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69B1 - 삽입부재와관형부재의결합을플랜징에의해서수행하는방법 - Google Patents

삽입부재와관형부재의결합을플랜징에의해서수행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69B1
KR100432069B1 KR1019970701933A KR19970701933A KR100432069B1 KR 100432069 B1 KR100432069 B1 KR 100432069B1 KR 1019970701933 A KR1019970701933 A KR 1019970701933A KR 19970701933 A KR19970701933 A KR 19970701933A KR 100432069 B1 KR100432069 B1 KR 100432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flanging
region
casing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088A (ko
Inventor
요헨 로제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04D5/002Regenerative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6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by a form fit connection, e.g. by inter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10T29/49917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by necking in cup or tube wall
    • Y10T29/49918At cup or tub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관형 부재(10)에 단면으로부터 삽입 부재(12)가 끼워넣어지고, 삽입 부재(12)는 관형 부재(10)의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스토퍼(24)에 접한다. 관형 부재(10)는 직경에 확대된 영역(30)을 갖고 있으며, 상기 확대된 영역(30)은 공구 부재(36)의 개구(38)내에 밀어 넣어져서, 탄성적으로 공구 부재(36)의 개구(38)의 횡단면에서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서 관형 부재(10)의 자유 단부(60)는 값(△1)만큼 신장되고, 이렇게 신장된 값(△1)은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을 형성하기 위해서 케이싱(10)이 단축된 길이다. 플랜지부가 구부러져서 탄성적으로 복귀된 후에 케이싱(10)이 공구 부재(36)로부터 이동된다. 탄성 변형된 영역(30)은 탄성적으로 그 출발 상태로 복귀되며, 이에 의해서 케이싱(10)은 상기 값(△1) 만큼 단축되고 삽입 부재(12)로의 플랜지부의 단단히 조이는 힘이 발생된다.

Description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4013032호 명세서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의 경우, 삽입 부재는 커버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케이싱으로서 형성된 관형 부재의 단부로부터 도입된다. 커버는 케이싱의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스토퍼에 접하며,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계속하여, 케이싱의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커버를 너머 돌출되는 가장자리부가 소성 변형에 의해서 케이싱의 세로 방향 축선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플랜징 가공된다. 따라서, 케이싱의 상기 가장자리부는 커버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피복되어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커버에 접한다. 이 경우, 커버는 스토퍼와 케이싱의 플랜징 가공된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에서 고정되고 있다. 케이싱의 가장자리부를 플랜징 가공할 때는 케이싱이 케이싱의 세로 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압박되며, 플랜징 후에 다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이 때 플랜지부의 유지력은 감소되고, 부적합한 상황에서는 유지력이 0(zero)으로 될 경우도 있다.
또한, 플랜지부의 유지력의 유지가 확실하게 되어 있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관형 부재는 삽입 부재가 도입되는 측의 단부에서, 적어도 관형 부재의 주위면의 일부에 걸쳐서 관형 부재의 나머지의 영역과 비교해서 확대된 직경을 구비한 영역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관형 부재의 다른 측의 단부로부터 개구를 구비한 환형의 공구 부재가 눌러 끼워진다. 상기 개구의 횡단면은 관형 부재의 확대된 외측 횡단면을 구비한 영역 보다 작고, 적어도 나머지의 관형 부재의 외측 횡단면과 동일한 크기이다. 공구 부재와 관형 부재 사이에서 세로 방향 축선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행해지며, 공구 부재는 관형 부재의 확대된 외측 횡단면을 구비한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 영역은 소성 변형되어 세로 방향 축선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환형의 공구 부재가 관형 부재의 확대된 외측 횡단면을 구비한 영역을 따라서 이동되는 동안, 동시에 관형 부재에 인장력이 작용해서 관형 부재의 플랜지형 플랜지부의 형성 후에 발생하는 탄성적인 복귀에 의해서 삽입 부재측으로의 유지력은 더욱 높아지며, 나아가서는 관형 부재에 있어서의 삽입 부재의 확실한 고정이 달성된다.
펌프 부재가 끼워지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 나머지의 영역에 비해서 확대된 외측 횡단면을 갖고 영역은 그 제조를 위해서 예컨대 디프 드로잉에 의한 다수의 작업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 개념에 기재된 형식의,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flanging)에 의해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구 부재에 의한 플랜징 결합부의 형성의 제 1 단계에 있어서의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형성된 플랜지부가 탄성적으로 복귀한 후의, 공구 부재 내에 단단히 조여진 관형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종료 후의 플랜징 결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관형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징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것에 대해서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즉,관형 부재에 직경이 확대된 영역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은 플랜징 과정중에 관형 부재를 수용하는 공구 부재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며, 이에 의해서 관형 부재의 자유 단부가 신장되며, 이 경우, 플랜징 과정 후에 관형 부재의 탄성적인 영역이 변형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서 플랜지부의 탄성적인 복귀를 보상할 수 있고, 삽입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단히 조여지고 관형 부재내에서 유지되어 확실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2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다른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유닛은 관형 부재(10)와, 상기 관형 부재(10) 내에 배치된 삽입 부재(12)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유닛이라 함은 자동차의 내연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유닛이다. 이 경우, 관형 부재(10)는 케이싱이며, 삽입 부재(12)는 단부에서 케이싱(10) 내에 끼워지는 펌프 부재이다.
케이싱(10) 내에 펌프 부재(12) 이외에 전기적인 구동 모터가 수용되어 있다. 펌프 부재(12)는 유체 펌프 부재로서 구성되고, 임펠러 휘일(14)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임펠러 휘일(14)은 케이싱(10)의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2 개의 벽부분(15,16)에 의해 제한된 펌프실(18)에 배치되어 있다. 벽부분(15,16)은 상기 임펠러 휘일(14)에 직면한 단부에 각각 1 개의 환형의 공급 통로(19,20)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공급 통로(19,20)는 임펠러 휘일(14)의 날개와 동일한 직경으로 배치되어 있다. 양 벽부분(15,16) 사이에는 케이싱(10)의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제공되어 있으며, 임펠러 휘일(14)이 일정한 축방향 간극을 유지하며 펌프실(18)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내측의 벽부분(15)은 펌프실(18)을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제한하는 원통형의 숄더부(22)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숄더부(22)의 전방부에는 외측의 벽부분(18)이 접하고 있다.
케이싱(10)은 펌프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 영역에 상기 케이싱(10)의 나머지의 영역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으며,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의 전이부에는 케이싱(10)의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에 배치된 케이싱(10)의 전방 단부를 향한 단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24)는 펌프 부재(12)가 내측의 벽부분(15)을 거쳐서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접하는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펌프 부재(12)를 위한 축방향의 스토퍼(24)는 케이싱(10)에 배치된 다른 구성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된다(도 4 참조).
케이싱(10)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펌프 부재(12)가 삽입되는단부 영역에는 케이싱(10)의 나머지 영역과 비교해서 확대된 직경, 특히 확대된 외경을 구비한 영역(30)을 갖고 있다. 케이싱(10)의 영역(30)의 외경은 도면 부호 D1로 나타내고 있으며, 케이싱(10)의 영역(30)에 계속하는 나머지 영역의 외경은 도면 부호 D2로 나타내고 있다. 영역(30)은 케이싱(10)의 주위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고 있으며, 환형의 엠보싱 가공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엠보싱 가공부는 그 영역(30)에 걸쳐서 동일한 곡률을 갖고 있으며 낫 모양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형의 엠보싱 가공부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는 제조 기술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적어도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 특히 금속으로 되어 있고, 예컨대 디프 드로잉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구성에 의해서 케이싱(10)의 전체 길이는 값(△1)만큼 단축되어 있다. 확대된 영역(30)의 외경(D1)이 외경(D2)과 비교해서 확대된 값은 케이싱(10)의 전체 길이가 단축된 값(△1)을 규정한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축된 값(△1)은 케이싱(10)내에서 스토퍼(24)에 대해서 삽입 부재(12)를 유지하는 유지력 또는 단단히 조이는 힘을 규정한다.
도 1에는 펌프 부재(12)가 끼워지고 있으나, 아직은 펌프 부재(12)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케이싱(10)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직경이 확대된 영역(30)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케이싱(10)의 상방으로 환형의 공구 부재(36)가 밀어 넣어진다. 상기 공구 부재(36)는 개구(38)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개구(38)의 직경(D3)은 케이싱(10)의 직경이 확대된 영역(30) 이외의 직경(D2)보다 약간 크므로 공구 부재(36)는 케이싱(10)에 걸리지 않고 영역(30)까지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공구 부재(36)는 장치의 일부로서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10)은 공구 부재(36)의 개구(38)의 도 1의 화살표(39)의 방향에서 밀어넣어지든가 케이싱(10)이 장치 내에 클램핑으로서 고정되고, 다음에 공구 부재(36)가 케이싱(10)에 도 1의 화살표(40)의 방향에서 밀어 끼워진다.
선택적으로, 공구 부재(36)는 확대 개방된 정지 상태에 있어서 확대된 영역(3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는 세그먼트 형상의 링으로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세그먼트 형상의 링은 단단히 조이거나 또는 작업 상태로 이행 가능하다. 이런 상태에 있어서 세그먼트 형상의 링은 확대된 영역(30)을 클램핑한다. 따라서 확대된 영역(30)을 자유롭게 공구 부재(36)에 있어서의 가공 위치에 끼워넣을 수 있다.
공구(36)의 개구(38)는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에 직면한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직경(D3)으로부터 폭이 확대되어 만곡되고 있는데, 예컨대 원추형으로 직경(D3)으로부터 폭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펌프 부재(12)의 내측의 벽부분(15)은 펌프 부재(12)의 외측의 벽부분(16)에 작용하는 구속 부재(41)에 의해서 단차부(24)에 접하여 유지된다. 케이싱(10)과 공구 부재(36) 사이에는 계속해서 케이싱(10)이 고정 공구(36)에 대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 상대 운동이 발생된다. 이 경우, 공구 부재(36)는 직경의 확대된 영역(30)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한다. 이것은 공구 부재(36)의 만곡되거나 경사진 가장자리부와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경사지거나 만곡된 상승부 또는 삽입 경사부에 의해서 용이하게 되어 있다. 영역(30)은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부재(36)에 의해서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에서 내향으로 가압되고, 탄성 변형되어 영역(30)의 내주면이 펌프 부재(1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케이싱(10)은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원래의 길이까지 신장되고,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케이싱(10)의 전체 길이의 값(△1)만큼의 단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된다. 이 경우, 공구 부재(36)의 개구(38)의 직경(D3)이 케이싱(10)의 외경(D2)에 상응한 경우에 케이싱(10)의 원래의 길이가 달성된다.
공구(36)의 케이싱(10)에 대한 도 2에 도시된 배치에 있어서 통상의 플랜징용 공구를 사용하여 펌프 부재(12)가 끼워지는 단부(60)의 플랜징이 행해진다. 이 경우, 펌프 부재(12)의 내측의 벽부분(15)은 그 외측의 벽부분(16)에 작용하는 구속 부재(41)를 사용하여 단차부(24)에 접하여 유지된다. 플랜징 과정이 종료되어서 플랜징 압력이 약해지면 케이싱(10)은 탄성적으로 원래로 복귀된다. 즉, 케이싱(10)의 플랜징된 자유 단부(60)는 플랜징 후에 값(b)만큼 얼마간 재차 탄성 복귀된다. 이에 의해서 통상, 플랜징의 유지력이 감소된다.
플랜지부가 형성된 후에는 케이싱(10)은 고정된 공구 부재(36)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구 부재(36)로부터 화살표(39)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선택적으로, 케이싱(10)이 장치에 단단히 조여지고 있고 공구 부재(36)가 미리 화살표(40)의 방향으로 케이싱(10)에 눌러 끼워지고 있는 경우에는, 케이싱(10)은 화살표(40)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제거된다. 플랜징 과정시에 영역(30)을 에워싸고 단단히 조이는 공구 부재(36)에 의해서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이 탄성 변형되어있으므로,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은 변형되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서 케이싱(10)이 값(△1)만큼 단축된다. 상기 단축된 값(△1) 만큼의 탄성적인 복귀를 보상하고 적어도 근소한 단단한 조임으로 펌프 부재(12)를 스토퍼(24)로 향해서 고정한다. 이에 의해서 플랜징의 유지력이 유지되며 펌프 부재(12)를 케이싱(10)내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은 케이싱(10)의 전체 길이의 값(△1)의 단축을 갖는 직경(D1)을 갖고 있는 것이 양호하며, 이 경우 케이싱(10)은 영역(30)이 변형되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면 펌프 부재(12)를 케이싱을 향해서 단단히 조여서 고정함으로서 펌프 부재(12)로의 유지력이 더욱 높아진다.
도 4에는 케이싱(11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10)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벽 두께를 갖고 있다. 케이싱(110)의 펌프 부재(12)가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는 단부 영역에는 케이싱(10)에 배치된 관(151)에 의해 케이싱(10)의 큰 직경에서 관(151)의 작은 직경으로의 전이부에 케이싱(10)의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에 배치된 케이싱(10)의 단부를 향한 단차부(24)가 형성된다. 스토퍼를 형성하고 케이싱(110)과 관(151)에 의해서 형성된 단차부(24)에는 펌프 부재(12)가 내측의 벽부분(15)을 거쳐서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접한다.
이와 같은 선택적인 구성은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이 케이싱(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케이싱(110)내에 배치된 관(151)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방법 단계에서,느슨하게 케이싱(110)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직경(D1)으로부터 직경(D3)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케이싱(10)이 신장될 수 있다. 이는 케이싱(110)이 스토퍼(24)에 직접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이 위치에서 자유 단부(6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플랜징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케이싱(110)이 공구 부재(36)로부터 이동되며 단단히 조여져서 유지된 확대된 영역(30)이 원래의 직경(D1)으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서 케이싱(110)의 전체 길이가 값(△1)만큼 재차 단축된다. 이 시점에서 관(151)은 이동 불가능하게 케이싱(110)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펌프 부재(12)는 플랜지부에 의해서 가해진 단단히 조여진 힘에 의해서 단단히 조여져서 관(151)에 의해서 형성된 스토퍼(24)에 접한다.
선택적으로, 케이싱(10; 110)은 직경이 확대된 2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30)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확대된 영역(30)은 적어도 화살표(39)의 방향에서 1개의 도입 경사부 또는 평평하게 상승 구배가 붙여진 적어도 1개의 가장자리부 구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서 케이싱(10; 110)을 공구 부재(36)의 개구(38)에 도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상기 도입 경사 부분과는 반대측의 구배를 보다 급한 경사로 형성하고 환형의 엠보싱 가공부가 일정한 연장을 갖고 있을 필요가 없게 해도 좋다.

Claims (11)

  1. 삽입 부재(12)를 관형 부재(10)에 단부로부터 도입하여, 관형 부재(10; 110)의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에서 스토퍼(24)에 접하게 하고, 상기 관형 부재(10; 110)의 돌출된 가장자리부(60)를 상기 삽입 부재(12)에 피복되도록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플랜징하며, 삽입 부재(12)를 세로 방향 축선(11)의 방향으로 스토퍼(24)와 플랜징된 가장자리부(60) 사이에서 고정함으로써,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10, 110)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10; 110)는 적어도 주위면의 일부에 거쳐서 확대된 직경을 구비한 1개 이상의 영역(30)을 갖고 있으며,
    상기 영역(30)을 공구 부재(36)에 의해서 탄성 변형시켜서 세로 방향 축선(11)에 대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관형 부재(10)를 값(△1) 만큼 신장시키며, 상기 값(△1)은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관형 부재(10; 110)를 짧게 하는 값(△1)이며,
    상기 신장된 관형 부재(10; 110)의 가장자리부(60)를 플랜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부재(36)는 확대된 상기 영역(30)을 탄성 변형에 의해서 원래의 길이로 신장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관형 부재(10; 110)의 자유단부(60)를 플랜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랜징 과정 후에 상기 관형 부재(10; 110)를 공구 부재(36)로부터 제거하고, 탄성 변형된 영역(30)은 탄성적으로 출발 상태로 복귀되며, 플랜지부의 탄성적인 복귀가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은 공구 부재(36)의 눌러 끼움 방향에 형성된 도입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10; 110)의 직경을 플랜징 하여, 상기 공구 부재(36)를 관형 부재(10; 110)로부터 제거한 후에 삽입 부재(12)가 가볍게 단단히 조여져서 스토퍼(24)에 대해서 고정되는 값만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관형 부재(10)의 경우에 직경이 확대된 1 개 이상의 영역(30)을 상기 관형 부재(10)의 삽입 부재(12)가 도입되는 측의 단부(60)와 상기 관형 부재(10)에 일체 성형된 스토퍼(24) 사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관형 부재(110)의 경우에, 직경이 확대된 1 개 이상의 영역(30)을 상기 관형 부재(110)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이 확대된 2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30)을 상기 관형 부재(10; 110)의 주위면 범위에 가공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이 확대된 영역(30)을 환형의 엠보싱 가공부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대된 영역(30)의 탄성 변형은 환형의 공구 부재(36)를 피복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대된 영역(30)의 탄성 변형을 공구 부재(36)에 의해서 수행하고, 상기 공구 부재(36)는 세그먼트 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은 반경 방향에서 확대 가능하며 클램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부재와 관형 부재의 결합을 플랜징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
KR1019970701933A 1995-07-25 1996-05-28 삽입부재와관형부재의결합을플랜징에의해서수행하는방법 KR100432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7125A DE19527125A1 (de) 1995-07-25 1995-07-25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eines Einsatzteils mit einem rohrartigen Teil mittels Bördelung
DE19527125.4 199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088A KR970706088A (ko) 1997-11-03
KR100432069B1 true KR100432069B1 (ko) 2004-10-14

Family

ID=776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933A KR100432069B1 (ko) 1995-07-25 1996-05-28 삽입부재와관형부재의결합을플랜징에의해서수행하는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4768A (ko)
EP (1) EP0782484B1 (ko)
JP (1) JPH10506578A (ko)
KR (1) KR100432069B1 (ko)
CN (1) CN1075750C (ko)
DE (2) DE19527125A1 (ko)
WO (1) WO1997004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663B2 (ja) * 2003-12-24 2010-12-22 日本化薬株式会社 管材の仕切り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管材及びガス発生器
US7389743B2 (en) 2004-12-17 2008-06-24 Adams Land & Cattle Co. Livestock sorting facility
DE102010043594B4 (de) 2010-11-09 2018-05-1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Werkzeug zum axialen Befestigen einer Gleitlagerbuchse
DE102012211311A1 (de) * 2012-06-29 2014-01-02 Behr Gmbh & Co. Kg Abgaswärmeübertrager
CN108067555B (zh) * 2016-11-08 2020-03-17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金属件的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6877A (en) * 1919-09-23 Pkocess of making swivels
US2219301A (en) * 1939-04-15 1940-10-29 Squibb & Sons Inc Hypodermic unit
US2852843A (en) * 1955-04-25 1958-09-23 Aerojet General Co Method of making metal joint
US2910983A (en) * 1957-07-16 1959-11-03 S & R J Everett & Co Ltd Sewing needles
GB1111593A (en) * 1964-09-25 1968-05-01 Nat Res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securing of sleeves in cylinder bores
US3442491A (en) * 1966-01-25 1969-05-06 Friedrich Messerschmidt Needle type fuel injection assembly
US3556567A (en) * 1969-02-10 1971-01-19 Peerless Of America Tube joints
US3723949A (en) * 1971-07-02 1973-03-27 Wall Able Mfg Corp Phono plug and method of making
US4020538A (en) * 1973-04-27 1977-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machinery blade tip cap configuration
US4269438A (en) * 1974-11-27 1981-05-26 Ridenour Ralph Gaylord Tube-to-tube joint
US3940843A (en) * 1974-12-16 1976-03-02 R. E. Chapin Manufacturing Works, Inc. Method of forming an extension tube assembly
DE2557628C3 (de) * 1975-12-20 1979-08-23 Hermann Hemscheidt Maschinenfabrik Gmbh & Co, 5600 Wuppertal Verbindung eines rohrförmigen Körpers mit einem aufgesteckten Hohlkörper
US4117261A (en) * 1976-07-06 1978-09-26 The Boeing Company Insulating stand-off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4257155A (en) * 1976-07-26 1981-03-24 Hunter John J Method of making pipe coupling joint
US4103937A (en) * 1976-11-26 1978-08-01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Self-aligning permanent fitting
DE2706396C2 (de) * 1977-02-15 1982-07-22 Kolomenskij zavod tekstil'nogo mašinostroenija, Kolomna, Moskovskaja oblas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nlösbaren Verbindung zwischen Teilen eines Rohres und eines Verschlusses
DE3642115C2 (de) * 1986-12-10 1995-11-16 Skf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festigen von Lagerringen
US4848448A (en) * 1987-12-28 1989-07-18 Mccord Heat Transfer Corporation Heat exchange assembly
US4932114A (en) * 1988-07-14 1990-06-12 North American Instrument Corp. Method of making a rotating adapter for catheters
JPH0736925B2 (ja) * 1988-07-14 1995-04-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複層結合棒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4002019C2 (de) * 1990-01-24 1999-04-01 Perrot Bremse Gmbh Deutsche Verfahren zum dauerhaften Verbinden eines zylindrischen Kerns aus einem wärmeisolierenden Material mit einem becherförmigen Teil aus Metall
GB2243250B (en) * 1990-04-17 1994-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An in-tank type motor-operated pump incorporating an electrical noise suppressor
CH686348A5 (fr) * 1991-08-02 1996-03-15 Honeywell Lucifer Sa Procédé d'assemblage d'une retenue d'une pièce circulaire dans une pièce tubulaire.
DE4435466A1 (de) * 1994-10-04 1996-04-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eines Einsatzteils mit einem rohrartigen Teil mittels Börde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06578A (ja) 1998-06-30
EP0782484B1 (de) 2000-03-15
KR970706088A (ko) 1997-11-03
WO1997004898A1 (de) 1997-02-13
CN1156978A (zh) 1997-08-13
CN1075750C (zh) 2001-12-05
US6134768A (en) 2000-10-24
DE59604677D1 (de) 2000-04-20
EP0782484A1 (de) 1997-07-09
DE19527125A1 (de) 199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015B1 (ko) 연결헤드부가 형성된 고압용 금속파이브 및 그 성형방법
US5253773A (en) Filler tube for liquid containers
KR100261958B1 (ko) 아이조인트와 세경금속관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US7210708B2 (en) Tube joint
JPH0643317U (ja) 結合クリップ
JP2004347074A (ja) 管継手
HU218753B (hu) Eljárás csővég felbővítésére
US5901987A (en) Method of making an endpiece, an endpiece and a connector made by the method, and a circuit including such a connector
KR100432069B1 (ko) 삽입부재와관형부재의결합을플랜징에의해서수행하는방법
US4921368A (en) Fastening of a sealing bellows to the joint housing of a ball joint
CN218615513U (zh) 一种工业管扣压模具
EP0505136A1 (en) Tube connection
US5310224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hose coupling component intended particularly for a hose connection between a turbo unit and an air cooler, and a hose coupling component of this type
US651321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ing collar, notably for a clutch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03247684A (ja) 金属管端末の接続構造
JPH08117895A (ja) 縁曲げ部を用いて挿入部分と管状部分との結合部を製造する方法
US2002018700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chanical link
US6012896A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nnection of an insert part to a tubular part by means of flanging
JPH05141323A (ja) 噴射弁
US20040255432A1 (en) Hose clamping device
JP3620114B2 (ja) パイプ加工方法
US5971028A (en) Protecting cap for banjo member used in banjo type joint
JP3762467B2 (ja) 細径金属管と可撓ホースとの接続構造
JPH08121666A (ja) 継手部をもつホース
US11953130B2 (en) Collar assembly for fixing a tubular article onto an externa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