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00B1 - 배선 정리기 - Google Patents

배선 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00B1
KR100432000B1 KR10-2001-0062519A KR20010062519A KR100432000B1 KR 100432000 B1 KR100432000 B1 KR 100432000B1 KR 20010062519 A KR20010062519 A KR 20010062519A KR 100432000 B1 KR100432000 B1 KR 10043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ove
cords
wi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396A (ko
Inventor
박종윤
Original Assignee
박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윤 filed Critical 박종윤
Priority to KR10-2001-006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00B1/ko
Priority to PCT/KR2002/001890 priority patent/WO2003043396A1/en
Publication of KR2003003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일상생활에서 사용이 계속 증가되는 전기-전자제품 및 많은 산업용 전기-전자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될 수밖에 없는 전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정리되지 못하고 매우 불규칙하게 널려져 있는 경우가 많아, 미관상 매우 어지럽고 불결하게 보이고, 경우에 따라선, 전선들이 뒤얽혀 누전, 합선 및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얽힌 전선 또는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수리(修理)하는데 추가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였는데, 이 발명은, 시각적으로도 정리 정돈되어 미관상 미려하게 보이게 하며, 합선이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수리가 편리하도록 고안한 발명이다.
본 발명, 배선(wire) 정리기는 절전체(絶電體)를 재료로 이용하여 제조하며, 본체(1) 및 덮게(cover)(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는 벽이나 철판을 포함한 판(board) 등에 나사(screw)나 못(nail)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은 구멍(6)이 있으며, 본체 바닥(8)에는 강력한 접착제가 칠해져 있어, 이들을 이용해서도 고정시킬 수 있게 제작될 것이다. 전선을 포함하는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하게될 본체(1)의 홈(3)에 여러 종류의 끈을 위치시킨 후 덮게(2)를 덮고, 나사(6)로 고정시킴으로서, 이 발명은 홈(3)에 위치할 전선을 포함한 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분리되어 홈에 잡혀(entrap) 고정됨으로써, 전선이나 끈(cord 또는 cable)을 순서대로 정리하여 이들의 분류 및 확인이 쉽게 하도록 되어 있어, 시각적으로도 정리정돈이 잘되어 미관상 미려하게 보이게 하며, 기본 재료가 절전체로제조되어 있는 이유로 누전이나 합선 등에 의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순서가 정리되어 수리가 용이하도록 고안되었다.

Description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과거 백 여년 전부터 전기 및 전화의 공급과 함께 전선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배선은 현대 생활의 필요 불가결한 요소로 발달하게 되었다. 최근 급속한 인터넷 통신망의 발달과 함께 근거리의 통신을 포함하여, 이웃과의 또는 각 가정 내의 전기-전자 회로망(network)은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이러한 회로망을 구성하는데는, 최근 무선이 극소수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리선을 포함한 철선(metal cable) 또는 광케이블(optic cable) 등 여러 종류의 배선(wire)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모든 가정 및 회사에서 필수적인 사무자동화 장비인 컴퓨터와 관련된 여러 기구들을 제대로 이용하는데는 많은 전선 및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적절히 연결되어야만 그 역할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연결장치들을 설치할 때는 케이블 및 끈들에 의해 이들 장비들이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무장비 이외에 최근 판매-개발되고 있는 많은 산업장비들 중 일부는, 외부로 나타나지 않은 장비 내부에 많은 케이블(cable)과 끈(cord)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선을 포함한 끈(cord 또는 cable 등)을 분류 정리하는 기구는, 특수 분야에서만 특수 목적에 따라 제작된 정리기(arranger)는 구할 수가 있으나, 현재까지 특정 목적이 아닌 일반적(universal)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정리-정돈하는 기구는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없다. 물론 현재 시중에서는, 종류에 관계없이 어떤 종류의 케이블(cable)이나 끈(cord)을 분류하지 않은 채 전체를 한꺼번에 묶을 수 있는 장비(플라스틱 끈)를 구할 수 있으나, 이는 정리기(arranger)라고 할 수 없다.
전선을 포함한 끈( cord 또는 cable 등)의 배선(wire)이 분류 정리-정돈되지 못한 경우, 이들 케이블 또는 끈이 사용된 목적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는 여러 종류일 것이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케이블이나 끈이라도, 분류 정리-정돈되지 못한 경우, 시각적으로 미관상 매우 어지럽고 불결하게 보이고,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이유로, 수선-수리(repair)때 얽힌 전선을 포함한끈(cord 또는 cable 등) 때문에 적지 않은 시간을 요하는 때가 많다. 그리고, 각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전기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전선이라면, 경우에 따라선, 전선들이 뒤얽혀 누전, 합선 및 화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케이블이나 끈들이 어떤 파장을 전달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때, 케이블이나 끈들이 섞여 있어서 서로 간섭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원하는 파장을 전달하는데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국내외적으로, 일반인이 특수목적 이외로 대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배선(wire, cord, cable)을 정리할 수 있는 기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는, 각각의 끈들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다를 수가 있으나, 미관상 불결하고, 수선-수리(repair)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끈(cord 또는 cable 등)의 종류에 따라 간섭효과를 포함하여 누전, 합선 및 화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가 어느 곳(벽이나 철판을 포함한 판(board)등)에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할 홈(3)으로부터, 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셋째, 본체(1)의 길이 및 홈(3)의 수를 자유자재로 신장(伸長)시킬 수 있거나 축소(縮小)시킬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어떤 이유로, 이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를 이용하여 정리된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수선-수리(repair)할 때, 손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 째, 이용되는 끈의 종류가 각기 상이할 지라도, 이들 서로 간(間)에 간섭효과 또는 원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상기 5가지의 내용들이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이들에 대한 본 고안의 특성은 다음 항목, [발명의 구성] 에서 언급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인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 발명고안 전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조각을 이용하여 구성한 배선 정리기의 개략도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기본 조각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중간에 삽입될 조각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유연성이 매우 높은 재료로 제조된, 본체에 덮게를 설치하지 않고, 홈의 상부 출구가 좁고 굴곡되게 구성되어, 상부가 거의 막힌 홈을 소유한 고안의 단면도
도 6 은 도1과 같은 발명의 기본 고안에서 홈 내부에 보관된 끈(cord 또는 cable)의 간섭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물질 삽입용 홈을 소유한 본체 구성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형에서의 본체
2.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형에서의 덮게
3. 본체에서 전선을 포함한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하게 될 상부가 열려있는 홈
4.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screw) 또는 못(nail)를 삽입할 구멍
5. 본체(1)의 기본 조각
6. 본체(1)에 덮게(cover)(2)를 고정시키고, 본 발명 끈 정리기(wire arranger)를 어떤 벽(board)에 고정시키기 위한 홈으로서, 본체(1)와 덥게(2)를 밀착시켰을 때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나사(screw) 또는 못(nail)이 직선으로 위 덮게(2)로부터 아래 본체(1)로 통과하도록 고안된 홈
7.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한 조각(10)을 옆의 조각(11)과 연결시킬 때 옆 조각의 함몰부(9)와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중 반원형의 돌출부
8. 본체의 바닥
9.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한 조각(10)을 옆의 조각(10)과 연결시킬 때 옆 조각의 돌출부(7)와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중 반원형의 함몰부
10.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삽입용 조각
11.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홈
12. 본체의 두께
13.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각(10)의 길이
14. 본체(1) 양 말단의 곡면도 또는 각도
15. 본체(1)의 바닥으로부터 홈의 상단까지의 높이
16. 본체(1)의 길이
17. 조각(10)의 바닥
18. 조각(10)에서 홈 상부의 좁은 굴곡된 홈 출구
19. 본체(1)의 기본 조각 중 덮게(2)를 설치하지 않고 홈(21)의 상부 출구가 여러 종류의 좁고 굴곡되게 구성된 예 중 출구가 『〈』 형태로 고안된 형태
20. 간섭효과 방지용 물질 삽입용 홈
21. 상부가 굴곡된 출구와 연결된 상부가 거의 막힌 홈
22. 유연성이 높은 재료로 제조된, 끈(cord 또는 cable)등을 홈(21)으로 삽입하기 위해, 옆으로 자유롭게 굴절시킬 수 있는 절편
23.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홈(11)의 바닥 구멍으로, 나사(screw)나 못(nail)로 본체(19)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기본적으로 내열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불연성이 쎄라믹 등 절전체(絶電體)를 이용하여 제작될 것이다. 이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인이 발명하고자 하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을 정리정돈이 잘되게 하여, 육안적으로는 미관(美觀)상 미려하게 보이게 하면서, 기능적(機能的)으로는 기본 재료가 절전체(絶電體)로 제조되는 이유로 누전, 합선 또는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순서가 일정하게 정리되어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간섭효과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기본적으로 본체(1)와 덮게(2)( [도 1] )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의 길이(16)에 따라 덥게(2)의 길이가 자연히 결정된다.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도 2] )의 길이는 양측의 기본조각(5)( [도 3] ) 사이에 끼이게 될, 홈(3)을 포함하는 조각( [도4] )의 숫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 발명에서 풀어야 할 과제 5 가지에 대해 이미 언급하였고, 이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첫째,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도 1] )가 어느 곳(벽이나 철판을 포함한 판(board) 등)에 고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본체(1)와 기본조각( [3] )(5)은 덮게(2)와 관통되는 나사(screw) 또는 못(nail)이 고정될 수 있는 홈(6)을 소유하며, 이 홈을 통해 고정되는 나사 또는 못은 벽, 철판 또는 판에 고정됨으로써,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본 발명 배선 정리기 본체의 바닥(8) 또는 조각의 바닥(17)에는 강력한 접착제가 도포(塗布)되어 있어서, 이 강력한 접착제가 접착제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벽이나 철판 또는 어떤 종류의 판에 본 발명을 고정시킬 경우는, 견고한 고정에 상승작용을 나타내며, 목적(目的)과 벽 등의 재질에 따라선, 본체(1) 및 덮게(2)을 관통하는 홈(6)을 통해 나사 또는 못을 사용할 필요 없이, 강력 접착제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고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각(10)( [도 4] )에도 나사 또는 못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4)이 준비되어 있어서, 각 조각을 바닥(17)에 칠해진 접착제에 더하여 상승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할 홈(3)으로부터, 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할 것이다. 그 중 하나는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기본 도형에서,홈(3)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나,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을 각각의 홈(3)에 위치시킨 후 덮게(2)를 본체(1)에 고정시켜, 끈이 홈(3)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에 덮게(2)를 설치하지 않고, 홈(21)의 상면을 매우 좁게 굴곡(18)의 홈 출구를 만들어, 일정한 힘으로 끈(cord 또는 cable)을 잡아당기기 전까지는 끈(cord 또는 cable)이 홈(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일단 홈에 끈(cord 또는 cable)을 설치한 후, 수선-수리(repair)시 원하는 끈을 잡아당기기만 함으로써, 원하는 끈을 홈(21)으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셋째, 본체(1)의 길이 및 홈(3)의 수를 자유자재로 신장(伸長)시킬 수 있거나 축소(縮小)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로 실행 될 것이다. 우선, [도 1] 과 같이 처음 제작 때부터 본체(1)의 홈(3) 수(數)와 홈의 크기를 여러 종류로 하여 본체(1)와 덮게(2) 만의 한 세트(set)로 구성하여 제작되어 시장에 출시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삽입용 조각(10)을 중간에 삽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발명품이 시장에 출시되면, 소비자는 자기 목적에 맞는 숫자 및 크기의 홈(3)을 소유하고 있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를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양측의 본체 기본 조각(5)( [도 3] ) 사이에, [도 4] 와 같은 홈을 소유한 삽입용 조각(10)을 끼어 넣어 돌출부(7)와 함몰부(9)를 고정시킨 후 홈의 바닥의 구멍(4)에 나사(screw)나 못(nail)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즉 이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길이는 본체 기본조각(5)( [도 3] ) 사이에삽입되는 삽입용 조각(10)( [도 4] )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본체가 구성된 후, 홈(3)에 끈(wire 또는 cable 등)을 위치시킨 후 적합한 길이의 덮게(2)를 설치하고, 나사나 못으로 본체 기본조각(5)과 함께 구멍(6)을 통하여 고정시키고, 삽입용 조각(10)의 홈(3) 바닥에 고안된 구멍(4)를 통해 나사 또는 못으로 고정시키거나, 본체 기본 조각(5)의 밑바닥이나 조각(10)의 바닥(17)에 칠해진(塗布)된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넷째, 어떤 이유로, 본 발명인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를 이용하여 정리된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수선-수리(repair)할 때, 손쉽게 수선-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가지 구성이 고안될 것이다. 우선, 본체(1) 또는 조각(10)의 홈(3)의 출구 직상부 위치의 덥게(2)에 아라비아 숫자 또는 알파베트를 각인하여, 끈(cord 또는 cable 등)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5] 와 같이, 재질 자체를 매우 유연성(flexibility)이 매우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구조는, 기본 본체(1)의 홈(3)을 변형한 홈(21)의 상부는 좁은 굴착된 홈 출구(18)를 소유하고 있어서, 일단 홈(21)에 고정된(entrap)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어느 한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본체에 있는 상부가 열린 홈(11)은 끈(cord 또는 cable 등)을 홈(21)에 삽입하기 위해 본체의 절편(22)을 벌릴 때, 절편이 쉽게 벌어질 수 있도록 흡수공간으로 사용된다. 동시에, 목적하는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상부가 좁게 열려져 있는 홈(21) 내부에 모두 삽입되었을 때, 열린 홈(11)에 적당한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절편(22)들을 양쪽 홈(11)에서 압박하여 끈(cord 또는 cable 등)이 빠지지 않도록 해준다. 그러나,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제거할 때, 열린 홈(11)의 플러그를 제거한 후, 고정된 끈을 어느 한도 이상의 힘을 가해 잡아당기면, 끈들이 상부가 좁게 열린 홈(21)으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나사나 못으로 고정되는 덮게(2)가 없어서, 수선-수리(repair)시 원하는 끈(cord 또는 cable)을 잡아당기기만 함으로써, 원하는 끈을 상부가 좁게 열린 홈(21)으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어 수선-수리가 쉽게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섯 째, 이용되는 끈의 종류가 각기 상이할 지라도, 이들 서로 간(間)에 간섭효과 또는 원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6] 과 같이 본체(1)의 홈(3) 측면에 일정한 길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의 판(plate)를 삽입할 수 있는 홈(20)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 홈(20)에 간섭효과가 있는 판(plate)을 넣어 간섭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현대 및 미래의 첨단 산업이 좀 더 섬세하고 미세한 부품을 이용하여 개발 발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우리들이 이들 개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사회에서 우리가 살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많은 전기-전자제품 및 많은 산업용 전기-전자 장치에서 전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배선(wiring)을 제외시킬 수는 없다. 최근 전기-전자 장비의 산업 및 가정에서의 범용(汎用)화는 필수적으로 전선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종류의 끈(cord 또는 cable 등)들이 정리되지 못하고 매우 불규칙하게 널려져 있는 경우가많으며, 현재 시장에는 이를 산뜻하게 정리할 수 있는 기구도 구할 수 없어, 미관상 매우 어지럽고 불결하게 보이고, 전선들이 뒤얽혀 누전, 합선 및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정리되지 않은 얽힌 전선 또는 끈(cord 또는 cable 등)은 수선 또는 수리(修理)에 추가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였는데, 이 발명은, 시각적으로도 정리 정돈되어 미관상 미려하게 보이게 하며, 합선이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수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인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 발명의 고안 전체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일체형 본체(1)와 덮개(2)로 구성되어 있으며,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할 홈(3)을 소유하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3)을 포함하고 있는 조각(10)을 이용하여 구성한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개략도 측면도로서, 기본 조각(5)에 연결된 조각(10)의 숫자에 따라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길이 및 사용할 수 있는 끈(cord 또는 cable 등)의 숫자가 결정된다.
도 3 은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기본조각(5)의 단면도로서, 옆의 조각(10)과 연결시킬 때 옆 조각의 돌출부(7)와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중 반원형의 함몰부(9)를 소유한 예
도 4 는 본 발명 본체의 길이 조절을 위한, 홈을 포함하고 있는 중간에 삽입될 조각(10)의 단면도로서, 홈(3)의 바닥에 나사(screw)나 못(nail)을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4)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유연성이 매우 높은 재료로 제조된, 본체에 덮게를 설치하지 않고, 홈의 상부 출구를 좁고 굴곡되게 구성하여, 상부가 거의 막힌 홈을 소유한 고안의 단면도로서, 홈(21)에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설치하기 위해선, 절편(22)를 옆으로 밀어야 한다. 끈들이 홈(21)에 걸린(entrap) 후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홈(11)이 있으며, 이 플러그가 절편(22)들에 압박을 가해 끈(cord 또는 cable 등)이 홈(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도1과 같은 발명의 기본 고안에서 본체(1) 홈(3) 내부에 보관된 끈(cord 또는 cable 등)들 사이에 서로 간섭효과가 있을 때, 이 간섭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물질 삽입용 홈(20)을 소유한 본체 구성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형에서의 본체
2.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기본형에서의 덮게
3. 본체에서 전선을 포함한 끈이 위치하게 될 상부가 열려있는 홈
4.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screw) 또는 못(nail)를 삽입할 구멍
5. 본체(1)의 기본 조각
6. 본체(1)에 덮게(cover)(2)를 고정시키고, 본 발명 끈 정리기(wire arranger)를 어떤 벽(board)에 고정시키기 위한 홈으로서, 본체(1)와 덥게(2)를 밀착시켰을 때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나사(screw) 또는 못(nail)이 직선으로 위 덮게(2)로부터 아래 본체(1)로 통과하도록 고안된 홈
7.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한 조각(10)을 옆의 조각(11)과 연결시킬 때 옆 조각의 함몰부(9)와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중 반원형의 돌출부
8. 본체의 바닥
9.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한 조각(10)을 옆의 조각(10)과 연결시킬 때 옆 조각의 돌출부(7)와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중 반원형의 함몰부
10.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삽입용 조각
11.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홈
12. 본체의 두께
13. 본체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각(10)의 길이
14. 본체(1) 양 말단의 곡면도 또는 각도
15. 본체(1)의 바닥으로부터 홈의 상단까지의 높이
16. 본체(1)의 길이
17. 조각(10)의 바닥
18. 조각(10)에서 홈 상부의 좁은 굴곡된 홈 출구
19. 본체(1)의 기본 조각 중 덮게(2)를 설치하지 않고 홈(21)의 상부 출구가 여러 종류의 좁고 굴곡되게 구성된 예 중 출구가 『〈』 형태로 고안된 형태
20. 간섭효과 방지용 물질 삽입용 홈
21. 상부가 굴곡된 출구와 연결된 상부가 거의 막힌 홈
22. 유연성이 높은 재료로 제조된, 끈(cord 또는 cable)을 홈(21)으로 삽입하기 위해, 옆으로 자유롭게 굴절시킬 수 있는 절편
23.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홈(11)의 바닥 구멍으로, 나사(screw)나 못(nail)로 본체(19)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

Claims (4)

  1. 전선을 포함하는 어떤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정리하여 고정시키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발명에 있어서,
    이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는 기본적으로 본체(1)와 덮게(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의 양 끝(兩端)은 곡면도(14)를 갖고 있으며, 끈(cord 또는 cable 등)이 위치할 홈(3)이 있으며, 홈에 끈(cord 또는 cable 등)을 위치시킨 후, 덮게(2)를 덮고 본체(1)의 구멍(6)과 연결된 덮게(2)에 있는 구멍(6)을 통해 나사(screw)나 못(nail)으로 덮게를 고정시키게 되어 있으며,
    덮게 위에는 홈(3)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번호나 알파베트가 각인되어 있으며,
    본 발명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를 판이나 벽(board)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본체(1) 및 덮게(2)에 관통하는 구멍(6)을 통해 나사 또는 못을 이용하거나, 본체 바닥(8)에 칠해져(塗布)있는 강력 접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발명품 본체의 길이(16)는 본체의 홈(3)의 숫자에 의해 결정되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2. 제1항의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에서, 본체(1) 양단(兩端) 부분의 한 개의 홈(3) 만을 포함한 본체 기본조각(5)( [도 3] )과, 양단의 본체 기본조각(5) 사이에 삽입되는 조각(10)( [도 4] )들에 의해 구성되는 조립형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도 2] )에 있어서,
    본체 기본조각(5)과 삽입용 조각(10)의 하부에는 돌출부(7)를 한쪽에, 그리고 이 돌출부(9)에 완벽하게 맞는 함몰부(9)를 다른 쪽에 소유하고 있으며,
    본체 기본조각(5) 및 삽입용 조각(10)에는 나사(screw)나 못(nail)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4, 6)이 각각 존재하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3. 제1항의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에 있어서, 본체(1)에 끈(wire 또는 cable 등)이 위치하는 다양한 모양의 홈(21)의 상부가 거의 막혀 있으며, 이 홈(21)으로부터의 출구(18)는 좁아져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본체의 양단(兩端)에는 상부가 열려있는 홈(11)이 각각 하나 있으며, 이 홈의 바닥에는 나사(screwa)나 못(nail)으로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23)이 있으며, 본체의 바닥(8)에는 접착제가 칠해져(塗布)되어 있는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4. 제1항의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의 본체(1)에서, 끈(cord 또는 cable)이 위치하는 한 홈(3)과 옆의 다른 홈(3)을 구분시키는 칸막이 중앙에 좁은 홈(20)이 설치된 배선 정리기(wire arranger).
KR10-2001-0062519A 2001-10-10 2001-10-10 배선 정리기 KR10043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519A KR100432000B1 (ko) 2001-10-10 2001-10-10 배선 정리기
PCT/KR2002/001890 WO2003043396A1 (en) 2001-10-10 2002-10-10 Wire arr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519A KR100432000B1 (ko) 2001-10-10 2001-10-10 배선 정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396A KR20030030396A (ko) 2003-04-18
KR100432000B1 true KR100432000B1 (ko) 2004-05-17

Family

ID=1971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519A KR100432000B1 (ko) 2001-10-10 2001-10-10 배선 정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2000B1 (ko)
WO (1) WO2003043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95B1 (ko) 2015-06-23 2016-06-01 강준모 다기능 몰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49B1 (ko) * 2002-11-28 2005-04-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리드 와이어 결속구
US6944011B2 (en) 2003-06-13 2005-09-13 Gary T. Krajecki Electronic device cable cover
KR100671065B1 (ko) * 2006-09-05 2007-01-19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CN102565978B (zh) * 2012-01-15 2014-04-02 南京华脉科技有限公司 一种蝶形光缆地面走线槽
US20160089204A1 (en) * 2014-09-29 2016-03-31 Ken Wah Chow Medical device management unit
CN109473873B (zh) * 2019-01-24 2020-02-07 湖南正荣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控制柜线缆固定装置
JP7392541B2 (ja) * 2020-03-25 2023-12-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及び保持部材付き配線部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026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ハーネス仮止め装置
KR19980031650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보조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물
KR19980071507A (ko) * 1997-02-20 1998-10-26 미셸 푸르니에 차폐 케이블의 차폐 편조선을 접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1023722A (ja) * 1999-07-08 2001-01-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トコネクタ
KR20010064703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그리드 철망 위의 광케이블/광점퍼코드 분배 보호장치
KR200228965Y1 (ko) * 2001-02-07 2001-07-19 김진용 케이블 정리용 수납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21B2 (ja) * 1988-05-06 1996-03-06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ブルホルダ
JPH02260497A (ja) * 1989-03-30 1990-10-23 Fujitsu Ltd ケーブルホルダの取付構造
KR960012956U (ko) * 1994-09-28 1996-04-17 김승우 케이블 정리박스
KR200140868Y1 (ko) * 1995-10-27 1999-05-01 김태구 자동차 배선용 클립
KR200147186Y1 (ko) * 1996-10-21 1999-06-15 정몽규 배선 고정용 클립
KR19980037474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필러 캡 구조
KR200186275Y1 (ko) * 2000-01-24 2000-06-15 주식회사울타리 파티션용 배선홀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6026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ハーネス仮止め装置
KR19980031650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보조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물
KR19980071507A (ko) * 1997-02-20 1998-10-26 미셸 푸르니에 차폐 케이블의 차폐 편조선을 접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1023722A (ja) * 1999-07-08 2001-01-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トコネクタ
KR20010064703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그리드 철망 위의 광케이블/광점퍼코드 분배 보호장치
KR200228965Y1 (ko) * 2001-02-07 2001-07-19 김진용 케이블 정리용 수납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895B1 (ko) 2015-06-23 2016-06-01 강준모 다기능 몰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3396A1 (en) 2003-05-22
KR20030030396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643B2 (en) Enclosure with grommetless strain relief
US9024211B2 (en)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US6777611B2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KR100432000B1 (ko) 배선 정리기
WO2006086174A3 (en) Fire resistant cable
WO2009034382A1 (en) Low profile led lighting
US7021968B1 (en) End socket applicable to christmas decoration low-voltage bulbs
CN207965227U (zh) 光纤适配器
US7012194B1 (en) Cable adapter
ATE349759T1 (de) Flexible elektrische leitung
KR100820765B1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US5961342A (en) Dual sid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strip
KR200440761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CN216214619U (zh) 电动办公桌电路管理系统
CN208349057U (zh) 一种led面板灯及灯串
KR200225130Y1 (ko) 전선의 체결장치
ITRM940421A1 (it) "dispositivo di ritegno per valvola con nucleo ad anello".
CN210297134U (zh) 一种便于分装连接的电器连接排线
FI126887B (en) Strain relief
KR200252619Y1 (ko) 전선 홀더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KR200179979Y1 (ko) 전력 분배기
KR200426158Y1 (ko) 전선 정리용 바인더
KR200149666Y1 (ko) 전자렌지의 파워코드
CN201204262Y (zh) 电源线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