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765B1 -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 Google Patents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765B1
KR100820765B1 KR1020060036302A KR20060036302A KR100820765B1 KR 100820765 B1 KR100820765 B1 KR 100820765B1 KR 1020060036302 A KR1020060036302 A KR 1020060036302A KR 20060036302 A KR20060036302 A KR 20060036302A KR 100820765 B1 KR100820765 B1 KR 10082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upport member
wire
wire support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115A (ko
Inventor
김경미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6003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765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들을 덕트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들을 배선용 덕트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재에 있어서, 내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제1요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의 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덕트를 구비하고,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각각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가 형성된 전선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전선이 덕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전선지지부재의 제1나사공과 덕트의 제1요홈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2지지부는 덕트의 양측벽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단위 모듈, 덕트, 조명등, 전선, 지지부재, 지지, 전선고정

Description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A wire holding unit of Duct for Wiring}
도 1은 종래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의 제1,2 및 3나사공에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의 이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숫 커넥터
12: 암 커넥터
14: 전선
70: 전선지지부재
72, 74, 76: 제1,2,3나사공
73, 75: 제1,2지지부
100: 덕트
100a, 100b: 양측벽
102: 하부면
103, 104, 105: 제1,2,3요홈
106: 걸림턱
109: 보조걸림턱
200: 고정수단
본 발명은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들을 덕트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는 덕트 내부에 배선되는 전선의 수 가 많아지면 전선들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선 중이거나 배선 후에 전선의 정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보수 시간이 길어지며, 전선들끼리 간섭에 의한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내에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5-28692호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잘 나타나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5-28692호에 나타난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4)들을 덕트(100)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선되는 전선(14)들을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전선지지부재(1)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밀착시켜 고정시킨 것이다.
즉, 상기 전선지지부재(1)는 양단에 절곡된 지지편(2, 3)이 형성되어,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고정턱(107, 108)에 각각 지지편(2, 3)이 고정됨으로써 전선지지부재(1)가 전선(14)들을 눌러 고정 및 지지하거나,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요홈(103)에 의하여 전선지지부재(1)가 가압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고, 나사공(4)을 통하여 고정수단(200)으로 전선지지부재(1)를 요홈(103)에 견고히 고정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탄성이 강한 강판을 절곡하여 강한 탄성으로 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상기 전선지지부재(1)는 보통 등기구당 8개 이상이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강판은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판으로 이루어진 전선지지부재(1)는 모서리가 날카롭게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모서리의 날카로움에 의해 지지되는 전선(14)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재(1)는 덕트의 규격에 따라 미리 강판을 구부려서 사전제작을 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설계변경 시 또는 작업자에 필요에 의해 임의로 길이 조절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재를 강판으로 구부려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금속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부려 사용할 수 있는 전선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판으로 이루어진 전선지지부재의 모서리의 날카로움에 의한 전선을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전선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들을 배선용 덕트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재에 있어서, 내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제1요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의 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덕트를 구비하고,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각각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가 형성된 전선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전선이 덕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전선지지부재의 제1나사공과 덕트의 제1요홈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2지지부는 덕트의 양측벽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함에 있어서, 배선용 덕트를 단위 모듈화하고, 단위 모듈별로 커넥터의 배치 및 접속방법, 전원의 방향, 전선의 극성, 접속재의 위치, 등기구의 설치 및 커버 등을 규격화시켜 제작하고, 제작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시공과 배선 설계 등을 일관성이 있도록 표시하며, 배선용 덕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덕트(100)를 준비하고, 덕트(100) 내부 또는 외부 등에 배치, 배열 또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준비한다.
상기 구성요소로서, 일정 규격을 갖는 덕트(100)의 양단까지 배열되는 복수 조(組)의 전선(14)을 일정 길이로 마련하고, 각 전선은 식별이 용이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전선(14)의 양단에는 암 커넥터(12) 및 숫 커넥터(10)를 각각 결합한다.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는 전선(1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대 등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요소를 준비한 후에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일측에 숫 커넥터(10)를 배치하고, 타측에 암 커넥터(12)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숫 커넥터(10)는 덕트(100)의 왼쪽에 배치하고, 암 커넥터(12)는 덕트(100)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는 작업성이 용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 사이에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식별이 가능한 표시를 각각 부여한다.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각각 고유의 색상(예로,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쌍의 전선(14)을 커넥터(10)의 상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의 형상이나 전선(14)의 수용량에 따라 연결되는 전선의 수는 달라지고 배치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는 덕트 내부에 배선되는 전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선(14)들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선 중이거나 배선 후에 전선의 정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보수 시간이 길어지며, 전선들끼리 간섭에 의한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선(14)들을 덕트(100)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전선지지부재(70)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게 되는 데,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람직하게는 금속사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우선 상기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덕트는 도 3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의 내부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 제1요홈(103)을 형성하고, 양측벽의 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턱(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 전선(14)이 안치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전선지지부재(7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72)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72)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73, 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지지부재(70)의 제1 및 2지지부(73, 75)에서 연장되는 끝부분은 각각 감겨있어 제2 및 3나사공(74, 76)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100)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는 전선지지부재(70)의 제2 및 3나사공(74, 76)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제2 및 3요홈(104, 105)이 더 형성되어 작업자에 필요에 의해 고정수단(200)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금속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튜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씌우는 것이 좋다. 또한, 절연용 분체도료를 사용하여 분체 도장된 표면을 갖는 전선지지부재(7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의한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선되는 전선(14)들을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지지부재(70)의 제1 및 2지지부(73, 75)를 덕트(100)의 양측벽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턱(106)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전선(14)의 양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의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작업자에 필요에 따라서 제1 및 2지지부(73, 75)의 거리를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선지지부재(70)가 전선(14)들을 눌러 고정 및 지지하거나 덕트(100) 양측벽의 걸림턱에 의하여 전선지지부재(70)가 가압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여 더욱 공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전선지지부재(70)가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7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재(70)를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에 끼울 때에, 상기 제1 및 2지지부(73, 75)를 중앙부 쪽으로 약간 구부린 후 양측벽(100a, 100b)의 걸림턱(106) 또는 보조걸림턱(109)에 끼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벽(100a, 100b)의 걸림턱(106) 또는 보조걸림턱(109)에 전선지지부재(70)가 끼워진 후에는 제1 및 2지지부가 본체의 양측벽(100a, 100b)에 접촉면을 갖게 되고 외측으로 탄성을 갖게 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수단(200)이 없는 경우에도 많은 전선의 수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수단(200)이 있다면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공(75)을 통하여 고정수단(200)으로 전선지지부재(70)를 제1요홈(102)에 견고히 고정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필요에 따라서 제2,3나사공(74, 76)을 고정수단(200)을 이용하여 덕트(100)의 제2 및 3요홈(104, 105)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전선지지부재(70)를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의 보조걸림턱(109)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전선(14)의 흔들림과 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걸림턱(109)은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어 전선의 양에 따라 작업자가 유동적으로 전선지지부재(70)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재(70)의 제2 및 3나사공은 각각 상기 제2 및 3나사공(74, 76)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수단(200)의 회전방향에 맞게 감겨있는 것도 좋다.
그리고, 덕트(100) 내측의 구조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재(70)에 제2 및 3나사공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전선지지부재(70)에 부착되는 절연튜브(도시되지 않음)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를 덮어씌우거나 코팅 또는 도포함으로서 전선(14)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덕트(100) 내에 배선되는 전선(14)을 종류, 색깔 또는 용도별로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재를 강판으로 구부려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2,3 나사공이 형성된 금속사를 이용하여 덕트의 길이에 맞게 구부려서 전선을 지지하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간편하게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재는 금속사로 이루어짐으로써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되 지 않아 모서리의 날카로움에 의한 전선을 훼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판을 구부려서 사용하던 종래의 전선지지부재와는 달리 제조원가가 저렴한 금속사를 이용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선들을 배선용 덕트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재에 있어서,
    덕트에 형성된 제1요홈 또는 걸림턱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각각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재의 제1 및 2지지부에서 연장되는 끝부분에는 제2 및 3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전선지지부재의 제2 및 3나사공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제2 및 3요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재에는 절연을 위해 절연튜브에 의해 덮어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재는 절연을 위해 코팅 또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양측벽에는 다수개의 보조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지지되는 전선의 양에 따라 상기 전선지지부재의 제1 및 2지지부가 걸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1020060036302A 2006-04-21 2006-04-21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10082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2A KR100820765B1 (ko) 2006-04-21 2006-04-21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02A KR100820765B1 (ko) 2006-04-21 2006-04-21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15A KR20070104115A (ko) 2007-10-25
KR100820765B1 true KR100820765B1 (ko) 2008-04-10

Family

ID=3881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02A KR100820765B1 (ko) 2006-04-21 2006-04-21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KR101800479B1 (ko) 2013-05-21 2017-11-22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디밍 조절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형 야외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31B1 (ko) * 2009-02-24 2011-05-19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102175725B1 (ko) * 2020-05-14 2020-11-06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공동주택 전기 배선 덕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019U (ja) 1982-11-26 1984-06-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電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019U (ja) 1982-11-26 1984-06-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電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479B1 (ko) 2013-05-21 2017-11-22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디밍 조절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형 야외 조명 장치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KR200481900Y1 (ko) 2015-05-06 2016-11-24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15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9551B2 (en) Electrical box cable connector
US11999546B2 (en) Cable tie
KR100820765B1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US5035645A (en) Bracket for terminal block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US20220302690A1 (en) Electrical box cable connector
AU2014303737B2 (en) Structure for routing power supply cables to electrically heated wire terminals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US9929496B1 (en) Rectilinear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electable cable outlet positions for confined spaces
KR200391767Y1 (ko) 클립과 밴드 케이블의 결속구조
KR200458499Y1 (ko) 케이블 압착 단자
CN214533674U (zh) 限位结构及风扇
KR200391066Y1 (ko) 밴드케이블
CN110549962A (zh) 保护器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059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구조
KR200427626Y1 (ko) 편심형 밴드케이블
US12046883B2 (en) Cable fixing accessory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CN220107455U (zh) 一种线槽装配组件
KR200454869Y1 (ko) 유형케이블행거
JP3574984B2 (ja) 可撓性ケーブルダクト
EP4375566A1 (en) Lighting system
KR20180020809A (ko) 절연 랙크
JP2007213949A (ja) ケーブ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