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140B1 - 안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안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140B1
KR100433140B1 KR1019960034060A KR19960034060A KR100433140B1 KR 100433140 B1 KR100433140 B1 KR 100433140B1 KR 1019960034060 A KR1019960034060 A KR 1019960034060A KR 19960034060 A KR19960034060 A KR 19960034060A KR 100433140 B1 KR100433140 B1 KR 10043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gment
ammonium chloride
composition
tri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889A (ko
Inventor
앤드류 스털링 존
진 화르노치 캐롤
제임스 앤더슨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97001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6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 C09B67/0065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of organic pigments with only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01Post-treatment of organic pigments or dyes
    • C09B67/002Influenc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treatment with an 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원자수 10 내지 30의 장쇄 지방족 1차 아민; 에틸렌 폴리아민 H2N(CH2CH2NH)nH (n이 1 내지 5임); 및 프로필렌 트리아민 RNH(CH2CH2CH2NH)2H 또는 RN(CH2CH2CH2NH2)2 (R은 탄소 원자수 10 내지 24의 장쇄 알킬기임)을 함유하는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출판용 그라비아 잉크는 개선된 광택도, 투명도, 착색도 및 삼투성을 나타냈다.

Description

안료 조성물
본 발명은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아릴리드 안료는 프린팅 잉크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착색 물질군이다. 황색 제12호 안료는 용매를 기재로한 출판용 그라비아 프린팅 잉크(publication gravure printing ink) 착색 물질군 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것이고, 특정의 바람직한 적용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 처리한다. 여기서, 대표적인 표면 처리제는 장쇄 탄화수소 아민이다. 영국 특허 제1085835호에서는 지방 1차 아민을 황색 제12호 안료를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우수한 착색 강도, 광택투명도 및 개선된 레올로지를 부여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15639호에서도 또한 디아민을 디아릴리드 안료를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저질의 비코팅 종이 원료로의 잉크의 침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많은 다른 특허들이 출판용 그라비아 잉크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황색 제12호 안료를 얻기 위해 아민 처리를 이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462833호 및 유럽 특허 제0062304호에서는 폴리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출판용 그라비아 잉크의 광택도, 투명도, 착색도 및 삼투성을 개선시키고자 연구한 결과, 특히 지방 프로필렌 트리아민을 함유하는 특정 아민 혼합물을 사용하면 개선된 강도, 광택도 및 투명도를 갖는 생성물이 제공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소 원자수 10 내지 30의 장쇄 지방족 1차 아민; 에틸렌 폴리아민 H2N(CH2CH2NH)nH (n이 1 내지 5임); 및 프로필렌 트리아민 RNH(CH2CH2CH2NH)2H 또는 RN(CH2CH2CH2NH2)2 (R은 탄소 원자수 10 내지 24의 장쇄 알킬기임)을 함유하는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황색 제12호, 제13호, 제14호, 제17호, 제83호, 제114호, 제126호, 제127호, 제176호 안료, 오렌지색 제16호 또는 제34호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물 또는 혼합물 또는 이들의 코-커플링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안료는 용매를 기재로한 출판용 그라비아 프린팅 잉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황색 제12호 안료이다.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은 1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긴 알킬 사슬을 지닐 수 있다. 적절한 아민의 예는 올레일아민, 스테아릴 아민 및 라우릴아민을 포함한다.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의 양은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에틸렌 폴리아민은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또는 펜타에틸렌 헥사민일 수 있다. 사용되는 양은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4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트리아민은 장쇄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가 10 내지 24개이다. 적절한 화합물의 예는 N-스테아릴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N-올레일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N-코코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및 N,N-디(아미노프로필)스테아릴, 올레일 또는 코코 아민이다. 트리아민은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은 3,3'-디클로로벤지딘을 테트라조화하고, 물중에서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아세토아세트-2-톨루이디드, 아세토아세트-2-클로로아닐리드, 아세토아세트-2,4-크실리드 및 아세토아세트-2,5-디메톡시-4-클로로아닐리드 중의 1종 이상의 성분과 커플링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장쇄 지방족 아민을 첨가하여 커플링 성분을 침전시키고, 이어서 커플링 전에 에틸렌 폴리아민을 첨가하고, 커플링 후에 4급 암모늄 화합물과 프로필렌 트리아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4급 암모늄 화합물 및 프로필렌 트리아민은, 필요하다면, 커플링 전에 첨가할 수 있다.
다양한 첨가가 어느 시점에서, 얼마의 양으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안료의 최종 특성이 조절될 것이다. 첨가의 특정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은 강도, 색채, 광택도, 투명도, 유동성 및 삼투성(strike-through)이다.
유동성을 희생하면 증진된 강도, 색채의 적색화, 광택도 및 투명도를 얻을 수 있다. 유동성이 양호한 생성물이 요구되는 경우, 커플링 전에 되도록 적게 첨가하여야 한다.
또한, 투명도 및 유동성은 열 처리 단계에서 비휘발성 수불혼화성 용매의 첨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커플링 전 에틸렌 폴리아민의 첨가는 저질의 종이 상에서의 삼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예는 탈로우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탈로우 벤질 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비휘발성 수불혼화성 용매는 방향족 탄화수소, 염소화 탄화수소, 에스테르, 에테르, 니트로 화합물, 니트릴, 헤테로 시클릭 화합물 및 알킬 카르복실레이트이고, 구체적인 예는 o-디클로로벤젠, 디부틸 세바케이드, 테트랄린 및 디벤질 에테르이다.
용매는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열은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5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열 처리는 알칼리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경우 더 효과적이다. pH의 증가는 가열전, 가열 중, 또는 가열 후에 일어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추가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27.5 부를 수산화나트륨 6부를 함유하는 물 150부에 용해시켰다. 올레일아민 3.0부를 물 100부 중의 빙초산 16부에 용해시켰다. 올레일아민 용액을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용액에 적가하여 미세 침전물을 얻었다.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4.75부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0-5℃에서 물 200부 중의 아질산나트륨 10.5부 및 36% 염산 37.5부로 테트라조화된 3,3'-디클로로벤지딘 19부와 커플링시켰다. 커플링된 슬러리에 물 50부 중의 이수소화된 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3부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물 150부 중 빙초산 3.5부에 용해된 N-스테아릴 프로필렌 트리아민 11.25부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디부틸 세바케이트 1부를 잘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1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강알칼리로 만들었다. 이어서, 온도를 95℃로 상승시키고,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세척하여 가용성 염을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분산이 용이한 안료는 삼투없이 광택있고 투명한 프린트를 생성하는 진한 적색을 띠는 황색 톨루엔 기재 그라비아 잉크를 생성하였다.
실시예 2
디부틸 세바케이트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더욱 투명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스테아릴 프로필렌 트리아민 대신 N,N-디(아미노프로필)스테아릴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생성물이 실시예 1의 것보다 조금 더 적색을 띤다는 것외에 다른 점은 유사하였다.
실시예 4
N-스테아릴 프로필렌 트리아민 대신 N-코코프로필렌 트리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5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82.5부를 수산화나트륨 18부가 용해된 물 450부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빙초산 48부가 포함된 물 900부 중에 용해된 올레일아민 9부에 잘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14.4부를 생성된 미세 침전물에 첨가하였다.
0-5℃에서 물 660부 중 아질산나트륨 31부 및 36% 염산 112.5부로 테트라조화된 3,3'-디클로로벤지딘 57부를 사용하여 커플링시켰다.
물 100부 중에 용해된 이수소화된 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3.8부를 커플링된 슬러리에 첨가하고, 이어서 빙초산 7.5부가 첨가된 물 300부 중에 용해된 N-올레일프로필렌 트리아민 36.6부를 첨가하였다.
1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하고, 온도를 95℃로 상승시키고, 45분간 유지시켰다. 형성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실시예 1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물질을 얻었다.
실시예 6
올레일아민 대신 라우릴아민 10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거의 동일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올레일아민 14.5부 및 N-코코 프로필렌 트리아민 48.5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보다 적색이고 더욱 진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올레일아민 대신 탈로우아민을 사용하고, 4급 화합물로서 코코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유동성이 증진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아세토아세트-o-아니시다이드 10.4 g 및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72.6부의 혼합물을 커플링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매우 투명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상승된 온도에서 pH를 증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보다 녹색의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대신 펜타에틸렌 헥사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매우 유사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대신 디에틸렌 트리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거의 동일한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27.5부를 수산화나트륨 6부가 용해된 물 150부에 용해시켰다. 올레일아민 3부를 물 100부 중의 빙초산 16부에 용해시켰다. N,N-디(아미노프로필)스테아릴아민 11.25부를 물 150부 중의 빙초산 3.5부에 용해시켰다. 아민 용액을 함께 혼합하고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미세침전물을 얻었다.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4.75부를 첨가하고,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테트라조화된 3,3'-디클로로벤지딘 19부를 사용하여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물 50부 중의 이수소화된 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3부를 커플링된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pH를 알칼리성으로 하고, 온도를 90 내지 95℃로 상승시키고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생성물을 여과로 단리하고, 세척하고, 건조시켜 실시예 1의 생성물보다 현저하게 더 적색이고, 더 투명한 물질을 얻었다.
실시예 14
커플링 성분 용액을 첨가하기 이전에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아민 용액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것으로 보다 녹색 색채을 띠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생성물과 유사한 광택도 및 투명도를 갖는 생성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출판용 그라비아 잉크는 광택도, 투명도, 착색도 및 삼투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5)

  1. 탄소 원자수 10 내지 30의 장쇄 지방조 1차 아민; 에틸렌 폴리아민 H2N(CH2CH2NH)nH(n은 1 내지 5임); 및 프로필렌 트리아민 RNH(CH2CH2CH2NH)2H 또는 RN(CH2CH2CH2NH2)2(R은 탄소 원자수 10 내지 24의 장쇄 알킬기임)을 함유하는 디아릴리드 안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이 올레일 아민 또는 스테아릴 아민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틸렌 폴리아민이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또는 펜타에틸렌 헥사민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틸렌 폴리아민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트리아민이 N-스테아릴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N-올레일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N-코코 디프로필렌 트리아민 또는 N,N-디(아미노프로필)스테아릴 아민인 조성물.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트리아민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45 중량%인 조성물.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디아릴리드 안료가 황색 제12호 안료인 조성물.
  9. (A)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커플링 성분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는 단계, (B) 에틸렌 폴리아민을 첨가하는 단계, (C)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D) 모노메틸 또는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수불혼화성 비휘발성 용매와 함께 첨가하는 단계, (E)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F) 가열하는 동안 프로필렌 트리아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안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A) 장쇄 지방족 1차 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커플링 성분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는 단계, (B) 에틸렌 폴리아민을 첨가하는 단계, (C) 모노메틸 또는 디메틸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수불혼화성 비휘발성 용매와 함께 첨가하는 단계, (D) 커플링을 수행하는 단계, (E)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F) 가열하는 동안 프로필렌 트리아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안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탈로우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 벤질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디탈로우 벤질 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제조 방법.
  12. 제2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제조 방법.
  13.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용매가 디부틸 세바케이트인 제조 방법.
  14.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용매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인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용매의 양이 안료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인 제조 방법.
KR1019960034060A 1995-08-18 1996-08-17 안료조성물 KR10043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16929.8 1995-08-18
GBGB9516929.8A GB9516929D0 (en) 1995-08-18 1995-08-18 Pigment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89A KR970010889A (ko) 1997-03-27
KR100433140B1 true KR100433140B1 (ko) 2005-08-30

Family

ID=1077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060A KR100433140B1 (ko) 1995-08-18 1996-08-17 안료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672202A (ko)
EP (1) EP0761769B1 (ko)
JP (1) JP3961591B2 (ko)
KR (1) KR100433140B1 (ko)
CN (1) CN1076743C (ko)
AT (1) ATE216415T1 (ko)
AU (1) AU713145B2 (ko)
BR (1) BR9603452A (ko)
CA (1) CA2183495A1 (ko)
CZ (1) CZ289368B6 (ko)
DE (1) DE69620693T2 (ko)
ES (1) ES2173255T3 (ko)
GB (1) GB9516929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68801A1 (en) 1999-04-30 2000-11-09 Slil Biomedical Corporation Conjugates as therapies for cancer and prostate diseases
US6482943B1 (en) * 1999-04-30 2002-11-19 Slil Biomedical Corporation Quinones as disease therapies
US6649587B1 (en) 1999-04-30 2003-11-18 Slil Biomedical Corporation Polyamine analog conjugates and quinone conjugates as therapies for cancers and prostate diseases
US6794545B1 (en) * 1999-04-30 2004-09-21 Slil Biomedical Corporation Conformationally restricted polyamine analogs as disease therapies
AU2002235126A1 (en) 2000-11-08 2002-05-21 Slil Biomedical Corporation Novel polyamine analog-amino acid conjugat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US6488759B1 (en) 2001-08-27 2002-12-03 Engelhard Corporation Strong monoarylide pigment/hydrocarbyl polypropyleneamine compositions
MXPA04005509A (es) * 2001-12-07 2004-12-06 Slil Biomedical Corp Poliaminas sustituidas con cicloalquilo para terapia de cancer y metodos de sintesis de las mismas.
KR100492848B1 (ko) * 2002-03-25 2005-06-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레이저 용접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722715B2 (en) * 2004-04-06 2010-05-2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Pigment compositions for inks with improved rheology
WO2006111493A2 (en) * 2005-04-21 2006-10-2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Pigment formulations
JP2008231269A (ja) * 2007-03-20 2008-10-02 Fujifilm Corp 有機顔料微粒子及びその分散物、並びに有機顔料微粒子分散物の製造方法
US8034174B2 (en) * 2008-04-18 2011-10-11 Sun Chemical Corporation Diarylide yellow pigm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5835A (en) * 1963-05-23 1967-10-04 James Sander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cutting stone or the like
DK114759B (da) * 1965-08-19 1969-08-04 Koege Kemisk Vaerk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letdispergerbare pigmenter.
GB1472781A (en) * 1974-08-14 1977-05-04 Koege Kemisk Vaerk Preconditione d yellow pigment preparations
DE3104257A1 (de) * 1981-02-07 1983-02-03 Hoechst Ag, 6000 Frankfurt Azopigmentpraeparatio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13882A1 (de) * 1981-04-07 1982-10-21 Hoechst Ag, 6000 Frankfurt Azopigmentpraeparatio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462833A (en) * 1982-12-27 1984-07-31 Inmont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diarylide yellow pigment
DE3336030A1 (de) * 1983-10-04 1985-04-11 Bayer Ag, 5090 Leverkusen Azopigmentpraeparationen
GB9112155D0 (en) * 1991-06-06 1991-07-24 Ciba Geigy Ag Production of pigments
GB9322257D0 (en) * 1993-10-28 1993-12-15 Ciba Geigy Ag Pigme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42396A3 (en) 1997-03-12
ES2173255T3 (es) 2002-10-16
EP0761769A1 (en) 1997-03-12
ATE216415T1 (de) 2002-05-15
AU6200396A (en) 1997-02-20
KR970010889A (ko) 1997-03-27
CN1145936A (zh) 1997-03-26
CA2183495A1 (en) 1997-02-19
EP0761769B1 (en) 2002-04-17
CZ289368B6 (cs) 2002-01-16
JPH09132727A (ja) 1997-05-20
DE69620693T2 (de) 2002-11-21
DE69620693D1 (de) 2002-05-23
CN1076743C (zh) 2001-12-26
GB9516929D0 (en) 1995-10-18
AU713145B2 (en) 1999-11-25
JP3961591B2 (ja) 2007-08-22
BR9603452A (pt) 1998-05-12
US5672202A (en) 1997-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140B1 (ko) 안료조성물
US4946509A (en) Diarylide pigment compositions
EP0586391B1 (en) Pigment composition containing polyoxalkylated diarylides
DK171488B1 (da) Pigmentmateriale,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samt trykfarvekoncentrat og offset- eller lettersettrykfarve indeholdende pigmentmaterialet
KR100319497B1 (ko) 안료조성물
KR100433139B1 (ko) 안료제조방법
US4462833A (en) Process for treating diarylide yellow pigment
US5716445A (en) Pigment
JPS6259146B2 (ko)
US5256772A (en) Monoazo lake pigment and uses thereof
JP3934166B2 (ja) 顔料の製造方法
KR20060133085A (ko) 레올로지가 향상된 잉크용 안료 조성물
EP0399457B1 (en) Water-based ink compositions
US4220473A (en) Process for treating azo pigments
US360786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ater-insoluble azo-dyestuffs
JP3795092B6 (ja) 顔料組成物
JPS601342B2 (ja) アゾ顔料の製造法
MXPA97001773A (en) Pig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