(行氣寬中) 작용은 울체된 기운으로 인한 신경성 소화불량 및 식욕부진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박하(薄荷, Mentha arvensis L.)는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 줄기를 약용부위로 사용하며 소염, 해열, 항균, 거담 및 평활근 이완 작용이 알려져있다. 한의학에서 소산풍열(疏散風熱), 청두목리인후(淸頭目利咽喉), 소간해울(疏肝解鬱) 등의 효능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간해울(疏肝解鬱) 작용은 심신의 울체된 간울(肝鬱)로 인한 흉협통, 신경증(神經症)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952호
본 발명은 상록교목인 측백나무 잎 및 부속물 추출물에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효과가 우수하여 가정에서 산림치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약용식물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 숲과 식물의 향(香)을 배출하며 동시에 숲의 경관과 소리를 구현하여 산림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VR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와 같은 약용식물을 사용하여 산림치유 기법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정신을 안정적이고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숲의 경관과 소리를 구현하는 VR 시스템을 통해 가정에서 향료 조성물을 발산하여 산림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관능평가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의 배합비는 6~10:1~2.5: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는 6~8:1.5~2.5:1의 중량비, 또는 6:2:2의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 0.1~1 중량%, 2~5 중량%, 또는 0.5~10 중량%이 사용될 수 있다. 0.001 중량% 이하의 경우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50 중량% 포함시에는 제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배합은 한의학 고유의 약물배합 원칙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에 따라 산림치유의 유효 물질인 피톤치드 등의 정유성분이 풍부한 측백나무를 군약(君藥)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배합하며, 측백나무의 산림치유 효과를 증강시키는 동시에 차조기와 박하 고유의 심신안정 효과가 배가 되도록 차조기를 신약(臣藥)으로 소량 배합, 박하를 좌약(佐藥)으로 최소량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군신좌사(君臣佐使)는 한의학의 약물배합 원칙으로, 단일약물 사용에 비해 타 약물을 적절히 배합하면 효과를 강화하면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합시 선두 역할을 하는 가장 주요 약물을 군약(君藥), 군약의 효과를 보조 및 강화하는 신약(臣藥), 부작용을 경감하고 수반 증상을 해소하는 좌약(佐藥)으로 분류된다. 이때 신약(臣藥) 및 좌약(佐藥)의 배합량은 군약(君藥)보다 많거나 군약(君藥)의 효과를 방해할 분량이 배합되면 안된다.
따라서, 차조기와 박하는 신경안정 효과와 함께 건위(健胃) 작용이 강하므로 군약(君藥)인 측백나무의 산림치유 효과를 증강시키는 동시에 산림치유 VR 체험에 수반되는 오심(惡心)과 현기증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신약(臣藥)과 좌약(佐藥)으로 각각 일정량 배합하여 VR 사용자 및 시니어들의 식욕부진, 소화불량을 진정시킬 수 있다.
특히, 박하의 정유 성분은 조성물 중 특히 휘발성이 강하여 가장 빨리 발산되어 상기 향료 조성물 흡입시 대상자의 코에 가장 빨리 도달하여 기분을 상승시키고 청량감으로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그러나, 향기지속력이 약하기 때문에 전체 배합의 10~20% 이내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군신좌사(君臣佐使) 원칙에 따라 배합되었으므로 상기 비율보다 차조기 및 박하 비율이 높으면 측백나무의 산림치유 효과를 저해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보다 낮으면 건위(健胃)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비율은 각 정유의 휘발성에 따라 배합되었으므로 상기 조성이 달라지면 흡입시 대상자의 코에 도달하는 느낌이 틀려지며 이는 코 점막의 후각수용체에 도달하는 정유의 조성이 달라지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상기 배합 비율이 바람직하다.
심신안정을 위한 약용식물 향료 조성물은 합성 물질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약용식물 추출물로만 조합된 천연물질이며, 정유성분의 비점(150~350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정유를 추출할 수 있는 수증기추출 및 압착법으로 추출하여 정유 성분의 분해나 변질의 염려가 거의 없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는 물(열수), 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의 씨앗, 잎, 뿌리, 줄기,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냉침추출법, 냉압착법, 수증기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추출법,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 및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비경구로 가능하며 비경구의 경우 피부 외용, 비강 흡입 등의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원료인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는 각각 진정, 안정 효과가 입증된 한약재로써 경구적으로 투여 가능하나, 제조된 조성물의 주된 유효성분의 화학적 조성이 휘발성 정유이므로 경구 투여는 권장하지 않으며 비강 흡입을 통한 투여의 유효성이 더욱 높으므로,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료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고형 향료 조성물, 액상 향료 조성물, 향수, 욕제, 젤방향제, 액상 타입 방향제, 액상타입소취제, 에어졸 타입 소취제, 젤 타입 수면팩, 액상용, 스프레이, 향료초(향초) 조성물일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향수류, 아로마류, 오일류, 방향제류, 세제류 및 피부외용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은 가정에서 숲과 식물의 향(香)을 배출하며 동시에 숲의 경관과 소리를 구현하는 VR시스템을 통해 산림치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측백나무 추출물의 제조
측백나무 잎 및 잔가지, 종피를 포함한 종자를 세척, 건조 후 수증기추출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하여 시료를 마이크로 웨이브를 통해 60초 동안 건조하여 사용하며 수증기 추출 시 가열 온도는 110 ~ 150 ℃, 가열 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하였다.
실시예 1-2: 차조기 추출물의 제조
차조기 중 씨앗을 중심으로 냉압착법으로 제조하였다. 차조기 씨앗을 세척 후 40 ℃이하로 초(炒)한 후 49 ℃ 이하 조건에서 압착하였다.
실시예 1-3: 박하 추출물의 제조
박하 전초를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수증기추출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향유 추출물을 혼합하여 향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의 배합비는 6:2:2의 중량비로 하였다.
실험예 1: 향유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향유 추출물을 혼합한 향료 조성물의 향취가 우수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60~70대 성인 10명(평균연령 66세)을 선발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오염되지 않은 가로 6m, 세로 4m, 높이 2m의 패널룸(Panal room)에 관능평가자들을 수용하고, 거즈에 향유 1~2 방울을 떨어뜨려 코 아래 약 10 cm에 두고 향기를 맡은 후 VR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는 총 2차례 실시하였고(1차 후 1~2일 후 2차 실시), 도 1의 관능평가표에 표시된 8가지 질문에 대하여 참여자가 직접 응답하도록 하여 총 10명에 대한 평균값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no 연령 질문1 질문2 질문3 질문4 질문5 질문6 질문7 질문8
1 70 2 4 1 4 0 2 2 4
2 63 1 2 1 3 1 2 0 4
3 72 1 4 3 3 0 3 2 4
4 57 1 1 1 4 0 0 0 4
5 75 4 3 3 3 1 3 2 4
6 64 3 3 4 3 1 2 2 4
7 61 2 3 2 2 1 3 1 4
8 63 2 2 1 3 0 2 1 4
9 67 4 3 1 2 2 3 1 4
10 64 3 3 1 2 1 3 0 4
평균점수 66 2 3 2 3 1 2 1 4
상기 표 1에서, 관능평가자들은 상쾌한 기분(질문2) 및 평온하고 차분해지는 기분(질문4)은 각각 3점(4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불쾌한 기분(질문8)에는 참여자 전원이 "전혀 그렇지않다"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2: 타액 아밀라제 측정
타액 알파 아밀라제(Salivary alpha amylase, SAA)는 스트레스의 생물학적 표지자로, 객관적인 스트레스 측정법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SAA가 증가하고, 반대로 스트레스가 줄게되면 SAA가 감소한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향유 추출물을 혼합한 향료 조성물의 타액 아밀라아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관능평가를 마친 60~70대 성인 10명(평균연령 66세)을 상대로 타액 아밀라제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되지 않은 가로 6m, 세로 4m, 높이 2m의 패널룸(Panal room)에 평가자들을 수용하고, 거즈에 향유 1~2 방울을 떨어뜨려 코 아래 약 10 cm에 두고 향기를 맡은 후 VR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휴대용 타액 아밀라제 측정키트(니후로 아밀라제 모니타 CM-2.1(Japan)를 이용하여 타액 아밀라제 측정을 총 2차례 실시하였고(1차 후 1~2일 후 2차 실시), 평균값 및 표준편차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2에서 “전”은 그린케어 적용 전 아밀라제 측정 결과이며, “후”는 그린케어 적용 후 아밀라제 측정 결과이다.
no 연령 1차 2차
1 70 29 18 57 37
2 63 62 6 31 18
3 72 25 2 70 16
4 57 77 5 31 17
5 75 10 2 8 3
6 64 49 8 3 2
7 61 15 6 22 2
8 63 26 5 28 4
9 67 37 2 23 7
10 64 40 6 23 3
평균(x) 66 37 6 30 11
표준편차(s) - 19.80 4.45 19.26 10.68
상기 표 2를 참조로, 관능평가 후 타액 알파 아밀라제가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추출물의 배합비는 6~10:1~2.5: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는 측백나무, 차조기 및 박하 각각의 전체, 잎, 줄기, 가지, 뿌리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고형 향료 조성물, 액상 향료 조성물, 향수, 욕제, 젤방향제, 액상 타입 방향제, 액상 타입 소취제, 에어졸 타입 소취제, 젤 타입 수면팩 및 향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인, 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90177086A 2019-12-27 2019-12-27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20210084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86A KR20210084109A (ko) 2019-12-27 2019-12-27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86A KR20210084109A (ko) 2019-12-27 2019-12-27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09A true KR20210084109A (ko) 2021-07-07

Family

ID=7686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86A KR20210084109A (ko) 2019-12-27 2019-12-27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41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52B1 (ko) 2008-11-03 2016-10-20 비바 파마슈티칼 인코포레이티드 수면에 영향을 주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52B1 (ko) 2008-11-03 2016-10-20 비바 파마슈티칼 인코포레이티드 수면에 영향을 주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less The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the complete guide to the use of aromatic oils in aromatherapy, herbalism, health, and well being
Lis-Balchin Aromatherapy science: a guid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Sellar The directory of essential oils
Michalak Aromatherapy and methods of applying essential oils
Balz The healing power of essential oils: Fragrance secrets for everyday use
Batiha et al. A review of the bioactive components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Lavandula species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Hedaoo et al. A review on aromatherapy
Fischer-Rizzi Complete aromatherapy handbook: essential oils for radiant health
Jones The Complete Guide to Creating Oils, Soaps, Creams, and Herbal Gels for Your Mind and Body: 101 Natural Body Care Recipes
Stiles The essential oils complete reference guide: Over 250 recipes for natural wholesome aromatherapy
US8821948B2 (en) Therapeutic,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
KR100433281B1 (ko)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Shahdadi et al. Lavender a plant for medical uses: a literature review
KR20210084109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심신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Tourles Stephanie Tourles's Essential Oils: A Beginner's Guide: Learn Safe, Effective Ways to Use 25 Popular Oils; Make 100 Aromatherapy Blends to Enhance Health; Soothe Common Ailments and Promote Well-Being
KR101175656B1 (ko) 한방 방향제 조성물
Curtis et al. Neal's Yard Remedies Essential Oils: Restore* Rebalance* Revitalize* Feel the Benefits* Enhance Natural Beauty* Create Blends
Curtis et al. Essential Oils: All-natural remedies and recipes for your mind, body and home
Alakbarov Aromatic herbal baths of the ancients
Sharma Aroma Therapy
Darrell Essential Oils: A Concise Manual of Their Therapeutic use in Herbal and Aromatic Medicine
Sharma The secret benefits of aromatherapy
Rose Herbal Body Book: The Herbal Way to Natural Beauty & Health for Men & W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