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들을 배선용 덕트 내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재에 있어서, 내부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제1요홈이 형성되고, 양측벽의 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덕트를 구비하고,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각각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가 형성된 전선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전선이 덕트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안치된 상태에서 전선지지부재의 제1나사공과 덕트의 제1요홈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2지지부는 덕트의 양측벽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함에 있어서, 배선용 덕트를 단위 모듈화하고, 단위 모듈별로 커넥터의 배치 및 접속방법, 전원의 방향, 전선의 극성, 접속재의 위치, 등기구의 설치 및 커버 등을 규격화시켜 제작하고, 제작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시공과 배선 설계 등을 일관성이 있도록 표시하며, 배선용 덕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덕트(100)를 준비하고, 덕트(100) 내부 또는 외부 등에 배치, 배열 또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준비한다.
상기 구성요소로서, 일정 규격을 갖는 덕트(100)의 양단까지 배열되는 복수 조(組)의 전선(14)을 일정 길이로 마련하고, 각 전선은 식별이 용이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전선(14)의 양단에는 암 커넥터(12) 및 숫 커넥터(10)를 각각 결합한다.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는 전선(1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대 등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요소를 준비한 후에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일측에 숫 커넥터(10)를 배치하고, 타측에 암 커넥터(12)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숫 커넥터(10)는 덕트(100)의 왼쪽에 배치하고, 암 커넥터(12)는 덕트(100)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는 작업성이 용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 사이에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식별이 가능한 표시를 각각 부여한다.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각각 고유의 색상(예로,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쌍의 전선(14)을 커넥터(10)의 상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의 형상이나 전선(14)의 수용량에 따라 연결되는 전선의 수는 달라지고 배치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는 덕트 내부에 배선되는 전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선(14)들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선 중이거나 배선 후에 전선의 정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보수 시간이 길어지며, 전선들끼리 간섭에 의한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선(14)들을 덕트(100)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전선지지부재(70)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게 되는 데,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람직하게는 금속사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우선 상기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덕트는 도 3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의 내부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 제1요홈(103)을 형성하고, 양측벽의 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걸림턱(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 전선(14)이 안치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전선지지부재(7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72)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중앙부의 제1나사공(72)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일측으로 구부려진 제1 및 2지지부(73, 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지지부재(70)의 제1 및 2지지부(73, 75)에서 연장되는 끝부분은 각각 감겨있어 제2 및 3나사공(74, 76)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100) 내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102)에는 전선지지부재(70)의 제2 및 3나사공(74, 76)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제2 및 3요홈(104, 105)이 더 형성되어 작업자에 필요에 의해 고정수단(200)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금속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튜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씌우는 것이 좋다. 또한, 절연용 분체도료를 사용하여 분체 도장된 표면을 갖는 전선지지부재(7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의한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선되는 전선(14)들을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덕트(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전선지지부재(70)의 제1 및 2지지부(73, 75)를 덕트(100)의 양측벽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턱(106)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전선(14)의 양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의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작업자에 필요에 따라서 제1 및 2지지부(73, 75)의 거리를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선지지부재(70)가 전선(14)들을 눌러 고정 및 지지하거나 덕트(100) 양측벽의 걸림턱에 의하여 전선지지부재(70)가 가압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여 더욱 공고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전선지지부재(70)가 금속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감겨있어 제1나사공(7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재(70)를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에 끼울 때에, 상기 제1 및 2지지부(73, 75)를 중앙부 쪽으로 약간 구부린 후 양측벽(100a, 100b)의 걸림턱(106) 또는 보조걸림턱(109)에 끼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양측벽(100a, 100b)의 걸림턱(106) 또는 보조걸림턱(109)에 전선지지부재(70)가 끼워진 후에는 제1 및 2지지부가 본체의 양측벽(100a, 100b)에 접촉면을 갖게 되고 외측으로 탄성을 갖게 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고정수단(200)이 없는 경우에도 많은 전선의 수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정수단(200)이 있다면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공(75)을 통하여 고정수단(200)으로 전선지지부재(70)를 제1요홈(102)에 견고히 고정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필요에 따라서 제2,3나사공(74, 76)을 고정수단(200)을 이용하여 덕트(100)의 제2 및 3요홈(104, 105)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전선지지부재(70)를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의 보조걸림턱(109)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전선(14)의 흔들림과 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걸림턱(109)은 본체(10)의 양측벽(100a, 100b)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어 전선의 양에 따라 작업자가 유동적으로 전선지지부재(70)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재(70)의 제2 및 3나사공은 각각 상기 제2 및 3나사공(74, 76)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수단(200)의 회전방향에 맞게 감겨있는 것도 좋다.
그리고, 덕트(100) 내측의 구조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재(70)에 제2 및 3나사공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전선지지부재(70)에 부착되는 절연튜브(도시되지 않음)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를 덮어씌우거나 코팅 또는 도포함으로서 전선(14)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덕트(100) 내에 배선되는 전선(14)을 종류, 색깔 또는 용도별로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