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273B1 - 해면금속생산방법및생산장치 - Google Patents

해면금속생산방법및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273B1
KR100432273B1 KR10-1998-0706980A KR19980706980A KR100432273B1 KR 100432273 B1 KR100432273 B1 KR 100432273B1 KR 19980706980 A KR19980706980 A KR 19980706980A KR 100432273 B1 KR100432273 B1 KR 10043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duction
pipe
optionally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543A (ko
Inventor
요하네스 부름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1999008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14Multi-stage processes processes carried out in different vessels or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22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capturing or storin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34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avoiding CO2, e.g. using 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금속광석을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금속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스소스(A, B)로부터의 CO- 및 H2- 함유 피드가스는 압축되고, 선택적으로 CO2가 제거되며 가열되고, 환원대(21)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금속광석과 반응 후에 환원대(21)로부터 배가스로서 배출되어 소진기에 추가로 사용한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환원대(21)에 충분한 양의 환원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CO- 및 H2- 함유 피드가스를 최소한 2개의 가스소스(A, B)로부터 환원대(21) 내에 공급하여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게 하고, 가스소스(A, B)중 하나의 고장은 환원대(21)로부터의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를 재순환시킴으로써 보정되고, 상기 배가스는 압축되고, CO2가 제거되며 선택적으로 가열되고,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A 또는 B 각각)로부터의 피드가스와 함께 환원대(21)에 공급된다.

Description

해면금속 생산방법 및 생산장치{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OF SPONGY METAL}
이러한 종류의 방법은 오스트리아특허 AT-B-396.255 및 독일특허 DE-C-40 37 977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 가스소스는 철광석이 해면철로 직접환원되는 제1 환원대에 의하여 형성되고, 해면철은 탄소 운잔체(carrier) 및 산소함유가스의 공급으로 용융가스화대에서 용융되며, CO 및 H2함유 환원가스가 생성되어 제1 환원대에 공급되고, 거기에서 반응하여 추가적인 환원대용의 공급가스로서 배출된다. 오스트리아특허 AT-B-396.255에 따르면, 다른 환원대에 공급되기전의 공급가스는 리포머에 의하여 CO2가 제거되는 동시에 가열되고, 독일특허 DE-C-40 37 977에 따르면, CO2제거는 CO2세정기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들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 다른 환원대로부터 배출된 배가스는 세정에 이어서, 제1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와 혼합되고, 이렇게 형성된 혼합가스는 CO2가제거된 후 가열된다. 다음에, 이 가스혼합물이 다른 환원공정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배가스가 재순환 환원가스로서 추가적인 환원공정에 공급되기 때문에, 다른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에 여전히 남아있는 환원제의 일부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인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가 외부 소진기용으로, 예를 들면 연료가스로 사용되어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그리고, 다른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는 재순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충분한 양의 환원가스를 언제든지 사용하여 환원공정의 정상(定常) 가동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하는 준비를 해야 한다. 특히, 충분한 양의 환원가스가 전체 장치의 상이한 가동상태에서도, 예를 들면 고장인 경우에도 다른 환원대에 확실하게 공급된다.
전술한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원대 내에 CO 및 H2함유 공급가스가 최소한 2개의 가스소스로부터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가스소스 중 하나의 고장은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를 재순환함으로써 상쇄되어 달성되고, 배가스는 압축되고, CO2가 제거되며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로부터 공급되는 공급가스와 함께 환원대에 공급된다.
이 방법의 특징은, 최소한 2개의 가스소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다른 환원대의 직접환원공정이 가스소스 중 하나가 고장인 경우에도 계속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가스소스 중 하나의 고장으로 매우 소량의 훤원가스가 다른 환원대에 공급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는 어려움을 야기하고 다른 환원대에서의 직접환원공정의 계속적인 진행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은 다른 환원대로부터의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를 재순환함으로써 방지된다.
다른 환원로로부터의 배가스가 재순환되는 경우, 가스가 먼저 사전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압력과 사전 압축의 차이가 동등하게 되고, 사전 압축상태에서 사용되지 않은 가스소스로부터의 환원가스와 혼합되어 함께 더 압축된다. 이 경우, 재순환된 배가스의 직접환원공정에 필요한 압력레벨로의 압축은 단계별로 일어나므로, (용량면에서) 너무 높지 않은 비용으로 설계된 압축기로 진행될 수 있다.
철광석이 해면철로 직접환원되는 제1 환원대를 가진 장치와는 별개의 다른 가능한 가스소스 및 탄소운반체 및 산소함유가스의 공급으로 용융가스화대에 용융된 해면철은 석탄가스화 공정 및 고로 공정일 수 있고, 이로써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는 석탄가스화 수단 또는 고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괴상 및/또는 펠릿상인 각각의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금속, 특히 해면철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되고 선택적으로 CO2가 제거되고 가열된 CO 및 H2함유 공급 가스가 가스소스로부터 환원대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금속광석과 반응 후 환원대로부터 배가스로서 배출되어 소진기에 의해 추가로 사용되며, CO2제거후 선택적으로 재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가스소스 중 하나가 파손된 경우의 가스경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가스소스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괴상 및/또는 펠릿상인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금속, 특히 해면철을 생산하는 환원반응로, 이러한 환원반응로와 통하는 환원가스 공급관 및 광석 공급관, 이 환원반응로에서분기된 배가스 배출관 및 환원반응로에 형성된 환원제품용 배출수단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스소스에 의하여 분배된 공급가스를 전달하는 공급가스관이 CO 및 H2함유 공급가스를 분배하는 가스소스로부터 압축기 및 선택적으로는 CO2제거기 및 가스히터를 통하여 환원가스 공급관내로 통하고, CO 및 H2함유 가스를 분배하는 최소한 제2 가스소스 또한 압축기를 구비한 공급가스관 및 선택적으로 CO2제거기 및 가스 가열기를 통하여 환원가스 공급관내로 통하고, 환원반응로에 형성된 배가스의 최소한 일부분용 이송관은 연결관을 통하여 직렬로 연결가능한 압축기 및 CO2제거기 및 선택적으로 가열수단을 통하여 환원반응로의 환원가스 공급관과 유체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가스소스용으로 구비된 압축기는 병렬연결로부터 직렬연결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고, 배가스를 재순환하는 경우에 재순환된 가스용의 별개의 압축기가 필요하지 않아서 비용면에서 상당히 절감된다.
가스소스로부터 분기되는 2개의 공급가스관은, 각각 하나의 압축기내로 통하기 전에 밸브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차단될 수 있고,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가능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는 괴상 및/또는 펠릿상이 바람직한 철광석용 제1 환원반응로, 용융가스화로, 용융가스화로와 제1 환원반응로를 연결하는 환원가스용 공급관, 제1 환원반응로와 용융가스화로를 연결하는제1 환원반응로에 형성된 환원제품용 이송관, 제1 환원반응로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 용융가스화로내로 개방되는 산소함유가스 및 탄소운반체용 공급관들 및 용융가스화로에 구비된 선철 및 슬래그용 출탕구로 형성되고, 제1 환원반응로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이 공급가스관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가스소스는 각각 하나의 용융가스화로를 가지는 제1 환원반응로에 의하여 동일 방식으로 형성되고, 공급가스관을 통하여 다른 환원반응로의 환원가스 공급관과 각각 하나의 압축기를 거쳐 유체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스를 공급하는 도 1에 나타낸 2개의 가스소스 A 및 B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환원반응로를 형성하는 샤프트로(1)에, 괴상광 및/또는 펠릿상광은 선택적으로 이동층을 형성하는 플럭스와 함께 도시되지 않은 슬러스(sluice) 시스템을 통하여 이송수단(2)를 거쳐 상부에서 장입된다. 샤프트로(1)는 석탄 및 산소함유가스로부터 환원가스가 형성되어 공급관(4)을 거쳐 샤프트로(1)에 공급되는 용융가스화로(3)와 연통되고, 공급관(4)의 내부에는 건조 탈분진화용 가스세정수단(4')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이동층"이라는 용어는 계속해서 이동하는 물질흐름을 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중 이동가능한 입자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환원가스와 접하게 된다. 중력에 의하여 계속해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물질흐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로(1)대신에, 벤츄리(Venturi) 유동층과 결합되는 반응로, 순환유동층, 이동 그레이트(traveling grate) 또는 로터리 튜브형 건조로와 결합되는 유동층, 즉 반응로를 환원반응로로서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용융가스화로(3)는 고체탄소운반체용 공급관(5), 산소함유가스용 공급관(6) 및 실온의 액체 또는 기체인 탄화수소와 같은 탄소운반체 및 하소된 플럭스용 공급관(7)을 가진다. 용융가스화로(3) 내부에는, 용융선철(9) 및 용융슬래그(10)가 용융가스화대(8) 아래에 포집되어 출탕구(11)를 통하여 배출된다.
전술한 구조를 나타내는 각각의 가스소스 A 및 B로부터, 배가스는 공급가스관(가스소스 A용 14, 가스소스 B용 14')을 통하여 배출되고, 세정기(15)에서 먼저 세정되어 분진입자를 가능한 완전하게 제거시켜 수증기 함량이 감소된다. 이어서 배가스는 가스압축기(가스소스 A용 16, 가스소스 B용 16')에 의하여 CO2제거기(17)(예를 들면, CO2세정기 또는 프레셔 스윙 흡착기)내를 통과하고, 여기서CO2가 가능하면 완전하게 제거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소스 A 및 B는 서로 병렬로 배열되고, 그들의 공급가스 배출관(14, 14')은 압축기(16, 16') 후방 위치에 유니트화되어, 2개의 공급가스가 가스소스 A 및 B로부터 CO2제거기에 혼합된 상태로 공급된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CO2제거기(17)만 필요하고, 이것은 가스소스 A 및 B로부터의 공급가스 화학성분이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CO2제거기(17)로부터 배출되는 오프가스는 탈황기(18)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CO2가 이렇게 세정된 공급가스는 다음 환원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환원가스 공급관(19)을 통하여, 제1 샤프트로(1)와 같이 이동층이 또한 구비되고 향류원리에 따라 가동되는 샤프트로(20)로서 제작된 제2 환원반응로에 공급된다. 괴상 및/또는 펠릿상, 바람직하게는 금속광석이 제2 샤프트로(20)의 환원대(21)에서 해면철로 직접환원된다. 광석 공급관은 도면 부호 20'으로 나타내고, 해면철 배출수단은 도면 참조 부호 20"으로 나타낸다.
제2 샤프트로(20)에서, 망간광석, 납광석 및 아연광석과 같은 금속광석이 또한 부분환원 또는 완전환원될 수 있다.
가스소스 A 및 B의 혼합된 공급가스는 CO2제거기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냉각되기 때문에, CO2제거기로부터 배출되는 환원가스는 제2 환원샤프트로(20)에 공급되기 전에 가스히터(22)에서 가열된다. 따라서, 환원가스가 제2 환원샤프트로(20)에서 환원에 필요한 600℃ 내지 900℃ 범위의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H2가 풍부한 가스를 환원하기 위하여 900℃ 이상의 온도범위까지도 생각할 수 있다.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제2 환원샤프트로(20)에서 배가스관(23)을 통하여 배출된 배가스 또한 배가스세정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세정 및 냉각되어 분진입자가 제거되고, 수증기 함유량이 감소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급가스관에는 제1 밸브(24, 24') 및 제2 밸브(25, 25')가 구비되고, 이들 모두는 압축기(16) 전방에 배열되어 있다. 제1 밸브 및 제2 밸브(24, 25 또는 24', 25')사이 각각에는, 2개의 가스소스 A 및 B의 공급가스관(14, 14')을 연결하고, 밸브(27)가 고정된 연결관(26)이 구비되어 있다.
가스소스 A의 공급가스관(14)으로부터, 압축기(16) 후단에도 또한 밸브(29)가 고정된 공급가스관(14, 14')을 연결하는 또다른 연결관(28)이 분기되어, 다른 가스소스 B의 압축기(16') 전단 및 가스소스 B의 제2 밸브(25')의 후단인 위치에서 가스소스 B의 공급가스관(14') 내로 개방된다. 이 다른 연결관(28)이 분기되는 배가스관(14)의 분기점 후방 위치에는 추가 밸브(30)가 고정되어 있다.
다른 샤프트로(20)의 배가스관(23)으로부터, 밸브(31)가 고정된 이송관(32)이 분기되어 상기 소스에 배치된 압축기(16) 전방 위치에서 가스소스 A의 공급가스관(14)에 연결된다.
다음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한다.
가스소스 양자 모두가 다른 환원장치, 즉 추가적인 샤프트로(20)용 공급가스를 대체로 동일한 순서(양, 화학성분)로 공급하는 경우, 공급가스관(14, 14')의 밸브 모두는 개방되고, 다른 샤프트로(20)에 형성된 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이송관(32)의 밸브(31) 및 공급가스관(14, 14') 사이 연결관(26, 28)의 밸브(27, 29)는 폐쇄위치로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소스 A가 고장난 경우, 추가 샤프트로(20)에 형성된 배가스 일부가 이송관의 밸브(31)가 개방된 후 이송관(32)을 통하여 공급가스관(14)에 공급된다. 여기서, 재순환된 배가스는, 예를 들어 대기압 보다 높은 약 0.3바의 압력을 나타낸다. 재순환된 배가스는 압축기(16) 및 이 압축기(16) 후단 위치에 공급가스관(14)으로부터 분기된 연결관(28)을 통하여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 B에 배치된 압축기(16')에 전달되고, 가스소스 B로부터의 공급가스와 혼합 및 상기 가스소스 B에 배치된 압축기(16')에 의하여 압축된다. 초기 압축이 대기압 보다 높은, 예를 들어 대략 1.5bar로 실행된 후, 압축기(16')에 의한 제2 압축이 샤프트로(20)에 필요한 대기압보다 높은, 예를 들어 대략 3bar로 실행된다. 여기서, 도 2에 흑색으로 표시된 밸브(24, 30, 27)는 폐쇄상태이고, 밸브(31, 24', 25' 및 29)는 개방상태이다. 도 2(및 도3)에 있어서, 가스의 흐름경로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소스 B가 고장인 경우, 다른 샤프트로(20)에서 재순환된 배가스는 공급가스관(14')의 다른 연결관(28)을 통하여 가스소스 B에 또한 공급되고, 가스소스 A로부터의 공급가스는 제1 연결관(26)을 통하여 가스소스 B의 공급가스관(14')내에 또한 공급된다. 이러는 동안에, 밸브(25, 30, 24')는 폐쇄 위치로 되고, 밸브(31, 24, 27, 29 및 25')는 개방된다.
환원반응로(20)의 샤프트용량 및 압축기(16, 16')의 실제 크기에 따라, 이용가능한 배가스의 100%까지 재순환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는 데는 불활성가스 부분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도 또한 포함된다. 여기에서 필연적인 요건은, 2개의 압축기(16, 16')로 이루어져 2개의 가스소스 A 및 B가 동시에 가동될 때에는 언제나 가스분배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가능하고, 2개의 가스소스 A 및 B 중 하나가 고장인 경우에는 직렬로 연결가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2개 이상의 가스소스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가스소스에 배치된 압축기에 또한 적용된다.

Claims (12)

  1. 각각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철과 같은 해면금속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축되고 선택적으로는 CO2가 제거되며, 가열된 CO 및 H2함유 공급가스가 가스소스(A, B)로부터 환원대(21)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금속광석과 반응 후 환원대(21)로부터 배가스로서 배출되어 소진기에 추가로 사용하며, CO2제거후 선택적으로 재생되고,
    CO 및 H2함유 공급가스는 최소한 2개의 가스소스(A, B)로부터 환원대(21) 내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가스소스(A, B) 중 하나의 고장은 환원대(21)로부터의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의 배가스를 재순환함으로써 보상되며, 배가스는 압축, CO2제거, 및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A 또는 B 각각)로부터 공급되는 공급가스와 함께 환원대(21)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스(A, B)중 하나가 고장인 경우, 상기 환원대(21)로부터의 재순환된 배가스는 사전 압축되고, 상기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A 또는 B 각각)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환원가스에 사전압축된 상태로 혼합되어 상기 환원가스와 함께 추가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스중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는 철광석이 해면철로 직접환원되는 제1 환원대(12)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해면철은 탄소운반체 및 산소함유가스의 공급으로 용융가스화대(8)에서 용융되어 CO 및 H2함유 환원가스가 생성되며, 상기 제1 환원대(12)에 공급되어 반응한 후 다른 환원대(21)용의 공급가스로서 배출되고, 상기 공급가스는 상기 다른 환원대(21)에 공급되기 전에 압축, CO2제거 및 선택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스(A, B)중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를 석탄가스화 수단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스(A, B)중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가 고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해면금속 생산방법을 샐행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로서,
    각각의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철과 같은 해면금속을 생산하는 환원반응로(20),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상기 환원반응로(20)와 통하는 광석 공급관(20'),
    상기 환원반응로(20)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23), 및
    상기 환원반응로(20)에 형성된 환원제품용 배출 수단(20")
    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소스(A)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고급가스를 전달하는 공급가스관(14)이 CO 및 H2함유 공급가스를 분배하는 가스소스(A)로부터 압축기(16) 및 선택적으로 CO2제거기(17)를 통하여 상기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선택적으로 가스히터기(22)로 통하고, CO 및 H2함유 가스를 분배하는 최소한 제2 가스소스(B) 또한 압축기(16')를 구비한 공급가스관(14') 및 선택적으로 CO2제거기(17)를 통하여 상기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선택적으로 가스히터기(22)로 통하고, 상기 환원반응로(20)에 형성된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분의 배가스용 이송관(32)은 연결관(28)을 통하여 직렬로 연결가능한 압축기(16, 16'), CO2제거기(17) 및 선택적으로 가열수단(22)을 통하여 환원반응로(20)의 환원가스 공급관(19)과 유체연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스(A, B)로부터 분기된 2개의 공급가스관(14, 14')이 각 하나의 압축기(16, 16') 내로 통하기 전에 밸브(24, 25, 24', 25')에 의하여 별개로 차단가능하여 연결관(26)을 통하여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는 철광석용 제1 환원반응로(1),
    용융가스화로(3),
    상기 용융가스화로(3)와 상기 제1 환원반응로(1)를 연결하는 환원가스용 공급관(4),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와 상기 용융가스화로(3)를 연결하는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 형성된 상기 환원제품용 이송관(13),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14),
    상기 용융가스화로(3)내로 개방되는 산소함유가스 및 탄소 운반체용 공급관(6, 7), 및
    상기 용융가스화로(3)에 구비된 선철(9) 및 슬래그(10)용 출탕구(11)
    를 포함되고,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서 분기된 상기 배가스 배출관이 공급가스관(14, 14')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가스소스(A, B)는 각각 하나의 용융가스화로(3)를 가지는 제1 환원반응로(1)에 의하여 동일방식으로 형성되고, 공급가스관(14, 14')을 통하여 각각 하나의 압축기(16, 16')를 거쳐 추가적인 환원반응로(20)의 환원가스 공급관(19)과 유체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
  10. 각각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철과 같은 해면금속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축되고 선택적으로는 CO2가 제거되며, 가열된 CO 및 H2함유 공급가스가 가스소스(A, B)로부터 환원대(21)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금속광석과 반응 후 환원대(21)로부터 배가스로서 배출되어 소진기에 추가로 사용하며, CO2제거후 선택적으로 재생되고,
    CO 및 H2함유 공급가스는 최소한 2개의 가스소스(A, B)로부터 환원대(21)내에 공급되어 환원가스로서 기능하고, 가스소스(A, B) 중 하나의 고장은 환원대(21)로부터의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의 배가스를 재순환함으로써 보상되며, 배가스는 압축, CO2제거, 및 선택적으로 가열되어 사용되지 않은 다른 가스소스(A 또는 B 각각)로부터 공급되는 공급가스와 함께 환원대(21)에 공급되고,
    상기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은 괴상 또는 펠릿상, 또는 괴상 및 펠릿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해면금속 생산방법을 실행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로서,
    각각의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 및 선택적으로는 플럭스를 포함하는 장입물질로부터 해면철과 같은 해면금속을 생산하는 환원반응로(20),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상기 환원반응로(20)와 통하는 광석 공급관(20'),
    상기 환원반응로(20)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23), 및
    상기 환원반응로(20)에 형성된 환원제품용 배출 수단(20")
    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소스(A)에 의하여 분배된 상기 공급가스를 전달하는 공급가스관(14)이 CO 및 H2함유 공급가스를 분배하는 가스소스(A)로부터 압축기(16) 및 선택적으로 CO2제거기(17)를 통하여 상기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선택적으로 가스히터기(22)로 통하고, CO 및 H2함유 가스를 분배하는 최소한 제2 가스소스(B) 또한 압축기(16')를 구비한 공급가스관(14') 및 선택적으로 CO2제거기(17)를 통하여 상기 환원가스 공급관(19) 및 선택적으로 가스히터기(22)로 통하고, 상기 환원반응로(20)에 형성된 배가스 중 최소한 일부분의 배가스용 이송관(32)은 연결관(28)을 통하여 직렬로 연결가능한 압축기(16, 16'), CO2제거기(17)및 선택적으로 가열수단(22)을 통하여 환원반응로(20)의 환원가스 공급관(19)과 유체연통가능하고,
    상기 금속광석 또는 철광석은 괴상 또는 펠릿상, 또는 괴상 및 펠릿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정치.
  12. 제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가스소스는 철광석용 제1 환원반응로(1),
    용융가스화로(3),
    상기 용융가스화로(3)와 상기 제1 환원반응로(1)를 연결하는 환원가스용 공급관(4),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와 상기 용융가스화로(3)를 연결하는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 형성된 상기 환원제품용 이송관(13),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서 분기된 배가스 배출관(14),
    상기 용융가스화로(3)내로 개방되는 산소함유가스 및 탄소 운반체용 공급관(6, 7), 및
    상기 용융가스화로(3)에 구비된 선철(9) 및 슬래그(10)용 출탕구(11)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원반응로(1)에서 분기된 상기 배가스 배출관이 공급가스관(14, 14')으로 기능하고,
    상기 철광석은 괴상 또는 펠릿상, 또는 괴상 및 펠릿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금속 생산장치.
KR10-1998-0706980A 1996-03-05 1997-03-03 해면금속생산방법및생산장치 KR100432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414/96 1996-03-05
AT0041496A AT403380B (de) 1996-03-05 1996-03-05 Verfahren zum reduzieren von metallschwamm
PCT/AT1997/000044 WO1997033005A1 (de) 1996-03-05 1997-03-03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etallschwam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543A KR19990087543A (ko) 1999-12-27
KR100432273B1 true KR100432273B1 (ko) 2004-09-08

Family

ID=348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980A KR100432273B1 (ko) 1996-03-05 1997-03-03 해면금속생산방법및생산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235081B1 (ko)
EP (1) EP0925375B1 (ko)
JP (1) JP4249259B2 (ko)
KR (1) KR100432273B1 (ko)
CN (1) CN1068056C (ko)
AT (1) AT403380B (ko)
AU (1) AU720184B2 (ko)
BR (1) BR9707945A (ko)
CA (1) CA2248227A1 (ko)
CZ (1) CZ288010B6 (ko)
DE (1) DE59704812D1 (ko)
ID (1) ID16134A (ko)
MX (1) MX9807177A (ko)
PL (1) PL328652A1 (ko)
RU (1) RU2191208C2 (ko)
SK (1) SK283078B6 (ko)
TR (1) TR199801741T2 (ko)
TW (1) TW429174B (ko)
WO (1) WO1997033005A1 (ko)
ZA (1) ZA971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1799A2 (en) * 2001-06-12 2002-12-19 Verteq, Inc. Stackable process chambers
US7100304B2 (en) * 2001-06-12 2006-09-05 Akrion Technologies, Inc. Megasonic cleaner and dryer
AT507954B1 (de) 2009-02-20 2010-12-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eiden eines gasförmigen bestandtei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3088A (en) 1951-08-09 1953-09-22 Robert D Pike Direct production of steel from oxides of iron
DE2126803A1 (de) * 1971-05-29 1972-12-14 Fried. Krupp Gmbh, 4300 Es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hl
JPS62247018A (ja) * 1986-04-18 1987-10-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材原料溶解方法
JPH01129914A (ja) * 1987-11-13 1989-05-23 Kawasaki Heavy Ind Ltd 溶融還元および精錬の方法
DE4037977A1 (de) 1990-11-29 1992-06-11 Voest Alpine Ind Anla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eisen bzw. eisenschwamm
AT396255B (de) 1991-09-19 1993-07-26 Voest Alpine Ind Anlagen Anlage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roheisen und eisenschwamm
US5676732A (en) * 1995-09-15 1997-10-14 Hylsa, S.A. De C.V. Method for producing direct reduced iron utilizing a reducing gas with a high content of carbon mon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71845B (en) 1997-09-04
CZ288010B6 (cs) 2001-03-14
TR199801741T2 (en) 1998-12-21
AU1759797A (en) 1997-09-22
DE59704812D1 (de) 2001-11-08
CZ282498A3 (cs) 1999-01-13
BR9707945A (pt) 1999-07-27
PL328652A1 (en) 1999-02-15
SK122198A3 (en) 1999-05-07
JP2000506220A (ja) 2000-05-23
KR19990087543A (ko) 1999-12-27
US6235081B1 (en) 2001-05-22
ID16134A (id) 1997-09-04
AT403380B (de) 1998-01-26
SK283078B6 (sk) 2003-02-04
WO1997033005A1 (de) 1997-09-12
CN1068056C (zh) 2001-07-04
EP0925375A1 (de) 1999-06-30
JP4249259B2 (ja) 2009-04-02
EP0925375B1 (de) 2001-10-04
CA2248227A1 (en) 1997-09-12
MX9807177A (es) 1998-12-31
RU2191208C2 (ru) 2002-10-20
TW429174B (en) 2001-04-11
AU720184B2 (en) 2000-05-25
ATA41496A (de) 1997-06-15
CN1212731A (zh) 199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54062B2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pig iron or liquid steel precursors
CN1046960C (zh) 生产生铁水的方法及装置
US4045214A (en) Method for producing steel
US95124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oducing fine particle-shaped material into the fluidised bed of a fluidised bed reduction unit
KR20030055357A (ko)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공정에 있어서함철더스트 및 슬러지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N101386897A (zh) Sdrf炉炼铁工艺技术
RU2211865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чугуна и/или губчатого желез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чугуна и/или губчатого железа
KR19990087540A (ko) 용융선철 또는 용강 중간제품의 생산방법 및 동 생산방법을실행하는 설비
KR100432273B1 (ko) 해면금속생산방법및생산장치
KR100244977B1 (ko) 용융 선철 또는 용융 강 전제품과 해면철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랜트
RU2164951C2 (ru) Плавильно-газифик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получения расплава металл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расплавов металла
KR19990087542A (ko) 해면금속 생산용 설비 및 방법
SK140598A3 (en) Method of producing liquid crude iron or liquid steel fabricated materials
KR20000048978A (ko) 액체 선철 또는 스틸 제조 재료 생산 방법 및 이 방법 실행 장치
AU744597B2 (en) Method for producing zinc using the is process in an is shaft furnace and corresponding is shaft furnace
JPS62228889A (ja) 鉄鉱石予備還元設備における予熱装置
JPH04361921A (ja) スポンジ鉄の輸送方法
JPS58210110A (ja) 溶融還元設備における粉粒状予備還元鉱石の輸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